-
[지역] 2023년 중국 신 1선 도시 순위
2023년 5월 30일 신 1선 도시연구소(新一 城市 究所)는 8년 연속 ‘도시 상업 매력 순위城市商 魅力排行榜)’를 발표함. - 주요 소비브랜드 200개, 17개 인터넷 기업 및 데이터 기관이 수집한 도시 빅데이터로 337개 지급 이상 도시를 평가하여 2023년 15개 신 1선 도시(新一 城市)를 선정함. 도시상업매력지수는 상업자원 밀집도, 도시 거점화, 도시인구 유동성, 생활방식 다양성, 미래 잠재력 등 5개 항목으로 평가됨. - 매년 신 1선 도시 15개, 2선 도시 30개, 3선 도시 70개, 4선 도시 90개, 5선 도시 128개를 선정하고 있음. 2023년 1선 도시 순위는 상하이가 142.57로 1위, 베이징이 138.42로 2위를 차지함. - 광저우와 선전이 각각 108.03, 105.23으로 그 뒤를 이음. 2023년 선정된 신 1선 도시 순위는 청두, 충칭, 항저우, 우한, 쑤저우, 시안, 난징, 창사, 톈진, 정저우, 둥관, 칭다오, 쿤밍, 닝보, 허페이 순임. - ‘신 1선 도시’는 향후 1선 도시가 될 가능성이 큰 경쟁력 있는 도시를 의미함. 2022년 급부상한 포산에 자리를 내어주었던 쿤밍시가 다시 포산을 대체하며 신 1선 도시로 복귀함. - 또한 신 1선 도시였던 선양과 우시가 2선 도시로 하락함. 10년 전, 떠오르는 도시로 항저우, 톈진, 청두, 쑤저우, 우한, 충칭, 칭다오, 난징, 선양, 다롄 등이 선발됨. - 이들 도시 중 일부는 10년 전의 1선 도시 수준을 넘어섰으나, 일부는 신 1선 도시 순위 밖으로 밀려남. - 중부지역에서 많은 신흥도시가 출연함과 동시에 일부 북부지역 도시는 몰락함. <출처: “2023新一 城市名 官宣:昆明回 , 上升,北方城市 占四席” 第一 . 2023. 5. 30.>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혼인신고 건수 37년 만에 최저수준
2023년 6월 중국 민정부(民政部)가 발표한 분기별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 혼인 건수는 683.3만 건으로 198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임. - 2013년 혼인 건수는 1,346.9만 건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9년 연속 감소추세로 전환되어, 2019년 1,000만 건, 2020년 900만 건, 2021년 800만 건, 2022년 700만 건 관문이 무너짐. 2022년 혼인 건수는 전년 대비 10.5%인 80.3만 건 감소함. - 중국의 혼인 건수는 2013년 최고치 대비 지난 9년 동안 49.3%로 절반 가까이 감소함. 혼인 건수가 급격히 감소한 이유는 혼인 및 출산 연령 연기, 결혼 적령인구 감소, 가치관 변화,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확인됨. - 주우허우와 링링허우 세대가 혼인과 출산단계에 접어들면서 결혼 적령기의 젊은 층도 감소함. 2020년 중국 인구통계연감(中 人口普 年 )에 따르면 2020년 중국 평균 초혼 연령은 28.67세로 2010년 평균 초혼 연령인 24.89세보다 3.78세 증가함. 현재 중국 젊은이들은 더 이상 결혼과 출산을 인생의 필수과정으로 생각하지 않으며 결혼 비용 상승 또한 결혼을 꺼리는 원인으로 지목됨. - 국가위생건강위원회( 家 生健康委 )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중국 출생아 수는 468.3만 명으로 처음으로 500만 명 선이 무너짐. <출처: “去年 婚人 37年 新低,近9年 婚人 下降49.3%” 第一 . 2023. 6. 1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고령화 정책의 특징
“중국식 양로”는 중국의 경제발전 수준에 따라, 중국 사회문화 전통을 기초로 하고, 세계 선진 경험을 벤치마킹하여 노인의 자주성을 존중하는 사회보장 제도를 구축하고자 함. ▣ 효도, 공경 문화 확대 중국은 효도와 공경을 양로의 사회문화 기초로 관련 제도를 마련함. 2000년 8월 중국 정부는 처음으로 고령화와 관련된 강령성 문건인 《노령업무 강화에 관한 결정( 于加强老 工作的 定)》을 발표하며, 중화민족 전통 덕인 공경, 효도, 돌봄의 도덕 교육을 강조 - 고령화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2018년 2월 중국노령공작위원회사무실(全 老 工作委 公室), 중국공산당 중앙조직부, 선전부(宣 部) 등 14개 부처는 공동으로 《인구 고령화 국정교육 확대에 관한 통지( 于 展老 化 情 育的通知)》를 발표 ▣ “가정-사회-기관” 양로 서비스 체계 구축 중국의 사회 양로 서비스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2006년 10개 중앙 부처가 양로 서비스에 관한 첫 문건인 《양로서비스 발전 가속화에 관한 의견( 于加快 展 老服 的意 )》을 발표 - “가정 양로는 기초, 사회 서비스는 의지, 기관 양로는 보충(居家 基 、 社 依托、 机 充)”으로 하는 서비스 체계 기본 틀을 제시하였음. - 이후, 이러한 시스템을 기초로 가정, 사회, 양로기관에서의 지원을 강화함. 또한, 2007년 상하이에서 처음으로 “9073” 양로 모델을 제시하였고, 이는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양로 서비스 발전에 목표로 설정 - “9073”이란 90%의 노인은 가정에서 양로하고, 7%의 노인은 사회에 의지하여 양로하며, 3%의 노인은 양로 기관에 입주하는 것임. 그러나 중국 민정부에서 발표한 《2021년 민정사업발전 통계 공보(民政事 展 公 )》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에 등록 양로기관은 4만 개, 침상 530.5만 개, 입주 노인 238.1만 명으로 침상 사용률은 44.88%이며, 양로 기관 입주 노인 비중은 1% 미만으로 나타남. - 이는 대다수 노인이 가정과 사회에서 양로를 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앞으로 중국식 양로 모델에서 사회 의지 서비스가 중점이 될 것으로 보임. 중국 각 지역은 기업, 사회단체 등과의 협력을 통해 전문기관이 함께하는 양로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 의료와 양로의 결합 중국의 빠르게 늘어난 노인인구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고위험군의 증가로 이어졌고, 노인 의료 보건 체계의 변화와 개선 필요성이 대두됨. 2016년 민정부와 위생계획출산위원회는 《의료양로 결합 서비스 기관 허가 업무에 관한 통지( 于做好 合服 机 可工作的通知)》를 발표하며, 국가급 의료와 양로의 결합 프로젝트를 출범 의료와 양로 결합 모델의 4대 유형은 △ 의료기관의 양로 서비스 개설, △ 양로원 내 의료 부분 확충, △ 양로원과 의료기관의 업무협약 체결, △ 사회분야의 의료와 양로 결합 서비스 확대로 구분 중국의 양로 시스템은 위의 내용을 기초로 만들어졌으며, 정부는 사회복지에 대한 투자를 계속해서 확대하고 있음. <출처: 旦大 老 究院·21世 道(2023), 「“中 式” 老 展 告」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노인 경제 수준과 소비
중국 노인의 은퇴 후 수입의 대부분은 연금이지만, 중국의 연금제도는 아직 개선해야 하는 부분이 많음. 중국의 1인당 평균 연금 수령액은 42,928.9위안이며, 지역 간 격차가 큼. - 연금 수령액이 가장 많은 지역은 시짱(티베트)으로 117,064위안이고, 가장 적은 충칭(32,530위안)과 84,534.29위안의 차이가 있음. 중국의 연금 수령액은 평균임금 대비 39% 수준임. - 평균임금 대비 수령액 비중이 높은 지역은 시짱으로 80%를 기록했으며, 산시( 西) 57%, 신장 53%, 칭하이 52% 등 중서부 지역이 높게 나타났음. - 반면 낮은 지역은 충칭 30%, 상하이 31%, 베이징 32%로 임금수준이 높은 직할시로 나타남. 중국인의 소득 증가는 노인의 소득 증가로 이어짐. - 고령인구의 71%가 월수입 5,000위안 이상이며, 이 가운데 1만 위안 이상 소득 비중도 2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현재 고령인구는 이전 세대보다 많은 재산을 축적하였고, 이는 노인의 소비 능력이 높아져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함. - 《중국 고령산업 발전 보고(中 老 展 告)》에 따르면 중국 노인인구의 소비잠재력은 2014년 4조 위안에서 2050년 106조 위안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2020년 중국 노인인구의 1인당 평균 소비지출은 16,307위안으로 2014년 14,7364위안과 비교하여 10.5% 증가했음. 노인들의 소비 유형은 일상소비, 의료·건강, 교류·여가의 비중이 증가함. - 2020년 중국 노인인구의 의료·건강 분야 지출 비중은 22%로 2014년(13%) 대비 9%p 증가했고, 교류·여가 비중은 10%p 증가했음. - 반면 비일상소비와 가족 간 지출 비중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보임. <출처> 1. 旦大 老 究院·21世 道(2023), 「“中 式” 老 展 告」 2. 家 局(2022), 《中 年 (202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노인의 거주 현황과 건강 상태
고령화 심화와 도시화율 증가에 따라 중국의 가정 구성은 단순해지고 있으며, 노인과 자녀의 동거 비율도 점차 하락함. - 중국의 도시화율은 1982년 20.9%에서 2020년 63.9%로 증가하여 205%의 증가율을 보임. - 전통적으로 4대가 함께 살던 중국의 대가족 거주방식은 점차 핵가족화되어 3인 가정으로 변화함. 2021년 중국의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 비중은 27%에 불과함. - 이 밖에 노인 부부 거주 비중이 54%로 가장 많았으며, 독거노인은 12%, 양로기관 거주 5% 등으로 집계됨. - 이는 가정 양로의 기능이 크게 약화한 것을 의미하며, 도시와 농촌 노인 모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 향후 사회 기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임. 노인인구의 절대적인 증가는 잠재 환자 수의 급증을 의미하여, 현재 의료 시스템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노인인구를 단기간에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 우려됨. 기대수명 증가에 따라, 노인의 신체기능 저하와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있어야 하는 만성질환 환자가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021년 발표된 중국 7차 전국 인구센서스 통계에 따르면, 60세 이상 노인 중 12%는 건강하지 않으며, 이 가운데 2% 노인은 독립적인 생활이 불가능하다고 조사됨. 이와 관련된 다른 연구조사에 따르면, 스스로 생활이 어려운 노인인구 비중은 2020년 4,564만 명으로 17.11% 비중을 차지하는데, 2030년에는 6,953만 명으로 17.44%, 2050년에는 12,606만 명으로 22%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 노인인구의 증가로 요양보호사 수요도 2020년 33.8만 명에서 2030년 52.2만 명, 2050년 101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旦大 老 究院·21世 道(2023), 「“中 式” 老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노인인구 증가와 고령화
2023년 3월 중국 푸단대학교 고령연구원( 旦大 老 究院)과 21세기경제보도(21世 道)는 공동으로 「“중국식” 양로 발전 추세 보고(“中 式” 老 展 告)」를 발표함. 세계은행은 1960년 이후 중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노인 부양 비율 역시 높아지고 있다고 밝힘. - 현재 중국의 고령화 비율은 일본과 미국보다 낮지만, 증가율이 가파르게 높아져 2030년 이후 미국을 추월하고 2080년 일본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 2022년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2억 8,004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9.8%를 차지하고, 65세 이상 인구는 2억 978만 명으로 14.9%를 차지함. - 2021년과 비교하여 60세 이상 인구는 1,268만 명, 65세 이상 인구는 922만 명 증가했음. 노인인구 비중 증가와 함께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도 축소되고 있음. 2010년 중국의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3.1명에서 2020년 2.62명으로 15% 감소했음. - 2014~2016년 두 자녀 출산 허용 정책으로 가구당 가구원 수가 잠시 회복하는 듯 보였으나, 이후 다시 감소세를 보임. 중국의 가구 구성은 점차 간소화되고 있음. -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2대가 함께 거주하는 가족 비율은 1982년 48.2%에서 2020년 36.7%로 감소하였고, 부부 또는 홀로 거주하는 1대 가족의 비중은 같은 기간 13.9%에서 49.5%로 크게 증가하였음. <출처: 旦大 老 究院·21世 道(2023), 「“中 式” 老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상반기 중국 사회 물류 총액 160조
2023년 7월 28일 중국 물류 및 구매 연합회(中 物流 采 合 )는 2023년 상반기 물류 운영 데이터를 발표함. - 2023년 상반기(1~6월) 중국 사회 물류 총액은 160조 6,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하였고 1~5월보다 0.3%p 증가함. - 중국 사회 경제의 전면적 회복으로 물류 수요의 누적 증가 속도도 빠르게 회복하고 있음. 2023년 상반기 중국 산업생산 회복으로 공산품 분야 물류 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하였고, 1~5월보다 0.2%p 증가하며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추세를 보임. 장비제조업 분야 물류 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함. - 항공제조, 스마트장비, 신에너지, 반도체 전용장비 분야 물류 총액은 각 분야 모두 20% 이상 증가하는 등 첨단 제조 분야 물류 수요가 큰 동력으로 작용함. 2023년 상반기 기관과 주민 물품 물류 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함. - 특히, 2분기 이후 다양한 소비 형태로 물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온·오프라인 소비 물류가 동시에 반등해 2분기 전국 실물 상품 온라인 소매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했고, 증가 속도는 1분기보다 3.5%p 상승함. - 이에 따른 상반기 택배 업무량은 600억 건 이상으로 집계됨. - 또한 편의점, 백화점 등 오프라인 물류 증가 속도는 8%를 넘어섰으며 소매·음식점 소비 물류도 지속해서 회복되고 있음. 2023년 상반기 수입 물류 총액은 8조 6,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함. - 농산물과 원자재 상품의 수입 물동량은 지속해서 증가하였고 전기 기계 제품 및 기타 제조 제품은 감소함. <출처: “上半年全 社 物流 160.6万 元,同比增 4.8%” 央 新 . 2023. 7. 2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중국 현급 경제 100대 지역
2023년 7월 25일 중국 전자정보산업 연구원(中 子信息 究院) 산하 사이디 컨설팅( 迪 )은 「2023년 중국 현급 경제 100대 연구(2023中 域 百强 究)」를 발표함. - 100대 현급( 域) 중 GDP 천억 클럽에 가입한 지역은 54개로 집계됨. 100대 현급의 경제 평가는 GDP 600억 위안 이상, 일반 공공 예산 수입 20억 위안 이상으로 설정하고 경제력, 성장 잠재력, 부유 수준, 녹색발전 수준 등 1급 지표 4개와 2급 지표 8개, 3급 지표 27개를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평가함. 2022년 GDP 천억 클럽에 포함된 54개 현급시는 8조 6천억 위안의 GDP를 달성하였고 이는 중국 경제 총량의 7.1%에 해당함. - 또한 54개 현급시의 일반 공공 예산 평균 수입은 108억 위안에 달함. 중국 100대 현급시의 발전에는 3가지 특징이 있음. - 첫째, 장쑤성과 저장성의 현급 경제는 비교적 균형적이며 현급 간 경쟁이 뚜렷함. - 둘째, 푸젠성, 산둥성, 후베이성, 쓰촨성, 후난성은 계단식 발전 패턴을 보임. - 셋째, 구이저우성, 산시(山西)성, 장시성, 허베이성, 윈난성은 핵심 현급을 집중적으로 육성하여 질적 경제 성장을 주도함. 권역별 100대 현급시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동부지역 65개, 중부지역 20개(전년 대비 2개 감소), 서부지역 14개(4개 증가)이며, 동북지역은 1개(2개 감소)에 불과함. - 장쑤성, 저장성, 산둥성은 각각 23개, 16개, 13개가 진입하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둠. <출처: “2023百强 出 :千 54 ,10 新增分 自 些省 ” 搜狐 . 2023. 7. 26.>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중국 100대 도시 순위
2023년 7월 18일 와튼경제연구원( 究院, Warton Economic Institute)은 9년 연속 중국 100대 도시 순위를 발표함. - 2023년 중국 100대 도시 순위 상위 10위권에 베이징, 상하이, 선전, 광저우, 항저우, 난징, 쑤저우, 우한, 청두, 톈진이 올랐으며 전년 대비 순위 변동은 없음. - 100대 도시 중 36개 도시의 순위가 상승하였고 40개 도시 순위가 하락함. 2023년 중국 100대 도시에 1위 베이징(92.46), 2위 상하이(89.47)가 여전히 순위를 유지 중임. - 3위 선전(78.95)은 4위 광저우(74.99)와 격차를 벌리며 3위 자리를 굳건히 함. - 5위를 차지한 항저우(74.15)는 최근 몇 년 동안 하드 경제 지표에서 광저우를 뛰어넘었고 소프트 경제 지표 중 문화와 위생점수에서 우위를 나타냄. 와튼경제연구원 원장이자 중국 100대 포럼의 선한야오(沈 耀) 주석은 항저우가 환경, 과학 및 교육 분야에 대한 투자를 더욱 늘리고 단점을 보완한다면, 중국의 새로운 제4대 도시 ‘베이상선항(北上深杭)’으로 부상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함. 11~20위 순위권에 충칭, 닝보, 우시, 지난, 칭다오, 창사, 허페이, 정저우, 푸저우, 시안이 이름을 올림. - 허페이는 2018년 31위에서 2023년 17위로 5년 연속 순위가 상승하였고, 특히 과학 및 교육 점수는 10위를 차지함. 장쑤성은 100대 도시에 13개 도시가 진입하여 1위를 차지했으며, 산둥성은 12개 도시, 푸젠, 저장, 광둥은 각각 8개 도시가 진입함. - 동북 지역과 서남 지역은 7개 성 중 12개 만 100대 도시에 포함되었고, 광둥성과 쓰촨성은 각각 13개, 15개 도시가 포함되지 못하는 등 중국 지역 간 발전 불균형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임. <출처: “2023年中 百强城市排行榜 布:GDP全 占比超七成” 新 . 2023. 7. 24.>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3년 상반기 중국 게임산업 현황
2023년 7월 27일 상하이에서 개최된 중국 국제 디지털 오락 산업 대회(中 字 大 )에서 「2023년 1~6월 중국 게임산업 보고서(2023年1-6月中 游 告)」를 발표함. - 2023년 상반기(1~6월) 중국 게임 시장의 실제 매출 규모는 1,442억 6,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9% 감소하였으나, 전월 대비 22.2% 증가하며 뚜렷한 시장 회복세를 보임. - 2023년 하반기 중국의 게임 이용자 수는 6억 6,8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5% 증가하여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중국 자체 개발 게임의 국내 시장 실제 매출액은 1,217억 8,4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5% 감소했으나 전월 대비 24.5% 증가함. - 중국 자체 개발 게임의 해외 시장 실제 매출액은 82억 6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72% 감소함. - 세계 경기 둔화 영향으로 해외 이용자의 소비 심리와 소비 능력이 위축되었고, 시장 경쟁이 나날이 치열해지면서 해외 마케팅 비용도 많이 증가함. 중국 모바일 게임의 주요 해외 시장은 미국, 일본, 한국이 각각 31.77%, 19.65%, 8.5%로 전체 시장의 약 60%를 차지함. - 독일, 영국, 프랑스 시장은 약 10%에 달하고, 중동, 라틴아메리카, 동남아시아 국가가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음. 모바일 게임은 전체 게임 시장 실제 매출의 73.97%를 차지함. - 모바일 게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중국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 PC게임의 실제 매출 비율은 22.84%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Web-게임의 실제 매출 비율은 1.64%에 그침. 2023년 상반기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의 실제 매출액은 1,067억 5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1% 감소했으나 전월 대비 29.2% 증가하며 회복 모멘텀이 강화됨. - PC 게임 시장의 실제 매출액은 329억 4,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7% 증가함. - 이와 같은 성장의 원인에는 e-스포츠와 2차원 게임의 꾸준한 강세와 모바일과 PC 동시 배포 방식을 채택한 것에 있음. <출처: “《中 游 告》 布:用 模6.68 , 史新高” 澎湃新 . 2023. 7. 28.>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