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중국 사치품 해외소비
2023년 1분기 설문 응답자의 36%는 해외여행을 다녀왔으며, 여행지는 홍콩·마카오·대만이 37%를 차지하고, 동남아 21%, 한국과 일본이 17%인 것으로 나타남. 2023년 1분기 중국 사치품 소비자의 90%는 중국에서 구매했고, 홍콩·마카오·대만과 해외에서 구매한 소비자 비중은 각각 5%로 나타남. - 2023년 전망은 중국 내 소비 82%, 홍콩·마카오·대만 6%, 해외소비 12%로 해외에서 사치품을 구매하는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 2019년 중국인의 사치품 구매 지역 비중은 중국 내 소비 45%, 홍콩·마카오·대만과 해외가 55%로 주로 중국 외 지역 구매가 더 많았음. -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해외여행이 어려워지면서 중국 내 소비가 크게 늘었으나, 최근 중국의 국제선 항공편 운항이 빠르게 회복하고 있어 해외소비가 다시 증가할 것으로 보임. 2023년 1분기 중국의 국제선 항공 운항편 수는 2019년 대비 30% 회복되었으나, 2023년 12월에는 70~80%까지 회복될 것으로 전망 한편, 중국 사치품 소비자 중 68%는 앞으로 중국에서 사치품을 더 구매하겠다고 답함. - 중국 내 소비 의향의 원인은 중국 구매 서비스 향상, 신상·한정판을 중국 매장에서도 구하기 쉬워졌으며, 해외와의 가격 차이가 줄어들었음을 꼽았음. 최근 중국은 명품 온라인 쇼핑 플랫폼, 위챗 등을 통해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음. <출처: 洞察(2023), 「2023年中 奢侈品市 字化 洞察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사치품 소비시장 규모와 소비자 유형
2023년 6월 23일 텐센트 마케팅 인사이트( 洞察, TMI)는 「중국 사치품시장 디지털화 추세 동향 보고(2023年中 奢侈品市 字化 洞察 告) 2023년판」을 발표 - 「보고」의 설문조사는 2022년 4월~2023년 4월간 사치품을 구매한 중국 소비자 2,7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음. - 사치품 품목은 의류, 가방, 신발, 액세서리, 주얼리·시계로 구분 ▣ 중국 사치품 소비시장 규모 2022년 중국의 사치품 소비시장 규모는 4,700억 위안이었으며, 2023년은 5,500억 위안이 될 것으로 전망 - 2023년 사치품 소비시장 전망은 국내 규모 4,500억 위안, 해외 규모 1,000억 달러로 코로나19로 축소되었던 해외 사치품 소비가 일부 회복할 것으로 보임. - 2023년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5~20% 증가할 것이며, 국내 사치품 소비 비중은 82%, 해외는 18%로 예상됨. 2023년 말 중국의 해외 항공편 회복률은 70~80%에 달할 것임. ▣ 중국 사치품 소비자 유형 중국 사치품 소비는 충성고객이 시장의 핵심이며, 젊은 세대와 2선 이하 도시 소비자의 잠재력이 큼. 중국 사치품 소비 금액 비중을 고객 유형별로 살펴보면, 11%의 충성고객 소비 금액이 40%에 달함. - 연령대별로는 30세 이하 48%, 31세 이상이 52%로 나타났음. 도시별 사치품 소비는 4대 도시(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의 소비자 수 비중은 19%, 소비금액 비중은 20%이고, 1선 도시는 각각 51%, 47%, 2선 도시 이하는 30%, 33%로 조사됨. 중국 사치품 소비자 연령대별 비중은 23~25세가 34%로 가장 높았고, 26~30세 30%, 22세 이하 25%, 30세 이상 11% 순으로 나타남. - 사치품 소비자 평균 연령은 27.6세이며, 처음 사치품을 구매하는 나이가 30세 이하인 비중이 약 9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됨. <출처: 洞察(2023), 「2023年中 奢侈品市 字化 洞察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제6회 중국기업포럼 : 중국기업 현황
2023년 9월 22일 산둥성 지난에서 「제6회 중국기업포럼 보고발표회(第六 中 企 告 布 )」가 개최됨. - 발표회에서 「2023 중앙기업 질적 발전보고서(中央企 高 量 展 告(2023)」, 「산둥 녹색 저탄소 질적 발전 선행구 건설현황 보고서(山 色低 高 量 展 先行 建 情 告)」, 「2023 중국기업 언론홍보 분석보고서(2023中 企 播分析 告)」 등 3개 보고서가 집중적으로 발표됨.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연구센터( 院 委 究中心)가 발표한 「2023 중앙기업 질적 발전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앙기업 영업이익은 39조 6,000억 위안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했고, 총이익은 2조 6,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성장함. - 중앙기업은 총 3조 4천억 위안(부동산 투자 제외)의 고정 자산 투자를 하였고,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함. 중국 중앙기업(中央企 )은 ‘중앙관리기업’의 약칭으로 국무원 혹은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출자자의 직책을 위임하는 기관으로 2022년 98개 기업이 있음. 중앙기업은 기존의 전통산업을 디지털화, 스마트화, 환경친화적으로 전환하고 스마트제조, 교통, 건설, 광산, 에너지, 상업 등 산업 구조 승격을 통해 지난 3년간 신흥산업 분야의 연평균 투자 증가율이 20% 이상 증가함. - 또한 2022년 중앙기업의 R&D 투자가 처음으로 1조 위안을 돌파하며 전년 대비 9.8% 증가했으며, 공업기업의 R&D 투자도 3%를 초과하는 등 중국의 과학기술 혁신 원동력이 더욱 강화됨. 산둥성 발전개혁위원회(山 省 展和改革委 )가 발표한 「산둥성 녹색 저탄소 질적 발전 선행구 건설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산둥성 전체 총생산액은 44,12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함. - 산둥성의 농업, 임업, 축산, 어업 생산량은 전국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여름 곡물 생산량은 전국에서 가장 많음. - 2023년 1~8월까지 산둥성 규모 이상의 공업 부가가치는 7.1% 증가했으며, 내수 시장 활성화의 영향으로 고정 자산 투자와 소비재 소매 총액은 각각 5.6%, 8.4% 증가함. 경제참고신문사( 考 社)가 발표한 「2023 중국기업 언론홍보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은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 건설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한 해로, ‘강한 자신감’, ‘확고한 기대’, ‘새로운 국면’은 주요 언론 매체의 핵심 키워드이며. 공기업 개혁, 민간기업 발전 등 키워드도 주목받음. <출처: “焦点 近三年央企在 略性新 年均投 增速超 20%” 中 . 2023. 9. 25.>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3년 상반기 중국 자동차 인수합병 현황
2023년 9월 25일 중국 푸화용다오(삼일회계법인, 普 永道)는 「2023년 상반기 중국 자동차 산업 인수합병 회고 및 동향 전망(2023年上半年中 汽 行 活 回 及 展望)」을 발표함.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중국 자동차 산업 인수합병 거래액은 1,275.8억 위안, 거래량은 343건으로 2022년 동기 대비 감소함. 2023년 상반기 중국 정부는 자동차 소비 촉진을 위해 많은 새로운 정책을 발표하였고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인 전동화, 지능화와 네트워크화에 있어 우수한 성과를 거둠. - 2017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중국 내연기관 자동차와 신에너지 자동차(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차) 판매량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판매량을 보여줌. -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은 2017년부터 세계시장에서 급증하면서 2021년 고속 성장기를 맞이함. 2023년 상반기 중국 자동차 산업에서 대규모 거래 금액(100억 위안 이상)은 2022년 하반기에 비해 36% 감소함. - 자본시장의 거품 빠짐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점차 실질가치로 회귀하고 있음. 2023년 상반기 전략적 투자액 또는 인수단계 금액이 전체 거래 금액의 절반을 차지 - 중국 내 재무 투자자가 주도하는 자동차 산업 인수합병 거래 규모가 감소함. 주장삼각주(珠江三角洲)와 창장삼각주( 江三角洲) 일대는 산업적 강점과 인재, 기술 집약 및 선발 혜택 등 영향으로 투자 분위기가 가장 강함. - 2023년 상반기 광둥성, 상하이, 장쑤성, 저장성 4개 지역의 자동차 산업 인수 및 합병 거래 건수는 모두 30건 이상으로 집계됨. 주장삼각주(광둥성 일대 9개 도시), 창장삼각주(상하이, 쑤저우성, 저장성, 안후이성 등 41개 도시) 글로벌 전동화 추세에 힘입어 중국 신에너지 시장은 더욱 빠르게 발전하고 차세대 배터리 기술도 진화할 것으로 전망함. - 중국 자동차 산업은 기존 아시아, 아프리카 시장에서 점차 유럽시장으로 해외시장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普 永道 告:中 汽 行 2023年上半年 交易金 超1275 元” 中 新 . 2023. 9. 25.>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3년 1~8월 중국 부동산시장 현황
2023년 9월 15일 국가통계국( 家 局)은 1월부터 8월까지 중국 부동산시장 기본 현황을 발표함. 2023년 1~8월까지 중국 부동산 개발 투자는 7조 6,9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 감소했으며, 그 중 주택 투자는 5조 8,425억 위안으로 8% 감소함. 2023년 1~8월까지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주택건설 면적은 806,415만 ㎡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7.1% 감소함. - 이 중 주택 공사 면적은 567,792만 ㎡로 7.3% 감소하였고, 신규 가옥 착공 면적도 63,891만 ㎡로 24.4% 감소하였고 신규 주택착공 면적도 46,636만 ㎡로 24.7% 감소함. - 가옥 준공 면적은 43,726만 ㎡로 19.2% 증가하였고 주택 준공 면적은 31,775만 ㎡로 19.5% 증가함. 2023년 1~8월까지 총분양 면적은 73,949만 ㎡로 전년 동기 대비 7.1% 감소했으며 그중 주택 분양 면적은 5.5% 감소함. - 분양주택 판매액은 7조 8,158억 위안으로 3.2% 감소했으며 주택 판매액은 1.5% 감소함. - 8월 말, 분양 판매 면적은 64,795만 ㎡로 전년 동기 대비 18.2% 증가했고 주택 매물 면적은 19.9% 증가함. 2023년 1월부터 8월까지 부동산 개발 기업의 자금 조달은 87,116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9% 감소함. - 중국 내 대출은 10,671억 위안으로 12.8% 감소했고, 외국 자본 활용은 35억 위안으로 41.6% 감소했으며, 자체 조달 자금은 27,195억 위안으로 22.9% 감소함. - 보증금 및 예수금은 30,185억 위안으로 7.3% 감소했고, 개인 주택담보대출은 15,453억 위안으로 4.3% 감소함. 2023년 8월 중국 부동산 개발 경기지수는 93.56로 2016년 1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임. <출처: “2023年1—8月 全 房地 市 基本情 ” 家 局. 2023. 9. 1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2년 중국 해외직접투자 현황
2023년 9월 28일 중국 상무부(商 部), 국가통계국( 家 局), 국가외환관리국 ( 家外 管理局)은 공동으로 「2022년 중국 해외직접투자 통계공보(2022年度 中 外直接投 公 )」를 발표함. ▣ 2022년 중국 해외직접투자(ODI) 특징 중국 해외직접투자 규모 세계 상위 유지 - 2022년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규모(유량)은 1,631억 2,000만 달러로 세계 2위이며 11년 연속 세계 3위, 7년 연속 세계 점유율 10% 이상을 차지함. - 2022년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규모(저량)은 2조 7,548억 달러에 달하며 6년 연속 세계 3위 안에 진입함. 전 세계 80% 이상 국가와 지역에 진출한 중국기업 - 2022년 중국 내 투자자들은 전 세계 190개 국가 및 지역에 47,000개의 해외 기업을 설립 - 중국기업의 대륙별 해외 진출 분포는 아시아가 약 60%를 차지하고, 북미 13%, 유럽 10.2%, 북아메리카 7.9%, 아프리카 7.1%, 오세아니아 2.6%임. - 그 중 ‘일대일로’ 국가에 16,000개의 중국기업이 설립됨. 광범위한 투자영역 - 2022년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영역은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 제조, 금융, 도소매, 광업, 운송 등 민생경제 18개 업종을 포함하며 투자액은 100억 달러 이상임. 지방 기업의 지속적이고 활발한 해외투자 - 2022년 중국의 해외 비금융 투자 유량 중, 지방 기업 투자액은 860.5억 달러로 61%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3.3% 증가함. - 그중 동부지역의 비금융 기업 투자액은 77.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저장, 광둥, 상하이가 상위 3위에 랭크됨. 호혜 상생을 통한 경제 발전 도모 - 2022년 해외 진출 중국기업은 투자 지역에 750억 달러를 세금을 납부했으며 이는 35.1% 증가한 금액임. - 중국 해외 기업 총직원 수는 410만 명이며, 그중 외국인 직원 약 250만을 고용 - 또한 해외투자는 2,566달러 화물 수출입을 이끌었고, 비금융권 해외 기업의 영업수익은 3조 5,000억 달러로 14.4% 증가함. <출처: “三部 :2022年中 外直接投 流量1631.2 美元” 商 微新 . 2023. 9. 28.>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부동산 구매 결정 요인
빅데이터에 의하면 2023년 중국인의 부동산 구매 결정 요인은 매물, 가격, 브랜드로 꼽힘. - 위치, 학군, 평판에 대한 결정 요인 증가율은 전년 대비 각각 88%, 64%, 61% 증가했음. 도시 등급 별 결정 요인은 1선 도시는 부동산의 위치(행정구역)와 학군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함. 신1선 도시와 2선 도시의 구매 결정요인 1위는 모두 학군이며, 위치는 5위로 비교적 낮음. - 2위를 기록 한 편의시설은 아파트 관리 서비스, 주차장 등을 포함 반면, 3선 이하 도시는 주택의 구조와 평판이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나타남. <출처: 艾媒咨 (2023). 「2023年房地 行 洞察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도시별 부동산 타지인 구매 비중
2023년 중국 도시별 부동산 타지인 구매 비중을 살펴보면, 1선 도시가 30.3%로 가장 높게 나타남. - 부동산 구매 제한, 높은 집값 요인 등으로 주택 수요가 더욱 1선 도시에 몰림. - 대부분 도시의 타지인 구매 비중은 20% 수준이나, 2선 도시는 11.3%로 가장 낮음. 빅데이터에 따르면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4대 도시의 부동산 구매자 중 30%가 타지인으로 나타났음. - 1선 도시는 정책, 경제, 환경 등 우수한 여건으로 주변 도시 수요자에게 더 큰 매력으로 어필됨. 특히 수도인 베이징은 타지인 구매 비중이 55%로 가장 높아 부동산 수요자들이 가장 매력적으로 느끼는 도시로 꼽힘. - 베이징은 허베이, 산둥, 상하이, 저장, 랴오닝 등 비교적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구매하는 것으로 보임. 구매 주택 면적 비중을 살펴보면 70% 이상이 81~140㎡ 범위의 주택 구매를 선호함. - 그 중, 101~120㎡가 31.6%로 가장 높고, 121~140㎡가 21.4%, 81~100㎡ 21.1% 순임. 도시 등급별로는 1선 도시는 140㎡ 이상의 대형 평형 구매 비중이 높고, 신1선 도시는 80㎡ 이하의 소형 평수 구매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출처: 艾媒咨 (2023). 「2023年房地 行 洞察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부동산 선호 유형과 수요
보고에 따르면 중국 부동산 구매자의 67.5%는 기축 주택을 선택했으며, 32.5%는 아직 지어지지 않은 분양 주택을 선택하였음. 주택의 구조 수요는 방 3개가 60.1%로 가장 높고, 방 2개 19.2%, 방 4개 17%, 방 1개는 0.6% 순으로 나타남. - 원하는 주택 유형 비중은 일반 고층아파트가 47%로 가장 높고, 고급 주택단지, 콘도 미니엄, 타운하우스가 각각 13.9%, 13.8%, 10.6%임. 부동산 구매자 유형은 크게 자녀를 키우는 양육가정, 자녀가 없는 2인 신혼부부, 1인 가구로 나누어 구매 원인과 수요를 조사함. 부동산 구매 원인은 유형별 차이를 보임. - 자녀가 있는 가정의 부동산 구매 원인 비중은 자녀 교육이 37.8%로 가장 높고, 이후 자녀의 거주나 증여를 위한 구매 비중도 24.3%임. - 신혼부부는 결혼으로 인한 분가, 독립이 48.2%로 가장 높았으며, 직장과 가까운 거리도 37.5%에 달함. - 1인 가구는 경제적 여건이 가능해서 구매하는 비중이 45.5%로 가장 높았고, 타지에서 이사와 현지에 정착하기 위한 목적은 4.9%임. 구매자 유형별 주택 구조 수요 차이를 보면, 기혼 가정은 자녀의 유무와 상관없이 101~120㎡, 방 3개, 일반 고층아파트를 선택한 비중이 가장 높았고, 1인 가구는 이보다 작은 평형인 60~80㎡, 방 2개, 고급 주택단지(오피스텔, 주상복합 등)를 가장 선호함. <출처: 艾媒咨 (2023). 「2023年房地 行 洞察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부동산 구매자 분석과 구매 요인
2023년 6월 중국 시장조사 기관인 아이미디어 리서치(艾媒咨 )는 「2023년 부동산업 통찰 보고(房地 行 洞察 告)」를 발표 - 부동산업의 수요와 공급, 정책, 전망, 부동산 구매자 분석, 부동산 판매기업 예시 등을 다루었음. - 본 보고서에서는 부동산 구매자 분석을 중심적으로 작성하고자 함. 보고의 부동산 구매자 분석 조사는 2023년 4월 최근 1년 내 부동산 구매했거나 구매를 계획한 총 8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빅데이터 분석은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의 2022년 4월~2023년 4월 이용자 검색 데이터를 활용하였음.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2023년 중국 부동산 구매자 중 78%는 자녀가 있는 가정으로 나타났고, 1선 도시의 주택 구매 수요가 전년 대비 38% 증가했음. 부동산 구매 요인으로는 낡은 주택 개선이 37.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경제적인 조건 부합으로 인한 구매가 33%, 자녀 교육을 위한 학군지 수요가 32.4%로 3위를 차지함. - 투자 목적, 노후 대비, 위험대비 요인은 각각 20.2%, 10.9%, 9.5%로 나타남.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1주택자 구매 비중이 가장 높으나, 2주택자와 다주택자의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음. <출처: 艾媒咨 (2023). 「2023年房地 行 洞察 告」>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