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2022년 중국 도시 대외무역 경쟁력 순위
2023년 11월 26일, 해관총서(海 署)는 중국해관(中 海 ) 잡지를 통해 2022년 중국 도시 대외무역 경쟁력 순위(中 外 百强城市榜 )를 발표함. 2022년 대외무역 종합경쟁력 100대 도시 중, 동부지역이 2021년 대비 1개 도시가 증가한 60개 도시가 진입하며 여전히 큰 폭으로 앞서고 있음. - 동부지역의 광둥성 선전, 상하이, 장쑤성 쑤저우가 2년 연속 1~3위를 차지함. 2022년 중부 지역은 전년 대비 3개 도시가 증가한 26개 도시가 후보에 올랐으며 그 중 후베이성 우한은 14위로 3계단 상승함. 서부지역 10개 도시와 동북부 지역 4개 도시가 100대 도시 순위권에 진입했으며 2021년에 비해 각각 2개 도시가 감소함. - 서부지역 중 가장 높은 순위는 산시성 시안으로 20위, 동북부 지역은 랴오닝성 다롄 이 42위를 기록함. 2022년 중국 대외무역 수출입 상위 20개 도시 중 14곳이 대외무역 종합경쟁력 상위 20개 도시에 선정됨. - 이는 2021년에 비해 2개 도시가 감소한 것으로 수출입 규모가 도시 대외무역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약화함을 의미함. - 종합 대외무역 경쟁력 100대 도시의 수출입액은 평균 7.1% 증가하였고 동기간 내 중국 대외무역의 전체 성장률보다 낮은 수준임. 유통이 더욱 편리하고 원활해지면서 에너지, 광물, 기초 원자재 등이 도시 대외무역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함. - 도시 경쟁은 점차 정책, 자금, 항구 및 인재와 같은 ‘소프트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출처: “2022年中 外 百强城市:深 、上海、 州居前三” 第一 . 2023. 11. 26.>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2년 중국 20개 성 인구 증가율 감소
중국 통계국( 家 局)이 발표한 「2023 중국통계연보(中 年 2023)」에 따르면, 2022년 중국 혼인신고 커플 수는 683만 5,000쌍으로 전년 대비 10% 감소함. - 2022년 초혼자(初婚) 수는 1,051만 7,600명으로 전년 대비 약 106만 명(9.16%) 감소하며 처음으로 1,100만 명을 밑돎. 혼인신고 수는 초혼과 재혼을 합한 수이며, 초혼자 수는 출생인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 광둥성의 도시화율은 전국 4위지만 지난해 인구 출산율은 8.3‰로 전국 8위를 기록함. - 광둥성은 2022년 출생인구가 105만 2,000명으로 3년 연속 출생아 수가 100만 명을 초과한 유일한 성(省)인 동시에 5년 연속 최대 출산 지역임. - 광둥성은 유입인구 수가 많고 젊은 혼인인구 비율이 비교적 높음. 2022년 인구 자연 증가율이 플러스를 기록한 11개 성 중 티베트, 닝샤, 구이저우, 칭하이, 광둥은 상위 5위를 차지함. - 2022년 인구 자연 증가율이 마이너스인 성은 20개이며, 그중 7개 성은 플러스 성장에서 마이너스로 돌아섬. 호적 인구가 가장 많은 허난성의 2022년 자연 성장률은 –0.08‰로 2021년 대비 출생인구는 6만 명 감소하였고 출산율은 0.58%p 감소함. - 또한 사망자 수는 11,000명 증가하였고 사망률은 0.14%p 증가하며 허난성의 인구 자연증가율은 1962년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섬. 2023년 10월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家 生健康委)가 발표한 「2022년 중국 보건발전통계공보(2022年我 生健康事 展 公 )」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출생인구 중 둘째 자녀 수 비율은 38.9%, 다자녀는 15%를 차지함. - 2022년 중국 출생아 수는 441만 명이며 둘째는 372만 명, 셋째 이상은 143만 명으로 집계됨. - 중국의 출생아 수는 지난 6년 동안 51.3% 감소함. <출처: “去年我 初婚人 低于1100万” 第一 . 2023. 11. 19.>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2년 중국 인터넷기업 투자와 상장 현황
2022년 중국 100대 인터넷기업의 벤처·지분 투자는 332건으로 전년 대비 24.7% 감소했고, 투자액은 총 223억 3,000만 달러로 56.9% 감소했음. - 지난 몇 년간 인터넷기업의 주요 투자 전략은 사업 확장과 비용 절감이었으나, 2022년 정부의 인터넷기업 규제로 실효성과 수익 영역으로 전략 전환 2022년 중국 100대 인터넷기업의 투자 금액 비중을 살펴보면 시리즈 E가 57.2%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12%p 증가함. - 투자 건수 비중은 초기 투자 단계인 Seed, Angel, 시리즈 A 비중이 51.2%를 차지함. 투자 건수와 금액은 상위 10개 기업에 집중됨. - 2022년 상위 10개 기업의 벤처·지분 투자 건수 비중은 100대 기업의 81.3%를 차지하여 전년 대비 1.7%p 감소했고, 투자금액 비중은 98.3%로 전년 대비 4.5%p 증가했음. 2020년 코로나19로 많은 수요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였고, 소비자들의 소비습관도 빠르게 변화함. 또한 온라인 고객 확보를 위한 비용이 크게 절감됨. - 이러한 변화로 인터넷 산업은 새로운 발전 기회를 얻음. 동시에 경기 부양을 위한 정부 정책의 발표로 많은 투자금이 인터넷기업에 집중되어 2020년 인터넷 산업의 시장가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음. - 2021년 플랫폼 경제, 개인정보 보고, 데이터 보안, 미성년자 보호 등 새로운 규제가 잇따라 시행되며, 인터넷 산업의 시가총액은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음. - 2022년에는 경제성장률 하락과 지속적인 강력한 규제 정책으로 중국 인터넷 산업 시총이 연속 하락함. 2022년 중국 100대 인터넷기업의 시가총액은 11.1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26.7% 하락했음. 2022년 중국 100대 인터넷기업 중 63개 기업이 상장되었으며, 그중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의 수는 총 26개로 전년 동기 대비 6개 증가했음. - 미국과 홍콩에 모두 상장된 기업은 총 9개로 전년 동기 대비 2개 증가 2020년 5월 미국 상원과 하원은 각각 '외국 기업 책임법'을 승인하고 통과시켰고, 2021년 11월부터 새로운 규제 프레임워크를 연속적으로 승인하여 중국 주식에 소유권 구조 및 감사 세부 사항을 공개하도록 요구했음. - 이에 따라 미국에 상장한 중국기업은 2024년 이전에 상장 폐지 가능성이 있어 2020년부터 미국에 상장한 중국 인터넷기업의 귀환 러시가 이어지고 있음. <출처: 中 互 (2023). 「中 互 企 合 力指 (2023年)」>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2년 중국 인터넷기업 사업 분야
중국 100대 인터넷기업의 주요 사업 분야는 오락 관련 기업이 49개로 가장 많았음. - 코로나19 기간 온라인 문화, 오락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함. - 오락 외 사업 분야는 인프라 23개, 온라인마케팅 18개, 공공서비스 17개, 전자상거래 16개, 인터넷금융 13개, SNS 9개, 생활서비스 8개, 유틸리티 8개, 소프트웨어 5개, 검색 4개, 업무 3개, 보안 2개 순임. 중국 100대 인터넷기업은 주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대도시에 분포해 있음. - 그중 베이징의 인터넷기업 집중 현상이 두드러짐. 100개 기업 중 베이징에 있는 기업은 33개로 전년 대비 3개 증가했음. - 상하이에는 지난해와 비슷한 17개, 광저우와 선전시는 각각 7개 기업이 분포함. <출처: 中 互 (2023). 「中 互 企 合 力指 (2023年)」>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인터넷기업 종합역량지수 하락
최근 중국은 네티즌 규모 성장률의 둔화로 인터넷 산업의 성장 한계를 보임. - 그러나 중국 정부의 인터넷 산업에 대한 감독 정책 시행으로 표준화된 운영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발전을 지속하고 있음. 2023년 중국 100대 인터넷기업의 종합역량지수는 717.8점으로 전년 대비 1.8% 감소하며 소폭 하락함. - 중국의 규모 이상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기업의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1.1% 감소하며 종합지수가 하락에 영향을 미침. 이는 지수를 개발한 2013년 이후 처음으로 하락함. 2023년 중국 100대 인터넷기업의 규모지수는 983.5점으로 전년 대비 5.7% 감소했으며, 혁신지수는 660.3점으로 전년 대비 1.9% 감소하였음. - 규모지수는 기업의 영업이익, 인터넷 영업이익, 직원 수, 시장가치 등을 지표로 삼고, 혁신지수는 기업의 연구개발 인원, 연구개발비, 특허 수 등을 포함 반면 이익지수는 500.9점으로 전년 대비 26.1% 증가했으며, 성장률은 전년 대비 15.2%p 증가함. 2022년 중국 100대 인터넷 산업 수익 규모는 3조 2,1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8% 감소했으나, 영업이익률은 5,82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4.8% 증가함. -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알리바바 그룹의 조직 개편(1+6+N)으로 인한 분할로 타오톈 그룹만 평가하여, 알리바바 그룹 전체를 평가한 전년에 비해 수익 규모가 감소하였음. 중국 정부는 2022년 인터넷 플랫폼 감독 정책으로 기업의 무분별한 사업 확장 제한, 사업 연관성이 낮은 분야 철수를 통해 주요 사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집중하도록 유도함. - 2023년 인터넷 산업은 인력 감축, 임금 삭감, 사업 축소, 사업 철수 등의 조치로 업계 전체 수익은 감소했으나, 비용 절감 및 효율성 증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과 도출을 위한 발판을 다짐. 2022년 중국 100대 인터넷기업 중 해외사업을 하는 기업은 48개로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해외 인터넷 사업 수입은 1,14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8% 감소함. 해외사업 수입 비중은 전체 인터넷 사업의 3.6%를 차지함. - 해외사업은 주로 온라인 게임 기업으로 총 18개, 37.5%를 차지함. 중국의 경기 하방 압력이 커졌으나, 인터넷기업의 연구개발비는 증가했음. - 2022년 중국 100대 인터넷기업의 연구개발비용은 3,00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음. - 발명특허 건수도 전년 대비 17.9% 증가함. - 반면 연구개발 인원은 인력 감축으로 전년 대비 16.5% 감소함. <출처: 中 互 (2023). 「中 互 企 合 力指 (2023年)」>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100대 인터넷기업 순위
2023년 10월 중국 인터넷협회(中 互 )는 「중국 인터넷기업 종합 역량 지수(中 互 企 合 力指 )(2023년)」를 발표 - 보고서는 중국의 인터넷기업 종합역량지수 순위, 20대 성장형 기업 순위, 데이터 보안 기업 순위와 100대 인터넷기업의 특징을 분석함. 중국 인터넷협회는 인터넷기업에 대한 종합 역량 평가를 시행하여 지수에 따른 기업 순위를 발표함. - 종합 역량 지수는 기업의 규모, 수익, 혁신, 성장, 리스크관리, 사회적 책임 등 6개 분야 14개 핵심 지표로 산출함. 2022년 중국의 종합역량지수 1위 인터넷기업은 텐센트로 중국 최대 모바일 메신저인 위챗(웨이신, 微信)과 PC 기반 메신저인 QQ를 운영하고 있음. - 2위 기업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 회사인 엔트그룹으로 알리페이를 운영하고 있음. - 3위 타오톈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타오바오와 티몰을 운영하고 있음. - 4위는 포털업체인 바이두, 5위는 음식배달 플랫폼 메이퇀이 차지함. 중국 숏클립 영상 플랫폼 콰이서우와 틱톡이 각각 8위, 9위를 차지했으며, 동영상 플랫폼인 비리비리와 아이치이도 14위, 18위에 랭크됨. 게임 개발 기업 미호요와 보커는 15위, 17위를 차지했으며, 보안서비스를 제공하는 360과 구인·구직 플랫폼 칸준도 20위안에 선정됨. <출처: 中 互 (2023). 「中 互 企 合 力指 (2023年)」>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2024년 중국 관광경제 전망
2024년 1월 1일 중국관광연구원 문화관광부데이터센터(中 旅游 究院文化和 旅游部 据中心)는 2024년 중국 관광객 수는 60억 명, 국내 관광 수입은 6조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함. - 또한 출입국 관광객 수와 국제 관광 수입은 각각 2억 6,400만 명과 1,07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함. 2023년 중국인의 계절별 여행 의향 비율은 90% 이상으로 2019년보다 4.52%p 높은 연평균 91.86%에 달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함. - 2023년 중국 당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해제 후 지난 3년간 축적된 여행 욕구가 폭발하면서 중국 관광경제가 급격하게 회복됨. 중국관광연구원은 2024년 신정연휴(12/30~1/1, 3일) 국내 여행객 수는 1억 3,5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155.3% 상승하며 2019년 동기 대비 9.4% 증가할 것으로 예측함. - 관광 수입은 797억 3,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0.7% 증가했으며 2019년 동기 대비 5.6% 증가함. 2023년 연말과 신정연휴 기간 여행 예약 건수는 전년 대비 168% 증가했으며 해외여행 예약 건수는 전년 대비 388% 증가함. - 주력 여행 연령대는 ‘주링허우(90년대생)’, ‘빠링허우(80년대생)’, ‘치링허우(70년대생) ’로 각각 40%, 30%, 14%를 차지함. - 어린이 여행객 비율은 27%로 조사됨. 신정연휴 장거리 여행 예약량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함. - 주로 겨울 관광지인 하얼빈(哈 ), 창춘( 春), 바이산(白山), 우루무치( 木 ), 장자커우( 家口) 등을 선호함. - 겨울 관광지를 선호하는 여행객의 거주지역은 광둥, 저장, 상하이로 상위 3위를 차지함. <출처> 1. “中 布 元旦 出游人次同比增 155.3% 村地 居民游客量破同期 ” 中 . 2024. 1. 2. 2. “今年出游人 超60 人次” 北京日 . 2024. 1. 2.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2년 중국 미성년자 인터넷 이용 현황
2023년 12월 23일 공산주의청년단 중앙청소년권익보호부(共 主 年 中央 少年 益部)와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는 「제5차 전국 미성년자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보고서(第5次全 未成年人互 使用情 告)를 발표 - 5년 단위로 발표되는 보고서는 31개 성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직업학교 등 31,688명의 학생과 11,624명 학부모, 787명 선생님을 대상으로 표본 검사를 통해 실시함.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미성년 네티즌 규모는 1억 9,300만 명이며 미성년자의 인터넷 보급률은 2018년 93.7%에서 2022년까지 97.2%로 증가함. - 인터넷 사용 미성년자 연령이 현저히 낮아지는 추세이며, 초등학생의 인터넷 보급률은 2018년 89.5%에서 95.1%로 증가함. - 도시와 농촌의 미성년자 인터넷 보급률 격차는 2018년 5.4%p에서 2022년 1.0%p로 감소하는 추세임. 디지털 교육이 자신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미성년 네티즌의 비율은 2018년 53.0%에서 2022년 77.4%로 증가함. - 미성년자 네티즌 90%는 휴대전화로 인터넷에 접속하고, 20% 이상은 스마트워치, 스마트 조명, 전자사전 등 새로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고 있음. 숏폼(짧은 동영상)을 자주 시청하는 미성년 네티즌의 비율은 2018년 40.5%에서 2022년 54.1%로 증가하였으며 숏폼은 정보를 얻는 중요한 채널로 자리 잡음. - 미성년 네티즌 80% 이상이 인공지능 기술(AI)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하며 AI에 높은 관심을 보임. <출처: 共 中央 少年 益部·中 互 信息中心(2023). 「第5次全 未成年人互 使用情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3년 4분기 중국 인재 채용 현황
2024년 1월 3일 중국 온라인 생활정보 제공 사이트 58퉁청(58同城)이 발표한 2023년 4분기 인재 이동 추세 빅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주요 도시의 일반 채용과 구직 활동이 모두 활발했던 것으로 조사됨. - 선전, 청두, 충칭 지역은 우수 인재가 넘쳐나며 인재 전쟁의 중심지로 자리 잡음. - 베이징 채용 시장의 열기 또한 뜨겁고, 기업의 채용 수요도 여전히 높음. 2023년 4분기 구직자의 이력서 제출 상위 도시는 선전, 청두, 충칭, 베이징, 상하이, 창사, 광저우, 둥관, 항저우 등으로 조사됨. - 선전은 풍부한 과학 기술 자원과 우수한 산업 정책으로 텐센트, 화웨이와 같은 첨단 기술 기업과 다양한 대학 및 연구 기관이 분포해 있어 이상적 인재 도시로 자리 잡음. - 청두와 충칭의 이력서 제출 수는 청위지역 공동경제권(成 地 城 圈) 건설 추진과 IT 선진 제조업 클러스터 발전, 살기 좋은 거주환경 등의 영향으로 베이징과 상하이를 능가했으며, 인재 매력도도 계속 상승하고 있음. 2023년 4분기 채용이 활발했던 상위 15개 도시 순위는 베이징, 선전, 청두, 상하이, 우한, 광저우, 하얼빈, 창사, 둥관, 칭다오, 항저우, 허페이, 충칭, 정저우, 포산 순으로 집계됨. - 2023년 베이징은 선진 제조업과 현대 서비스 산업의 긴밀한 융합을 위해 관련 정책을 발표하고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개발하며 고용의 지속적인 증가를 주도함. 2023년 4분기 중국 4대 도시인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외에도 관광도시인 하얼빈, 창사, 칭다오가 채용 활성화 도시로 발돋움함. - 하얼빈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얼음 축제인 ‘빙설대세계’, ‘동북 냉동 배’와 같은 특색있는 문화로 많은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했으며 기업의 채용 규모도 확대됨. 2023년 4분기 채용 상위 15개 도시의 기업 월평균 급여는 8,388위안임. - 상하이의 평균 채용 급여는 월평균 1만 297위안으로 가장 높았고, 광저우는 9,068위안으로 2023년 3분기보다 1.9% 증가함. 제조업의 기술 발전과 첨단화로 생산 환경과 업무가 크게 향상되어 제조업으로 구직자들이 다시 몰려들고 있음. - 58퉁청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4분기 제조업 일반 작업자의 구직활동도가 가장 높게 나타남. 이력서 제출이 많은 직군으로는 화물기사, 창고관리, 종업원, 보안, 운전기사, 점원·영업직, 서무, 캐셔, 청소, 안내, 배달원 등이 있음. <출처: “58同城大 据解 2023年人才流 :北京最缺工, 州 薪求 ” 中 商 . 2024. 1. 4.>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4년 중국의 새로운 정책
▣ 애국주의교육법 시행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중화인민공화국 애국주의 교육법(中 人民共和 主 育法)」은 매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일에 국가와 사회 각 방면에 다양한 축하 행사를 개최하고 애국주의 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함을 규정함. ▣ 미성년자 사이버 보호 규정 「미성년자 사이버 보호에 관한 규정(未成年人 保 例)」은 중국 최초로 규정된 미성년자 사이버 보호를 위한 포괄적 입법으로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괴롭힘을 엄격히 금지함. - 새로 개정된 행정심판법은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며 행정심판 접수범위를 행정처분, 행정강제 등 외에 행정협의, 산업재해 인정 등 5가지 상황을 확대하여 포함 ▣ 국가 기본의료보험, 산재보험, 출산보험 약품목록(2023년) 시행 2024년 1월 1일부터 「국가 기본의료보험, 산재보험, 출산보험 약품목록(2023년) ( 家基本 保 、工 保 和生育保 品目 (2023年)」이 시행됨. - 이번 조치로 105종의 독점 약품, 21종의 비독점 약품 등 역대 가장 많은 수인 126종 신약이 의료보험에 편입되어 항종양, 희귀질환, 만성질환, 항바이러스 등을 앓고 있는 환우의 부담을 경감시킬 예정임. ▣ 해양 환경 보호법 시행 새로 개정된 「해양 환경 보호법(海洋 境保 法)」은 해양 생태 환경 보호에 초점을 맞춰 2024년 1월 1일에 시행됨. - 정부 책임이 더욱 강화되고 해양 환경 보호를 위한 목표 책임 시스템 및 평가 시스템이 시행되며 해양 하천 관리 강화, 해양 하천 오염 방지 및 통제 조정 추진 등이 포함됨. ▣ 밀폐공간 작업 안전 규정 발효 「제조 및 상업 기업의 제한 공간 작업 안전 규정(工 企 有限空 作 安全 定)」이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됨. - 제한된 공간에서 작업 감독보호제를 실시하며 안전 조치 이행을 위해 책임 감독하게 됨. ▣ 특수의료용 조제식품 등록관리에 관한 행정조치 시행 「특수의료용 조제식품 등록관리 방법(特殊 用途配方食品注 管理 法)」이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됨. - 희귀질환, 임상이 시급하고 아직 승인되지 않은 신규 카테고리 및 기타 제품에 대한 우선심사 및 승인 절차를 수립함. - 제품 라벨에 제품 영양소 및 기타 성분 표시를 강조하여 소비자 혼동을 방지함. <출처: “2024年1月1日起 些新 影 我生活” 央 新 客 端. 2023. 12. 31.>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