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2023년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
중국국가통계국이 2024년 1월 12일 발표한 2023년 12월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기 대비 2.7% 하락하였고, 전월 대비 0.3% 하락함. - 2023년 PPI는 4.1% 하락함. 2023년 12월 공업생산자매입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3.8% 하락하였고, 전월 대비 0.2% 하락함. - 2023년 전체 공업생산자매입가격은 3.6% 하락함. - 중국의 공업생산자가격지수는 생산자물가지수와 생산자매입가격지수를 포함 2023년 생산자물가지수 중 생산재 가격은 전년 대비 3.9% 하락했고, 생활재 가격은 0.1% 하락함. - 생산재 가격 중 채굴공업 7.7%, 원자재 4.4%, 가공 3.3% 하락 - 생활재 가격 중 식품 0.2%, 의류 1.1%, 일반용품 0.5% 상승했고, 내구소비재는 1.1% 하락 공업생산자매입 가격 중 연료 에너지와 농산물은 각각 5.3%, 2.2% 하락했으며, 철화합금속, 화학공업 원자재, 건설자재는 각각 6.2%, 8.3%, 5.9% 하락함. <출처: “2023年12月 工 生 者出 价格同比下降2.7% 比下降0.3%”, 家 局. 2024. 1. 12.>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
2024년 1월 12일 중국국가통계국은 2023년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함. 2023년 12월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0.3% 하락했음. - 전년 동기 대비 도시주민 소비자물가는 0.3%, 농촌 0.5% 하락하였으며, 식료품 가격은 3.7% 하락, 비식품 가격은 0.5% 상승하였고, 소비재와 서비스 가격은 각각 1.1%, 1.0% 하락함. 2023년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0.2% 상승함. 품목별 소비자물가를 살펴보면 2023년 12월 식품·담배·술의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2.0% 하락하여, CPI의 0.57%p 하락 영향을 미침. - 육류 가격이 11.9%로 하락했으며, 특히 돼지고기 가격은 26.1% 하락하며, 매년 큰폭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함. - 과일 가격 0.3%, 달걀 가격 7.0%, 수산물 가격 0.6%, 식량 가격은 2.6% 하락했으며, 채소는 0.5% 하락함. 2023년 12월 중국 7대 소비 품목 중 전년 동기 대비 5개가 상승, 1개가 하락·유지함. - 기타용품 및 서비스 2.9%, 교육·문화·오락 1.8%, 의류와 의료보건이 각각 1.4%, 주거 0.3% 상승했고, 교통·통신은 2.2% 하락함. <출처: “2023年12月 居民消 价格同比下降0.3% 比上 0.1%”, 家 局. 2023. 1. 12.>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2023년 12월 31일 중국국가통계국은 2022년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를 발표함. - 구매관리자지수(Purchasing Manager's Index, PMI)는 기업의 신규주문, 생산, 출하, 재고, 고용상태 등 5개 부분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로 지수가 50% 이상이면 업계 경기의 확장, 50% 이하는 수축을 의미함. 2023년 12월 중국 제조업 PMI는 49%로 전월 대비 0.4%p 하락함. - 2023년 월별 추이를 살펴보면 1~3월, 9월을 제외하고는 50% 이하를 기록 2023년 12월 기업 규모별 대기업 PMI는 50.0%로 전월 대비 0.5%p 하락, 중견기업은 48.7%로 0.1%p 하락, 중소기업은 47.3%로 0.5%p 하락하며 임계치 하회 또한, 5개 구성 항목 모두 임계치를 밑돌았음. - 생산 지수는 50.2%로 전월 대비 0.5%p 하락하며 제조업 생산이 지속해서 하락 - 신규주문 지수는 48.7%로 전월 대비 0.7%p 낮아지며 제조업 시장 수요가 감소 - 고용 지수도 47.9%로 제조기업의 고용 경기 침체 2023년 12월 중국의 비제조업 비즈니스 활동지수는 50.4%로 2022년 12월 41.6% 과 비교해. - 업종별로는 건축업 비즈니스 활동지수가 56.9%로, 전월 대비 1.9%p 상승했고, 서비스업 비즈니스 활동지수는 49.3%로 지난달 같은 수준임. 그중 우정, 통신방송 및 위성 전송 서비스, 화폐금융서비스, 보험 등 업종 비즈니스 활동지수는 55% 이상으로 높은 경기 확장세를 보임. <출처: “2023年12月中 采 理指 行情 ”, 家 局. 2023. 12. 3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중국 국내총생산(GDP)
2024년 1월 18일 중국국가통계국은 2022년 중국 국내총생산(GDP)을 발표함. 2023년 중국의 GDP 규모는 126조 58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함. -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각각 4.1%, 4.7%, 5.8%임. 업종별 전년 대비 증가율은 코로나19로 불황을 겪었던 숙박·요식업이 14.5%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부동산업이 –1.3%로 가장 낮게 나타남. 2023년 분기별 GDP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1분기 4.5%, 2분기 6.3%, 3분기 4.9%, 4분기 5.2%로 기록 - 중국은 2020년 코로나19 이후 GDP 성장률 변동이 커짐. <출처: “2023年四季度和全年 生 初步核算 果”, 家 局. 2024. 1. 18.>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4년 중국 지방정부 채권발행 계획
2023년 11월 중국 지방정부 채무 잔액은 40조 6,386억 위안이며, 그중 일반 채무 15조 8,459억 위안, 특별 채무 24조 7,927억 위안, 정부 채권 40조 4,728억 위안, 정부 부채 1,658억 위안임. - 지방채는 자금의 용도에 따라 신규채(신규 일반채, 신규 특별채 포함)와 재융자 지방채로 나눌 수 있음. 2024년 1월 15일 중국 성·시에서 발표한 1분기 지방채 발행 계획에 따르면 신규 지방채 발행 계획은 총 1조 4,491억 위안임. - 이 중 신규 일반채 1,762억 위안, 신규 특별채 7,164억 위안, 재융자 지방채 5,566억 위안을 발행할 예정임. 2024년 지방채 발행량은 7조 1,300억 위안(신규 일반채 8,000억 위안+특별채 3조 8,000억 위안+재융자채 2.53조 위안)으로 예상됨. 2024년 일반 부채는 8,000억 위안(지방 적자 추정치) 증가할 것으로 예측함. - 2017~2023년 신규 일반채 발행 속도를 기준으로 분기 평균과 월평균을 측정하여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연간 신규 일반채 발행 속도를 전망함. - 2024년 6~8월 지방채 발행량이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함. <출처: “ 政部:2023年全 行地方政府 券93374 元” 央 . 2024. 1. 30.>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중국 중앙정부 채권발행 규모
2024년 1월 30일 중국 재정부는 채권발행 통계를 발표함.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은 전년 대비 26.8% 증가한 9조 3,300억 위안의 지방 채권을 발행함. - 지방채 발행규모는 사상 최대 9조 위안을 돌파함. 2022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이월공제 세금 환급 등 대규모 세금 감면을 시행하였으나, 2024년은 과학 기술 혁신과 제조업 발전을 중점적으로 세금을 감면해 주는 등 선택적 감면정책을 시행할 예정임. - 또한 2024년 중국의 적극 재정정책( 政政策)은 재정적자율 인상, 특별채 등 재정지출 확대 조치에 무게가 실림. 최근 4년 중국의 중앙 재정 적자율은 2020년 3.7%에서 2022년 2.8%로 유일하게 3% 미만을 유지하다, 2023년 1분기 3%였던 적자예산이 4분기 특별국채 발행으로 3.8%에 달함. - 2024년 적극 재정정책 기조 아래 적자율을 3%로 전망함.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적자예산 평균 비율은 72%:28%이었으나 2024년 80%:2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 2024년 중앙 적자 예측치는 32조 위안, 지방 적자 예측치는 0.8조 위안으로 총액은 4조 위안임. - 동시에 2024년에 6.31조 위안의 국채가 만기가 되며, 중국의 국채 발행량은 약 9.51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출처: “ 政部:2023年全 行地方政府 券93374 元” 央 . 2024. 1. 30.>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중국 지방정부 재정력 순위
2024년 2월 각 지방정부 양회에서 31개 성시의 2023년 지방 일반 공공예산 수입이 발표됨. - 2023년 지방 경제 회복이 소득 증가를 주도하며 31개 성시의 수입이 모두 증가함. 2023년 지방 일반 공공예산 총수입은 광둥이 약 1조 3,900억 위안으로 1위를 유지함. - 장쑤는 9,930억 위안으로 2위, 저장과 상하이는 각각 8,602억 위안, 8,316억 위안으로 3, 4위를 차지함. - 2023년 후베이의 지방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약 3,691억 위안으로 산시(山西), 푸젠, 산시( 西)를 제치고 2022년 14위에서 11위로 상승함. 지방 일반 공공예산 수입이 3,000억 위안 이상인 성시 중 네이멍구의 수입이 3,083억 위안으로 장시를 추월하였으며 수입이 2,000억 위안 이상인 지역 중 신장은 2,178억 위안으로 윈난을 앞지름. - 수입이 1,000억 위안을 초과하는 성시 중 지린은 1,075억 위안으로 간쑤성을 추월하였고 다른 성시의 소득 순위는 2022년 대비 큰 변화가 없음. 상주인구 기준으로 2023년 상하이의 1인당 평균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약 33,600위안으로 1위를 차지함. - 1인당 평균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베이징이 약 28,300위안으로 2위, 톈진은 약 15,000위안으로 2위, 저장은 약 13,000위안으로 3위, 장쑤는 약 12,000위안으로 4위, 광둥은 약 11,000위안으로 5위를 차지함. 2023년 지역별 일반 공공예산 수입 증가율은 동북부, 동부, 중부, 서부 지역이 전년 대비 각각 12.0%, 6.7%, 6.9%, 10.7% 증가함. - 경제적 불확실성과 구조적 세금 및 수수료 인하 정책의 원인으로 동부와 중부 지역의 재정 수입 증가율이 더딤. 최근 2년 서부 지역 일반 공공예산 수입 증가율은 6.5%로 가장 빠르며, 동부 지역은 0.9%, 중부 지역은 4.9%, 동북 지역은 0.1%로 가장 낮음. - 장쑤와 광둥은 2년 평균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8개 성시의 2023년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2021년보다 낮은 수준임. <출처: “31省 去年 政收入 点: 收入居首,上海人均收入第一” 第一 . 2024. 1. 31.>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3년 중국 화장품 시장 현황과 소비 분석
2023년 11월 27일 신화망(新 )과 중국 향료 및 에센스 화장품 산업 협회(中 香料香精化 品工 )는 「2023년 중국 화장품 시장 산업 발전과 소비 통찰력(2023年中 化 品市 行 展 消 洞察)」 보고서를 통해, 중국 화장품 산업의 시장 규모, 중국 소비자의 화장품 소비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고 중국 화장품 산업 발전 추세를 전망함. - 2023년 중국 화장품 산업의 시장 규모는 5,16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하였고 2025년 5,791억 위안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함. 중국 화장품 소비는 가처분소득의 지속적인 증가와 미(美)의식, 자기애의 인식 제고 등의 이유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음. 2023년 중국 스킨케어 산업시장 규모는 2,804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함. - 지난 10년간, 스킨케어 브랜드의 지속적 시장투자로 소비자의 피부 관리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었으며 점차 대중화됨.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 규모는 2020년 소폭 하락한 뒤 2021년부터 반등함에 따라 2023년 시장 규모는 58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3.0% 증가함. - 외모와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MZ 소비자의 열풍으로 향후 10%대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중국 로컬브랜드가 부상함에 따라 화장품의 포장, 종류, 효능, 생산 공정 및 원료의 혁신에 이르기까지 점차 고급화로 전환되고 있음. - 2014년부터 2022년까지 화장품 특허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 특허 등록 건수는 8,436건으로 2021년에 비해 다소 감소했지만, 전반적인 로컬 뷰티 산업의 혁신 모멘텀은 지속되고 있음. 2023년 중국 화장품 소비자의 주요 구매 방법은 오프라인 소매 50.2%, 전자 상거래 플랫폼 49.6%, 숏폼 42.3%로 조사됨. - 온라인 채널을 통해 다차원적으로 소비자와 접촉하며 강력한 소비를 이끌고 있음. 2023년 ‘궈차오 뷰티( 潮美 , 화장품 애국소비)’에 대해 소비자의 32.5%는 ‘궈차오 뷰티’ 제품을 지지한다고 응답함. - 소비자의 38.6%는 ‘궈차오 뷰티’의 발전이 흥미롭지만, 아직 관망 단계라고 답함. 최근 궈차오(애국소비) 열풍으로 중국 로컬 화장품 브랜드가 성공적으로 소비자를 사로잡았으나 본질적으로 화장품의 외형과 품질을 모두 고려해야만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분석함. <출처: “ 新 明 消 持 攀升《2023年中 化 品市 行 展 消 洞察》 告 布” 新 . 2023.11.27.>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주요 도시 활력 회복 순위
중국 주요 도시의 코로나19 이후 활력 회복을 살펴보면, 상점 수는 2020년 하락 후 빠르게 회복하여 2023년 2019년 대비 34% 증가했음. - 상점의 타 지역 소비자 유입 수, 주문 건수, 주문 수입은 코로나19 도시 활력의 큰 영향을 미침. - 2020년 타 지역 소비자의 상점당 평균 소비자 수, 주문 건수, 주문 수입은 2019년 대비 각각 22%, 45%, 38% 감소했으나 2023년 회복됨. 중국 주요 도시의 활력 회복 지수를 살펴보면, 비슷한 규모의 도시 간에도 차이가 있음. - 상위 10개 도시 인 난징, 창사, 시안, 청두, 충칭, 쑤저우, 광저우, 항저우, 포산, 둥잉은 모두 초대형 또는 특대도시임. - 그러나 같은 특대 도시인 지난, 허페이, 톈진, 정저우 등은 도시 활력 회복 지수 순위에서 상대적으로 하위권을 기록함. 청년은 타 지역 소비의 주요 소비층임. - 2023년 중국 타 지역 소비 연령대 중 청년(20~35세) 비중은 71.4%를 차지하고, 중년(35~65세) 비중은 22.9%에 달함. 2019년 청년 77.5%, 중년 11.1%와 비교하면, 청년의 타 지역 소비 비중이 다소 감소했으나, 이는 중년의 소비력 확대로 풀이되기도 함. 중국 최대 음식 배달 플랫폼 메이퇀에 따르면 주요 도시의 생활 서비스 품목(식음료, 여행, 문화·예술, 휴식·오락 등)의 온라인 거래가 증가했고, 오프라인 체험 상품의 거래는 코로나19 이전 대비 2.5배 증가함 <출처: 中 城市 究院(2024). 「中 城市繁 活力 告 2023」>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청년 거주 선호 도시
취업기회가 많은 초대형 도시로의 청년 쏠림 현상이 나타남. 중국 30대 청년인구의 지역 이동과 취업 요인의 상관성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뚜렷하게 나타남. - 20~34세 청년의 지역 이동 시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지역 총생산, 1인당 GDP, 기업(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수 등임. 2021년 최대형 도시의 하이테크 기업 수 비중은 41개 도시 중 58.5%를 차지하며, 특대도시의 2.7배에 달하고, 유니콘기업 수 비중은 78.9%, 국가중점 실험실 수는 51%에 달함. 초대형 도시의 대졸자 취업률은 34.44%로 특대도시보다 6.4%p 높고, 2010~2020년간 초대형 도시의 청년인구 유입 수는 1,400만 명으로 특대도시의 1.2배임. 청년의 주거안정에 있어서 초대형 도시의 높은 생활비는 1선, 2선 도시로의 지역 이동을 유도함. - 초대형 도시의 월급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5.59%이고, 특대도시는 14.07%로 초대형 도시의 절반 수준임. - 1인당 주거면적은 초대형 도시는 21.4㎡, 특대도시는 26.49㎡로 4/5 수준임. 초대형 도시의 높은 생활비와 좁은 생활 환경은 청년 유입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함. - 20대에게는 여전히 유입력이 강하지만, 30대의 유입력은 확연히 약화된 모습을 보임. 중국 청년의 연령대별 거주 선호도시 TOP 10 - 15~19세: 정저우, 광저우, 우한, 창사, 청두, 선전, 둥잉, 난창, 시안, 지난 - 20~24세: 선전, 광저우, 청두, 상하이, 베이징, 둥잉, 우한, 정저우, 항저우, 시안 - 25~29세: 선전, 상하이, 광저우, 베이징, 청두, 항저우, 시안, 둥잉, 쑤저우, 포산 - 30~34세: 선전, 청두, 광저우, 항저우, 충칭, 시안, 포산, 닝보, 정저우, 창사 - 35~39세: 광저우, 시안, 청두, 창사, 충칭, 선전, 항저우, 정저우, 난닝, 우한 <출처: 中 城市 究院(2024). 「中 城市繁 活力 告 2023」>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