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2024년 톈진시 발전 성과
2024년 4월 3일,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 院新 公室)은 일련의 ‘고품질 발전 촉진(推 高 量 展)’ 관련 기자회견 개최함. 2015년 4월 21일 공식 출범한 중국 톈진 자유무역시범구(自由 易 )는 중국 전역에서 두 번째이자 북방 최초의 자유무역시범구역으로 2024년 출범 9주년을 맞이함. - 톈진자유무역시범구의 전체면적은 119.9㎢(톈진 전체면적의 약 1%)이며 톈진공항 편구(天津机 片 , 43.1㎢), 톈진항동쟝편구(天津港 疆片 , 30㎢), 빈하이신구 중심상업편구( 海新 中心商 片 , 46.8㎢)로 나뉨. 톈진 자유무역시범구는 총 615개의 시스템 혁신 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그 중 선도적이고 상징적인 혁신 결과 42개를 발표함. - 톈진의 금융 리스, 상업 팩토링 팩토링(매출채권금융): 금융기관들이 기업으로부터 상업어음·외상매출증서 등 매출채권을 매입, 이를 바탕으로 자금을 빌려주는 제도 , 상업 보험 관리, 자동차 병행수입, 보세구역 수리 등은 중국 최고 수준임. - 금융 리스, 항공기 리스 사업은 세계 2위, 상업 팩토리 사업 보험료 비중은 전국 30%에 달함. 88,000개의 다양한 사업체가 톈진 자유무역시범구에 상주 중이며 연평균 실제 외자 사용액은 20억 달러 이상, 연평균 수출입액은 2,000억 위안 이상임. - 톈진 자유무역시범구는 톈진시 1% 면적에서 톈진시 전체 대외 무역 수출입의 30%, 실제 활용 외자 40%를 기여하는 등 개혁개방의 ‘테스트 필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기자회견에서 톈진시 당위원회 상무위원은 톈진시 고품질 발전을 위한 ‘10개 조치’ 성과와 미래 중점 업무에 대해 발표함. - 중앙 2, 3급 기업 40개 이상이 시장화 방법을 통해 톈진에 배치되었고, 징진지(京津冀) 지역 공업정보화부처는 공동으로 6개 핵심 산업체인 도감을 제작하는 등 ‘징진지 공동 발전’은 점차 실용화되고 있음. - 진싱도시철도(津 城 路, 톈진-다싱공항, 250km/h, 40분 소요)는 2023년 12월 28일 정식 개통함. - 2023년 고품질 개발 지원 영향으로 톈진 빈하이신구( 海新 ) GDP 증가율은 4.6%이며 이는 톈진시보다 높은 수준임. - 임항 종합 보세 구역( 港 合保 )은 중앙의 지원과 공식 승인을 받으며 국가급 해양 엔지니어링 장비 산업 클러스터로 승격됨. 과학교육 부흥, 시정부 인재강시(人才强市) 전략은 매우 효과적인 성과를 거둠. - 시 정부는 톈카이 고등교육 과학기술 혁신단지(天 高 科 )를 출범하였고 현재 누적 등록 기업은 1,500개 이상임. - 톈진의 R&D 투자 강도는 3.49%로 중국 3위이며 2023년 ‘글로벌 과학 연구 도시’에서 18위를 차지함. 2023년 톈진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2,218만 TPU로 5.5% 증가하여 세계 8위를 차지함. - 톈진시에 배치된 12개의 중점 산업 체인은 계속 성장 중이며 규모 이상 공업 부가가치 비중은 79.8%임. 2023년 톈진은 60년 만에 가장 심각한 홍수 피해를 봤으나 톈진시의 곡물 생산량은 8년 연속 200만 톤 이상을 유지함. - 신규 농업 사업체 20,000개와 신규 농촌 활성화 시범 마을을 30개를 육성함. 톈진 PM2.5 연평균 농도는 중국 목표 기준을 달성했으며 단위 GDP당 에너지 소비는 2020년보다 10% 이상 감소함. 톈진 도시 실업률은 5.4%이며,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4.7% 증가하였고 도시와 농촌 주민의 가처분소득 비율은 1.79:1로 도농 주민 소득 격차가 중국에서 가장 낮음. <출처> 1. “天津自 已累 施615 制度 新, 展 据跨境流 制度 新探索” 21世 道. 2024. 4. 3. 2. “ 桂平:未 主 “五 聚焦” 持 推 天津高 量 展“ 金台 . 2024. 4. 3.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3년 중국 온라인 영상 시장 현황
2024년 3월 27일 쓰촨성 청두시에서 개최된 제11회 중국 인터넷 시청각 컨퍼런스에서 「2024년 중국 인터넷 시청각 발전 연구 보고서(中 展 究 告)」가 발표됨. 2023년 중국의 온라인 시청자 규모는 10억 7,400만 명이며 이용률은 98.3%에 달함. - 2022~2023년 중국 농촌지역 온라인 시청자 수는 각각 2억 9,900만 명과 3억 2,0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12.6%, 6.8% 증가함. 2023년 롱 클립(30분 이상 영상), 숏 클립, 라이브 방송, 오디오 및 기타 분야를 포함한 온라인 시청각 산업의 시장 규모가 처음으로 1조 524억 8,100만 위안에 달한 것으로 조사됨. - 온라인 시청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은 66만 개 이상으로 집계됨. 2023년 12월 중국 온라인 숏 클립 계정 총수는 15억 5천만 개, 전문 앵커 수는 1,508만 명, 주요 숏 클립 플랫폼의 하루 평균 업데이트 건수는 약 8,000만 개, 하루 평균 라이브 횟수는 350만 회 이상임. - 숏 클립의 방대한 시장 규모는 디지털 경제 발전의 중요한 동력으로 자리 잡음. 숏 클립 영상 및 라이브를 통해 상품을 구매한 적이 있다고 71.2%가 응답하였으며 40.3%가 주요 소비 수단이라고 답함. - 여행과 풍경 관련 숏 클립을 자주 시청한다고 응답한 이용자 수는 2022년 대비 16.3%p 증가했고, 실제 27.9%가 여행을 실행하는 것으로 조사됨. 2023년 국가방송총국( 家 播 局)은 ‘첫 화면 노출 프로젝트(首 首推工程)’를 추진하여 총 202억 건 이상의 콘텐츠 재생량을 기록함. - 주요 숏 클립 플랫폼의 메인 콘텐츠는 580억 건 이상 재생하였고, 긍정적 에너지(正能量) 테마의 숏 클립 조회수는 776억 8천만 건에 달함. 2023년 주선율(主旋律) 테마의 롱 클립 재생 수는 515억 3,400만 건에 달함. - 주선율은 중국 국가 이데올로기를 선전하고 당의 역사를 서술하는 장르임. 그밖에 1편당 몇 초에서 15분 이내 분량의 미니 웹드라마(微短 ) 시청자 비율은 39.9%이며, 사용자의 31.9%는 유료로 시청한 적이 있다고 응답함. <출처: “我 用 模 10.74 , 民使用率 98.3%” 中 年 . 2024. 3. 28.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자산 600만 위안 부유 가구 수 0.8% 감소
2024년 3월 19일 중국 재계 정보 전문 조사기관인 후룬연구소(胡 究院)는 중국판 포브스인 「2023 후룬 자산 보고서(胡 富 告)」를 통해 중국 부유층 가구 수, 지리적 분포 및 인구구성 등을 발표함. 2022년 중국 국내총생산(GDP)은 121조 위안이고 연간 GDP 성장률은 3%로 지난 2년 연평균 성장률인 5%보다 낮음. - 2022년 상하이 종합 지수와 항셍 지수는 연간 15% 하락하였으며, 선전 종합 지수는 26% 하락하였고 위안화 대비 달러 환율도 9.2% 하락함. - 2022년 중국의 70개 대도시 및 중소 도시의 중고 주택 판매 가격은 전년 대비 평균 3.8% 하락함. - 2022년 국제 지정학적 긴장 환경과 전염병 등으로 인한 세계 경제 발전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전 세계 주요 국가의 사적 재산 손실이 가중됨. 중국의 자산 600만 위안(한화 약 11억 원) 이상 부유 가구 수는 514만 가구로 전년 대비 514가구(0.8%) 감소함. - 부유 가구의 총자산은 158조 위안이며 그중, 1억 위안을 보유한 초고액 자산가구의 총재산은 56%인 89조 위안에 달함. - 1,000만 위안(한화 약 18억 5,000만 원) 이상 자산을 보유한 고액 자산 가구 수는 208만 가구로 전년 대비 4만 1,000가구(1.3%) 감소함. - 1억 위안의 자산을 보유한 초고액 자산 가구 수는 13만 3,000가구로 전년 대비 5,200가구(3.8%) 감소함. - 3,000만 달러를 보유한 국제 초고액 자산 가구 수는 88,000가구로 전년 대비 4,100가구(4.5%) 감소함. 베이징은 여전히 가장 많은 600만 위안 부유 가구가 거주하는 지역이며 광둥, 상하이, 저장, 홍콩이 그 뒤를 잇고 있음. - 순자산이 가장 많은 고액 자산 가구가 거주하는 지역은 광둥이며 베이징, 상하이, 저장, 홍콩이 각각 랭크됨. - 베이징은 또한 가장 많은 1억 위안의 자산을 보유한 초고액 자산가구를 보유한 지역이며 광둥, 상하이, 저장, 홍콩이 그 뒤를 이음. - 베이징은 3,000만 달러 이상 국제 초고액 자산가구를 보유한 지역이며 그 뒤를 상하이, 광둥, 저장, 홍콩이 잇고 있음. 1억 위안 이상 초고액 자산가구 수의 직업군은 기업가 79%(전년 대비 4%p 증가), 전문투자자 14%(2%p 감소), 부동산 투자자 7%(2%p 감소)로 구성됨. <출처: “胡 :中 600万 “富裕家庭” 少0.8% 北京仍居600万 富裕家庭城市分布Top10之首” 新浪 育. 2024. 3. 19.>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글로벌금융센터 순위: 4위 홍콩, 6위 상하이
2024년 3월 21일 영국 컨설팅 기관 지옌(Z/Yen)과 중국(선전) 종합개발연구원 (中 (深 ) 合 究院)은 공동으로 「제35차 글로벌 금융센터지수 보고서 (GFCI 35)(第35期全球金融中心指 告)」를 발표함. - 금융센터지수(GFCI, Global Financial Centres Index) 지수는 연 2회 국제금융경쟁력을 측정하는 지수로 △경영환경, △인적자원, △인프라, △금융업 발전 수준, △도시평판 5개 평가 항목과 온라인 설문을 근거로 평가함. 35차 금융센터지수에 선정된 도시는 121개이며, 상위 10위 권에 뉴욕, 런던, 싱가포르, 홍콩, 샌프란시스코, 상하이, 제네바, 로스앤젤레스, 시카고, 서울이 진입함. - 세계 금융센터의 전체 평균 점수는 1.62% 상승하였으나 성장률은 전기보다 둔화함. - 58개 금융센터 순위가 상승하였고 11개는 보합세를 유지했으며 52개는 하락함. 중국 금융센터는 베이징을 제외한 홍콩과 대륙 11개 금융센터 도시의 점수 모두 상승했으며 안정적으로 순위를 유지함. - 상하이와 선전은 각각 1계단 상승하여 세계 6위와 11위를 차지함. - 홍콩, 상하이, 베이징, 선전은 ‘미래에 더 중요해질 수 있는 금융중심지(Centres Likely To Become More Significant)’ 대열에 오름. - 또한 우한, 항저우, 다롄의 순위가 다시 각각 9개, 5개, 5개 계단 상승하여 글로벌 인지도와 영향력이 상승함. 홍콩, 상하이, 선전, 베이징의 4개 도시는 5가지 평가 항목 모두에서 세계 15위권에 진입함. - 그중 베이징은 경영환경과 도시평판에서 각각 세계 4위, 선전은 인프라에서 세계 4위, 금융업 발전 수준에서 세계 7위를 차지함. <출처: “全球金融中心指 |第35期:香港、上海全球第四、六位” 合 究院. 2024. 3. 21.>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4년 선전시 주택구매 제한 정책 완화
2024 년 5 월 6 일 선전시 주택건설국 ( 深 市住房和建 局 ) 은 「 부동산 정책 최적화 정책에 관련 통지 《 于 一步 化房地 政策的通知 》」 를 발표함 . 선전시에서 주택구매시 선전 호구 ( 호적 ) 가 없는 가구와 1 인 가구 ( 이혼 포함 ) 는 한 채로 제한함 . - 선전 호구가 있는 경우 , 옌톈구 ( 田 ), 바오안구 ( 安 )*, 룽강구 ( ), 룽화구 ( ), 핑산구 ( 坪山 ), 광명구 ( 光明 ), 다펑신구 ( 大 新 ) 지역 주택구매를 위해 1 년 전부터 선전시에 개인소득세를 납부했거나 사회보험 증명서를 제출해야 함 . - 선전 호구가 없는 경우 , 부동산 투기 방지를 목적으로 3 년 전부터 사회보험에 가입하고 소득세를 납부해야 함 . 미성년 자녀가 둘 이상인 선전시 호구를 보유한 가구는 옌톈구 , 바오안구 * , 룽강구 , 룽화구 , 핑산구 , 광명구 , 다펑신구에 주택 한 채를 추가 매입할 수 있음 . - 기존 정책은 1 가구에 최대 두 채까지 구매할 수 있었다면 이번 대책으로 1 가구당 최대 세 채까지 구매 가능함 . 기업 설립 기간 1 년 이상 , 누적 세금 100 만 위안 , 직원 수 10 명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선전에 위치한 기업은 옌톈구 , 바오안구 * , 룽강구 , 룽화구 , 핑산구 , 광명구 , 다펑신구에서 분양주택을 매입하여 직원 거주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 . 중고 주택의 거래 편의성을 위해 선전 개발 부동산 기업과 중개 기관에 분양주택 대상 ‘ 수구환신 ( 收 新 , 옛것을 회수하여 새것으로 교체 )’ 및 ‘ 이구환신 ( 以 新 , 옛것을 새것으로 교체 )’ 정책을 지원함 . - 부동산 기업이 노후주택 매입 시 기업체와 사업체 , 사회단체 및 기타 법인에 관한 부동산 구매 제한 정책 영향을 받지 않음 . 선전시부동산중개협회 ( 深 市房地 中介 ) 통계에 따르면 2024 년 3 월 , 4 월 선전 부동산 시장의 거래량과 가격 모두 상승함 . - 4 월 선전시 중고 주택 온라인 거래량은 5,094 채로 전월 대비 2% 감소했지만 , 임계치 (PMI) 인 5,000 채를 유지하며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함 . 러여우자 ( 有家 , 부동산 중개 플랫폼 ) 통계에 따르면 4 월 22 일부터 4 월 28 일까지 선전 중고 주택 거래량은 15% 이상 감소하였고 중고 주택 매물량은 전월 대비 10% 감소함 . * 바오안구 ( 安 ) 에 신안가도 ( 新安街道 ), 시샹가도 ( 西 街道 ) 제외 <출처: 深 再出利好 : 深 最多可 三套房 , 非深 一年可 房 . 2024. 5. 06.>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4년 상하이 디지털 소비 현황
2024 년 4 월 27 일 ‘ 제 5 회 상하이 5.5 쇼핑 페스티벌 ( 五五 物 )’ 과 ‘2024 상하이 솽핀 온라인 쇼핑 페스티벌 및 디지털 라이프 페스티벌 (2024 上海 品 字生活 )’ 이 연이어 개최됨 . - 상하이지역 전자 상거래 플랫폼 , 기업 , 쇼핑몰은 ‘ 디지털 제품 , 디지털 서비스 , 녹색 소비 및 디지털 상권 ’ 의 4 가지 주요 영역에 중점을 두고 80 가지 이상 다양한 소비 촉진 활동을 펼침 . 상하이시 통계에 따르면 , 2024 년 1 분기 상하이 소비재 소매 총액은 4,614 억 3,500 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증가함 . - 규모 이상 비점포 소매 판매는 9.5% 증가했으며 , 그중 규모 이상 온라인 소매 판매는 8.3% 증가함 . 상하이 주요 전자 상거래 기업 통계에 따르면 , 1 분기 전자 상거래 거래액은 8,978 억 9,000 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함 . - 상무부 비즈니스 빅데이터에 따르면 , 1 분기 온라인 소매 판매량은 3,614 억 5 천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2% 증가하였으며 전국 비중의 11% 를 차지함 . 2024 년 4 월 28 일 상하이 온라인 쇼핑 상인 연합회 ( 上海市 商 ) 는 ‘2024 상하이 솽핀 온라인 쇼핑 축제 및 디지털 라이프 페스티벌 ’ 개막식에서 메이크업 , 스킨케어 , 의류 , 케어 , 애완동물 , 가구 , 모자 , 식품 , 음료 및 기타 인기 분야를 포함하는 ‘2023 년 상하이 온라인 신규 소비 브랜드 TOP 50’ 을 선정 발표함 . - TOP 50 순위권 주요 키워드는 건강 , 에스테틱 , 위에지 ( 己 , 자신을 위한 소비 ), 환경 보호 , 궈차오 ( 潮 , 애국소비 ) 등이며 연간 매출 1 억 위안 이상인 브랜드 비율은 88%, 10 억 위안 이상인 브랜드 비율은 18% 로 조사됨 . - 브랜드 특허 수는 2,000 개로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하였고 해외 브랜드 수는 34% 를 차지함 . 2024 년 4 월 28 일 상하이 황푸구 ( 浦 ) 는 ‘ 국제소비중심도시 디지털화 시범지구 ( 消 中心城市 字化示范 )’ 칭호를 수여함 . 상하이 시정부는 라이브 실시간 판매 , 생활 서비스 , 스포츠 서비스 , 문화 · 관광 서비스 , 자동차 서비스 등에 중점을 두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일 예정임 . - 또한 디지털 비즈니스 , 여행 · 문화 · 스포츠의 일체화를 촉진하고 통합형 , 몰입형 , 대화형 , 체험형 소비 형태를 확산하고 디지털 위안화 우대 마케팅을 확대할 예정임 . <출처: 上 增 明 、 品牌出海 加强 , 上海 字消 力 . 2024. 4. 28. >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4년 1~3월 중국 규모이상 공업기업 이윤 총액
국가통계국 ( 家 局 据 ) 에 따르면 , 2024 년 1 월부터 3 월까지 중국 규모 이상 공업기업 총이윤은 1 조 5,055 억 3,000 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함 . - 규모 이상 공업기업 중 국유기업의 총이익은 5,738 억 2,000 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하였고 , 합자기업의 총이익은 1 조 11,203 억 위안으로 0.8% 증가함 . - 외국인 및 홍콩 , 마카오 , 대만 투자기업의 총이익은 3,737 억 5,000 만 위안으로 18.1% 증가하였으며 , 민간기업의 총이익은 3,679 억 7,000 만 위안으로 5.8% 증가함 . 2024 년 1 월부터 3 월까지 주요 산업군 총이윤은 광업이 2,961 억 7 천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5% 감소했으며 , 제조업이 10,172 억 4 천만 위안으로 7.9% 증가함 . - 전력 , 열 , 가스 및 수도 생산 및 공급업 총이윤은 1,921 억 2 천만 위안으로 40.0% 증가함 . 2024 년 1 월부터 3 월까지 통신 및 기타 전자 장비 제조업의 이윤은 82.5% 증가하였고 비철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 산업은 57.2% 증가함 . - 전력 , 열 생산 및 공급업은 47.5% 증가하였고 , 자동차 제조업은 32.0%, 섬유업은 25.0%, 일반 장비 제조업은 7.9% 각각 증가함 . - 석유 및 천연가스 채굴업은 3.8% 증가하였고 농업 및 부식 가공업은 2.0% 증가함 . - 반면 , 화학 원료 및 화학 제품 제조업 , 전기 기계 및 장비 제조업과 전용 설비 제조업은 각각 3.5%, 6.9%, 7.2% 감소함 . 2024 년 1 월부터 3 월까지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30 조 9,600 억 위안이며 , 발생 사업비는 2.5% 증가한 26 조 3,800 억 위안 , 영업이익률은 4.86% 로 전년 동기 대비 0.09%p 증가함 . 2024 년 3 월 말 기준 ,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자산총액은 169 조 1,400 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하였고 부채총액은 96 조 8,500 억 위안으로 5.7% 증가함 . -자본총계는 7,229 억 위안으로 6.6% 증가 , 자산부채 비율은 57.3% 로 전년 동기 대비 0.2%p 감소함 . 2024 년 3 월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매출채권은 23 조 3,300 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8.2% 증가하였으며 , 완제품 재고량은 6 조 2,600 억 위안으로 2.5% 증가함 . 2024 년 1 월부터 3 월까지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영업수익 100 위안당 원가는 85.18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6 위안 증가함 . - 영업수익 100 위안당 비용은 8.54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07 위안 감소함 . 2024 년 3 월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자산 100 위안당 영업이익은 73.5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위안 감소하였고 , 1 인당 영업이익은 172 만 5,000 위 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만 5,000 위안 증가함 . - 완제품 재고 회전 일수는 21.1 일로 전년 동기와 같은 수준이며 , 매출채권의 평균 회수 기간은 67.3 일로 전년 동기 대비 3.8 일 증가함 . <출처: 家 局 : 1 — 3 月 , 全 模以上工 企 利 同比增 4.3%. 2024. 4. 27.>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혁신형 산업 클러스터 현황
2024 년 4 월 17 일 중국사회과학원 공업경제연구소 ( 中 社 科 院工 究所 ) 와 사회과학문헌출판사 ( 社 科 文 出版社 ) 는 공동으로 혁신형 산업 클러스터 발전 현황과 동향에 관한 『 2023 년 산업 청서 : 중국 산업경쟁력 보고서 ( 皮 : 中 力 告 (2023) 』 를 발표함 . 중국 화거통계연감 ( 中 火炬 年 ) 의 데이터에 따르면 , 중국의 혁신형 산업 클러스터 규모는 2014 년 71 개 , 2017 년 109 개 , 2021 년 146 개로 증가함 . - 2023 년 2 월 혁신형 산업 클러스터 기업 46 개가 추가되어 총 192 개로 집계됨 . 혁신형 산업 클러스터는 혁신 산업군 관련 기업 , 연구개발 (R&D), 서비스 기관이 특정 지역에 모여 업종과 지역을 넘어 시너지를 창출하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산업 형태를 의미함 . - 혁신형 산업 클러스터는 대부분 국가 첨단 기술 지역을 기반으로 발전 및 육성되고 있음 . - 2023 년 2 월 기준 , 192 개의 혁신형 산업 클러스터 중 약 150 개가 122 개의 국가 첨단 지역에 위치함 . 2018 년 혁신형 산업 클러스터 109 개에 분포한 첨단 기술 기업 수는 9,065 개로 40.88% 를 차지함 . - 이들 기업의 영업총이익은 5 조 5,400 억 위안 , 총 인력 수는 415 만 명 , 총수출액은 9,000 억 위안을 초과하며 순이익 약 4,500 억 위안을 달성함 . 2021 년 혁신형 산업 클러스터 146 개에 분포한 첨단 기술 기업 수는 16,469 개로 47.25% 로 증가함 .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은 8 조 6,800 억 위안 , 총인원 538 만 명 , 총수출액은 1 조 2,600 억 위안 , 순이익은 7,600 억 위안에 이름 . 중국 권역별 살펴보면 , 동부 , 중부 , 서부 및 동북 지역의 혁신형 산업 클러스터 수는 2014 년 33 개 , 16 개 , 15 개 , 7 개에서 2023 년 89 개 , 50 개 , 40 개 , 16 개로 증가함 . - 중부 지역 6 개 성 ( 산시 , 안후이 , 장시 , 허난 , 후베이 , 후난 ) 의 혁신형 산업 클러스터 수는 2 배 이상 증가함 . < 출처: 新型 集群 模已超 8 万 , 中部 6 省 量占比提升快 | 中 . 2024. 4. 2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중국의 해외투자 현황
중국의 해외 지분 직접투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비금융 부문은 해외 진출이 주를 이룸. 2023년 중국의 해외 지분 성격의 직접투자는 1,109억 달러로 이 중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556억 달러와 553억 달러를 투자함. - 분야별로 살펴보면, 비금융 해외 지분 투자는 917억 달러, 금융 해외 지분 투자는 191억 달러임, 중국의 해외투자 대상 지역은 여전히 홍콩에 집중되어 있음. - 중국의 홍콩 투자 비중은 전체 투자의 60%를 차지하고, 싱가포르 10%, 버진 아일랜드 7%, 카이만 제도 7%, 미국 4%, 기타 13%로 나타남. 중국의 산업별 해외투자는 제조업 41%,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 21%, 도소매업 10% 순으로 상위 비중을 차지했음. 중국으로 들어오는 지분 성격의 외국인직접투자는 순유입을 유지하고 있음. - 2023년 중국에 지분 성격의 직접투자는 717억 달러가 순유입되었으며 그 중 신규 자본은 1,200억 달러가 유입되어 중국에 대한 외국인 장기 투자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줌. 중국의 비금융과 금융 지분 성격 외국인직접투자는 각각 678억 달러와 39억 달러이며. 비금융 지분 투자는 주로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유입됨.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전체 지분 투자의 26%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했고, 도소매업 25%,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 15%로 각각 2, 3위를 차지했음. <출처: 家外 管理局(2024). 「中 收支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중국 수출입 품목 및 주요 교역국
중국은 수출이 활발하게 증가하고, 수입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2023년 중국 수출 품목을 살펴보면, 전기기계 제품의 수출액은 1조 9,787억 달러로 전체 중국 수출의 약 60%를 차지하며 수출에 상당히 기여함. - 이 중 태양전지, 리튬이온전지, 전기자동차 제품의 수출액은 총 1,505억 달러로 전년 대비 24.0% 증가했음. - 선박과 가전제품의 수출액은 각각 28.6%, 3.8% 증가했음. 수입 품목을 살펴보면, 벌크 상품의 가격 하락 영향으로 중국의 수입 총액은 감소했지만, 수입량 지수는 2022년에 비해 10p 증가한 103.4로 내수 회복세가 지속됨을 나타냄. - 2023년 원유, 천연가스, 석탄의 수입량은 각각 5.6억 톤, 1.2억 톤, 4.7억 톤으로 2022년 대비 11%, 10%, 62% 증가했음. 또한, 2023년 중국의 해외 전자상거래 수출입 총액은 3,377억 달러로 7.7% 증가율을 보이며 새로운 무역 형태의 발전 추세를 보임. 중국은 전통적인 무역 교역국과의 수출입 규모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음. - 2023년 중국의 상위 3대 교역국인 ASEAN, EU, 미국에 대한 수출입 규모는 각각 9,117억 달러, 7,830억 달러, 6,645억 달러로 수출입 총액의 15.4%, 13.2%, 11.2%를 차지함. 또한 중국은 무역 교역국의 다변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음. - 2023년 중국과 일대일로 관련 국가의 수출입 규모는 2.8조 달러로 전체 수출입의 46.5%를 차지하여 전년 대비 1.9%p 증가했음. - 라틴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의 수출입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여 각각 8.2%, 4.8%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0.5%p, 0.3%p 증가했음. <출처: 家外 管理局(2024). 「中 收支 告」>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