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2023년 중국의 무역 구조와 무역 주체
2023년 중국의 화물 무역 수출입 총액은 분기별로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수출입 흑자는 2022년에 이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함. 유엔무역개발협의회(UNCTAD)는 2023년 세계 상품 교역량이 7.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고, 중국의 세계시장 수출 점유율은 약 14%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상품 경쟁력은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임. ▣ 무역 구조 중국은 무역 구조 업그레이드로 일반 무역 비율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음. - 2023년 중국의 일반 무역 수출입 규모는 3조 8,500억 달러로 수출입 총액의 64.8%를 차지하여 2022년에 비해 1.0%p 증가하며, 수출입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가공 무역 수출입은 1조 800억 달러로 18.2%를 차지하여 2022년에 비해 1.9%p 감소했음. 최근 중국의 가공 무역 비율은 해마다 감소하고 일반 무역의 비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음. - 중국의 생산 및 제조 수준 향상과 글로벌 가치 사슬에서 고급화하는 발전 과정을 반영함. 2023년 중국의 일반 무역 수출입 흑자는 5,186억 달러로 수출입 흑자의 63%를 차지하고, 가공 무역 수출입 흑자는 3,133억 달러로 38.1%를 차지함. ▣ 무역 주체별 수출입 민영기업과 외자 기업의 수출입 비중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무역 흑자의 주요 경제 주체임. - 2023년 중국 민영기업의 화물 수출입 총액은 3조 1,100억 달러로 전체 수출입 총액의 52.4%를 차지하고 전년 대비 2.8%p 증가했음. - 외자 기업의 화물 수출입 총액은 1조 7,900억 달러로 30.2%를 차지함. - 국유기업은 9,500억 달러로 16%를 차지함. 무역 수지를 살펴보면, 2023년 민간 기업의 수출입 흑자는 1조 804억 달러이며, 외자기업은 1,381억 달러를 기록함. - 국유기업은 4,123억 달러의 무역 적자를 기록했으며, 이는 식량과 에너지와 같은 벌크 상품 수입을 국유기업에서 진행하기 때문임. <출처: 家外 管理局(2024). 「中 收支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중국 국제수지
2024년 3월 29일 중국 국가외환관리국( 家外 管理局)은 「2023년 중국 국제수지 보고(中 收支 告)」를 발표함. 2023년 글로벌 경제는 성장이 둔화하고 주요 선진국의 긴축 통화정책 유지 등으로 복잡한 상황임. 중국은 거시적 통제를 강화하고, 경제가 회복 중이며 지속적인 발전을 추진하고 있음. 특히 외환시장의 유연성이 크게 향상되었음. 2023년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2,530억 달러이고, 자본수지와 금융계정 적자는 2,099억 달러로 나타남. -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3.2조 달러에 달함. 2023년 중국 화물무역 수출액은 총 3조 1,792억 달러로 전년 대비 5% 하락했고, 수입액은 2조 5,853억 달러로 4% 하락했음. - 화물무역수지 흑자는 5,939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함. 서비스무역 적자는 2,078억 달러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수준보다 낮음. - 여행, 물류 등이 주요 적자 항목임. 여행 분야 적자는 1,717억 달러로 중국인의 해외여행, 유학 등 지출 규모는 2019년의 80% 수준으로 회복 - 자문, 광고 등 기타 비즈니스 서비스무역의 흑자는 380억 달러로 비교적 높아졌고, 통신, IT 서비스 흑자는 193억 달러로 전년 대비 7% 증가함. 2023년 직접투자수지 적자는 1,426억 달러이고, 해외기업의 신규 투자금은 1,200억 달러로 해외기업의 중국 내 중장기투자가 안정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증권투자 적자는 632억 달러로 전년대비 78% 하락했음. 또한 중국의 해외증권 투자는 773억 달러, 해외의 중국 증권 투자는 2022년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141억 달러 전환됨. <출처: 家外 管理局(2024). 「中 收支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4년 4월 중국 토지양도 수입 21% 감소
2024년 4월 중국 재정부( 政部)에 발표에 따르면, 지방정부성 기금 중 2024년 1~4월 국유지 토지양도 수입은 10,536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 감소함. - 4월 지방 토지양도 수입은 2,38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1% 감소하며 낙폭이 확대됨. 토지양도 수입은 지난 2년 동안 연속 감소하였고, 2024년도 예상보다 낮은 하락세를 이어감. - 2024년 중앙 및 지방 예산 보고서에 따르면 토지양도 수입을 중심으로 한 지방정부 기금 수입은 전년 대비 0.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024년 1~4월까지 누적 토지양도액은 약 6,68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13% 감소함. - 그중 4월 토지양도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9% 감소하였으며 감소폭이 확대됨. 중국 국가통계국( 家 局)에 따르면 2024년 1~4월까지 신규 분양주택 분양 면적과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2%, 28.3% 감소함. - 부동산 개발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함. 중국의 토지양도 수입은 부동산시장 침체, 주택 판매 면적과 가격 하락, 부동산 시행사의 자금난, 지방 토지 판매 부진, 거래된 토지의 평균 가격 하락 등으로 감소하고 있음. - 향후 토지양도 수입도 부동산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임. 재정부에 따르면 2024년 1~4월까지 중국 정부 기금 예산 지출은 2조 2,19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5% 감소함. - 2024년 4월 지방 토지양도 수입은 감소하고 특별채 발행 규모도 2023년 같은 기간보다 크게 감소하여 정부성 기금 지출이 둔화함. 2024년 중국 정부 기금 예산 지출은 약 12조 위안으로 18.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이는 토지양도 수입 감소와 2024년 특별 부채 1조 위안 발행에 기인함. <출처: “4月全 土地出 收入降21%, 市政策 力能否止跌” 第一 . 2024. 5. 2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4년 중국 1분기 재정수지 현황
2024년 5월 6일 중국 재정부( 政部)는 2024년 중국 1분기 재정수지 현황을 발표함. 2024년 중국 1분기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6조 877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2.3% 하락함. - 중앙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2조 5,805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6.5% 감소함. - 지방 일발 공공예산 수입(본급)은 3조 5,072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1% 증가함. 2024년 중국 1분기 일반 공공예산 지출은 6조 9,856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2.9% 증가함. - 중앙 일반 공공예산 지출(본급)은 8,004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10.5% 증가함. - 지방 일반 공공예산 지출은 6조 1,852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1.9% 증가함. 중국의 주요 세수 지출 중 교육 지출은 1조 436억 위안(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 사회보장 및 취업 관련 지출은 1조 2,708억 위안(3.7% 증가)으로 집계됨. - 도시농촌 공동체 지출은 5,614억 위안(12.1% 증가), 농림수산 지출은 5,185억 위안(13.1%)임. 2024년 1분기 중국 성시 재정수입 상위 10위권 도시 순위에 광둥성, 저장성, 장쑤성, 상하이시, 산둥성, 베이징시, 쓰촨성, 허베이성, 허난성, 푸젠성이 랭크됨. - 광둥성은 재정수입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쓰촨성은 가장 빠르게 증가하였음. 쓰촨성은 중국 서부지역에서 인구가 가장 많고 경제 규모가 가장 큰 지역으로 1분기 재정수입은 1,586억 위안으로 5% 성장하며 7위를 차지함. - 쓰촨성은 서부 대개발(西部大 ), 서부 육해신통로(西部 海新通道), 청위지역 솽청경제권(成 地 城 圈)을 운영 중이며 톈푸신구(天府新 ), 싼장신구(三江新 ), 가오주신구(高竹新 ) 등 지역의 외자 유치와 대량 생산이 성장을 크게 견인함. - 2024년 3월 20일 청두(成都)는 집적 회로(IC), 빅데이터, 인공지능, 신소재를 포괄하는 25개 주요 산업화 산업협약을 체결함. 광둥성 재정수입은 3,568억 위안으로 30년 연속 중국 1위이며, 1선 도시 2개(선전, 광저우)와 주장삼각주(珠三角) 도시군이 포함됨. - 선전의 전자 통신제조업, 금융업, 광저우의 자동차 제조업, 포산(佛山)의 가전 산업, 둥관( 莞)의 섬유·의류 산업은 중국 전반에 경제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 <출처: “2024一季度 政收入10强省排名:四川增 最快, 第1,福建 底” 千城 . 2023. 5. 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중국 도시 사영기업 임금 현황
2023년 중국 도시 사영기업 연평균 임금은 6만 8,340위안으로 전년 대비 3,109위안 증가함. - 2023년 전국 도시 사영기업의 평균임금 명목성장률은 4.8%, 실질성장률은 4.5%로 집계됨. 임금은 노동자가 실제로 받은 임금, 상여금, 연금 등을 포함한 전체 노동 보수 총괄함. - 개인소득세, 사회보험 기금 및 주택 적립금도 포함됨. 2023년 업종별 평균임금 증가율을 살펴보면, 도시 비사영기업과 사영기업에서 광업의 임금 증가율은 각각 11.1%와 10.4%임. - 주요 광물의 안정적인 공급 증가, 저탄소 녹색성장의 가속화 등 전통 기반 산업과 차세대 정보기술의 통합 개발로 평균임금이 증가하고 있음. IT·SW·정보통신 서비스업의 평균임금 수준은 비사영기업과 사영기업에서 23만 1,810위안, 12만 9,215위안으로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이며, 증가율은 각각 5.2%, 4.3%로 전년 대비 증가세가 둔화함. 중국 지역별 사영기업의 연평균 임금은 동부지역이 7만 6,017위안으로 가장 높고, 서부지역은 5만 9,037위안, 중부지역은 5만 6,496위안, 동북지역은 5만 1,622위안이며 전년 대비 각각 4.2%, 5.6%, 5.8%, 3.5% 증가함. <출처: “2023年城 位就 人 年平均工 情 ” 家 局. 2024.5.1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중국 도시 비사영기업 임금 현황
2024년 5월 17일 중국 국가통계국(國家 局)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전국 도시 비사영기업과 사영기업의 평균임금은 12만 698위안과 6만 8,340위안으로 집계됨. - 2023년 중국 도시 비사영기업과 사영기업 평균임금은 모두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음. 비사영기업(非私 位): 국영, 외자, 합자기업 등 비민영기업 사영기업(私 位): 개인 혹은 민간단체 운영 기업 규모 이상 기업의 연평균 임금은 9만 8,096위안이며, 중간 관리 인력은 19만 8,285위안, 전문 기술 인력은 1만 4,935위안임. - 사무원 및 관련 인력 8만 9,502위안, 사회 생산 및 생활 서비스 인력 7만 5,216위안, 생산 제조 및 관련 인력 7만 5,463위안으로 조사됨. 2023년 중국 도시 비사영기업 연평균 임금은 12만 698위안으로 전년 대비 6,669위안 증가하였고 명목성장률은 5.8%, 실질성장률은 5.5%로 집계됨. 2023년 업종별 평균임금 증가율을 살펴보면, 도시 비사영기업과 사영기업에서 금융업의 임금 증가율은 각각 13.4%와 13.2%로 높은 성장률을 보임. - 보험업은 마케팅 모델 전환으로 저임금 보험설계사가 크게 감소함에 따라 보험업의 평균임금이 크게 상승하였고 금융업 평균임금도 동반 상승함. 중국 지역별 비사영기업 연평균 임금은 동부지역이 13만 9,213위안으로 가장 높고, 서부지역 10만 7,975위안, 중부지역 9만 6,626위안, 동북지역 9만 6,265위안 순이며 전년 대비 각각 4.8%, 6.8%, 7.2%, 7.0% 증가함. <출처: “2023年城 位就 人 年平均工 情 ” 家 局. 2024.5.17.>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톈진 상주인구와 소득 수준
2023년 톈진의 상주인구는 총 1,364만 명으로 전년 대비 1만 명 증가했음. - 그중 도시 상주인구는 1,166만 명, 농촌 상주인구는 198만 명으로 도시화율은 85.49%에 달함. - 상주인구의 출생율은 4.47‰, 사망률은 7.04‰, 자연증가율은 -2.57‰임. 톈진은 고용 안정을 위해 정책적 조치와 기업의 일자리 안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또한 창업으로 인한 고용 촉진, 대졸자와 농민공(농촌 출신 근로자) 등 핵심 인력층의 취업 지원을 추진함. - 2023년 톈진의 신규 고용은 35.7만 명이며, 연평균 실업률은 5.4%임. 톈진 주민의 소득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2023년 톈진의 도시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51,271위안으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고, 그중 근로소득은 32,361위안으로 4.3% 증가, 영업순소득은 3,458위안으로 11.3% 증가, 재산순소득은 4,577위안으로 6.8% 증가, 이전순소득은 10,875위안으로 3.0% 증가했음. 톈진은 교육의 균형 발전을 위해 전국 기초교육종합개혁실험구 건설을 시작했고, 37개의 공립성 유치원 등을 신설했음. - 또한 대학 개편을 통해 우선 개발 학과와 최고 학과 육성계획을 시행하고, 직업 교육 혁신, 26개 산학 융합 전공을 도입함. 2023년 톈진의 교육기관 개수는 대학원 양성기관 25개, 일반대학 56개, 중등직업 교육학교 59개, 일반중학교 551개, 초등학교 873개, 유치원 2,127개가 있음. - 과정별 재학생 수는 대학원 9.8만 명, 대학 59.7만 명, 직업전문학교 8.3만 명, 중·고등학교 60.3만 명, 초등학교 81.8만 명, 유치원 29만 명으로 집계됨. <출처: “2023年天津市 民 和社 展 公 ” 天津市 局. 2024. 3. 1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톈진 소비와 무역
▣ 국내 소비 톈진은 2023년 하계 다보스포럼, 제7회 세계스마트컨퍼런스, 중국관광산업박람회, 중국(톈진)국제자동차전시회, 제2회 전국직업기능경기대회 등 대형 전시회와 공연 등의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여, 지역 내수 소비를 촉진하였음. 2023년 톈진 사회소비품 판매총액은 전년 대비 7% 증가했음. - 쇼핑센터와 백화점 판매액이 각각 37.6%, 12.6% 증가했음. 3개 대형 쇼핑몰이 오픈했고, 톈진 피렌체 마을은 중국 최고 시범 스마트 상권으로 선정되었음. - 품목별 소비 증가율을 살펴보면, 신에너지 자동차 소비는 전년 대비 41.3% 증가했고, 스마트폰 31.5%, 가전·음향기기 33.1%로 나타남. ▣ 해외 무역 톈진의 무역구조는 지속해서 업그레이드되고 있으나, 수출 규모는 다소 감소함. 2023년 톈진의 수출입 총액은 8,004.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4% 감소했음. - 그중 수입은 4,373억 위안으로 4.1%, 수출은 3,631.7억 위안으로 2.6% 감소했음. 수출의 무역방식별로 살펴보면, 일반 무역은 2,140.7억 위안으로 5.8% 감소, 가공 무역은 1,121.5억 위안으로 0.3% 감소했음. 수출 품목별로는 전기제품이 2,318.7억 위안으로 3.9% 증가해 전체 수출의 63.8% 비중을 차지하며 전년 대비 3.2%p 높아졌음. - 태양전지, 리튬이온축전지, 전기자동차 '신 3종' 제품 수출은 각각 14.0%, 14.2%, 2.4배 증가했음. 무역 대상국은 '일대일로' 관련 국가에 대한 수출은 3.3% 증가했으며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6.1%로 전년 대비 1.9%p 증가했음. 2023년 톈진은 3,588건의 국내 투자가 이루어졌고, 국내 투자금은 4,01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6% 증가했음. - 그중 서비스업 투자 건수는 2,344건으로 투자금은 2,939.8억 위안으로 전체 투자금의 73.2%를 차지하고, 제조업 투자 건수는 1,121건으로 투자금은 939.3억 위안으로 24% 증가했으며, 23.4%의 비중을 차지함. 2023년 신규 외국인 투자기업은 614개로 계약금액은 112.6억 달러, 실제 사용 외자는 57.8억 달러로 집계됨. 2023년 톈진 기업은 148개 해외 기업·지사를 설립했으며, 해외투자금은 10.4억 달러임. - 해외 도급공사 신규계약액은 71.5억 달러, 매출액은 51억 달러로 11.1% 증가했으며 해외 근로자는 7천 명임. <출처: “2023年天津市 民 和社 展 公 ” 天津市 局. 2024. 3. 1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톈진 농업・공업・서비스업 현황
▣ 농업 2023년 톈진 농·임·축산·어업의 총생산 규모는 511.2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하며 전반적으로 안정적임. - 가뭄과 홍수 등 부정적인 영향을 극복하고 연간 총 곡물 생산량은 255.73만 톤으로 8년 연속 200만 톤 이상, 채소 생산량은 253.75만 톤을 유지함. 도시형 농업의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30개의 새로운 농촌 활성화 시범 마을을 설립했고, 새로운 농업 사업체가 2만 개를 돌파했음. 톈진 농업농촌위원회·농업학회, 톈진식품그룹이 공동으로 건설한 톈진 농산품 브랜드 매장 '진농정품(津 精品)'은 225곳으로 연간 매출액 100억 위안 이상을 기록하며 영향력과 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 중임. ▣ 공업 2023년 톈진의 공업 총생산 규모는 5,35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했고,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생산 규모는 3.7% 증가했음. - 업종별 총생산 규모 증가율은 광공업 3.9%, 제조업 2.7%, 전기·열·가스·수도 생산·공급업이 11.1%로 나타났음. 주요 업종별로는 자동차 제조업 11.1%, 전기기계·기자재 제조업 5.0%, 석유·가스 채굴업이 4.3% 증가했다. - 경제 주체별 증가율은 국유기업 5.0%, 민간기업 2.4%, 외국인 및 홍콩·마카오· 대만 기업 3.5%로 나타났음. - 기업 규모별 증가율은 대기업 3.0%, 중견기업 2.9%, 중소기업 5.9% 증가했음. 톈진의 12개 주요 산업클러스터의 총생산 규모는 산업의 79.8%를 차지하여, 전년 대비 1.9%p 증가했음. - 이 중 집적 회로, 차량 네트워크, 항공 우주, 한약, 고급 장비 산업 체인의 총생산 규모 증가율은 각각 32.7%, 19.2%, 17.8%, 14.6%, 13.5%로 집계되며 모두 두 자릿수를 기록함. 과학 교육을 강화하여 도시의 인재 육성에 분명한 성과를 거둠. - 톈진은 하이허(海河)연구소를 운영하며,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재정 투자를 하고 있음. - 2023년 140개의 독립적인 프로젝트 수행, 41개의 기술 기업 육성·도입했으며, 차세대 슈퍼컴퓨터, 국가 합성 생명 공학 혁신 센터, 대규모 지진 공학 시뮬레이션 연구 시설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육성 중임. - 또한 제4회 톈진시 '하이허 영재' 혁신 창업 대회를 개최하고 '하이허 영재' 육성 계획에 따라 총 479,000명의 인재를 유치했음. 33개의 박사 후 과학 연구 워크스테이션이 새로 건설되었으며 박사 후 과정생 655명을 새로 채용했음. 2023년 톈진 시급 과학기술 성과 등록 건수는 2,018건으로 전년 대비 18.5% 증가했음. 특허권 59,200건 중 발명특허는 14,300건으로 21.9% 증가 - 국제특허출원(PCT) 접수 건수는 597건으로 3.5% 증가했으며, 유효 발명 특허는 63,800건으로 24.6% 증가했음. ▣ 서비스업 2023년 톈진의 서비스업은 회복세를 보임. - 업종별 총생산 규모를 살펴보면, 도소매업 1,412.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6% 증가, 교통·운수·창고·우편업은 1,157.3억 위안으로 8.6% 증가, 숙박·요식업은 154.8억 위안으로 20.0% 증가, 금융업은 2,249.8억 위안으로 6.0% 증가, 부동산업은 1,057.6억 위안으로 3.0% 증가했음. 규모 이상 서비스업 기업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5% 증가했으며, 그중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비즈니스 서비스, 전문 기술 서비스업의 영업이익은 각각 16.7%, 15.1%, 12.0%의 증가율을 보임. 2023년 톈진의 연간 화물 운송량은 5억 7,145.3만 톤, 화물 회전량은 2,790.9억 톤으로 전년 대비 각각 5.9%, 4.6% 증가했으며 여객 운송량은 1억 4,634.3만 명으로 전년 대비 66.9% 증가했음. - 우편업 규모는 164억 4,100만 위안으로 16.6% 증가했고, 연간 택배량은 14.5억 건으로 19.3% 증가했음. <출처: “2023年天津市 民 和社 展 公 ” 天津市 局. 2024. 3. 1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톈진 GDP 규모와 산업구조
톈진은 중국 4대 직할시 중 하나로 베이징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음. - 면적은 11,966㎢로 19개 시할구로 구성되어 있음. - 톈진은 인천과 1993년부터 자매결연을 체결하고, 다양한 교류 활동을 이어옴. 톈진시통계국(天津市 局)은 2024년 3월 18일 「2023년 톈진시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 공보(天津市 民 和社 展 公 )」를 발표함. 공보에 따르면 2023년 톈진의 GDP는 1조 6,737.3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음. - 산업구조별 생산 규모는 1차 산업이 268.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고, 2차 산업 5,982.6억 위안으로 3.2% 증가, 3차 산업 1조 486.2억 위안으로 4.9% 증가했음. - 산업구조 비중은 1.6 : 35.7 : 62.7이며. 주민 1인당 GDP는 122,752위안으로 전년 대비 4.6% 증가했음. 2023년 톈진의 일반 공공 예산 수입은 2,027.4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9.8% 증가했으며 그 중 조세 수입은 1,579억 위안으로 17.2% 증가했으며 일반 공공 예산 수입의 77.9%를 차지하여 전년 대비 5.0%p 증가했음. - 주요 세목별로는 부가가치세 720억 위안, 법인세 289.4억 위안, 개인소득세 113.8억 위안으로 집계됨. - 2023년 일반 공공 예산 지출은 3,280.5억 위안으로 20.2% 증가했으며, 이 중 사회보장 및 고용지출은 667.3억 위안으로 22.1% 증가, 교육지출은 491.8억 위안으로 2.7% 증가, 보건 지출은 211.5억 위안으로 19.7% 증가했음. 2023년 톈진의 연간 소비자 물가는 전년 대비 0.4% 상승했음. - 품목별로는 식품·담배·술 0.5%, 의류 1.0%, 주거 0.5%, 교통·통신 2.8%, 교육·문화·오락 3.1%, 의료 0.4%, 기타용품 및 서비스 3.6%씩 증가했으며, 생활용품 및 서비스는 전년과 동일한 수준임. <출처: “2023年天津市 民 和社 展 公 ” 天津市 局. 2024. 3. 18.>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