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2024년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2024년 8월 5일 2024년 포춘 글로벌 500대 순위가 발표됨. - 미국의 월마트는 11년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중국 국영 전력회사 스테이트그리드( 家 , State Grid), 시노펙(中 石油化工集 公司, Sinopec), 페트로차이나(中 石油天然 股 有限公司, PetroChina)가 10위권에 진입함. 2024년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의 총영업이익은 약 41조 달러로 전 세계 GDP의 1/3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전년 대비 약 0.1% 증가함. - 판매 수익은 2023년 309억 달러에서 2024년 321억 달러로 증가함. 2024년 포춘 글로벌 500위 순위권 기업의 순이익 합계는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약 2조 9,700억 달러로 집계됨. - 이들 기업의 자산, 순자산, 고용인원 지표는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순위가 발표된 이후 최고 수준임. 2024년 중국 기업(대만 포함)은 전년 대비 9개 줄어든 133개 기업이 순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전반적으로 자동차 및 온라인 산업에서 상승세를 보임. - 스테이트그리드, 시노펙, 페트로차이나는 2024년에도 세계 500대 기업 순위에서 상위 10위에 포함됨. 스테이트그리드 매출은 5,459억 48만 달러로 세계 3위, 중국 1위를 기록했음. 시노펙의 매출은 4,297억 달러로 세계 5위, 중국 2위를 차지했음. 페트로 차이나의 매출은 4,217억 14만 달러로 세계 6위, 중국 3위를 기록했음. 그 뒤로는 14위를 차지한 중국건축(中 建筑集 有限公司, CSCEC)의 영업이익은 3,204억 3,100만 달러, 22위인 공상은행(工商 行)은 2,224억 8,400만 달러, 30위인 건설은행(建 行)은 1,998억 2,600만 달러로 집계됨. - 또한 대만 전자 제품 제조 기업 훙하이정밀( 海精密)의 영업이익은 1,978억 7,600만 달러, 농업은행( 行)은 1,923억 9,800만 달러임. - 중국중철(中 中 )은 1,785억 6,200만 달러, 중국은행 (中 行)은 1,723억 2,800만 달러를 기록함.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순위권에 신규·재진입한 중국 기업은 총 43개이며, 그중 신규진입한 기업은 자동차 제조업체 체리(奇瑞), 투자·자산회사 항저우산업투자 그룹(杭 集 ),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 多多)임. 2024년 50단계 상승한 기업은 서비스플랫폼 기업 메이퇀(美 ),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 기업 비야디(BYD), 석유화학기업 성홍홀딩스(盛虹控股集 ), 타이캉보험 그룹(泰康保 集 ) 등 4개임. <출처> 1. “133家中 企 上榜!《 富》世界500强最新出 , 些公司首次上榜→” 中 商 . 2024. 8. 6. 2. “《 富》世界500强:沃 榜首, 家 第三” 中 信息 . 2024. 8. 7.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4년 상반기 주민 소득과 및 소비지출 현황
2024년 7월 15일 중국 국가통계국( 家 局)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중국 주민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은 20,733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명목성장률 5.4%, 실질 성장률은 5.3%임. - 도시 주민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은 27,561위안으로 4.6% 증가, 실질 성장률은 4.5%임. - 농촌 주민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은 11,272위안으로 6.8% 증가, 실질 성장률은 6.6%임. 2024년 상반기 중국 주민 1인당 평균 월급성수입은 1만 1,950위안으로 5.8% 증가하였고 가처분소득 비중의 57.6%를 차지함. - 1인당 평균 경영순수입은 3,235위안으로 6.4% 증가하였으며 가처분소득의 15.6%를 차지함. - 1인당 평균 재산순수입은 1,780위안으로 2.1% 증가하였고 가처분소득의 8.6% 점유하였으며, 1인 평균 전이성수입은 3,768위안으로 5.0% 증가하여 가처분소득의 18.2%를 차지함. 2024년 상반기 중국 주민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 중윗값은 17,358위안으로 5.9% 증가함. - 도시 주민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 중윗값은 24,403위안으로 4.7% 증가했으며, 농촌 주민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 중윗값은 9,539위안으로 6.9% 증가함. 2024년 상반기 중국 주민 1인당 평균 소비 지출은 13,601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했으며 실질 증가율은 6.7%임. - 도시 주민 1인당 평균 소비 지출은 6.1% 증가한 16,780위안이며 실질 증가율은 7.4% 증가한 9,197위안임. - 농촌 주민 1인당 평균 소비 지출은 7.6% 증가한 9,197위안임. 2024년 상반기 중국 주민 1인당 평균 식품·담배·술 소비 지출은 4,214위안으로 7.8% 증가하여 전체의 31.0%를 차지함. - 의류 소비 지출은 826위안으로 8.1% 증가하여 전체의 6.1% 차지하였으며, 주거 소비 지출은 3,004위안으로 1.9% 증가하여 22.1% 차지함. - 생활용품·서비스 소비 지출은 738위안으로 2.2% 증가하였고, 교통·통신 소비 지출은 1,819위안으로 11.6% 증가함. - 교육·문화·오락 소비 지출은 1,340위안으로 1인 평균 소비 지출의 1.2%를 차지함. <출처: “2024年上半年居民收入和消 支出情 ” 家 局. 2024. 7. 15.>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상하이 상주인구와 소득 수준
2023년 상하이의 상주인구는 총 2,487.5만 명으로, 상하이 호적 상주인구는 1,480.2만 위안, 타지유입 상주인구는 1,007.3만 위안으로 집계됨. - 상주인구의 출생률은 3.95‰, 사망률은 6.37‰, 자연증가율은 –2.42‰임. - 상주인구 출생 성비(여아 100명당 남아)는 107.3임. 2023년 상하이는 일자리 60.6만 개를 창출하였고, 6만 6,686명의 취업을 지원하였음. 창업지원 기업 수는 15,176개이며, 12,314명의 장기 구직 청년 취업과 창업을 지원함. - 보조금 지원 직업기술 교육 과정 운영, 기업 직업 교육 연수 지원 등 다양한 취업 지원 정책을 시행 상하이의 연평균 실업률은 4.5%로 등록된 실업자 수는 15.1만 명으로 집계됨. 상하이의 외국인 취업 허가증 발급 건수는 43.4만 건으로 그중 고급인재는 8.3만 건으로 19%를 차지함. 2023년 상하이 주민의 소득과 지출 모두 증가함. 2023년 상하이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84,834위안, 전년 대비 6.6% 증가했음. 도시 주민 1인당 소득은 89,477위안, 농촌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42,988위안으로 각각 6.5%, 8.2% 증가했음. - 상하이 주민 1인당 소비지출은 52,508위안, 전년 대비 14.0% 증가하였고, 이 중 도시 주민 1인당 소비지출은 54,919위안, 농촌 주민 1인당 소비지출은 30,782위안으로 각각 14.2%, 12.2% 증가했음. 최저임금 월급은 2,690위안, 최저임금 시급은 24위안임. <출처: “2023年上海市 民 和社 展 公 ” 上海市 局. 2024. 3. 21.>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상하이 소비와 무역
▣ 국내 소비 2023년 상하이 도소매업 부가가치 규모는 5,094.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음. - 그중 실물 상품 판매총액은 16.38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0.4% 하락했고, 그중 소매판매 총액은 1.44조 위안으로 9.7% 증가했음. 2023년 사회소비품판매 총액은 1조 8,515.5억 위안으로 12.6% 증가했음. 2023년 전자상거래 거래액은 3조 7,3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7% 증가했음. - 그중 B2B 거래액은 2조 800억 위안으로 4.6% 증가했으며,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조 6,500억 위안으로 22.2% 증가했음. - 온라인 쇼핑 중 상품 거래액은 9,112.8억 위안으로 8.8% 증가했고, 서비스 상품 거래액은 7,353.4억 위안으로 44.4% 증가했음. ▣ 해외 무역 2023년 상하이의 항구, 공항 기준 화물 수출입 총액은 10조 6,576.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음. 이 중 수입은 4조 3,383.5억 위안으로 0.6% 증가, 수출액은 6조 3,193.1억 위안으로 4.3% 증가했음. - 상하이 세관 기준 화물 수출입 총액은 7조 7,346.4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했음. 이 중 수입은 3억 1,115.5만 위안으로 1.4% 감소했고, 수출은 4억 6,230.8만 위안으로 1.9% 증가했음. 상하이시의 상품 수출입 총액은 4억 2,121.6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했습니다. 이 중 수입은 2조 4,743.7억 위안으로 0.1% 증가, 수출은 1조 7,377.9억 위안으로 1.6% 증가했음. - 하이테크 제품의 수출액 비중은 전체 수출의 33.2%를 차지함. 시장별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면, ▲EU 수입은 5,344억 위안으로 5.0% 증가, 수출은 3,101.7억 위안으로 1.0% 하락 ▲미국 수입은 2,020.7억 위안으로 2.5% 하락, 수출은 2,774.9억 위안 11.8% 하락 ▲ASEAN 수입은 3,267.4억 위안, 7.8% 하락, 수출은 2,185.2억 위안으로 3.1% 증가 ▲일본 수입은 2,481.5억 위안, 4.2% 하락, 수출은 1,432.2억 위안으로 6.5% 증가했음. 2023년 상하이에 신설된 해외투자기업은 6,017개로 전년 대비 38.3% 증가했고, 계약금액은 291.2억 달러로 27.6% 하락했음. 외상직접투자 실제 도착금액은 240.87억 달러로 0.5% 증가했음. - 업종별 실제 투자금은 제조업 24.12억 달러, 서비스업 216.73억 달러로 각각 10%, 90%의 비중을 차지함. 2023년 상하이에 투자한 국가와 지역은 총 193개로 집계되고, 총 956개의 다국적 기업 지역 본부와 561개의 외국인 투자 R&D 센터가 설립되어 있음. - 2024년 내 65개의 다국적 기업 지역 본부와 30개의 외국인 투자 R&D 센터가 추가 신설될 예정 <출처: “2023年上海市 民 和社 展 公 ” 上海市 局. 2024. 3. 21.>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상하이 농업・공업・서비스업 현황
▣ 농업 2023년 상하이 농·임·축산·어업의 총생산 규모는 261.8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하였음. - 그중 식재업 생산량은 140.04억 위안으로 1.4% 감소, 임업 생산량은 6.32억 위안으로 15.9% 감소, 축산업 생산량은 44.92억 위안으로 5.4% 증가, 어업 생산량은 52.97억 위안으로 4.2% 감소, 농업, 임업, 축산 및 어업 전문 및 보조 활동의 생산량은 17.57억 위안으로 4.0% 감소했음. 2023년 상하이의 녹색기업 수는 1,138개이며, 상품 수는 2,403개, 연간 인증 생산량은 160.8만 톤에 달함. - 지역 농산품의 녹색식품 인증률은 31.8%이고, 농산품 생산지 표시 제품은 16개임. 농산품 생산지 표시는 농업부 심사를 거쳐 발급되며, 농산품이 특정 지역에서 유래함을 알리는 지표로 지역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고유한 농산품 표시임. ▣ 공업 2023년 상하이의 공업 총생산 규모는 1조 846.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고,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총 생산규모는 3조 9,399.6억 위안으로 0.2% 하락했으며, 그중 국유기업 생산 규모는 1조 4,042.6억 위안으로 5.3% 증가했음. 상하이의 전략 신흥 산업은 신에너지, 첨단장비, 바이오, 차세대 정보 기술, 신소재, 신에너지 자동차,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 디지털 혁신 분야로 2023년 총 생산 규모는 1조 7,304.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8% 마이너스 성장함. - 전략 신흥 산업은 일정 규모 이상의 공업 생산량의 43.9%를 차지함. 2023년 일정 규모 이상의 공산품 판매율은 100.1%이고, 지정 규모 이상의 산업 기업의 주요 제품 중 발전기 생산량은 2807.49만 kW로 7.2% 증가했으며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량은 128.68만 대로 34.4% 증가했음. 일정 규모 이상의 공업 기업의 연간 총이윤은 2,519.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0.3% 감소했으며, 납부 세금은 1,876.6억 위안으로 7.3% 증가했음. 2023년 상하이의 전략적 신흥산업의 부가가치는 11692.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9% 증가했고, 전략적 신흥산업은 상하이 전체 GDP의 24.8%의 비중을 차지함. - 전략적 신흥산업 중 공업의 부가가치는 3,988.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고, 서비스업은 7,704.3억 위안으로 10% 증가했음. ▣ 금융업 중국의 금융도시인 상하이의 2023년 금융업 부가가치는 8,646.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음. 2024년 상하이 금융시장 거래총액은 3,373.6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15.0% 증가했음. - 상하이증권거래소의 총 거래액은 551.5조 위안으로 11.2% 증가했음. - 이 중 주식 거래액은 89.4조 위안으로 7.2% 감소했고. 채권 거래액은 35.8조 위안으로 64.1% 증가했음. - 상하이 증시 주식을 통한 연간 자금 조달은 6,076.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8.3% 감소했으며, 회사채 및 자산유동화증권 발행은 총 5조 1,590.9억 위안으로 19.4% 증가했다. - 상하이 증시 상장 증권은 3만 3,725개로 전년 말보다 3,615개 늘었고, 이 중 주식이 2,302개로 89개 늘었음. 상하이 선물거래소의 연간 총 거래액은 187.2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 중국 금융선물거래소의 총 거래액은 133.2조 위안으로 0.1% 증가, 은행 간 시장 총 거래액은 2,491.9조 위안으로 17.9% 증가, 상하이 금거래소의 총 거래액은 9.8조 위안으로 14.6% 증가했음. ▣ MICE 상하이는 2016년 오픈한 국가 전시 컨벤션 센터( 家 展中心, National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가 있어, 매년 다양한 박람회가 개최됨. 2023년 상하이시는 681개의 다양한 전시 및 행사를 개최했으며 총면적은 1,7326,700㎡에 달함. - 국제 전시회는 총 246개가 개최되었으며, 전시 면적은 1,471,490㎡에 달하고. 국내 전시회는 330개가 열렸고, 전시 면적은 1,870,600㎡임. 또한, 105개의 기타 행사에서 전시 면적은 741,200㎡로 집계됨. 2023년 11월 5~10일 제6회 중국 국제 수입 박람회(CIIE)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음. - 중국 국제 수입 박람회는 2018년 시작된 중국 상무부가 주최하는 국가급 행사로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위한 수입 전문 박람회로 중요한 플랫폼임. - 2023년은 총 154개 국가, 지역 및 국제 기구가 전시회에 참가했으며, 거래 의향 금액은 784.1억 달러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음. <출처: “2023年上海市 民 和社 展 公 ” 上海市 局. 2024. 3. 21.>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상하이 GDP 규모와 산업구조
상하이는 화동지역에 위치한 4대 직할시 중 하나이며 중국 경제·금융·무역의 중심지로 글로벌 영향력을 가진 도시로 손꼽힘. - 면적은 6,340.5㎢로 16개 시할구로 구성되어 있음. 상하이시통계국(上海市 局)은 2024년 3월 21일 「2023년 상하이시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 공보(上海市 民 和社 展 公 )」를 발표함. 공보에 따르면 2023년 상하이의 GDP는 4조 7,218.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0% 증가했음. - 2023년 상하이의 1인당 GDP는 190,321위안으로 베이징에 이어 2위를 차지함. - 산업구조별 생산 규모는 1차 산업이 96.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5% 감소했고, 2차 산업 1조 1,613억 위안으로 1.9% 증가, 3차 산업 3조 5,509.6억 위안으로 6.0% 증가했음. - 산업구조 비중은 0.2 : 24.6 : 75.2로 3차 산업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2023년 상하이의 일반 공공 예산 수입은 8,312.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했으며, 그중 비조세수입 비중은 14.5%를 차지함. - 주요 세목별로는 부가가치세 2,669.8억 위안, 법인세 1,716.4억 위안, 개인소득세 952.9억 위안으로 집계됨. - 2023년 일반 공공 예산 지출은 9,638.5억 위안으로 2.6% 증가했으며, 이 중 지역사회지출이 1,346.6억 위안으로 가장 많고, 교육지출은 1,206.1억 위안, 사회보장 및 고용지출은 1,187.5억 위안 순으로 나타남. 2023년 상하이의 연간 소비자 물가는 전년 대비 0.3% 상승했음. - 품목별로는 식품·담배·술과 교통·통신은 각각 –1.2%, –0.9%로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이밖에 품목은 의류 2.0%, 주거 0.2%, 교육·문화·오락 3.6%, 의료 0.2%, 생활용품 및 서비스 0.4%, 기타용품 및 서비스 4.8%씩 증가함. <출처: “2023年上海市 民 和社 展 公 ” 上海市 局. 2024. 3. 21.>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4년 8월 중국 창고지수 상승
2024년 9월 2일 중국물류와 구매연합회(中 物流 采 合 )와 중추발전유 한공사(中 展股 有限公司)가 공동으로 조사한 중국 창고지수를 발표함. 2024년 8월 중국 창고지수는 50.2%로 전월 대비 3.7%p 상승함. - 항목별 지수를 살펴보면 전월 대비 신규 주문 지수, 시설이용률 지수, 기말재고지수, 평균 재고 회전수 지수, 기업직원 지수, 사업 활동 기대지수 모두 0.4~7.5%p 상승함. 2024년 8월 신규 주문 지수는 48.7%로 전월 대비 2.5%p 상승하였고, 시설이용률은 49.6%로 전월 대비 0.4%p 상승함. - 7월 대비 지수는 반등했으나 창고 사업 신규 주문량과 창고업 시설 및 장비 가동률은 여전히 감소 추세임. 8월 평균 재고 회전율 지수는 52.3%로 전월 대비 3.2%p 상승하였고, 기말재고 지수는 50%로 전월 대비 7.5%p 상승함. - 두 지수의 변화는 이전보다 업·다운스트림 운송 연결이 원활하다는 것을 반영함. - 품종별로 비철금속, 광물, 가전, 의약품 및 기타 품종의 기말재고 지수는 50% 이상, 철강, 화학 제품, 식품, 농산물 및 부자재의 기말재고 지수는 50% 미만임. 8월 창고업 직원 지수는 50.4%로 노동력 공급 부족이 완화됨에 따라 전월 대비 0.8%p 상승함. - 사업 활동 기대 지수는 54%로 전월 대비 1.5%p 상승하며 업종 전망이 비교적 낙관적임을 보여줌. 2024년 3분기, 고온 및 우천 등 기후 영향이 감소하고 대량 상품 시장의 성수기가 도래함에 따라 창고 비즈니스 수요가 증가하고 운영이 더욱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됨. <출처: “8月 中 指 示:指 重回 行 力有所 解” 物流信息中心. 2024. 9. 2.>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가전제품 수출 17개월 연속 증가세
2024년 전자 가전 산업 고품질 수출 업무 회의(2024年 子家 行 高 量出口工作 )와 제10회 전자 가전 수출 100대 기업 통계 발표 활동(第十 子家 出口百强 布系列活 )이 2024년 8월 22일부터 23일까지 저장성 츠시시(慈溪市)에서 개최됨. - 츠시시는 중국의 가전제품 주요 생산 기지 중 하나로 가전 완제품 생산 기업 2,000개 이상, 가전 관련 기업 1만 개가 상주하고 있음. - 2024년 1~7월 수출액은 전년 대비 12% 성장함. 2024년 8월 중국 관세청(海 署)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7월 중국 가전제품 수출 총액은 4,091.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1% 증가함. - 이는 중국 전체 수출 증가율인 11.4%보다 높은 수치임. - 국제 수요 회복과 재고 보충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중국의 가전제품 수출입 규모는 최고치를 기록함.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등 전통 대형 가전이 선전하면서 상반기 수출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4%, 25.6%, 22.8% 증가함. - LCD TV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6%의 증가하며 꾸준히 선전하고 있음. - 6월 에어컨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에 달하는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가전제품 수출시장을 선도함. 전통적 백색 가전 외에도 많은 스마트 신흥 가전제품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음. - 송풍·조명·충전 기능이 있는 스마트 선풍기는 아프리카 30여 개국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재구매율이 70%에 달함. - 잔디 깎기 로봇은 유럽, 북미 등 세계 주요 지역에 성공적으로 진출했음. 2020년 시장 규모는 약 13억 달러였으나, 2025년 35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1~2026년 연평균 성장률은 12%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중국의 대외 무역 기업들은 시장 수요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고, 제품의 개선과 혁신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음. - 해외 수요 증가, 정책 혜택 확대, 통관 효율성 향상 등을 통해 소비성 가전제품으로 대표되는 가전, 휴대폰 수출이 꾸준히 확대됨.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경제협력연구원 학술위원회(中 商 部 易 合作 究院 委 ) 장젠( 建) 부주임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가전 산업은 동남아시아, 인도, 아프리카 등 낮은 노동력을 바탕으로 한 신흥 시장과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음. - 중국기업은 신흥 시장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 연구개발 분야 투자와 자주적인 혁신 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함. - 이를 통해 더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브랜드를 구축해야 함. <출처: “中 家 爆海外, 的是什 ?” 中 新 . 2024. 8. 16.>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대도시 강성도시지수 1위 선전
2024년 8월 28일 상하이교통대학교 선전산업연구원(上海交通大 深 行 究院)은 제2회 선전산업과학기술혁신포럼(第二 深 科技 新 )에서 「중국 대도시 강성도시지수(제2판) 보고서(中 大城强城指 (第2版) 告)」를 발표함. - 대도시 강성지수는 도시의 GDP뿐만 아니라 도시경제의 효율, 실력, 잠재력에도 초점을 두고 국민의 실생활과 업계·학계의 의견을 참고하여 중국 도시경제 발전 수준을 관찰 중국 대도시 강성도시지수 상위 5위권에 선전, 상하이, 베이징, 항저우, 광저우가 자리함. - 2021년에 발표된 제1판 중국 대도시 강성도시지수에서 3위를 차지했던 선전은 1위로 올라섰고, 공동 1위를 차지했던 상하이, 베이징은 각각 2위와 3위로 하락함. 창장삼각주( 三角) 지역은 균형 잡힌 경제 발전으로 많은 도시가 우수한 성과를 보임. - 창장삼각주에는 19개의 주요 도시가 있으며 3대 경제권 중 가장 많은 강성도시를 보유함. - 상위 10위권에 창장삼각주 지역의 상하이, 항저우, 난징, 쑤저우, 닝보, 우시 등 6개 도시가 포진됨. 제2판 중국 대도시 강성도시지수는 기존 6개 지표에서 4개의 새로운 지표 시스템이 추가 적용됨. - 상위 5개 지표는 각각 노동, 토지, 자본, 기술, 인적 자본의 기여를 반영함. - 새롭게 추가된 2개 지표는 ‘100억 위안 이상의 시장 가치를 가진 기업 수’와 ‘도시 디지털 발전 수준’으로 기업가의 관리 기여 결과와 도시 데이터 기여도를 반영함. - 하위 3개 지표는 주로 도시경제, 인민 생활 및 환경 상태를 반영함. GDP 5,000억 위안은 대도시 분류의 기준으로, 제1판 중국 대도시 강성도시지수에서 GDP 5,000억 위안 이상 도시 수는 54개임. - 그중 GDP 1조 위안 이상인 도시는 24개로 집계됨. 제2판 지수에서는 GDP 5,000억 위안 이상 도시 수는 59개로 제1판 지수 대비 5개 증가하였으며, 신규 추가된 5개 도시는 오르도스(鄂 多斯), 후이저우(惠州), 진장( 江), 구이양( ), 화이안(淮安)임. - GDP 1조 위안 도시 수는 26개로 증가하였으며, 신규 추가된 2개 도시는 옌타이와 창저우임. <출처: “第二版中 大城强城指 布 三角6城 入前十” 界面新 . 2024. 8. 30.>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60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 21%
2024년 8월 30일 중국 민정부(民政府)는 「2023년 민정사업발전 통계공보(2023年 民政事 展 公 )」를 발표함. 2023년 중국 60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2억 9,69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1.1%를 차지함. - 그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2억 1,676만 명으로 총인구의 15.4%임. 제14차 5개년 계획 기간(2021~2025년)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3억 명을 넘어 총인구의 20%를 초과하여 중등 고령화 단계에 진입하는 것으로 전망됨. - 2021년 중국 60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2억 6,700만 명으로 총인구의 18.9%를 차지하였고 그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2억 명을 넘어서 총인구의 14.2%를 차지함. - 2035년에는 60세 이상 노인 인구수가 4억 명을 넘어서며, 총인구의 30%를 초과하는 고도 고령화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됨. 2023년 중국 정부가 지출한 노인 복지비는 421억 7만 위안이며, 그중 양로 서비스 비용은 223억 2만 위안으로 집계됨. - 2023년까지 중국 노인 4,334만 4,000명이 노인 보조금을 받았으며, 고령 수당은 3,547만 8,000명, 간호 보조금은 985만 명이 수령함. - 또한 노인 서비스 보조금은 621만 4,000명, 종합보조금은 66만 7,000명이 혜택을 받음. 제7차 전국 인구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10개 도시가 이미 중등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 - 장쑤성 난퉁시(南通市)의 65세 이상 인구는 175만 1,300명으로 22.66%를 차지하였고 65~69세 인구가 7.62%로 가장 많음. - 쓰촨성 쯔양시( )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2.62%로 2위에, 장쑤성 타이저우(泰州)가 22%로 3위에 링크됨. <출처: “老 化最 重20城市排名” 新浪 . 2024. 8. 26.>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