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2024년 중국 사교육 시장의 변화
중국은 2021년 7월 24일 「의무교육 단계 학생의 숙제 부담과 교외 학습 부담경감에 대한 의견( 于 一步 育 段 生作 和校外培 的意 )」을 통해 공교육 수준을 제고하고, 사교육(온·오프라인) 규범화를 위한 조치를 시행하면 사실상의 사교육 규제를 단행하였음. 중국의 사교육 규제 정책으로 수학, 과학, 영어 등 학과 관련은 제한되었으나 예체능, 컴퓨터 코딩, 논술 등 교양 관련 사교육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중옌푸화산업연구원(中 普 究院)은 2024년 3월 「2024~2029년 중국 사교육산업사슬의 수급배치와 투자유치 발전 전략에 관한 심층 연구 보고서(中 育培 供需布局 招商 展策略深度 究 告)」를 발표함.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교육시장 규모는 5,000억 위안 이상으로 전년 대비 약 10% 증가했음. 그중 사교육 시장 규모는 2,000억 위안으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함. - 사교육 시장 증가의 주요 원인은 부모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와 사교육기관의 수준 향상을 꼽음. 중국 사교육 시장은 유아 교육, K12 교육, 유학 시험 대비, 직업교육, 평생교육 등으로 세분화함. - K12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12년 교육 과정을 의미하며, 사교육 규제 정책의 대상이 되는 시장임.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한 K12 사교육 시장은 개인 맞춤형 교육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며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코로나19 발생 이후 온라인 교육 플랫폼 확산이 본격화됨. - 과학기술의 발전은 교육산업에 혁신을 불러일으킴. 온라인 교육 플랫폼뿐만 아니라 스마트 학습 시스템,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육 등 서비스가 출시됨. - 특히,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교육 플랫폼은 학생의 학습 속도와 유형에 맞는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효율과 흥미를 높이는 등 교육 방식을 다양화함. -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확산으로 많은 학생들이 다양한 교재와 강의 멘토링 등 수준 높은 교육 콘텐츠를 누릴 수 있고, 도시와 농촌 간 교육 격차도 점차 해소되는 순기능이 존재함. 부모들은 자녀의 전체적인 능력 개발을 위해 예술, 체육, 프로그래밍 등 비학과 분야와 함께 창의력, 문제해결 능력, 리더십 등 역량향상 교육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함. 중국 사교육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있으나, 정부의 규제 정책과 이에 따라 신생 기업의 진입 어려움, 시장 내 경쟁 심화 등의 과제가 있음. <출처: “2024年 育培 行 展 、 格局及 展 前景分析” 雪球. 2024. 7. 9.>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3년 중국 대학 진학률
2023년 중국의 대학 진학률은 60.2%로 전년 대비 0.6%p 높아짐. - 2015년 중국의 대학 진학률은 40%을 기록하고 꾸준히 증가하였음. 2021년 14차 5개년 계획에서 대학 진학률 목표치를 60%로 설정하였고, 이를 조기 달성함. 중국에는 총 3,074개의 대학교가 있으며 전년 대비 61개가 증가함. - 그중 일반 학부 대학은 1,242개, 학부급 직업학교는 33개, 전문학교 1,547개, 성인 대학은 252개에 달하고, 대학원 양성 연구기관은 223개가 있음. 중국의 대학 총 재학생 수는 4,763만 1,900명으로 전년 대비 108.1만 명 증가했음. 2023년 학부 모집생은 1,042만 2,200명이며, 그중 일반 학부 모집생은 478만 명, 학부급 직업학교 모집생은 8만 9,900명으로 각각 전년 대비 2.73%, 17.82% 증가했음. - 전문학교와 성인대학의 모집인원은 각각 555만 명, 445.5만 명임. 사이버대학 재학생 수는 739만 9,700명, 2023년 모집생은 163만 4,200명임. 2023년 중국의 대학원 재학생은 388만 2,900명으로 전년 대비 6.28% 증가했으며, 그중 박사생은 61만 2,500명, 석사생은 327만 500명으로 각각 전년 대비 10.14%, 5.59% 증가했음. - 모집인원은 박사생 15.3만 명, 석사생은 114.8만 명임. 중국 대학의 전임교원은 207만 4,900명으로 일반 학부 대학 134만 5,500명, 학부급 직업학교 3만 800명, 전문학교 68만 4,600명, 성인대학 1만 4,100명으로 집계됨. 일반 학부와 학부급 직업학교 교원의 석사 이상 학위 비율은 79.14%로 전년 대비 0.6%p 증가했고, 교원과 학생 비율은 17.98:1로 개선되었음. 2023년 중국의 사립 교육기관은 16만 7,200개소로 전체 학교의 33.54%에 달함. - 재학생은 4,939만 5,300명으로 전체 학생 수의 16.96%임. 사립 유치원 14만 9,500개, 원생 1,791만 6,200명 사립 의무교육(초중등) 학교 1만 100개, 재학생 1,221만 9,900명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 4,567개, 재학생 547만 7,600명 사립 대학 789개 중 일반 학부 대학 391개, 학부급 직업학교 22개, 전문학교 374개, 성인대학 2개, 학부 대학 재학생 994만 3,800명 <출처: “2023年全 育事 展基本情 ” 育部. 2024. 3. 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3년 중국 초・중・고 교육 현황
중국 정부는 교육 강국 건설을 목표로 교육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을 시행 2024년 3월 1일 중국 교육부는 「2023년 중국의 교육사업 발전 기본 현황(2023年全 育事 展基本情 )」을 발표함. 2023년 전국 각급 학교는 49만 8,300개로 전년 대비 2만 200개 감소했으며, 전체 학생 수는 2억 9,1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151만 2,600명 감소했음. 전임교원은 1,891만 7,800명으로 전년 대비 11만 4,200명 증가했음. ▣ 유치원 2023년 중국의 유치원 입학률이 91.1%로 전년 대비 1.4%p 증가하여 14차 5개년 계획 목표를 조기에 달성했음. 전국에는 총 27만 4,400개의 유치원이 있으며, 그중 보혜성 국공립 유치원, 단체 혹은 직장에서 개설하는 공립성격을 가진 유치원, 보혜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 유치원을 일컬음. 보혜성 유치원은 일반적으로 유치원의 안전, 환경 배치, 실외장소, 시설설비, 경비투자, 운영규모 등을 중시하며 시교육부위원회에서 지정한 운영규정 중 기본 수준 기준이상 준수해야 함.(출처: 육아정책연구소) 유치원은 23만 6,400개로 전국 유치원의 86.16%를 차지하여 전년 대비 1.2%p 증가했음. - 원아 수는 4,092만 9,800명으로 그중 포용적 유치원의 원아는 3,717만 100명으로 전국 원아의 90.81%를 차지하여 전년 대비 1.26%p 증가했음. - 유치원 전임교원 수는 307만 3,700명으로 학생 비율은 13.32:1로 전년도에 비해 개선되었으며, 전임교원 중 전문대졸 이상 학력의 비율은 92.74%로 전년 대비 2.44%p 증가했음. ▣ 초등학교 중국의 일반 초등학교는 14만 3,500개교이며, 초등학생 수는 1억 8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103만 9,700명(0.97%) 증가했고, 2023년 입학생은 1,877만 8,800명으로 전년 대비 176만 5,000명(10.37%) 증가했음. - 중국 초등교육 전임교원은 665만 6,300명으로 전년 대비 26,800명 증가했으며 전임교원의 학력 합격률은 99.99%, 학사 이상 전임교원의 비율은 78.03%로 전년 대비 3.5%p 증가했음. ▣ 중학교 중학교는 전국적으로 5만 2,300개교로 전국 중학교 재학생은 5,243만 6,900명으로 전년 대비 123만 1,000명(2.4%) 증가했으며, 2023년 입학생 수는 1,754만 6,300명으로 전년 대비 23만 2,500명(1.34%) 증가했음. - 중학교 전임교원은 408만 3,100명으로 전년 대비 57,900명 증가, 전임교원의 학사 이상 비율은 93.09%로 전년 대비 1.38%p 증가했음. ▣ 고등학교 2023년 중국 일반계 고등학교는 전년 대비 355개교 증가한 1만 5,400개교이며, 재학생 수는 2,803만 6,300명으로 전년 대비 89만 7,500명(3.31%) 증가했고, 2023년 입학생 수는 967.8만 명임. - 일반계 고등학교의 전임교원은 221만 4,800명으로 전년 대비 8만 1,600명 증가했으며, 교사 비율은 12.66:1로 지속해서 개선됐음. 전임교원 중 석박사 학력 비율은 14.01%로 전년 대비 0.93%p 증가했음. 중등 직업교육기관은 총 7,085개교이며, 재학생은 1,298만 4,600명임. <출처: “2023年全 育事 展基本情 ” 育部. 2024. 3. 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교육 제도 현황
중국은 빠른 경제 성장과 함께 교육 시스템의 전반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음. 1986년 4월 제정된 의무교육법( 育法)을 통해 9년 동안 초·중등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교육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개혁을 추진함. 특히 정부는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교육 규제를 강화하여 공교육의 역할을 확대하고 있음. 중국의 학제는 크게 의무교육, 고등교육, 그리고 직업교육으로 나눌 수 있음. 중국은 기본적으로 9년의 의무교육을 제공하며, 학비를 면제하고 교재를 무상으로 지원함. ▣ 초·중·고 교육 중국의 의무교육은 초등학교(소학, 小 )부터 중학교(초중, 初中)까지 9년 동안 이루어짐. 중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제는 일반적으로 6년, 3년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5년, 4년으로 운영하기도 함. - 상하이시, 베이징시 일부 학교, 산둥성(웨이하이(威海), 옌타이(烟台), 타이안(泰安), 쯔보(淄博) 등), 헤이룽장성(하얼빈(哈 ), 다칭(大 ), 쑤이화( 化), 지시( 西), 치타이허(七台河)) 등은 5·4 학제를 운영 중임. 초등학교 과정은 6~7세 어린이가 입학하여 기초적인 읽기, 쓰기, 수학, 사회, 과학 등 기본 과목을 배우고, 중학교는 학문적인 깊이가 더해짐. 일반계 고등학교(고중, 高中) 과정은 3년으로 문·이과로 등의 선택 과목으로 나뉘며, 자신의 진로에 맞게 학습 과정을 선택할 수 있음. 또한 대학 입시인 가오카오(高考)를 준비하고, 이를 통해 대학에 진학할 수 있음. - 고등학교 교육의 필수 과목은 언어, 수학, 외국어이며, 문과는 사상정치, 역사, 지리, 이과는 물리, 화학, 생물 과목을 공부하게 됨. - 2021년 9월 중국의 장시성과 안후이성은 가오카오에서 문·이과를 통합하였음. 중국의 고등학교는 일반계 외에 직업 고등학교도 있음. 직업 고등학교는 3년 과정으로 실습과 현장 중심의 교육을 통해 기술을 습득하며, 졸업 후 바로 현장에 투입될 수 있도록 산업계와의 연계를 지원함. 중국 정부는 교육의 지역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농촌 지역의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음. ▣ 대학·대학원 중국의 고등교육은 크게 대학과 대학원 과정으로 나뉨. 대학은 일반적으로 4년 과정으로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음. 석사 과정은 2~3년, 박사 과정은 3~5년으로 운영됨. 중국은 베이징대, 칭화대 등 세계엔 명문 대학들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국제 교육 협력과 유학생 유치를 통해 교육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출처> 1. 百度百科(https://baike.baidu.com/) 2. 중국국가통계국 홈페이지(https://data.stats.gov.cn/)[사회] 중국 교육 제도 현황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신중국 75년, 도시화 현황
2024년 9월 9일 중국 통계국( 局)이 발표한 「신중국 75년 경제사회발전 성과 보고서(新中 75年 社 展成就系列 告)」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상주인구 도시화율은 66.16%로 1949년 대비 55.52%p 상승했으며 연평균 0.75%p 증가함. - 2023년 중국의 도시 상주인구는 9.3억 명에 달함. ▣ 도시화 단계 초기 단계(1949~1957년): 국민 경제 회복과 함께 새로운 산업도시들이 생겨나면서 도시로 인구가 몰리기 시작했고 도시화율은 연평균 0.59%p 상승함. 조정 및 공고화 단계(1958~1978년): 대약진 운동(1958~1962년)과 문화대혁명 (1966~1976년) 시기의 경제적 혼란과 정치적 요인으로 도시화율은 연평균 0.12%p 증가에 그침. 안정적 상승 단계(1979~1995년): 개혁 개방 정책과 함께 농촌 인구가 대거 도시로 이동하면서, 도시화율은 연평균 0.65%p 상승함. 급성장 단계(1996~2011년): 중국 경제의 고속 성장기로 대규모 도시화와 산업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도시화율은 연평균 1.42%p 증가하며 빠르게 성장함. 고품질 발전 단계(2012년 이후 현재): 사람을 근본으로 한 신형 도시화가 추진되었고, 연평균 도시화율은 1.19%p 증가함. ▣ 도시화 현황 1948년 중국에는 58개 도시가 있었으며 신중국 성립 이후 많은 현( )이 도시로 승격됨. - 1949년 중국에 도시 129개와 건제진(建制 ) 수는 약 2,000개임. 중국 정부는 진( ) 가운데 일정 인구 규모 이상이며 경제활동이 활발한 지역을 건제진으로 지정 2023년 도시 수는 694개로 증가하였고 건제진은 21,421개에 이름. - 2023년 지급 이상 도시 상주인구 수는 6억 7천만 명으로 1949년 대비 16배 증가함. - 상주인구 500만 명 도시 수는 29개, 1,000만 명 이상 도시 수는 11개에 달함. 2023년 지급 이상 도시 297개, 현급 도시 397개 1980년대 이후 중국의 도시군(城市群)을 중심으로 도시화 공간 구조가 꾸준히 최적화되고 있으며 특정 지역에 유동인구가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해짐. 2020년 중국 11개 주요 도시군 인구수는 6억 3,0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4.6%를 차지함. -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웨강아오대만구( 港澳大 )와 창장삼각주( 三角) 도시군의 인구는 각각 35%, 12% 증가함. - 또한 상주인구 1,000만 명 이상의 초대형 도시 수는 6개에서 7개로 증가했고 500만~1,000만 명 규모의 특대형 도시는 10개에서 14개로 증가함. 도시와 농촌 간의 소득 격차도 지속해서 축소됨에 따라 도시와 농촌 주민의 소득 비율은 2012년 2.88에서 2023년 2.39로 개선됨. <출처: “城 常住人口已 9.3 ,新型城 化未 空 和重点 定 | 75年” 第一 . 2024. 10. 3.>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4년 9월 중국 자동차・부동산・관광 시장 동향
▣ 신흥 자동차 제조 기업 9월 실적 발표, 지속적 호조세 기대 2024년 국경절 연휴 동안(10월 1~7일) 신흥 자동차 제조 기업은 9월 실적을 발표함. - 리샹 자동차(理想汽車, Li Auto)의 9월 판매량은 53,709대, 샤오펑 자동차(小 汽車, Xpeng)는 21,352대로 각각 월간 역대 최다 판매량을 기록함. - 웨이라이 자동차(蔚 汽車, NIO)는 21,181대를 판매하며 3분기 최고 실적을 달성함. 화푸증권( 福 券)에 따르면 2024년 하반기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은 치열한 경쟁 속에 고속 성장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고 자국 브랜드 점유율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됨. - 지방정부의 자동차 보조금 정책들이 발표되고 있어 자동차 판매시장은 지속적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임. ▣ 부동산 정책 발표로 시장 안정화 기대 2024년 9월 주택도시건설부(住房城 建 部)가 발표한 지역별 부동산 최적화 조정 정책의 영향으로 국경절 기간 주택 매수 희망 방문자 수가 크게 늘었고 상품 주택 판매량도 증가함. - 베이징의 주택 매수 희망자는 전년 대비 92.5% 증가했고 계약 건수는 2배 증가함. - 광저우의 일부 아파트의 매수 희망 방문자 수는 하루 평균 150명으로 평소보다 200% 이상 증가함. 부동산 최적화 조정정책: 지역별 주택 구매 제한 완화(1선 도시 외지인과 내국인 주택구매 허용, 최소 계약금 비율 15%로 조정 등), 주택 구매 보조금 및 혜택 제공(주차 공간 제공, 관리비 면제, 교통 보조금 지급 등), 대출 조건 완화, 기타 조정정책 시행 궈진증권( 金 券)은 정부의 부동산 정책 발표로 부동산 기대심리를 자극했고 통화 정책, 재정 정책, 부동산 금융 정책이 동시에 추진되면서 2024년 4분기 부동산 시장은 안정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함. ▣ 국경절 기간 1·2선 도시 관광 시장 호황, 해외여행도 고성장 지속 증권시보( 券 )에 따르면, 2024년 국경절 연휴 기간 1·2선 도시의 관광 시장 수요가 증가했으며 작은 도시나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현지 심층 관광에 대한 수요도 커지는 등 다각화되는 특징을 보임. 중국 교통운수부(交通 部)에 따르면 2024년 국경절 동안 교통 이동 총인원은 약 20.08억 명으로 전년 대비 하루 평균 4.1% 증가함. - 베이징은 관광객 약 2,159.64만 명이 방문하며 전년 대비 18.35% 증가하였으며, 관광 수입은 약 268.8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67%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함. 여행 서비스 플랫폼 페이주( 猪)가 발표한 ‘2024 국경절 여행 보고서(2024 假期出游快 )’에 따르면 중국 고급 호텔, 패키지 여행, 렌터카 등 관광 상품의 예약량이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함. - 중국 고급 호텔 예약과 렌터카 예약이 모두 전년 대비 40% 이상 상승함. - 2023년에 이어 해외여행은 고성장 중으로, 예약량은 전년 대비 50% 이상 급증했고 해외호텔 예약 규모는 2019년의 약 120% 수준으로 회복됨. <출처> 1. “造 新 力公布9月“成 ”;多地出台房地 市 化政策 明日主 前瞻“ 第一 . 2024. 10. 7. 2. “ 假期 束 全社 跨 域人 流 量超20 人次” 央 新 . 2024. 10. 8. 3. “50多 城市出台本地房地 市 化政策 多地商品房 量增 ” 央 新 . 2024. 10. 5.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4년 중국 휴대폰 제조 시장
2024년 9월 25일 중국정보통신원(中 信通院) 발표에 따르면 2024년 8월 중국 휴대폰 출하량은 2,404만 7,000대로 전년 대비 26.7% 증가함. -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휴대폰 누적 출하량은 1억 9,500만 대로 전년 대비 16.6% 증가함. ▣ 중국 휴대폰 시장 현황 2024년 8월 중국 휴대폰 출하량은 2,404만 7,000대로, 전년 대비 26.7% 증가함. - 5G 휴대폰은 1,975만 4,000대로 전년 대비 26.3% 증가하여 전체 출하량의 82.1%를 차지함.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중국 휴대폰 누적 출하량은 1억 9,500만 대로 전년 대비 16.6% 증가함. - 5G 휴대폰은 1억 6,500만 대로, 전년 대비 23.9% 증가하여 전체 출하량의 84.5%를 차지함. 2024년 8월 신규 출시된 휴대폰 모델은 총 47종으로 전년 대비 14.5% 감소함. - 5G 휴대폰은 29종으로 전년 대비 3.3% 감소하여 전체 신규 모델의 61.7%를 차지함.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출시된 신규 휴대폰 모델은 총 281종으로, 전년 대비 4.1% 감소함. - 5G 휴대폰은 151종으로 전년 대비 13.5% 증가하여 전체 신규 모델의 53.7%를 차지함. ▣ 중국 브랜드 휴대폰 2024년 8월 중국 브랜드 휴대폰 출하량은 2,217만 8,000대로, 전년 대비 31.7% 증가했으며, 전체 출하량의 92.2%를 차지함. - 신규 출시된 중국 브랜드 휴대폰 모델은 40종으로 14.9% 감소하여 전체 신규 모델의 85.1%를 차지함.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중국 브랜드 휴대폰 누적 출하량은 1억 6,800대로 전년 대비 21.3% 증가하여 전체 출하량의 86.0%를 차지함. - 신규 출시된 중국 브랜드 휴대폰 모델은 총 260종으로 2.3% 감소, 전체 신규 모델의 92.5%를 차지함. ▣ 스마트폰 출하량 2024년 8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은 2,109만 8,000대로, 전년 대비 17.7% 증가했으며, 전체 휴대폰 출하량의 87.7%를 차지함. - 신규 출시된 스마트폰 모델은 33종으로 28.3% 감소하여 전체 신규 모델의 70.2%를 차지함.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중국 스마트폰 누적 출하량은 1억 8,200대로, 전년 대비 14.1%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휴대폰 출하량의 93.4%를 차지함. - 같은 기간 출시된 신규 스마트폰 모델은 총 200종으로 전년 대비 19.0% 감소했으며, 전체 신규 모델의 71.2%를 차지함. <출처: “中 信通院:8月 市 手机出 量同比增 26.7%” 中 信通院. 2024. 9. 2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중국 해외 투자 현황
2024년 9월 25일 중국 상무부(商 部)는 「2023년 중국 대외직접투자 통계 공보(2023年度中 外直接投 公 )」를 발표함. - 2023년 세계 외국인직접투자(FDI)가 2% 감소하였고 국경 간 인수합병(M&A) 규모도 지난 10년 중 가장 최저치를 기록함. - 중국의 해외 직접 투자(ODI)는 8.7%로 증가하며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임. 첫째, 중국의 해외 투자 규모는 세계 최상위권을 유지하며 규모와 비축량 모두 세계 3위에 오름. - 2023년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액(유량)은 1,772억 9천만 달러로 전 세계 비율의 11.4%를 차지하였고 전년 대비 0.5%p 상승함. - 중국은 12년 연속 세계 상위 3위 안에 들었으며, 8년 연속으로 전 세계 비율의 10% 이상을 기록함. - 2023년 중국 해외직접투자 규모(저량)는 2.96조 달러로, 7년 연속 세계 3위 자리를 유지함. 둘째, 중국기업은 세계 80%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 분포함. - 2023년 중국기업은 전 세계 189개국과 도시에 4.8만 개 기업을 설립함. - 그중 아시아 60.8%, 북미 11.8%, 유럽 9.8%, 라틴아메리카 8.4%, 아프리카 6.8%, 오세아니아 2.4%로 각각 분포함. 특히, ‘일대일로’ 관련 국가에 1.7만 개의 중국기업이 설립됨 셋째, 중국기업의 투자 분야는 크게 4개 분야에 집중됨. - 2023년 중국기업의 해외 직접 투자는 국민 경제와 관련된 18개 산업 부문을 포괄하고 있음. - 주요 투자 분야는 임대·비즈니스 서비스, 도소매업, 제조업, 금융업으로 총 1,385억 1천만 달러로 전체 투자의 78.1%를 차지함. 임대·비즈니스 서비스, 도소매업에 대한 투자는 각각 24.6%, 83.4% 증가하였고 건설업, 정보전달 및 소프트웨어, 정보 기술 서비스에 대한 투자도 각각 97.2%, 34.9%의 증가함. 넷째, 아시아와 아프리카 ‘일대일로’ 관련 국가에 대한 투자 비율이 증가함. - 2023년 중국 해외 직접 투자 중 80%가 아시아로 유입되었고 투자액은 1,416억 달러로 전년 대비 13.9% 증가함. -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에 대한 투자는 251.2억 달러로 34.7% 증가함. - 아프리카에 대한 투자액은 전년의 2.2배인 39.6억 달러로 집계됨. 2023년 ‘일대일로’ 관련 국가에 대한 직접 투자는 407.1억 달러로 31.5% 증가함. 다섯째, 중국의 세계 경제에 대한 기여가 확대됨. - 2023년 중국 수출액은 2,731억 달러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고, 중국 자본의 해외 기업 매출은 3.5조 달러에 달하며 투자 대상국에 753억 달러의 세금을 납부함. - 2023년 중국 자본 해외 기업 직원은 약 430만 명이며 이 중 60% 이상은 현지 채용 직원임. -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자본 해외 기업들은 총 5,184억 달러의 세금을 납부했으며 현지에 약 2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함. <출처> 1. “商 部:2023年度中 外投 模 保持世界前列” 中 新 . 2024. 9. 25. 2. 商 部(2024). 「2023年度中 外直接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공유 자전거 도시철도 연계와 친환경 효과
▣ 도시철도 연계 운행 도시별 전철역 주변 평균 운행 거리는 도시 철도 시설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 - 도시철도 노선 길이가 짧은 지역일수록, 공유 자전거 운행 거리가 길어짐. 도시철도 노선 길이가 긴 지역은 역 간격이 촘촘하고, 대중교통 이용범위가 넓어 공유 자전거 운행 거리가 짧음. 도시철도 밀도가 높은 지역의 운행 환경 개선이 필요함. - 지하철역 800m 이내 통근 인구 밀집지역의 공유 자전거 운행 서비스를 확대하여 친환경 교통 이용 유도가 필요 ▣ 탄소배출 저감 효과 보고서는 소형자동차와 대중교통의 공유 자전거·공유 전기 스쿠터 대체 비율과 탄소배출 계수를 계산하여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하였음. 2024년 공유 자전거를 통한 연간 탄소배출 저감량은 이용자 1인당 39㎏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음. - 초대형 도시의 저감량은 40.1㎏으로 가장 많았고, 특대 도시는 39.7㎏로 나타남. - 연간 1인당 저감량이 5㎏ 이상을 기록한 도시는 상하이(6.6㎏), 선양(5.9㎏), 쿤밍(5.8㎏), 시안(5.2㎏) 4개임. <출처: 中 城市 究院·滴滴 桔 究 (2024). 「2024年度中 主要城市共享 / 行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공유 자전거 야간・주말 이용
▣ 야간 운행과 야간경제 도시의 공유 자전거 야간 운행 비중은 7.6%로 전년 대비 0.5%p 감소했음. - 야간 운행은 22시에서 다음날 6시까지의 운행 건수를 집계하여 분석했으며, 야간 대중교통 공백과 도시의 야간경제 활성 정도를 살펴볼 수 있음. 야간 운행은 남방 지역 도시와 북방 지역 도시로 나누어 살펴봄. - 남방 도시의 공유 자전거 야간 운행 비중은 8.0%, 북방 도시는 7.2%로 나타남. - 공유 스쿠터 야간 운행 비중은 남방 도시 10.8%, 북방 도시 8.5%로 남방 도시의 야간 운행 비중이 더 높음. 2024년 야간 운행 비중은 전년 대비 모두 하락함. 야간 운행 비중이 가장 높은 도시는 창사로 공유 전기 스쿠터의 야간 운행 비중이 15.2%에 달함. - 22:00~2:00+1의 운행 비중은 12.6%이며, 젊은 세대가 야간 경제 소비를 촉진하고 있음. 야간 운행의 80.4%가 35세 이하로 나타남. - 이들의 운행 도착·출발지는 4개의 상권 지역에 집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주말 운행 대도시의 주말 공유 자전거 운행 횟수는 1.7회로 전년 대비 5% 증가함. - 초대형 도시와 특대 도시의 주말 공유 자전거 운행 횟수는 2023년 1.8회, 1.5회에서 2024년 2.0회, 1.7회로 각각 10.6%, 6.7% 증가했음. - 특히 시안(22.0%), 상하이(18.1%), 청두(17.9%), 베이징(16.1%), 선전(11.3%) 등 6개 도시의 증가율이 10% 이상을 기록함. 반면 주말 공유 전기 스쿠터의 운행 횟수는 1.6회로 전년 대비 3.7% 감소함. 특히 항저우의 주말 공유 자전거 운행 거리는 평일보다 장거리 운행 비중이 8.4% 증가함. - 항저우의 대표 관광지역인 시후(西湖, 서호)를 주변으로 주말 다량의 공유 자전거가 집중되는 모습을 보임. - 주말 시후 주변 대표 지점인 베이산길(北山街) 1,300대/일, 난산로(南山路) 800대/일, 양공티( 公堤) 600대/일, 후파오로(虎 路) 300대/일 등은 높은 유동량을 보임. <출처: 中 城市 究院·滴滴 桔 究 (2024). 「2024年度中 主要城市共享 / 行 告」>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