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중국 공유 자전거 이용 목적과 시간
▣ 운행 거리 중국의 공유 자전거 회당 평균 운행 거리는 전반적으로 증가했고, 전기 스쿠터는 일부 감소했음. 2024년 중국 공유 자전거 회당 평균 운행 거리는 1.5㎞로 전년 대비 30m 증가했음. - 초대형 도시와 특대 도시는 각각 35m, 48m 증가했고, 1형 대도시는 4m 증가함. - 평균 운행 거리가 가장 긴 도시는 쿤밍과 선양이 1.8㎞로 나타났으며, 전년 대비 증가도 각각 0.14㎞, 0.12㎞로 가장 큼. 2024년 중국 공유 전기 스쿠터의 회당 운행 평균 거리는 2.2㎞로 전년 대비 28m 감소했음. - 초대형 도시의 운행 거리 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1형 대도시인 닝보, 푸저우, 중급도시인 라싸를 제외하고 모두 감소했음. ▣ 운행 시간 중국 공유 자전거 회당 평균 운행 시간은 12.1분으로 전년 대비 0.4분 증가했음. - 특대 도시의 평균 운행 시간은 전년 대비 0.7분 증가한 12.7분이며, 1형 대도시 증가폭은 0.2분으로 가장 작았음. 공유 전기 스쿠터의 회당 평균 운행 시간은 11.6분으로 전년 대비 0.7분 줄어들었음. - 공유 전기 스쿠터 운행 시간이 가장 긴 도시는 선양으로 15.7분, 가장 짧은 도시는 정저우로 9.6분으로 집계됨. ▣ 운행 목적 초대형 도시와 특대 도시의 운행 목적이 다양해짐. 초대형 도시의 생활 운행 거리 비중은 500~1,000m가 32%로 가장 높음. - 초대형 도시의 생활 운행 거리 2㎞ 이상의 비중은 2021년 19.6%에서 2024년 21.7로 2.1%p 증가했고, 특대 도시는 25.6%로 2.5%p 증가했음. 통근 운행 거리 비중은 초대형 도시와 특대 도시 모두 500~1,000m가 각각 33%, 28.9%로 가장 높았음. <출처: 中 城市 究院·滴滴 桔 究 (2024). 「2024年度中 主要城市共享 / 行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공유 자전거 시장 규모와 환경
중국의 공유 자전거·전기 스쿠터 서비스는 주요 이동 수단으로 자리매김함. - 중국 도로 운송 협회(中 道路 ) 통계 자료에 따르면, 공유 자전거 서비스 이용자 수는 6억 명으로 집계됨. - 2023년 12월 기준, 공유 자전거 서비스는 410개 도시에서 운영 중이며, 운영 대수는 1,200만 대, 공유 전기 스쿠터는 700개 도시에 800만 대가 운영 중임. 2024년 7월 중국 도로 운송 협회는 「온라인 임대 (전기)자전거업 지속 가능 규범 발전 공약(互 租 ( )自行 行 可持 范 展公 )」(이하 공약)을 체결하여 공유 자전거 서비스 시장 환경을 개선하고, 사회 공익을 보호하고자 함. - 공약은 중국 7대 공유 자전거·전기 스쿠터 업체인 메이퇀 바이크(美 行), 디디 바이크(滴滴 桔), 헬로 바이크(哈 ), LIU 바이크(小 共享), PEOPLEGO(人民出行), MIAOZO( 走出行), 송궈 바이크(松果出行)가 공동으로 체결함. 주요 내용은 미성년자의 안전 도모를 위해 공유 자전거 대여 가능 나이를 만 12세 이상, 전기 스쿠터는 만 16세 이상으로 정하였고, 지정된 구역에 질서 있게 주차하여 공중 도덕을 준수하도록 장려하는 등을 포함 중국 정부는 교통 혼잡 해소 및 환경 보호를 위해 공유 자전거·전기 스쿠터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관리 방안을 강조함. 2024년 9월 21일 중국 도시 규획 설계 연구원(中 城市 究院)과 중국 대표 공유 자전거 플랫폼 디디 바이크 연구단(滴滴 桔 究 )은 「2024년도 중국 주요 도시의 공유 자전거/전기 스쿠터 주행 보고서(中 主要城市共享 / 行 告)」를 공동으로 발표함. 보고서는 중국 주요 도시의 공유 자전거와 전기 스쿠터가 교통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도시별 공유 자전거 시스템의 효과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2021년부터 매년 작성됨. 연구 대상은 중국 36개 주요 도시로 경제력, 규모 등을 기준으로 5개 유형으로 분류함. - 지역별 투자 현황에 따라 공유 자전거 운영 도시는 7개, 전기자전거 운영 도시 12개, 자전거와 전기 스쿠터를 모두 운영하는 도시는 13개로 구분됨. <출처> 1. 中 城市 究院·滴滴 桔 究 (2024). 「2024年度中 主要城市共享 / 行 告」 2. “共享( ) 全 用 超 6 ,美 、滴滴、哈 等 公 ” IT之家. 2024. 7. 12.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국제 소비중심도시 고품질 소비촉진의 달' 추진
2024년 11월 3일, ‘중국 국제 소비중심도시 고품질 소비촉진의 달(中 消 中心城市精品消 月)’ 개막식이 상하이에서 개최됨. - 중국 국제 수입박람회 신제품( 博新品), 중국 국산 트렌드 제품( 潮精品), 실크로드 연선 국가의 수입상품( 路云品)을 포함하는 ‘삼품(三品) 신제품 발표회’가 열림. - 중국 국제 수입박람회에서 각국의 다양한 미식 신제품을 소개하고 식음료 소비 쿠폰을 발급함. - 또한 ‘도시 레저 새로운 체험 시리즈’와 ‘상하이 필수 관광 코스 20선’도 공개됨. 2024년 11월 중국 상무부(商 部)는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톈진, 충칭 5개 도시와 연계하여 소비 촉진을 위한 ‘고품질 소비 촉진의 달’ 행사를 진행함. - 본 행사는 ‘1+4+N’ 형식으로, 고품질 쇼핑, 미식, 관광, 공연의 네 가지 주요 분야에서 다양한 소비 촉진 활동을 통해 시장 활력을 높이고 소비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기획됨. 5개 도시는 먹거리, 의류,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총 237개의 행사를 개최할 예정임. - 31개의 보행자 거리는 차량 진입이 제한되어 방문객들이 편리하게 걷고 쇼핑을 즐길 수 있으며, 거리에는 소규모 상점, 카페, 레스토랑, 거리 예술 공연이 마련됨. - 또한 85개의 상권, 19개의 아울렛, 400여 개 대형 쇼핑몰이 참여함. 베이징은 ‘경이로운 사계절, 고품질 소비’라는 테마로 1,000여 개의 소비 촉진 행사를 추진하며 민관 협력을 통해 100억 위안 규모의 보조금을 지급함. - 패션·뷰티 업계는 신제품 출시를 위한 ‘집중 신제품 출시 시즌(集中上新季)’을 통해 약 50개의 글로벌 패션·뷰티 브랜드가 첫 개점을 준비 중이며 100여 개의 중국 브랜드가 신제품을 선보임. - 고품질 관광 프로그램으로 ‘겨울철 관광 코스 10선’, ‘베이징 국제 문화 관광 소비 박람회’ 등 다양한 관광 행사가 포함됨. 광저우는 ‘화려한 광저우, 다채로운 즐거움’을 주제로, 제136회 광저우 교역회를 활용하여 400여 개 신제품 발표회와 중국(광저우) 패션 산업 대회를 개최함. - 고품질 미식 행사로 광저우 국제 미식 축제, 톈진 미슐랭 미식 축제 등 58개의 미식 행사가 열림. <출처: “中 消 中心城市精品消 月 ” 人民日 . 2024. 11. 4.>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교통운수 발전 성과
2024년 10월 31일 중국 교통운수부(交通 部)는 10월 정례 기자회견에서 교통 강국 건설 시범사업(交通强 建 点先行先 )을 통해 교통운수 발전에서 이룬 성과를 발표함. - 2019년 9월에 발표된 「교통 강국 건설 강요(交通强 建 要)」 이후 중국의 교통운수 종합 능력은 크게 향상되었으며 일부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현대화된 교통 시스템을 갖추었음을 소개함. 중국은 2035년까지 교통 강국을 구축하고, 현대화된 종합 교통 체계를 형성할 계획임. - 이는 ‘전국 123 통행 교통권(도심 1시간 통근, 도시군 2시간 도달, 전국 주요 도시 3시간 연결)’ 및 ‘글로벌 123 쾌속 물류권(국내 1일 배송, 주변국 2일 배송, 주요 글로벌 도시 3일 배송)’구상을 포함함. 중국은 2050년까지는 인프라, 기술, 지능화, 녹색화 측면에서 국민이 만족할 만한 세계 최고의 교통 강국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함. - 현재 중국의 종합 입체 교통망 총연장은 600만 ㎞를 초과했으며 ‘6축 7회랑 8통로(6 7廊8通道)’를 주요 골격으로 동서남북을 잇는 종합운송통로를 구축 중임. - 철도망 신규 노선 3,637㎞가 개통되었으며, 운영 중인 총연장은 15.9만 ㎞에 달함. - 고속철도는 2,776㎞가 추가 개통되어 총 4.5만 ㎞에 이름. - 신규·개축된 고속도로는 7,368㎞, 일반 국도 9,601㎞이며, 도로 총연장은 543.7만 ㎞에 달함. 이중 고속도로는 18.4만 ㎞를 초과함. - 생산 부두 선석 수는 2.2만 개 이상이며, 이 중 1만 톤급 이상 선석은 2,878개임. 도시 간 교통 체계의 발전으로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 창장삼각주( 三角), 웨강아오대만구( 港澳大 ), 청위지역 솽청경제권(成 地 城 圈) 등 주요 도시군의 교통인프라가 크게 강화됨. - 2023년 2개 도시에 추가로 철도 운영이 시행되면서 현재 총 55개 도시에서 철도가 운영 중이며, 누적 운영 길이는 10,158.6㎞에 이름. - 도시군 내 공공 교통망 확장으로 전국 농촌 도로 통행 거리는 460만 ㎞에 이르고, 신규·개축된 농촌 도로는 18만 ㎞ 이상임. - 3만 톤급 중량 열차 시험 프로젝트가 완료되어 운행 준비를 마침. LNG 운반선의 국제 시장 점유율은 30%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산 첫 대형 크루즈선 ‘아이다 모두호( ·魔都 )’가 명명·인도되어 시험 운항을 마침. - C919 대형 여객기가 상업 운행을 시작했고, 산둥성 칭다오항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3단계)이 가동됨. 2023년 전국 교통량은 612억 9,000만 인원으로 전년 대비 30.7% 증가했으며, 전국 철도 여객 수송량은 38억 6,000만 인원에 이르고 여객 회전량은 1조 4,729억 ㎞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함. 녹색 저탄소 분야에서는 기존 철도의 전기화 전환이 꾸준히 추진됨. - 2023년 중국 철도 전기화율은 75.2%에 달했으며 전국 고속도로 서비스 구역 5,012곳에 전기차충전소가 설치됨. - 2023년 선박 3,326척에 항구 전기 시스템을 도입되었고 창장경제벨트( 江 ) 11개 성(省)의 선박 전력 사용량은 전년 대비 66% 증가함. 중국 신에너지 대중교통 차량 보유량은 53만 대로 전체의 77.7%를 차지하며 신에너지 순환 택시는 41.2만 대로 30.1%를 차지함. <출처: “加快建 交通强 取得新 展,交通 合 力大幅 升” 第一 . 2024. 10. 3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유치원 감소와 고령화 대응
중국 교육부( 育部)가 발표한 「2023년 전국 교육사업발전 통계(2023年全 育事 展 公 )」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유치원 수는 27만 4,400개로 전년보다 1만 4,808개, 5.12% 감소함. - 유치원생 수는 4,092만 9,800명으로 전년 대비 534만 5,700명, 11.55% 감소함. 2022년 중국 유치원 수는 28만 9,200개로 전년 대비 5,610개, 1.90% 감소함. - 유치원 원아 수는 4,627만 5,500명으로 전년 대비 177만 6,600명, 3.70% 감소함. - 중국 유치원 수가 감소한 것은 2008년 이후 처음으로, 2022년, 2023년 2년간 총 20,418개가 줄어듦. 출생 인구 감소 원인으로 둘째 아이 정책의 초기 효과 약화를 들 수 있음. - 정책 시행 당시 2016년과 2017년 출생자 수는 모두 1,700만 명을 넘었으며, 특히 2016년에는 1,883만 명에 달함. - 그러나 2018년 이후 출생 인구가 점차 감소하여 2018년 1,523만 명, 2019년 1,465만 명, 2020년 1,200만 명, 2021년 1,062만 명, 2022년 956만 명, 2023년 902만 명으로 줄어듦. 샤먼대학교 경제학과 딩창파(丁 ) 부교수에 따르면 농촌과 인구 유출 지역의 유치원이 도시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음. - 도시의 경우 대부분의 공립 유치원은 운영 여건이 양호하여 영향이 적으나, 일반 사립 유치원은 더 큰 영향을 받음. 향후 출생 인구 감소 폭 둔화와 일부 지역의 출생 인구 증가로 인해 유치원 수 감소 추세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됨. - 많은 유치원은 유아 교육과 보육을 통합하는 모델을 모색 중이며, 조건이 갖춰진 유치원은 보육 서비스를 연장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함. 인구 고령화에 따라 요양원과 유아 돌봄이 결합한 복합 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저장성 진화(浙江省 金 )에서는 유치원을 ‘지역사회 요양원’으로 전환하거나 '노인과 아이의 공동 돌봄'을 시범 운영 중임. - 고령화 사회와 요양 수요 증가로 인해 2023년 60세 이상 인구는 2억 9,69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1.1%를 차지함. <출처: “ 年 少2万所幼 ,多地探索“幼 老”“老幼共托”” 第一 . 2024. 10. 3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3년 중국 혁신지수 6.0% 성장
중국 국가통계국 사회과학문화사( 家 局社科文司)의 「중국 혁신지수 연구(中 新指 究)」에 따르면, 2023년 중국 혁신지수는 165.3(2015년 =100)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함. - 혁신 환경 지수, 혁신 투입 지수, 혁신 산출 지수, 혁신 성과 지수는 각각 177.1, 155.0, 199.7, 129.4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대비 각각 10.4%, 5.5%, 6.5%, 0.4% 증가함. 2023년 중국의 혁신 환경 지수는 177.1로 전년 대비 10.4% 증가하며, 5개 평가지표 모두 상승함. - 감세 혜택을 받은 기업 비중 지수는 전년 대비 24.0% 증가하여 가장 빠르게 상승함. - 이공계 졸업생 비중 지수는 전년 대비 15.1% 증가하며 두 자릿수 성장을 유지함. - 대학 졸업 이상 학력 인구 비중 지수는 전년 대비 6.6% 증가함. - 인구당 GDP 지수는 전년 대비 5.4% 증가함. - 과학기술 예산 비중 지수(재정 예산 대비)는 전년 대비 2.3% 증가함. 2023년 중국의 혁신 투입 지수는 155.0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함. - 4개 평가지표 중, 1만 명당 R&D 인력의 전일제 환산 인력(FTE) 지수는 전년 대비 14.1% 증가하며 두 자릿수 성장을 유지함. - 기업의 R&D 투자 비중 지수(매출 대비)는 전년 대비 6.1% 증가함. - GDP 대비 R&D 투자 비중 지수는 전년 대비 3.6% 증가함. - 기초 연구자 1인당 경비 지수는 전년 대비 1.2% 감소함. 2023년 중국의 혁신 산출 지수는 199.7로, 전년 대비 6.5% 증가하며 4개 평가지표 모두 상승함. - 1만 명당 R&D 인력의 고부가가치 발명 특허 보유량 지수는 전년 대비 15.6% 증가하며 두 자릿수 성장을 유지함. - 기술시장 계약 평균 금액 지수는 전년 대비 5.0% 증가함. - 등록 상표 보유 기업 비중 지수는 전년 대비 4.7% 증가함. - 1만 명당 과학기술 논문 수 지수는 전년 대비 1.2% 증가함. 2023년 중국의 혁신 성과 지수는 129.4로, 전년 대비 0.4% 증가함. - 노동생산성 지수는 전년 대비 5.7%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임. - 신제품 매출 비중 지수(매출 대비)는 전년 대비 2.0% 증가함. - '삼신(三新) 경제' 부가가치 비중 지수(신산업, 신업태, 신비즈니스 모델의 GDP 비중)는 전년 대비 1.7% 증가함. - 특허 집약 산업의 부가가치 비중 지수는 전년과 동일 수준을 유지함. - 고기술 제품 수출 비중 지수는 전년 대비 6.7% 감소함. <출처: “2023年中 新指 比上年增 6.0%” 家 局. 2024. 10. 25.>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산둥성 해외 수출입・투자 현황
2023년 산둥성의 화물 수출입 총액은 3조 2,600억 위안으로 수출 1조 9,400억 위안, 수입 1조 3,200억 위안으로 집계됨. - 수출 항목 중 전자기기 상품의 수출액은 8,938.3억 위안으로 전체 수출액의 46% 비중을 차지함. - 민영기업의 수출입액은 2조 4,200억 위안으로 전체 수출입액의 74.3%임. 산둥성의 주요 교역국은 아세안, 미국, EU임. - 2023년 산둥성의 아세안과의 수출입 총액은 6,498.6억 위안으로 가장 높았으며, 미국은 3,269.4억 위안으로 2위, EU는 2,975.9억 위안으로 나타났음. - 한국과의 수출입 규모는 2,621.8억 위안, 일본은 1,874.0억 위안을 기록했음. 2023년 산둥성의 외국인직접투자(FDI) 규모는 175.3억 달러로, 전국 외국인직접투자 규모의 11.0%를 차지했음. - 주요 투자 유치 활동을 통해 272개의 투자 사업을 유치했으며, 총투자 규모는 101억 7,000만 달러로 집계되었음. - 1억 달러 이상 규모의 도착 투자 사업은 26개로 전년 대비 4개 증가했음. 제조업 부문의 외국인직접투자는 66억 5,000만 달러로 전체의 38.0%를 차지했고, 첨단 기술 산업은 59억 6,000만 달러로 전체의 34.0%에 달했음. 2023년까지 세계 500대 기업 중 235개가 산둥성에 929개 기업에 투자했음. 산둥성의 해외 직접 투자(ODI) 규모는 94.5억 달러로 전년 대비 16.5% 증가했으며, 전국에서 네 번째로 규모가 큼. - 해외 도급 사업 완공 매출액은 92억 5,000만 달러로 2.8% 증가했으며, 전국에서 2위를 차지했음. - 산둥성 8개 기업이 글로벌 최대 250개 국제 건설사에 이름을 올렸음. 일대일로 관련 국가와의 수출입 총액은 1조 8,400억 위안으로 전체 수출입 총액의 56.3%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0.8%p 증가했음. 이는 일대일로 정책 발표 이후 가장 높은 규모와 비중을 기록한 것임. - 해외 직접 투자는 25억 4,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해외 도급 사업 완공 매출액은 87.7억 달러로 나타났음. <출처: “2023年山 省 民 和社 展 公 ” 山 省 局. 2024. 3. 3.>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산둥성 소비 규모와 물가
2023년 산둥성의 사회소비품 판매총액은 3조 6,141.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7% 증가했음. - 이 중 외식업 수입은 4,345.5억 위안으로 19.9% 증가했으며, 상품 판매총액은 3조 1,796.3억 위안으로 7.4% 증가했음. - 도시와 농촌의 소비품 판매총액은 각각 3조 362.0억 위안, 577.9억 위안으로 8.6%, 9.5% 증가를 기록함. 산둥성의 일정 규모 이상의 단위 상품 소매액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곡물·식품 9.9%, 음료 6.1%, 주류·담배 19.9%, 의류·신발·섬유제품 17.6%, 금은보석 11.3%, 생활용품 10.1%, 의약품 7.9%, 통신기기 13.8%, 석유 및 석유제품 5.9%, 자동차 10.6%로 집계됨. 온라인 소매액은 7,728.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0% 증가했음. 이는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의 18.6%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0.7%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이 중 실물 상품의 온라인 소매액은 6,723.1억 위안으로 8.6% 증가했음. 2023년 산둥성의 연간 주민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0.1% 상승했음. - 이 중 소비재 가격은 0.3% 하락, 서비스 가격은 0.9% 상승, 식품 가격은 0.4% 하락, 비식품 가격은 0.2% 상승했음. 농산물 생산자 가격은 1.0% 상승, 산업 생산자 출하 가격(PPI)은 3.5% 하락, 산업 생산자 구매 가격은 3.0% 하락했음. <출처: “2023年山 省 民 和社 展 公 ” 山 省 局. 2024. 3. 3.>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산둥성 상주인구와 소득 수준
2023년 산둥성 상주인구는 1억 122.97만 명으로, 그중 0~15세 인구 비중은 18.52%, 16~59세는 57.86%, 60세 이상은 23.62%를 차지함. - 상주인구 기준 도시화율은 65.53%로 전년 대비 0.99%p 증가했음. - 2023년 출생아 수는 61만 명으로 출산율(천 명당)은 6.01‰이고, 사망인구는 83.1만 명으로 인구 자연 증가율은 –2.18‰임. 도시의 신규 일자리 수는 124.5만 개로 연간 목표치를 11.32% 달성했음. - 실업자와 취업 취약 계층의 취업은 연간 목표치를 각각 162.3%, 135.3% 달성했음. 2023년 산둥성의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39,890위안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음. - 이 중 도시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51,571위안으로 5.1% 증가했으며, 농촌 주민은 23,776위안으로 7.5% 증가했음. 주민 1인당 소비지출은 24,293위안으로 전년 대비 7.3% 증가했음. - 도시 주민의 1인당 소비지출은 30,251위안으로 5.9% 증가했고, 농촌 주민은 16,075위안으로 9.5% 증가했음. 식료품과 주거 관련 지출이 전체 소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2023년 산둥성 주민의 1인당 소비지출에서 식료품·주류·담배는 6,791위안(28.0%)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주거 4,726위안(19.5%), 교통·통신 3,795위안(15.6%), 교육·문화·오락 2,915위안(12.0%), 의료·보건 2,247위안(9.3%), 생활용품 및 서비스 1,762위안(7.3%), 의류 1,549위안(6.4%) 순으로 나타났음. <출처: “2023年山 省 民 和社 展 公 ” 山 省 局. 2024. 3. 3.>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산둥성 GDP 규모
중국 산둥성은 인천과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 2004년 2월 16일에 우호 결연을 체결하였으며, 산둥성의 칭다오와 옌타이와도 각각 1995년과 2007년에 우호 결연을 맺어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오고 있음. 2024년 3월 3일 산둥성통계국(山 省 局)은 「2023년 산둥성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 공보(2023年山 省 民 和社 展 公 )」를 발표함. 공보에 따르면 2023년 산둥성의 GDP는 9조 2,068.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했음. - 산업구조별 생산 규모는 1차 산업이 6,506.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5% 감소했고, 2차 산업 3조 5,987.9억 위안으로 6.5% 증가, 3차 산업 4조 9,574.6억 위안으로 5.8% 증가했음. - 산업구조 비중은 7.1 : 39.1 : 53.8로 3차 산업 비중이 가장 높음. 신산업과 신형 비즈니스 모델의 빠른 성장이 나타나고 있음. 일정 규모 이상의 산업 중 첨단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5.6% 증가하며 전체 지정 규모 이상의 산업 부가가치 중 9.7%를 차지했음. - 장비 제조업 부가가치는 9.7% 증가하여 22.8% 비중을 기록했고,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1만 3,184대로 9.7% 증가, 태양전지 생산량은 45만 5,000kW로 5.8% 증가했음. - 현대 서비스 산업의 부가가치는 2조 5,268.5억 위안으로 5.4% 증가했음. - 전자상거래 거래액은 3조 3,290.3억 위안으로 6.8% 증가했음. 산둥성 지역 균형발전이 안정적으로 추진되고 있음. - 성회(省 ), 자오둥( ), 루난( 南) 3대 경제권의 지역총생산은 각각 3조 4,392.6억 위안, 3조 9,433.2억 위안, 1조 8,242.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각각 6.0%, 5.9%, 6.4% 증가했음. - 산둥성 경제 성장 기여율은 각각 37.3%, 41.4%, 21.3%로 나타났음. 산둥의 최대 지역인 지난, 칭다오, 옌타이의 지역총생산 합산 규모는 3조 8,680.2억 위안으로 성 전체 경제 성장 기여율의 42.0%를 차지했음. <출처: “2023年山 省 民 和社 展 公 ” 山 省 局. 2024. 3. 3.>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