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글로벌 국가 발전 동력 지수: 중국 세계 2위
2024년 11월 20일, 제2회 ‘글로벌 남방(全球南方) 싱크탱크 대화’에서 중국 푸단대학교 발전연구원( 旦大 展 究院)은 「글로벌 국가 발전 동력 지수 1990-2023(全球 家 展 力指 1990-2023)」 연구 보고서를 발표함. - 브라질, 러시아,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등 100여 개 신흥 시장 및 개발도상국에서 온 싱크탱크, 정당 대표, 정부 부처, 대학, 연구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함. 푸단대학교 발전연구원은 2021년 ‘국가 발전 동력’ 개념과 이론을 처음으로 제안하며, 국가 발전 촉진과 국가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에 중점을 둠. - 지속력, 활력, 생산력, 발전력, 혁신력 등 5가지 주요 동력과 37개 세부 지표를 기반으로 1990년부터 2023년까지 44개 국가의 발전 동력 지수 변화를 연구함. - 「글로벌 발전 동력 지수 1990-2023」은 ‘글로벌 남방’ 국가 간 협력과 이론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됨. 44개 국가의 국가 발전 동력 지수는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보였으나 성장 속도와 변화 규모는 국가마다 큰 차이를 보임. - 선진국의 지수는 안정적으로 증가하며 특히 활력과 지속력 측면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이룸. - 동아시아 대다수 국가는 지수 상승폭이 컸으나, 일부 개발도상국은 생산력 향상에서 이점을 보였음에도 종합 동력 지수 상승 속도는 느리게 나타남. 지리적 관점에서 남반구와 북반구에 위치한 각국의 혁신력 지수 변화가 뚜렷하게 대비됨. 중국은 지난 30년 동안 국가 발전 동력이 지속해서 성장했으며 상승 폭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보임. - 중국의 국가 발전 동력 지수 순위는 1990년 24위에서 꾸준히 상승해 2020년 세계 2위에 도달한 뒤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 특히 2012년 이후 중국의 국가 발전 동력 지수는 혁신력과 활력에서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으며, 생산력, 발전력, 지속력 등에서도 높은 수준을 기록함. <출처: “《全球 家 展 力指 1990-2023》 告成果 亮相第二 “全球南方”智 ” 旦 展 究院. 2024. 11. 20.>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4년 중국 도시 과학기술 혁신 경쟁력
2024년 11월 6일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中 子信息 展 究院)은 제12회 중국(�x양) 과학기술도시 국제과학기술박람회 (第十二 中 ( )科技城 科技博 ) 개막식에서 「2024 중국 도시 과학기술 혁신 경쟁력 연구 보고서(2024中 城市科技 新 力 究)」를 발표함. 2024년 중국 도시 과학기술 혁신 경쟁력 100대 도시 평균 점수는 61.4점으로, 2023년 대비 1.7점 상승함. - 상위 10개 도시는 선전(深 ), 광저우( 州), 쑤저우( 州), 항저우(杭州), 우한(武 ), 난징(南京), 허페이(合肥), 청두(成都), 시안(西安), 닝보( 波)로 선정됨. 2024년 100대 과학기술 혁신 도시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화동 지역에 48개 도시가 포함되었으며, 평균 점수는 62.3점으로 2021년 100대 목록 대비 2개 도시가 새롭게 포함됨. - 화북 지역은 과학기술 투자를 확대하며 2021년 대비 3개 도시 추가 진입함. - 중남 지역은 28개 도시가 포함되었으며, 화북, 서남, 서북, 동북 지역은 각각 7개 이하 도시만 포함됨. 2024년 성(省)별 100대 과학기술 혁신 도시는 2021년 대비 산둥(山 ), 저장(浙江), 광둥( ), 후베이(湖北), 허베이(河北), 푸젠(福建) 등의 지역에서 포함된 도시 수가 증가함. - 산둥성은 3개 도시가 새롭게 포함되며 두드러진 성과를 기록함. - 장쑤, 산둥, 저장, 광둥이 여전히 지역 과학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함. 100대 도시 중 장쑤성은 13개 지급시(地 市)가 포함되어 가장 많은 도시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함. - 그 뒤로 광둥성, 저장성, 산둥성이 각각 10개, 9개, 8개 지급시가 진입함. - 광둥성의 평균 점수는 70.7점으로 가장 높으며, 100대 도시 중 유일하게 평균 점수가 70점을 초과함. 대부분의 성회 도시가 100대 순위에 포함되었으며, 평균 점수는 66.2점으로 전체 평균(61.4점)보다 4.8점 높음. - 이는 성회 도시가 과학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음을 나타내며 향후 지역 간 과학기술 자원의 집중과 효율적 배분 가능성을 시사함. <출처: “城市 新力百强:江 13城全入 ,深 、 州高新技 企 最多|言 知新” 第一 . 2024.11. 2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대학・전공 선택과 진로
2024년 11월 21일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第一 )과 창장삼각주 국가기술 혁신센터( 三角 家技 新中心)는 공동으로 「당신의 대학은 직장과 얼마나 “먼”가요?( 的大 多“ ”?)」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함. - 고등학생부터 직장인을 대상으로 학부 교육, 취업 압박, 취업 환경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고 교육, 과학기술, 인재의 융합 발전 촉진 방안을 모색함. 전통적으로 대학의 종합적인 역량, 명성, 위치는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중요한 고려 요소로 작용함. - 그러나 사회가 다변화되고 수요 변화에 따라 대학 선택 시 전공의 발전 전망, 교과 과정, 교수진 수준 및 개인의 흥미와 특기를 더욱 심층적으로 고려하는 추세가 뚜렷해짐. - 조사 결과에 따르면 ‘좋은 전공’을 더 중시하는 비율이 34.73%에서 50%로 상승함. - 이는 개인의 흥미, 능력, 직업 계획, 사회 발전 추세 등 다양한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됨. 자신이 지원한 대학 전공에 불만족한 응답자 중 88.24%는 전공이 자신의 흥미와 일치하지 않음을 이유로 꼽음. - 이 밖에 전공의 고용 불안정 58.82%, 어쩔 수 없이 선택 35.29% 등으로 조사됨. 경쟁이 치열한 취업 시장에서 전공의 발전 전망은 학생들의 미래 직업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전공은 금융·경제학이며, 그 뒤를 이어 인공지능, 이과 계열, 신문학, 사범 계열, 의학, 법학, 공학, 자동차 공학, 외국어 순으로 나타남. 대학 지원 결정에는 수능 점수와 정책 등 객관적 요인이 핵심적인 역할을 함. - 또한, 사회적 인기, 급여 수준, 개인의 흥미·특기, 부모나 교사 등 장년층 의견도 영향을 미침. 학생들은 전공 선택 시 흥미와 사회 발전 추세뿐만 아니라 교과 과정 구성과 교수진 역량에도 큰 관심을 보임. - 59.67%의 공학 계열 졸업생이 학부 전공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함. - 이는 학교에서 배운 내용이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되지 않고, 이론 중심의 기존 교육 방식과 산학 협력 부족 때문일 가능성을 시사함. 합리적인 교과 과정 구성은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지식 체계 구축, 전문 기술 습득, 종합적 소양 향상에 도움을 줌. - 또한, 기업의 실제 문제를 직접 접하고, 사회적 요구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실습 교육과 창의력 배양에 중점을 두어야 함. 대학생의 70%가 졸업 후 명확한 진로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함. - 대학 재학 중 미래 직업에 대한 계획 부족, 자신의 흥미·능력·목표 인식 부족 때문인 경우가 많음. - 취업 지도 부족으로 학생들이 혼란과 막막함을 느끼며 적합한 직업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출처: “ :超50%工科生不 意所 , 融合如何破局?” 第一 . 2024.11. 2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4년 중국 광군제 화장품 소비 규모 증가
중국 국가통계국( 家 局)이 발표한 2024년 10월 사회소비품 소매 총액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10월 중국 화장품 소매 총액은 3,563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 증가함. - 10월 한 달간 화장품 소매액은 46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1% 급증하며 4개월 연속 감소세를 극복함. - 10월은 매년 화장품 판매량이 높은 시기로 “광군제( 11, 11월 11일,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 대규모 프로모션의 영향임. 2020년부터 2024년까지 10월 화장품 소매액 추이를 살펴보면, 2022년을 제외하고 대체로 성장세를 유지함. - 2020년을 제외 한 모든 해에서 10월 소매액은 모두 300억 위안을 초과함. - 2024년 10월 소매액은 400억 위안을 돌파하며 최근 3년간 최고 증가율을 기록함. 광군제는 브랜드 성장의 중요한 기회로 사전 예약 판매를 통해 매출을 조기에 달성하는데 목표를 세움. - 2024년 광군제는 이례적으로 긴 기간(10월 초~11월 중순) 진행됨. - 개인 미용 및 화장품 카테고리는 전년 대비 22.5% 성장함. 뷰티 전자상거래 주요 플랫폼인 티몰(天猫)의 데이터에 따르면, 광군제 기간 79개 뷰티 브랜드가 매출 1억 위안을 돌파함. - 글로벌 브랜드: 라메르(La Mer), 헬레나 루빈스타인(Helena Rubinstein), CPB 등은 전년 대비 50% 이상 성장 - 중국 국산 브랜드: Proya(珀 雅), Shuangmei( 妹)는 약 200% 성장 - 신흥 브랜드: Zhubia( ), Aikeman( 科 )은 500% 이상 성장 - 기타 브랜드: Runpei( 培), Pofyrian(珀芙 )은 100% 이상 성장 전자상거래 플랫폼 틱톡( 音) 데이터에 따르면, 광군제 시작 후 10월 15일까지 뷰티 산업 전체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약 75% 증가함. 2024년 10월 화장품 소매액 규모는 최근 5년 중 최고 기록이며, 3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함. - 그러나 이러한 단기적인 성과는 광군제의 영향이 크며,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됨. - 2024년 5월에는 화장품 소매액이 406억 위안으로 18.7% 증가하며 월간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6월부터 4개월 연속 하락하며 성장세가 꺾였던 전례가 있음.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회복이 반드시 장기 성장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수 있음을 경고함. - 화장품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소비자 신뢰 회복. 브랜드의 차별화된 전략, 경제 불확실성 극복 등 노력이 필요함. <출처: “猛增40%!化 品公司 “ 11”回血了” 第一 . 2024.11. 18.>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중국 입국 관광 기간과 관광 지역
▣ 관광 기간 중국 입국 관광객의 체류 기간은 7일 이상으로 장기화하면서 심층 관광 수요가 확대되었음. - 2019년과 비교해 보면, 2023~2024년 중국에서 1주일 이상 체류하는 입국 관광객의 비중이 증가했음. 유럽, 미국, 오세아니아 국가의 장거리 여행객은 이동 거리가 멀기 때문에, 72%가 중국에서 1주일 이상 체류하며 관광을 즐김. - 유럽 지역 중에서는 영국과 네덜란드 여행객의 증가세가 특히 두드러졌음. 아시아 관광객의 경우, 주로 1주일 이내의 관광을 선호함. - 아시아 관광객 중 1주일 이상 체류 비중은 43%임. - 그러나 일본인 관광객의 경우, 장기 관광 선호도가 증가함. ▣ 관광 지역 2024년 4월 기준, 중국 입국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은 10대 인기 지역은 전통적인 1선 도시인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과 함께 새로운 1선 도시인 항저우, 청두, 샤먼, 충칭, 쑤저우, 시안이 포함됨. - 미국, 영국 등 장거리 여행객은 주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전통적인 1선 도시를 선호함. - 홍콩 관광객은 교통이 점차 편리해지면서 선전, 광저우, 푸젠 진장 등 중국 남동부 해안 지역 방문이 증가함. 충칭과 쓰촨 지역은 2024년 들어 순위가 상승하였으며, 특히 충칭은 5계단 상승하여 10대 인기 도시에 진입했음. - 최근 입국 관광객은 중국 전통 1선 도시 외의 다양한 지역에 큰 관심을 보임. 장자제( 家界)는 자연경관으로 큰 인기를 끌며, 2024년 입국 관광 소비가 2023년 같은 기간의 160배에 달했음. - 특히 한국 관광객이 장자제를 선호하며, 2024년 1~4월 장자제의 외국인 관광객 중 80%가 한국인으로 집계됨. - 입국 관광객들은 중국의 다양한 도시 문화와 자연경관을 적극적으로 탐방하려는 경향이 뚜렷해짐. 2024년 1~2월 겨울철, 하얼빈이 처음으로 인기 도시 10위 내에 진입함. 핫플레이스 지역에 대한 입국 관광객의 높은 관심은 젊은 층의 비중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 - 입국 관광객들은 SNS의 여행 트렌드를 따라 중국에서 새롭고 독특한 여행 경험을 즐기고자 함. <출처: World Tourism Alliance·Mastercard·携程· 集 (2024), 「2023-2024跨境旅游消 究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중국 입국 관광객 국가와 연령대
▣ 입국 관광객 국가 온라인 여행 플랫폼 Ctrip의 예약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중국 입국 관광객 주요 국가는 일본, 말레이시아, 한국, 미국, 호주, 영국, 태국, 베트남, 캐나다 순으로 나타남. - 동남아시아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관광객 수가 지속해서 급증했음. 유럽 관광객도 강한 회복세를 보이며,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에서의 입국 관광객 수는 2024년 1~4월 기준 2023년 동기 대비 약 4배 증가함. - 중동, 미주, 오세아니아에서의 관광 수요는 단기적으로 지속적인 회복세를 보임. 지역별 회복 속도와 변화에는 차이가 있지만, 입국 관광 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회복되고 있음. ▣ 연령대 2023년 5월~2024년 4월 중국 입국 관광객의 연령대 비중은 19세 이하 9.4%, 20~24세 3.7%, 25~34세 21.8%, 35~54세 49.7%, 55세 이상 15.5%로 나타남. - 35~54세 중년층은 전체 입국 관광객의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며, 코로나 이전과 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 20~35세 젊은 층 관광객 비중은 코로나 이전 대비 9% 증가했으며, 이는 입국 관광객의 연령대가 더욱 젊어지고 있음을 보여줌. 젊은 층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국가는 이탈리아, 프랑스, 일본, 베트남으로 나타남. - 태국과 영국은 상위 10대 입국 국가 중에서 젊은 층 비중이 가장 높은 특징을 보임. - 홍콩 관광객은 19세 이하 청소년의 비중이 가장 높아, 타국 대비 청소년 관광 수요가 두드러지게 나타남. <출처: World Tourism Alliance·Mastercard·携程· 集 (2024), 「2023-2024跨境旅游消 究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중국 입국 관광시장 규모와 무비자 정책
▣ 관광시장 회복 2023년 초부터 해외 관광객의 중국 방문 의향이 뚜렷하게 회복되었음. - 2023년 전국 이민 관리 기관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출입국 인원은 2019년의 67% 수준으로 회복되었음. 2023년 4분기에는 중국 입국 인원이 2019년 4분기 대비 86%까지 회복되었음. - 특히 홍콩·마카오·대만 시장의 회복 속도는 국제 시장보다 빠르게 진행되었음. 중국 입국 관광객 수는 여전히 회복 여력이 크며, 향후 시장 신뢰와 소비 수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음. ▣ 중국 무비자 정책 2023년 4분기 비자 정책 완화 이후, 2024년 1분기 외국인의 무비자 입국 인원은 2023년 1분기의 3배 수준에 도달했음. - 중국 정부는 무비자 정책 확대와 비자 절차 간소화를 통해 외국인 관광객의 입국 의향을 크게 높였음. 2024년 11월 중국 외교부는 정례 언론브리핑을 통해 중국의 비자 면제 협정 대상국 확대를 발표함. - 대상국 한국, 일본,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싱가포르, 태국, 스위스, 호주, 뉴질랜드, 핀란드, 아일랜드, 모나코 등 38개 국가로 2025년 12월 31일까지 시범 적용될 예정임. - 비자 면제 협정 체결국 국민은 일반 여권으로 비즈니스, 관광, 가족 방문, 방문 및 경유를 목적으로 별도의 비자 신청 없이 30일간 중국에 체류할 수 있음. 중국의 지속적인 대외 개방 확대와 협력 강화는 입국 관광 시장 활성화에 중요한 신호를 보내고 있음. - 향후 입국 절차 간소화와 편리성이 더욱 개선됨에 따라, 입국 관광 시장은 더 큰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출처: World Tourism Alliance·Mastercard·携程· 集 (2024), 「2023-2024跨境旅游消 究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세계와 중국 관광시장 회복
2024년 7월 3일 세계여행연맹(World Tourism Alliance), 마스터카드(Mastercard), Ctrip(携程), 앤트그룹( 集 )은 공동으로 「2023-2024년 국경 간 관광 소비 트렌드 연구 보고서(2023-2024跨境旅游消 究 告)」를 발표함. 2023년 세계 여행 시장은 팬데믹 이후 점진적으로 회복되며 전반적인 성장을 보였음. 국제 관광객 수는 2019년 대비 약 80~90% 수준까지 회복되었으며, 유럽과 아시아 지역이 회복의 중심 역할을 담당했음. - 특히 유럽은 국제 관광객 수와 관광 수입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가장 빠르게 회복한 지역으로 평가됨. - 아시아 지역은 각국의 입출국 제한이 해제되면서 관광 시장이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음. 중국의 출입국 관광 시장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근접하며 빠른 회복세를 보임. 2024년 1분기 출입국 관광객 총수는 1.41억 명에 달했으며,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83% 수준임. 2023년 대비 출입국 관광객 수는 70.5% 증가했음. - 2024년 원단(새해 연휴) 기간 일 평균 출입국 인원수는 이미 2019년 동기 수준으로 회복되었음. 홍콩·마카오·대만 통행증 발급량은 팬데믹 이전의 114% 수준에 도달하여 단거리 여행 목적지의 강한 회복세를 나타냈음. <출처: World Tourism Alliance·Mastercard·携程· 集 (2024), 「2023-2024跨境旅游消 究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광둥성 수출입과 투자
▣ 수출입 2023년 광둥성의 화물 수출입 총액은 8조 3,040.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0.3% 증가했으며, 그중 수출은 5조 4,386.5억 위안으로 2.5% 증가, 수입은 2조 8,654.2억 위안으로 3.6% 감소함. - 무역수지는 2조 5,732.3억 위안 흑자로, 전년 대비 2,191.5억 위안 증가했음. 일대일로 관련 국가와의 교역액은 3조 403.5억 위안으로 1.0% 증가함. 2023년 광둥성의 가공무역은 수출 1조 2,857.9억 위안, 수입 6,55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각각 –8.7%, -12.2% 감소했음. - 민영기업의 수출과 수입은 각각 전년 대비 8.3%, 1.3% 증가했음. 광둥성의 최대 수출국은 홍콩으로 2023년 1조 137.9억 위안의 수출액을 기록했고, 미국, ASEAN, EU, 일본, 한국 순으로 나타남. - 수입 규모는 ASEAN이 5,833.7억 위안, 대만 5,434.4억 위안으로 1, 2위를 차지했음. ▣ 투자 2023년 광둥성에서는 신규 외국인 직접 투자(FDI) 기업이 21,685개로 전년 대비 62.3% 증가했음. - 실제 외국인 투자액은 1,591.6억 위안으로 12.5% 감소했으며, 이 중 일대일로 국가에서의 투자 신규 기업은 5,055개로 134.6% 증가, 투자액은 230.19억 위안으로 181.2% 증가함. 해외 신규 직접 투자(ODI) 규모는 238.32억 달러로 8.0% 증가했고, 그중 해외 건설 계약 매출은 144.6억 달러로 10.8% 증가했으며, 연말 기준 해외 인력은 6.93만 명임. <출처: 省 局(2024), 「2023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광둥성 소비와 주민 소득 수준
2023년 광둥성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0.4% 상승했음. - 항목별로는 교육·문화·오락 2.7%, 기타 용품 및 서비스 2.3%, 의류 1.8%, 식품·주류·담배 1.4%, 의료보건 0.4% 상승함. - 반면, 교통·통신은 2.3%, 주거는 0.5%, 생활용품 및 서비스는 0.1% 하락함. - 산업 생산자 출하 가격은 1.5%, 구매 가격은 2.4%, 농산물 생산자 가격은 2.0% 하락했음. ▣ 소비 2023년 광둥성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4조 7,494.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으며, 도시와 농촌의 사회소비품판매액은 각각 4조 1,385.8억 위안, 6,109억 위안으로 5.3%, 9.2%씩 증가함. - 소비 형태별로는 상품 판매액이 4조 1,731.4억 위안으로 3.5% 증가했고, 외식업 수입은 5,763.4억 위안으로 26.5% 증가했음. - 품목별 판매액 증가율은 곡물·식품·음료·담배 8.2%, 의류·신발·섬유제품 10.3%, 화장품 15.9%, 금은보석 5.3%, 생활용품 1.2%, 체육·오락 용품 14.3%, 가전·음향기기는 3.7% 증가했으나, 문화·사무용품, 건축·인테리어 자재, 자동차는 각각 5.4%, 14.4%, 2.7% 감소했음. ▣ 주민소득 2023년 광둥성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49,327위안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음. - 도시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59,307위안으로 4.2% 증가, 농촌 주민은 25,142위안으로 6.5% 증가함. 2023년 광둥성의 1인당 소비 지출은 34,331위안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음. - 광둥성 주민의 엥겔지수는 32.4%로 전년 대비 1.9%p 하락했으며, 도시 엥겔지수는 31.2%, 농촌은 37.6%로 집계됨. - 소비 품목별 지출 비중은 식료품이 32.4%로 가장 높고, 주거비 지출이 25.8%, 교통·통신 14.2% 순으로 나타남. <출처: 省 局(2024), 「2023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