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2023년 광둥성 산업구조
2023년 광둥성의 산업구조별 생산 규모는 1차 산업이 5,540.7억 위안으로 4.8% 증가, 2차 산업은 5조 4,437.3억 위안으로 4.8% 증가, 3차 산업은 7조 5,695.2억 위안으로 4.7% 증가했음. - 산업구조 비중은 4.1 : 40.1 : 55.8로 3차 산업 비중이 가장 높음. ▣ 제조업 2023년 광둥성의 공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4.4% 증가했음. - 규모 이상 공업 부가가치는 4.4% 증가했고, 경공업은 0.6%, 중공업은 6.3% 성장했음. -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은 5.6%, 중견기업은 4.4%, 중소·영세 기업은 2.7% 증가함. 2023년 광둥성의 첨단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6.1% 증가해 규모 이상 산업 부가가치의 55.7%를 차지했음. - 전자·통신장비는 6.1%, 항공·우주 장비는 31.5% 증가했으나, 의약, 컴퓨터·사무기기, 의료기기 및 계측기, 정보화학품은 각각 1.5%, 14.0%, 7.6%, 29.8% 감소함. 장비 제조업의 전기기계는 9.5%, 컴퓨터·통신·기타 전자 장비는 3.6%, 자동차는 11.2% 성장했음. ▣ 서비스업 2023년 광둥성의 도소매업 부가가치는 1조 3,174.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9%, 교통·운송·창고·우편업은 4,847.7억 위안으로 9.9%, 숙박·요식업은 2,073.9억 위안으로 10.1% 증가함. - 금융업 부가가치는 1조 2,418.8억 위안으로 7.1% 증가, 부동산업 부가가치는 1조 545.7억 위안으로 1.6% 감소함. 광둥성의 부동산업은 중국 전체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동산 개발 투자가 전년 대비 10% 감소했고, 신규 건축 면적은 19.4% 감소했음. 규모 이상 서비스업 기업 매출은 5조 205.1억 위안으로 8.1% 증가, 총이익은 6,192.7억 위안으로 30.9% 증가함. 광둥성의 도농 균형 발전은 안정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동부는 5.0%, 서부는 3.4%, 북부는 4.6%의 GDP 증가율을 기록했음. <출처: 省 局(2024), 「2023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광둥성 GDP 규모와 인구
중국 광둥성은 중국 내 최대 경제 규모 지역으로 첨단 제조업 및 신흥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교통 인프라와 무역항이 발달해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음. - 주요 도시인 광저우, 선전은 글로벌 비즈니스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인천은 광저우시와 2013년 12월 6일 우호 협력 관계를 체결하였음. 2024년 3월 29일 광둥성통계국( 省 局)은 「2023년 광둥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 공보(2023年 民 和社 展 公 )」를 발표함. 공보에 따르면 2023년 광둥성의 GDP는 13조 5,673.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음. -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10만 6,986위안(약 1만 5,182달러)으로 4.7% 증가했음. 2023년 말 광둥성의 상주인구는 1억 2,706만 명으로 전년 대비 49만 명 증가했음. - 도시 상주인구는 9,583만 명으로 전체 상주인구의 75.42%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0.63%p 상승했음. - 연간 출생 인구는 103만 명으로 출생률 8.12‰, 사망 인구는 68만 명으로 사망률 5.36‰, 자연 증가 인구는 35만 명으로 자연 증가율 2.76‰를 기록했음. 2023년 광둥성에서는 도시 신규 취업자가 139.31만 명에 달했으며, 연간 평균 도시 실업률은 5.3%로 집계됐음. <출처: 省 局(2024), 「2023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중국-러시아 관계와 미국 핵심 이익에 대한 위협
“ 중국 - 러시아 관계와 미국 핵심 이익에 대한 위협 ” “The China-Russia relationship and threats to vital US interests” 저자 Patricia M. Kim, Asli Aydnta ba , Angela Stent, and Tara Varma 발행기관 미국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 발행일 2024-12-16 출처 바로가기 2024년 12월 16일, 미국 브루킹스연구소는 “The China-Russia relationship and threats to vital US interests"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며, 중국과 러시아의 협력 관계가 미국의 핵심 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보고서는 중국과 러시아가 권위주의적 통치를 강화하고 서구 중심의 국제 질서를 재편하려는 공통된 목표를 공유하며, 이를 위해 경제, 군사, 외교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양국의 군사적 협력은 미국의 군사적 우위를 약화시키고, 동아시아와 유럽 지역에서 긴장을 고조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두 나라가 협력을 통해 미국의 제재 효과를 줄이고, 글로벌 경제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킨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는 정보 통제와 감시 기술을 공유하며 권위주의적 통치를 더욱 강화하고 있는데, 이는 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미국의 핵심 가치를 위협하며,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의 후퇴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경고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은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중국과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기 위한 종합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전략을 위해 경제 제재의 효과성을 높이고, 군사적 억지력을 강화하며, 민주주의와 인권을 지지하는 국제적 연대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홈 > 최신중국동향 -
범용 인공지능 선두 확보 : 수출 규제, 기술 격차, 중국의 대응 전략
“범용 인공지능 선두 확보 : 수출 규제, 기술 격차, 중국의 대응 전략” “Securing the AGI Laurel:Export Controls, the Compute Gap, and China’s Counterstrategy” 저자 Barath Harithas 발행 기관 미국 전략국제연구센터(CSIS) 발행일 2024-12-20 출처 바로가기 2024년 12월 20일, 미국 전략국제연구센터는 “Securing the AGI Laurel: Export Controls, the Compute Gap, and China’s Counterstrategy”를 통해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가 인공지능(AI) 기술 경 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핵심 전략임을 분석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수출 통제가 단순히 반도체 공급을 제한하는 것을 넘어, 첨단 AI 시스템 개발에 필수적인 컴퓨팅 자원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차단하고, 미국이 보유한 컴퓨팅 자원의 격차를 확대하려는 목표를 담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미국은 자국이 강점을 보유한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활용해 범용 인공지능(AGI) 기술 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유지하려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에 대응하여 중국은 GPU 자원의 중앙 집중화, 새로운 기술 경로의 탐색, 그리고 정보 불투명성 활용 등의 방안을 통해 컴퓨팅 자원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AI 기술 발전과 함께 컴퓨팅 자원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중국의 전략은 장기적인 한계를 드러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보고서는 지적했다. 미국의 수출 통제가 단기적으로는 중국의 AI 기술 개발 속도를 둔화시킬 수 있지만, 보고서는 중국이 기술적 돌파구를 마련하거나,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기술 경쟁의 판도를 바꿀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보고서는 국제 기술 경쟁에서 지속적인 전략적 준비와 정교한 정책 설계가 필수적임을 강조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미래 기술 경쟁의 승패를 결정짓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홈 > 최신중국동향 -
중국의 AI 미래 : 지정학, 컴퓨팅, 전력 확보를 위한 노력
“중국의 AI 미래 : 지정학, 컴퓨팅, 전력 확보를 위한 노력” “China’s AI future in a quest for geopolitical, computing and electric power?” 저자 Rebecca Arcesati 발행 기관 독일 메르카토르 중국연구소(MERICS ) 발행일 2024-12-18 출처 바로가기 2024년 12월 18일, 독일 메르카토르 중국연구소는 “China’s AI future in a quest for geopolitical, computing and electric power?”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며, 중국의 인공지능(AI) 전략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AI를 경제 성장과 군사력 증강, 그리고 공산당의 통치 강화를 위한 핵심 기술로 삼아, 이를 통해 선진국을 넘어 세계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려는 목표를 추구하고 있다. 중국은 AI를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업과 같은 기존 산업을 혁신하려 하고 있지만, 기술 확산의 한계, 전문 인력 부족, 그리고 높은 청년 실업률과 같은 구조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또한 AI 기술은 데이터 센터 같은 기반 시설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며, 이는 중국의 기후 목표 달성을 어렵게 하고, 석탄 의존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가 중국의 AI 개발에 추가적인 어려움을 주고 있다. 첨단 반도체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중국은 상대적으로 성능이 낮고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칩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고 성능 저하 문제를 겪고 있다. 이런 제약 속에서도, 일부 중국 연구소는 뉴로모픽(Neuromorphic) 기술을 개발하며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뉴로모픽 기술은 인간의 뇌 구조를 본떠 적은 에너지로 AI 시스템을 운영하는 기술로, 에너지 효율성과 성능 향상을 동시에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이 AI 경쟁의 중심 기술로 자리 잡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미국과 함께 AI 분야에서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으며, 기술 발전과 함께 지정학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글로벌 기술 및 경제 질서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홈 > 최신중국동향 -
미중 관세전쟁 동안 미국으로의 수출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을 증가시키는가?
“미중 관세전쟁 동안 미국으로의 수출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을 증가시키는가?” “Do Exports to the US Increase Imports from China during the US–China Tariff War?” 저자 Kazunobu Hayakawa 발행 기관 일본 무역진흥공사(JETRO) 발행일 2024-12-10 출처 바로가기 2024년 12월 10일, 일본 무역진흥공사 산하 개발경제연구소(IDE)는 “Do Exports to the US Increase Imports from China during the US–China Tariff War?”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하며, 미중 관세전쟁이 무역 흐름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미중 관세전쟁 기간 미국 시장에서 무역전환 효과를 경험한 국가들이 중국으로부터 중간재와 원자재 수입을 늘렸는지에 주목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그리고 멕시코를 대상으로 일반 기계 및 전자 기계 산업의 무역 흐름을 조사한 결과, 대만, 말레이시아, 태국이 미국 시장에서 무역전환 효과를 경험했으며, 그중 태국은 중국으로부터 중간재와 원자재 수입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태국의 경우 이러한 증가는 기존에 거래하던 품목의 수입량이 크게 늘어난 데서 두드러졌다. 반면, 대만과 말레이시아도 무역전환 효과는 있었지만 중국으로부터의 중간재·원자재 수입은 증가하지 않았다. 보고서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인상이 오히려 중국의 세계 수출 규모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했으며, 최종재 수출은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중국은 미중 관세전쟁에도 불구하고 중간재와 원자재 수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했으며, 이는 중국의 강력한 글로벌 공급망이 관세 충격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정학적 긴장이 무역 패턴을 어떻게 바꾸는가 : 지경학적 분절화인가, 아니면 중국의 대규모 제조업 확장인가?
“지정학적 긴장이 무역 패턴을 어떻게 바꾸는가 : 지경학적 분절화인가, 아니면 중국의 대규모 제조업 확장인가?” “How Geopolitical Tensions Reshape Trade Patterns:Geoeconomic Fragmentation, or China’s Big Manufacturing Push?” 저자 Sébastien Jean 발행 기관 프랑스 국제관계연구소(IFRI) 발행일 2024-12-16 출처 바로가기 2024년 12월 16일, 프랑스 국제관계연구소는 “How Geopolitical Tensions Reshape Trade Patterns: Geoeconomic Fragmentation, or China’s Big Manufacturing Push?”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며, 지정학적 긴장이 국제 무역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국제 무역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경학적 분절화(Geoeconomic Fragmentation)"가 실제 무역 변화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평가하며 국제 무역 구조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했다. 프랑스 국립예술산업대학의 세바스티앙 장(Sébastien Jean) 교수는 지정학적 긴장이 특정 "핫스팟"에서만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대표적으로 러시아의 대외 무역과 미국-중국 간 교역이 이에 해당하며, 이 사례를 제외하면 지정학적 긴장이 국제 무역 흐름을 구조적으로 재편했다는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보고서는 2023년 이후 중국 제조업의 무역 흑자가 급증한 현상에 주목하며, 이를 중국의 제조업 중심 경제 전략과 공급 측면 지원 정책과 연결 지었다. 이러한 정책이 중국의 국제 무역 구조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보고서는 지정학적 긴장이 국제 무역에 미친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경제적 효율성이 여전히 글로벌 무역의 핵심 동력임을 시사했다. 그러나 지정학적 긴장은 국제 협력과 경제적 조정에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정책 대응과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홈 > 최신중국동향 -
기술 제재가 기업 연구개발에 미치는 영향 : 미중 무역 분쟁 사례 분석
“기술 제재가 기업 연구개발에 미치는 영향 : 미중 무역 분쟁 사례 분석” “Technology Sanction and Firm R&D: Evidence From the US-China Trade Dispute” 저자 Kazunobu Hayakawa, Chih-hai Yang 발행 기관 일본 무역진흥공사(JETRO) 발행일 2025년 1월 출처 바로가기 2025년 1월 일본 무역진흥공사 산하 개발경제연구소(IDE)는 “Technology Sanction and Firm R&D: Evidence From the US-China Trade Dispute”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기술 제재가 중국 기업들의 R&D 활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미국은 중국을 대상으로 수출 통제 규정을 시행하며, 다수의 중국 기업을 관심 대상 목록(Entity List)에 포함했다. 이 목록에 포함된 기업에 규제 품목이나 기술을 수출하려면 미국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며, 허가가 거부될 가능성도 있다. 보고서는 이러한 기술 제재가 중국 기업의 R&D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22년까지의 기업 데이터를 활용해 매칭 기법을 적용했다. 분석 결과, 기술 제재는 제재 대상 기업의 총자산을 감소시키는 반면, R&D 투자와 집약도에는 유의미한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가 심사의 엄격성 기준으로 기업을 분류했을 때도 R&D 투자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제재가 덜 엄격한 기업은 재고를 더 많이 축적했으며, 제재가 더 엄격한 기업은 기술 제재에 대응해 정부로부터 추가적인 재정 지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고서는 미국의 기술 제재가 중국 기업들의 R&D 활동을 완전히 억제하지는 못했음을 보여준다. 중국은 정부 보조금과 기업의 전략적 대응을 통해 기술 개발을 지속할 수 있었지만, 제재에 의존하지 않는 독자적 혁신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는 미중 간 기술 경쟁이 단순한 제재의 문제를 넘어, 글로벌 기술 패권을 둘러싼 복잡한 역학을 반영한다.
홈 > 최신중국동향 -
영국-중국 기후 협력을 위한 의제 : 왜 공동 행동이 정치적 도전을 초월할 수 있고 초월해야 하는가?
“영국-중국 기후 협력을 위한 의제 : 왜 공동 행동이 정치적 도전을 초월할 수 있고 초월해야 하는가?” “An agenda for UK–China climate cooperation: Why joint action can and should transcend political challenges” 저자 Chris Aylett, Antony Froggatt and Jiangwen Guo 발행 기관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Chatham House) 발행일 2025년 1월 16일 출처 바로가기 2025년 1월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소(Chatham House)에서 발간한 “Agenda for UK-China Climate Cooperation”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영국과 중국 간의 협력 가능성과 과제를 다루고 있다. 저자들은 기후 변화 문제 해결이 양국 간의 외교적 관계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후 리더십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영국은 청정 기술 배치와 탄소 배출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중국의 성과와 경험에서 배울 점이 많다는 점이 지적된다. 중국은 재생 가능 에너지 개발, 대규모 청정 기술 채택, 기후 적응 전략 등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양국 간 정책 협력의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주요 협력 분야로는 기후변화 위험 평가, 녹색 금융 확대, 탄소 중립 도시 계획 등이 포함된다. 또한, 미국의 국제 기후 행동 축소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영국과 중국이 글로벌 기후 정책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할 잠재력이 강조된다. 이를 통해 양국은 국제사회에서 신뢰와 영향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협력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궁극적으로 보고서는 기후 변화 대응이 영국과 중국 간의 장기적인 협력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양국이 공동으로 재생 가능 에너지 기술과 친환경 산업 발전을 촉진하고, 글로벌 기후 위기 해결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이러한 협력은 단순히 양국의 이익을 넘어 국제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중요한 기회로 평가된다.
홈 > 최신중국동향 -
전략 경쟁 속 미중 협력 증진 : 새로운 실행 방안
“전략 경쟁 속 미중 협력 증진 : 새로운 실행 방안” “Advancing U.S.-China Coordination amid Strategic Competition: An Emerging Playbook” 저자 Ryan Hass, Ryan McElveen, Lily McElwee 발행 기관 미국 전략국제연구센터(CSIS) 발행일 2025년 1월 15일 출처 바로가기 2025년 1월 15일, 미국 전략국제연구센터는 “Advancing U.S.-China Coordination amid Strategic Competition: An Emerging Playbook”을 통해 미국과 중국 간의 전략적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양국이 초국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할 방안을 모색했다. 미국과 중국은 군사, 경제, 기술,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이러한 경쟁 구도는 양국 간 협력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지만, 과거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이 협력했던 사례를 바탕으로 전략적 경쟁 속에서도 양국이 공통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할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연구진은 과거 사례 연구, 워크숍, 비공식 대화(Track 2 Dialogue)를 통해 도출된 교훈을 바탕으로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우선, 양국 간 협력은 상호 이익에 기반한 현실적 필요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과거 소련과의 천연두 퇴치, HIV/AIDS 대응, 에볼라 확산 방지 등의 협력 사례는, 협력이 양국의 국내적·지정학적 목표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을 때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현재 기후변화 대응이 대표적인 협력 분야로 지목된다. 또한 비공식 대화가 공식 대화를 보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비공식 대화를 통해 양국은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협력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화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각국 정부와의 연계, 신뢰 구축, 구체적 의제 설정이 필수적이다. 또한, 회의 장소를 중립적이고 접근성이 좋은 곳으로 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제언한다. 보고서는 미국과 중국이 경쟁과 협력을 병행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해 공통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양국이 협력하지 못할 경우, 전염병, 기후변화, 식량 안보 등 초국가적 문제가 악화할 가능성이 크며, 이는 세계적인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보고서는 경쟁과 협력의 복합적인 시대에 양국이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협력 모델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새로운 사고와 접근법을 제안한다.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