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곡물 수입 증가 추세
최근 중국의 곡물 수입량이 급증하고 있다. 중국은 2003년까지 곡물의 순수출국이었으나, 2004년 들어서 곡물의 수입이 수출을 초과하여 곡물 순수입국으로 전락하였다. 곡물 공급 부족은 곡물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최근 물가 상승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으로는 중국의 인구와 경제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최근 중국의 곡물수입량 급증이 국제 곡물가격에 큰 영향을 미쳐 올해 중국으로부터 발생한 원자재 파동과 같은 중국 발 곡물파동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금리인상 배경과 영향
ㅇ 중국은 지난 29일 대출 및 예금 금리를 각각 0.27%씩 인상. 이는 긴축정책에도 불구하고 과열조짐을 보이는 경기의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보임 ㅇ 금리인상 폭이 적기 때문에 경기과열 억제를 위해서는 금리의 추가인상이 불가피 하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지만, 중국경제가 연착륙에 성공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 또한, 금리인상으로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을 완화시키는 효과도 누릴 전망 ㅇ 금리인상의 폭이 크지 않고, 우리나라의 수출 및 해외투자가 중국 내수보다는 중국에서 임가공후 재수출의 형태가 많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 다만, 중국 현지 금융을 이용하는 해외투자기업업의 경우 조달금리가 높아질 가능성 존재 ㅇ 국제 원자재 가격 안정 등의 긍정적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됨 ㅇ 다만, 과열억제를 위해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상 및 위안화 절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음. 끝.(이상 5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발해,고구려사왜곡의 내용과 문제점
중국의 발해・고구려사 왜곡의 내용과 문제점 ❖ 발표 : 임상선(고구려연구재단 부연구위원) ❖ 토론 : 공석구(한밭대학교 사학과 교수)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철강산업의 현황과 전망
중국 경제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계속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제가 급속히 발달하면서 원자재의 세계 최대 소비국으로 등장했고, 그 결과 최근의 원자재파동에서 보듯이 중국의 원자재 수요변화가 우리나라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중요한 원자재중 하나인 철강의 주요 소비국인 중국 철강산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의 철강산업 현황과 기업간의 경쟁 현황, 정부의 정책 변화, 최근 철강기업의 동향 등을 알아보면서, 우리나라의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Ⅰ. 머리말 Ⅱ. 중국 철강산업 동향 Ⅲ. 중국 철강산업의 경쟁 현황 Ⅳ. 중국의 철강산업 정책 Ⅴ. 전망 및 우리의 대응방안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금리인상의 산업별 영향과 전망
<요약> ㅇ 이번에 중국 정부가 단행한 소폭의 금리인상이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나 추가적인 금리인상 조치가 시행될 것으로 전망되어 이에 대비할 필요 - 세계 주요 금융전문가들은 향후 1년 이내에 중국정부가 인민폐 절하와 함께 금리도 1.0~1.5% 포인트를 추가로 인상할 것으로 예상 ㅇ 최근 중국에 대한 수출과 투자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중국경제의 변화에 대한 노출도가 증대되어 추가 금리인상 시 국내산업에 대한 영향은 다양한 형태로 파급될 전망 - 부정적인 영향:가정용 전자제품, 의류(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최종소비재 수요 둔화), 일반기계(투자심리 위축에 따른 설비투자용 기계류 수요 둔화), 철강, 자동차부품, 석유화학의 일부, 중국 완제품 업체에 수출하는 부품소재업체(최종소비재 수요 둔화에 따른 중간재 수요 위축) - 긍정적인 영향:철강, 화섬소재, 조선, 석유화학(중국의 원자재 수요 둔화에 따른 세계 원자재 공급 부족 완화 및 가격 안정) - 영향 미미:섬유소재, 석유화학(수출용 완제품에 투입되는 중간재를 중국으로 수출하는 우리 업체들은 중국 경기보다는 미국, 일본, EU 등 수입국들의 경기에 영향을 더 받음), 통신기기, 반도체 및 전자부품(경쟁력이 높고 중국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업종)
홈 > 추천연구보고서 -
WTO 섬유 및 의류 쿼터제 폐지에 따른 中國-EU 통상마찰
WTO의 1994년 GATT 섬유의류협정(ATC)에 따라 2004년 12월 31일까지 WTO 회원국간 섬유 및 의류 교역을 제한하는 모든 쿼터제가 폐지됨. 1. 서론 2. 주요내용 3. 결론: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ASEAN과 중국, 2010년까지 관세철폐 합의
요 약 ASEAN과 중국은 양측간 FTA 일환으로 상품에 대한 관세를 2005년부터 인하하거나 철폐하기 시작하여 2010년까지 완전 철폐하기로 합의함. 한편 ASEAN 신규 가입국에 대해서는 2015년까지 관세를 철폐하기로함.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석유소비 급증과 중동진출 동향
1. 머리말 2. 중국의 수급현황과 장기전망 3. 중국의 석유수입과 중동의 역할 4. 중국의 중동 석유확보 노력 5. 맺음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동북지역 진흥전략과 남북한과의 협력전망
제3회 한중일 국제 심포지엄 <중국의 동북3성과 남북한> ■ 第 1主題 : 중국 동북지역 진흥전략과 남북한과의 협력전망 - 徐 文 吉 (중국 길림대학 북한‧한국 연구소 소장) 머리말 Ⅰ . 중국 동북지역 진흥전략과 그 배경 Ⅱ . 중국동북지역의 남북한과의 교류협력 Ⅲ . 새로운 정세하의 중국과 남북한간의 교류협력 전망 결론 ▶ 中国东北振兴战略及其对朝韩合作展望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일본의 관점에서 본 동북3성과 한반도의 교류 전망
제3회 한중일 국제 심포지엄 <중국의 동북3성과 남북한> ■ 第 2主題 : 일본의 관점에서 본 동북3성과 한반도의 교류 전망 - 辻 久 子 (일본 환동해경제연구소(ERINA) 주임연구원) 머리말 Ⅰ . 중국의 동북3성 진흥계획 및 북한의 변화에 대한 전망 Ⅱ . 중국의 동북3성과 북한의 변화가 일본에 미치는 영향 Ⅲ.중국의 동북 3성과 북한의 변화가 동북아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맺음말 ▶ 日本から見た東北3省と朝鮮半島との交流展望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