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陸開放貿易流通經營之商機與挑戰
*經貿講座摘要:大陸開放貿易流通經營之商機與挑戰 참고 http://www.sef.org.tw/html/eco/157/eco.htm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5年大陸經濟發展面臨之問題與挑戰
*2005年大陸經濟發展面臨之問題與挑戰 ; Issues and Challenges Facing the Mainland China Economy in 2005 참고 http://www.sef.org.tw/html/eco/157/eco.htm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 인력난 연안 도시 따라 북상 중
中 인력난 연안 도시 따라 북상 중 - 향후 노동집약형 업종의 투자진출 메리트 감소 전망 - - KOTRA 설문조사 결과 한국기업 기술.생산 인력 부족도 심화 - 지난 2003년에 발생한 사스 및 저임금과 열악한 근무환경 등으로 인해 인력유입의 구조가 바뀌면서 광조우를 중심으로 하는 화남지역에서부터 촉발된 중국의 인력난이 연안 도시를 따라 북상 중에 있다고 KOTRA가 밝혔다. KOTRA는 중국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외자기업의 급증 등의 요인으로 지역적으로는 화남을 비롯한 沿海 경제권, 업종별로는 노동집약형 산업에서의 인력난이 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인력난의 여파는 현지에 진출한 우리나라의 투자기업들에게도 이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의 영향으로 그동안 저임금 노동력을 바탕으로 화남지역의 단순 조립가공 업종에 집중적인 투자를 해온 대만 및 홍콩 기업은 인력부족 문제로 타격을 크게 받고 있으나 주로 고부가가치 업종에 대한 투자가 많은 선진국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고도 경제성장에 따른 인력수급 불균형 발생 저임금 노동력을 배경으로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한 중국이 인력부족이라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농촌지역에 풍부한 잉여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여건으로 인한 근로의욕 감퇴, 경제발전에 따른 인력수요의 증가 등으로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서 지역에 따라서 인력수급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화남에 이어 화동, 동북지역 등지로 확산된 경제발전 지역의 다극화는 인력수요를 크게 높이면서 외지 인력의 취업조건 완화, 최저임금 인상 등 인력유치를 위한 지방정부간 경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일례로, 지난 2월에 베이징市는 외지 인력에 대한 취업제한규정이었던 '외지인력관리조례'를 폐지한 바 있고 절강성은 지난해 말 최저임금을 무려 19.2%나 인상하는 조치를 취하기도 하였다. < 인력부족의 주요 요인 > ■ 저임금 지속과 도시물가 상승 - 생산직 임금은 10년간 600~1,000위안 사이에서 큰 변동이 없으나, 물가상승 (2004년 3.9%상승)과 핸드폰 구매 등 부대비용 증가 ■ 경제발전에 따른 인력수요 지역의 확대 -2004년 중국은 긴축에도 불구하고 9.5% 성장을 기록하는 등 매년 10% 전후한 고도성장 기록 -화동, 환발해, 서북, 동북 등으로 경제발전 확대 ■ 서비스산업 발달에 따른 인력유출 증가 -1979-2003년 기간 서비스업 평균 10% 성장 ■ 학력수준 향상 및 1자녀 정책 -90년대 중반 10% 미만이던 대학 진학률이 2004년 19%로 상승하였고 1973년부터 시행된 산아제한 정책으로 인구증가율이 떨어지고 있음 ■ 단순제조업 등 3D업종 기피 ■ 농촌소득 증가 -2003년부터 시행된 三農(농민,농촌,농업)정책으로 농가소득 향상의 기대감 큰데 실제 2004년 7월의 경우 전년 동기대비 곡물가격이 30%이상 상승함 노동집약형 업종의 투자메리트 감소 전망 이와 같은 인력난의 영향으로 지난해 대부분의 연안 경제권이 최저 임금을 10% 전후로 인상하였고, 복지 개선 등 인력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 특히 빠르게 경제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절강성의 경우 최저 임금을 19.2%나 인상하기도 했다. 이러한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은 개별 기업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데 이에 더하여 인력 이탈 방지를 위해서 기숙사 제공, 여가시설 확보 등 복리개선이 필수조건이 되고 있는 점도 기업운영에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저임금에 기반한 노동집약형 투자진출은 점차 한계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인력수급이 과거 기업중심의 수요자시장에서 노동자들의 선택권이 커진 공급자시장으로 바뀌면서 노동집약형 기업의 인력확보는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따라서 향후 중국 진출을 추진하는 우리 기업은 사전에 현지 인력수급 상황에 대해 철저한 조사와 대책 강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중국의 인력난 심화와 관련, KOTRA 다롄 무역관은 지난 2월 초에 연안 지역에 진출한 우리나라 투자기업 27개사(설문대상 기업 수 196개사, 응답 기업 수 27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및 전화인터뷰를 통해 심화되는 중국 인력난의 영향에 대해 조사한 바 있는데 당시 응답 업체의 60%가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0%가 향후 인력난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분석 내용은 첨부 참조) *첨부 : KOTRA 다롄 무역관 설문조사 분석 결과 1부 /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4年全国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中华人民共和国 2004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2004年,全国各族人民在党中央、国务院的正确领导下,以邓小平理论和“三个代表”重要思想为指导,深入贯彻党的十六大和十六届三中、四中全会精神,全面落实科学发展观,认真贯彻国家加强和改善宏观调控的各项措施,取得了明显成效。经济运行中的不稳定不健康因素得到抑制,农业、基础设施建设和社会事业等方面的薄弱环节得到加强,粮食生产出现重要转机,部分行业投资增长过快的势头得到初步遏制,各项改革稳步推进,对外开放进一步扩大,就业再就业和社会保障工作取得新进展,城乡居民生活继续改善,国民经济保持平稳较快发展,各项社会事业加快发展,较好地实现了国民经济和社会发展的预期目标。 一、综合 二、农业 三、工业和建筑业 四、固定资产投资 五、国内贸易 六、对外经济 七、交通、邮电和旅游 八、金融、证券和保险 九、教育和科学技术 十、文化、卫生和体育 十一、人口、人民生活和社会保障 十二、资源与环境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최근 주식시장 개혁노력 및 향후 전망
中國의 최근 株式市場 改革努力 및 向後 展望 (해외경제정보 제2005-22호) (중국당국 2004년말 이후 주식시장 개혁 대책을 계속 발표) □ 중국 금융당국은 2004년말 이후 주식시장 발전을 위한 일련의 대책을 계속 발표 (최근 조치의 배경) □ 최근 조치는 매수기반 확대를 통한 증시 부양 및 주가 침체의 주 원인인 비유통주 문제의 해결을 위한 단계적 조치의 일환으로 평가 (비유통주 문제의 근본적 해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 □ 최근 증시관련 조치들은 부분적으로 시장의 문제점을 완화시킬 것으로 예상 □ 그러나 중국 주식시장의 정상화를 가로막고 있는 비유통주 문제의 해결은 용이하지 않을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China's Employment Challenges and Strategies after the WTO Accession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3522] ----Abstract---- Although China has made impressive progress in economic development and improving social well-being, it is facing many daunting challenges while transforming toward a knowledge and service-based economy and further opening up to international competition after its WTO accession in the context of knowledge revolution.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is how to create 100‐300 million new jobs in the coming decade to absorb the millions of laid-offs, rural emigrants and newly added labor force. China has been successful in building high-tech parks and ICT industries, but they are limited in terms of employment generation, while most of the traditional labor-intensive industries are losing competitiveness due to low productivity. In order to combat the unprecedented employment challenge, China must implement a systemic and sustained strategy, which may consist of the following policy thrusts: encouraging the private sector; promoting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xpanding the service sector; reforming the state-owned enterprises; strengthen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improving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establishing mass retraining programs.
홈 > 추천연구보고서 -
論日本在華跨國公司R&D投資
*원제명 : 论日本在华跨国公司R&D投资 The Institute of World Economics and Politics (IWEP),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CASS) ; 中国社会科学院世界经济与政治研究所 内容提要:近年来,日本跨国公司步欧美之后开始不断加强在华R&D的投资活动。在国际竞争环境驱动下,日本跨国公司在华R&D投资首先被认为是其海外投资阶段性发展战略的必然,同时也是期全球化R&D投资战略的一环。 在市场需求驱动下, 作为技术换市场的方式之一,日本跨国公司在华R&D投资是弃婴对我国产业政策和市场特点的手段。在获取资源驱动下,包括丰富的人力资本在内的中国技术资源 累是日本跨国公司在华R&D坨子获取利益的必要保障。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国的高投资率问题
The Institute of World Economics and Politics (IWEP),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CASS) ; 中国社会科学院世界经济与政治研究所 원제명 : 中国的高投资率问题 一、中国的高投资率之谜 二、城市化假说 三、城市化与经济波动 四、城市化过程中的财政与金融问题 五、如何看待当前中国经济中的“投资热”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과잉투자 부실채권 비시장적정책 등이 연착륙 위협요인
<요 약> ㅁ 중국경제의 연착륙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경착륙을 우려하는 주장도 병존 ㅁ 과잉 설비투자, 부실채권 증가, 위안화 저평가, 저금리 지속 등이 연착륙 위협 요인 으로 지적됨 ㅁ 중국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 구조조정과 시장지향적 과열 억제 정책 추진이 필요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환경문제, 중국 장기성장에 걸림돌 가능성
<요 약> ㅁ 경제성장 과정에서 수질,대기,토양 오염 등의 문제 심각한 상황 ㅁ 환경문제,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에 장애물로 작용할 가능성 ㅁ 중국당국 환경문제 인식, 그러나 정책실행의지 미약 ㅁ 시사점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