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國制造業分工, 地方專業化及其國際比較
[世界經濟 2004年第12期] *원제명 : 中国制造业分工, 地方专业化及其国际比较 ----内容提要---- 本文计算了中国区域制造业分工指数及其变化率,并将其与美国・欧盟进行了比 较。本文的基本结论是:在一定的空间范围内,产业分工与地理距离有关,地理位置靠近,空间距离 较短的区域之间,其产业同构性较强; 就环渤海和长三角两大沿海经济圈内部分工来看,环渤海互 补性更大,而长三角同构性更强; 就制造业大类而言,中国产业分工程度(1997)高于美国产业分工 程度(1985), 这与人们的想像完全相反&从1997〜2001年,中国各大区域间的专业化分工在不断加 深,经济发展速度与分工指数的变化率呈正向变化, 市场经济对中国资源优化配置的作用凸显。但 同时,中国区域经济非均衡发展的现象更加突出。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國の經濟發展と食料需給動向
*원제명 : 中国の経済発展と食料需給動向 1.中国経済:威嚇論から特需論へ 2.胡錦濤・溫家寶体制(03年3月発足)の概要と特徴 3.「第10次5力年計画」のキイワードと課題 4.経済成長7%では離農促進が進まない 5.産業構造の変化 6.去年春からの「投資過熱」抑制策は奏功 7.3大沿海地域は「大衆消費市場」に突入 8.メガ・リージョンとしてみる中国市場 9.中国の都市化と食料消費パターンの変化 10.WTO加盟と流通・サービスの規制緩和 11.中国の食品小売業態別シェア 2000年実績 12.中国は増産に転じたものの、構造問題残る 13.中国を脅かす水不足問題 14.大豆:海外依存高めるも目先は搾油業界再編 15.小麦:硬質小麦の輸入拡大予想 16.トウモロコシ:早晩、純輸入国への転換か 17.中国:「平和的台頭」の原材料市場へのインパクト HTML 보기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빗장 풀린 출판대국 중국... 이제는 출판 한류 겨냥해야
빗장 풀린 출판대국 중국... 이제는 출판 한류 겨냥해야 - 출판물 도.소매 유통, 지난해 12월 전면 개방 - - 세계 최대 출판시장 잠재력에 외국기업 진출 가속화 - - 영상.음반 등과 연계, 한류 마케팅의 일환으로 적극 활용해야 - 중국의 WTO 가입 양허안에 따라 지난해 12월 출판물 도소매 유통이 전면 개방되면서 외국기업이 시장 선점을 위해 중국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음에 발맞추어 세계 출판 대국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시장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관심과 진출 노력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 中 도서 유통업 시장규모 약 1,070억 위앤, 발행 種數 세계 최대 KOTRA(www.kotra.or.kr)가 발표한 『중국의 출판업 시장동향과 우리기업의 진출방안』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도서 유통업시장은 1,070억 위앤(US$ 129억)이며, 2003년 출판물 발행 종수도 세계 최대인 19만 300여종으로 명실상부한 세계 출판 대국으로 발돋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판업은 특히 중국 내에서 10대 호황산업으로 선정된 바 있어 향후 성장가능성도 대단히 높은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개혁개방 이전, 중국의 출판업은 정치 이데올로기 선전도구로 중앙정부의 통제를 받고 있었으나, 개혁개방과 함께 중국 내에서 출판업의 기업화 경영이 이루어지면서 시장기능이 회복되고 있다. 또한 계획경제 체제하에서 형성된 독점 경영, 지역 폐쇄적인 구조로서는 개방된 시장에서 거대 자본을 앞세운 외국기업과의 경쟁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 이에 대응하고자 중국정부는 출판업의 그룹화, 시장화, 산업화의 3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샤오캉 (小康) 사회 건설목표와 함께 중국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향후 문화산업의 발전이 사회 전체적으로 새로운 동력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문화컨텐츠 활용의 장인 출판업 시장도 그 만큼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닐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점점 커지는 중국 내 판권 수입시장 중국내 판권 수출입 현황을 보면, 지난 1995년~2003년간 수입 건수는 58,032건, 수출 건수는 5,378건으로 수입과 수출의 비율은 10:1의 큰 차이를 보고 있다. 게다가 2003년 판권 수입은 전년 동기대비 약 22.3% 성장하고 있어 판권 수입시장이 크게 확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 내 판권 수입 거래 현황을 보면, 한국이 2.2%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 현지 관심분야의 정확한 이해와 그에 따른 적절한 마케팅이 병행될 경우 판권 수출을 통한 중국시장 진출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교재 시장 진출, 한류 마케팅 활용 등 고려해 볼만 중국출판 시장은 교재시장 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으로 2003년 총 발행권수 66.7억 권 가운데 교재발행은 32.5억 권으로 약 49%가 교재분야이다. 최근 외국기업의 진출 증가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나, 지속되는 교육열과 진학률 상승에 따른 학생인구의 급증으로 교재 발행수요도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교재시장의 전망은 밝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외에도 한류 붐으로 중국 내에서도 한국 도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드라마를 소설화한 도서, 예를 들면 '엽기적인 그녀', '겨울 연가' 등이 큰 인기를 얻고 있어 출판시장에서도 한류 열풍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출판유통 전면개방, 인쇄업 독자(포장)가능, 출판분야는 판권협력 가능 중국의 WTO 가입 양허안에 따라, 유통분야는 2003년 출판물 소매시장을 개방한데 이어 2004년 12월 도매시장을 전면 개방하였으며, 출판분야는 외국기업이 독자로 참여할 수 없으나 중외합자 형태나 판권협력이 가능하며, 인쇄분야는 중외합자, 합자, 독자(포장)로 진출이 가능하다. ● 다양한 컨텐츠 개발을 통한 적극적인 시장 개척 나서야 이 동철 KOTRA 동북아팀장은 “잠재력이 큰 중국의 출판시장에 주목하여 우리 기업도 본격적으로 중국시장 개척에 나서야 하며, 특히 한류마케팅을 출판시장에 접목하는 것도 주효한 마케팅 기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다만 우리 출판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진입하기 쉬운 아동물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는 지적이 있어 보다 폭넓은 컨텐츠 발굴과 개발을 통한 다양한 시장 공략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중국 출판물 시장 진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는 난제로 남아 있어 향후 이에 대한 우리 기업의 대응책이 필요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해외자원개발 현황
OECD에 근무중인 상무관이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해외자원개발에 대하여 정리한 자료입니다. 중국 국영 석유회사(NOCs)의 활동 현황 중국 NOCs의 해외투자 활성화 이유 중국 NOCs의 강점과 약점 중국 NOCs 활동의 평가 및 영향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부동산 시장 현황 및 전망
[중국Brif 2005.03.16] 중국 부동산시장의 빠른 성장세, 그러나 부동산 버블 붕괴 가능성 적음 - 중국 부동산 시장의 고성장 - 최근 중국 부동산 버블 가능성에 대한 지적 - 중국정부의 부동산 과열 억제책 실시 - 중국 부동산 시장의 버블 붕괴 가능성은 낮고 연착륙할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QFII 제도의 개선 및 영향
[하나경제리포트 2004.9] 중국 증권감독위원회, 인민은행, 외환관리국 등 주요 정부기관이 지난달 12일에 적격 해외 기관투자자(QFII) 제도에 대한 새로운 정책과 중국 증시 진입의 장벽을 낮추는 방안을 놓고 토론을 한 것으로 보도됐다. QFII 제도는 그 동안 침체되었던 중국 증권시장을 활성화 시키 기 위한 방침으로 2002년 11월 5일 도입되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중국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번 회의를 개최하게 되 었고 빠를 경우 올해 안에 개선 방침이 구체화 될 전망이다. QFII 제도가 개선 될 경우 중국 증시로의 해외 투자가 급격히 늘어날 것이고, 그에 따라 어려움을 겪고 있던 중국 증권시장 도 성장할 전망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류의 통합적 경제효과 분석
[발표회 요약문] 2005년 3월 16일 한국 프레스센턴에서 있었던 한류관련 조사사업 결과 발표회 요약문입니다. - 조동성(IPS이사장 겸 서울대 경영학과 연구소) - "한류의 통합적 경제효과 분석" -Abstract- 1990년대 중반, 중국에서 처음 시작되어 오늘날 일본, 대만, 홍콩 및 동남아시아 곳곳에서 지리적 제약, 언어 장벽, 문화 및 예술 교류 유무의 한계를 뛰어넘어 그 관심과 열기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한류(韓流)현상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출발한 본 연구는 한류가 국내 산업에 미친 경제적 효과를 크게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구분하여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생산유발액, 부가가치유발액, 취업유발인원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량적으로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류의 브랜드자산 측정 연구
2005년 3월 16일 한국 프레스센턴에서 있었던 한류관련 조사사업 결과 발표회 요약문입니다. - 한은경(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한류의 브랜드자산 측정 연구"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류 국가의 한국 문화상품 지적재산권 피해 현황 및 대응방안
[기획조사 05-012] <요약> Ⅰ. 조사 개요 /1 Ⅱ. 한류와 문화상품의 피해 /2 Ⅲ. 한국 문화상품의 지적재산권 침해 사례 및 대응방안 중국/5 홍콩/20 대만/30 일본/37 베트남/44 싱가포르/58 인도네시아/66 말레이시아/77 Ⅳ.한국 기업의 대응방안 및 정책적 과제 /86
홈 > 추천연구보고서 -
Chinese Companies Going Global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 SERI I. Moving to the World II. Long History III. Sector-by-Sector Analysis IV. Implications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