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주택사유화와 새로운 소비 트렌드
중국인들이 주택사유화를 통해 '내 집 마련'에 나섬에 따라, 장기적인 라이프스타일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기업들에게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은 98년 7월부터 시행된 이른바 를 기점으로 종래의 소속 '단위(單位)'가 공유주택을 저렴한 임대료를 받고 제공하는 주택분배 제도를 없애고 기존 직장 소유의 공유주택을 개인에게 매각하고 이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게 하는 본격적인 주택사유화의 길로 들어섰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대금회수 관련 각종 사례
○ 중국 굴삭기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대우중공업은 오히려 과감한 할부판매를 성공요인으로 지적. 경쟁 외국업체가 현금 거래를 고집한 반면, 처음으로 대당 1억원에 이르는 굴삭기를 할부판매를 감행. 현재까지의 매출채권 회수실적으로 보아 일단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됨. - 또 경쟁사와 달리 전국적인 판매 및 애프터서비스 조직과 부품공급 시스템을 갖춘 것도 단기간 내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한 비결로 꼽힘 〈매일경제신문, 2001.9.12〉 ○ 청도 소재 한 레져용품 회사는 대리점 구축시 조합을 형성, 대리점이 동사의 레져용품 판매를 희망할 경우 약 20만원의 가입비를 내고 판매 조합원으로 가입하도록 함. - 동 회사는 조합원들에게 물품을 공급할 때 이 조합비 범위 내에서 지원하고, 앞서 공급한 물건의 판매대금을 지급할 경우 지급받은 금액에 해당하는 만큼의 물건을 재공급해는 방식을 이용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일정비율의 직접유통방식 고수(사례)
○ 코카콜라는 중국시장에서의 코카콜라 품질을 유지하고 유통 과정에서의 변질을 막기 위해, 전체 유통량의 30%는 코카콜라 자체 조직을 통해 유통시키고, 나머지 70%는 대리점을 통해 유통시켜 일정 비율의 직접유통 방식 고수. - 이처럼 일정 비율의 직접유통방식을 유지함으로써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하고, 소비자 기호 및 시장경쟁구조의 변화를 감지, 중국시장에서 매년 70% 이상의 매출액 신장을 기록 ○ 한편, 펩시콜라의 경우 대부분을 대리점 망을 통해 판매하는 간접유통방식을 채택했는데, 유통 과정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없었고, 소비자 기호의 연구 및 생산에의 반영도 낮아 매출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없었음. - 결국 이후부터 광주공장의 5% 지분과 상해공장의 25% 지분을 60%로 끌어올렸고, 신규 펩시공장은 다수지분 전략으로 설립 〈대한상공회의소, 『사례분석에 기초한 대중 투자・경영전략』, 1998〉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지역정부의 협조로 전력・용수난 극복(사례)
○ 일본의 한 견과류 회사는 95년 대련에 독자기업을 설립했다가 97년 대련 내에서 소재지를 이전하기로 결정, 50년 기한으로 건물 임대계약을 체결, 전기사용료는 매월 실제사용량에 따라 지불하기로 함. - 그러나 이전후 잦은 정전과 단수로 생산에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됨. 알고보니 인근 3개 업체에서 1개의 전기계량기를 공용으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다른 2개사에서 사용료를 납부하지 않아서 동 회사까지 단전을 당한 것. - 또 계약에 의하면 용수 공급량이 100톤 이상으로(우물) 보장되어 있었으나 가뭄과 시설 노후로 용수공급에 차질이 생김. ○ 이에 99년 12월, 외상투자관리중심, 동 지역정부, 수도 및 전력부서 책임자 등이 협의해 업체별로 따로 전기계량기를 설치해 비용을 징수하고, 동회사와 지역정부가 협의하여 3㎞ 밖의 상수도를 끌어오기로 함. ○ 그러나 동 회사에서 원가를 고려, 우물사용을 주장함에 따라 지역정부는 2000년 1월말까지 우물용수공급 시공지시를 내렸는데, 시공기일을 하루 앞당겨 완공할 경우 일당 100위안의 장려금을 지급하고, 늦어질 경우에는 반대로 일당 100위안의 벌금을 부과하기로 함. - 약 10만 위안의 시공비도 지방정부가 전액 부담하기로 함. 이는 전력 및 용수난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방정부에서 적극적으로 협조해 문제가 원활히 해결된 사례 〈KOTRA 대련 무역관, 『중국 동북삼성 경제현황』, 2000〉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불량품을 이유로 대금차액 미지급(사례)
○ 한 국내 건축자재 생산업체는 어느 중국업체로부터, 서울의 한 무역회사 앞으로 개설한 Master L/C를 근거로 Local L/C 거래를 하자는 제의를 받음. - 그리고 원 금액대로 하면 관세가 너무 높으므로 선적서류를 주문 금액의 50%로 작성하고, 나머지 차액은 서울에서 현금으로 지급하겠다고 함. 5천만원 상당의 첫 번째 거래는 무사히 끝남. ○ 그러나 첫 번째와 마찬가지로 두 번째 거래를 진행하던 중, 선적까지 완료한 상태에서 중국업체는 50%의 대금차액 지급을 미루며 불량품이 실렸다고 클레임을 제기. - 한국업체는 즉시 교체해줄 용의가 있다는 것을 알렸으나 중국업체는 신품을 전량 다시 송부할 것을 요구, 할 수 없이 대체품을 보내 주었으나 불량품의 발송도 하지 않고 대금도 지불하지 않으며, 오히려 손해를 보았다며 배상을 요구 〈인터넷 자료, www.chinaspecialist.co.kr〉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홍콩경제 침체 현황과 중국의 WTO 가입 영향[월간 KIEP세계경제 2002년 6월호]
----요 약 -------- 지난 몇 년간 홍콩경제는 성장과 침체의 변동이 심하게 반복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경제침체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한 중국의 WTO 가입이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경제효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중국의 WTO 가입은 경제 전환효과와 창출효과 측면에서 오히려 기존의 홍콩경제 역할이 중국으로 이전하는 역전환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금융서비스의 경우 기존의 경쟁력이 영향을 발휘하지 못하는 분야도 생겨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홍콩경제의 역할 감소는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지 전략을 추구하는 한국경제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날로 심화되는 중국의 소득 불평등
중국 불평등은 지역・도농간 경제 성장률 차이, 호구제도 등 때문에 날로 악화되고 있다. WTO 가입 등을 통해 이러한 불평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은 재분배 보다는 성장을 중시하는 정책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주식시장의 7가지 불확실성
중국 주식시장 개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주식시장 내부의 구조적 취약성으로 야기된 불확실성, 대외 개방에 관한 불확실성 등의 불안 요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위기론, 어떻게 볼 것인가
최근 중국 경제의 위기 가능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이 여러자기 취약점을 안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들이 경제 및 체제 위기로 발전할 가능성은 높지않다. 중국은 수출과 내수의 적절한 균형을 통해 상당기간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How reform worked in China[CEPR Discussion Paper No. 3447]
----ABSTRACT---- China's reform worked and produced some of the most impressive growth in the largest developing and transition economy in the world in the past twentytwo years. That China has managed to grow so rapidly despite the absence of many conventional institutions such as rule of law and secure private property rights is puzzling. To understand how reform works in a developing and transition economy that has great growth potential, it is not enough to study the conventional 'best-practice institutions' as a desirable goal. One should also study how feasible, imperfect institutions have evolved to complement the initial conditions and to function as stepping stones in the transition toward the goal. Underlying China's reform is a serial of institutional changes concerning the market, firms, and the government in the novel form of 'transitional institutions.' These institutions succeed when they achieve two objectives at the same time: to improve economic efficiency by unleashing the standard forces of incentives and competition on the one hand, and to make the reform a win-win game and thus interest compatible for those in power on the oth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