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 향후 중국 경착륙 불가피성 지적
[Memorandum “Restricted” 050316-MR] <요 약> ㅁ 세계경제 완만한 성장세 유지될 전망이나 지역별로 성장 격차 확대될 것 ㅇ 2005년 미, EU, 아시아 성장률 각각 3.7%, 1.7~1.9%, 6~7% 예상 ㅇ 장기적으로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지역이 세계 경제 주도 전망 ㅁ 세계경제 위험요인으로 미 무역적자, 선진국 재정적자, 중국 경착륙 가능성, 채권버블 붕괴 가능성 등을 지적 ① 미 무역적자 규모는 GDP 6% 수준으로 장기지속 불가능 수준 ㅇ 달러화 절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이 이루어 지지 않는 이유 ①흑자국 중앙은행의 흑자기조 유지를 위한 외환시장 개입 ②중국 고정환율제도로 인한 환율조정기능 미작동 ③미국의 상대적 고성장에 따른 수입수요 지속등 지적 ㅇ 미 의회는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조치로 소비세 도입을 논의 중 → 미 무역적자의 1/4 정도 해소 기대 ② 주요 선진국 현 재정기조 유지시 장기적으로 정부채무 감내 불가능 ③ 중국 성장률 둔화시 아시아 경제 타격 우려 ㅇ 중국 경제는 지속적 고성장을 전제로 한 시스템이므로 향후 성장률 둔화시 부실채권 누적에 의한 금융부문 불안, 투자 부진 등으로 유지 어려울 것 ㅇ 중국 경기 침체시 중국으로의 수출 감소로 아시아 각국 타격 →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 는 수출주도의 성장전략 대신 국내수요를 통한 성장전략 및 수출 대상국 다변화 필요 ④ 세계 채권시장 버블붕괴 우려 ㅇ 미 국채 수익률과 연방기금금리간 장단기 금리차는 1% 정도에 불과하여 역사적 평균 치 2%에 비해 절반 수준 → 버블의미 ㅇ 채권시장 버블현상 배경으로는 ①풍부한 유동성 ②아시아 중앙은행 외환보유액의 미국채 운용③그린스펀 조정능력에 대한 과도한 믿음 등을 들수 있음 ㅁ 반면, 고유가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며 미 금리인상으로 인한 부동산 버블 붕괴 가능성도 낮음 ㅁ 중국의 경착륙이 예상되는 시점에서 과도한 중국의존도를 낮출 필요가 있으 며, 미 국채 투자시 채권 시장 버블을 감안한 신중한 투자가 요구 ㅁ 한편, 미 정책금리 4~4.5%까지 인상 전망, 달러/유로 균형환율 1.2 추정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1世紀の米中関係~日米安保強化の中で 必要な米中間の軸の存在
21世紀の米中関係 日米安保強化の中で 必要な米中間の軸の存在 (21世紀政策研究所 理事長 田中直毅) 米中関係の安全弁として経済上の共有する利益基盤は存在するや否やという点が、今後問われることになろう。なぜなら軍事、安全保障面において摩擦要因が相次いで出てくるからである。 米中関係を考えるとき、1980年代から90年代にかけて日米関係は参考になる。両国間の経済摩擦が激化したとき、日米関係を司る二つの軸があることが双方によって認識された。 一つは経済交渉グループ、もう一つは軍事、安保の担当者群である。経済交渉を担った米国側は、総じて日本に対するいらだちを抑えることはできず、「日本異質論」にまで行き着く担当者も少なくなかった。これに対して安保の担当者は日本の協力によってソ連を追いつめるという日米同盟の確認に自信を示す担当者が大宗だった。経済摩擦によって交渉が暗礁に乗り上げるような局面にくると、安保の担当者が登場し、日米交渉の取りまとめに側面からサポートの役割を果たすのが常となった。 米国の経済交渉担当者は、足元の経済事情があまりにも悪いところから、「勝者」である日本を応援せざるをえないという心理的負担があった。何しろ冷戦が米国の勝利に帰し、ソ連邦が消滅した90年代の初頭においては「冷戦の勝利者は米国ではなくて日本」という論調が米国のマスメディアに相次いで登場したほどである。GDPに占める民間設備投資比率が日本は米国よりも5%ほど高いという当時の現実が、日米間の産業力格差につながったという指摘はそれほど的外れとはいえなかった。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제 10기 全人大 3차회의와 우리의 대응방안
[산은조사월보 2005년 3월(제 592호)] *해당사이트 참고 Ⅰ. 전인대(全人大)의 역할 Ⅱ. 제 10기 전인대 3차회의 주요 내용 1. 조화로운 사회건설 2. 개혁․개방의 지속추진 3. 거시경제 조정강화 4. 반국가분열법 제정 Ⅲ. 시사점과 대응방안 1. 시사점 2. 대응방안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국유상업은행의 개혁과 향후 과제
[주간금융브리프 14-12] 주간금융브리프 14-12 국제금융이슈 최근 CBRC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4년말 현재 중국내 주요 상업은행들의 부실채권 비율은 13.2%로 지난 2003년말의 17.8%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음. 향후 중국의 금융시스템 안정화를 위해서는 부실채권 처리의 가속화와 더불어 기업지배구조의 개선과 리스크 관리체계의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추가 금리인상 시기를 저울질하는 중국인민은행
국가통계국은 지난 2월 중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기대비 3.9%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아직은 올해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물가억제 목표인 4%를 하회하고 있지만 3월 이후부터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경기연착륙을 위해 빠르면 3월말부터 금리를 인상시켜 나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자율 상승은 지난 10월말과 같이 투기세력에게 위앤화 절상에 대한 예비 신호로 잘못 오해를 살 수 있고, 부동산시장이 붕괴할 수 있는 위험도 있기 때문에 이번 2차 금리인상 주기에 인상폭은 50bp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베이징의 도시 총발전 계획과 수혜산업
2008년 올림픽을 앞두고 있는 베이징은 그 동안 하향식 도시개발을 추구하면서 발생한 난개발의 폐해를 줄이고, 현대화된 도시개발을 위해 상향식 도시발전계획을 수립했다. 베이징시는 장기발전계획 목표를 '국가수도, 국제도시, 문화도시, 주거환경이 편리한 도시'로 확정했고, 신도시계획의 핵심 전략은 '2축-2벨트-여러 개의 부도심 직능센터' 두어 도시 공간구조를 마련한 다는 것이다. 2020년까지 베이징 교외에 11개의 신도시가 건설되면 미래 베이징 모습은 잘 정비된 구시가지의 장엄함과 쾌적한 녹지 환경속에서 첨단문화를 자유로이 접근하고 즐길 수 있는 현대화된 신시가지가 병존하는 아름다운 도시로 다시 탄생할 것으로 전망이다. 도시화 수준이 향상될수록 전체 소비구조도 같이 올라가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향후 16년간 주택, 승용차, 지하철, 도로 등 사회 인프라시설, 통신 및 기타 신형 전자제품, 문화오락, 관광, 커뮤니티서비스 등은 중요한 성장동력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또한 건자재, 도소매, 석유화학, 전자 등 공업부문도 비교적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1C 아시아 경제패권 놓고 벌이는 용상지쟁(龍象之爭)
최근 몇 주 사이 중국과 인도의 경제지표가 속속 발표되면서 세계 주요 언론사들은 중국 과 인도경제의 우월을 가리는 기사를 잇따라 연재하고 있다. 일부 구미 경제학자들은 중 국은 전세계가 주목하는 공업생산 대국이지만, 기술과 브랜드 등 핵심경쟁력이 부족한 상 황이기 때문에 중국은 세계 제조생산의 생산체인에서 세계의 공장역할을 담당하지 못하 고, 그저 작업장 정도의 역할을 수행할 뿐이며 인도경제에 추월 당할 것은 시간문제라고 주장을 펴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언론들의 반응을 종합해 살펴보았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에너지 산업과 진출 방향
- 중국 에너지 산업은 석탄을 중심으로 환경오염 등이 심각하게 대두 - 게다가 고도성장에 따른 에너지 확보도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 - 이에 따라 중국은 청정 에너지 산업과 에너지 절약 분야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 - 우리 기업은 다음과 같은 중국의 에너지 산업 분야의 진출이 유망 ㅇ 주유소, LPG 충전소 등 소매 유통 ㅇ 도시지역 가스 파이프라인 공사 및 이의 보급 ㅇ 수력 및 천연가스 발전 ㅇ 석탄의 세정 ㅇ 발전설비 분야의 지분 참여 및 합작 투자 ㅇ 환경 설비 분야 등 - 목차 - Ⅰ. 중국 에너지 생산과 소비 현황 Ⅱ. 에너지 자원 개발 전략 Ⅲ. 자원별 경쟁기업 현황 Ⅳ. 진출 방향
홈 > 추천연구보고서 -
863계획 추진 현황과 성과
[China Weekly Focus 주간포커스 05-08] Ⅰ. 863계획 개요 Ⅱ. 863계획 추진현황과 성과 Ⅲ. 863계획 관리시스템 Ⅳ. 시사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중 지방정부의 교류와 발전전략 비교
[위탁연구2004-04] South Korea-China local governmental exchange and developmental strategy comparison - 목차 - 제1 장 서 론 11 제2장 한중 경제교류 12년의 회고와 전망 19 제3장 경기도와 광동성간의 경제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41 제4장 경기도 지역산업 발전전략 69 제5장 광동 지역 거버넌스의 국제적 시각 97 제6장 중국의 발전 환경과 정부의 역할 109 제7장 廣東深圳성 경제특별구의 행정개혁 123 제8장 결 론 145 부 록 151 참고문헌 191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