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e -비즈니스 확산에 대응한 진출전략 마련해야
[e-Kiet 산업경제정보 제253호 (2005-14)] <요 약 > ◦ 최근 중국경제의 e -비즈니스화가 가속화되고 있어, 현지 진출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임. - 중국의 전자상거래 규모는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2 0 0 3년에는 국내총생산의 3.1% 수준인 3 , 5 5 6억元에 달함. ◦ 중국 정부가 e -비즈니스를 가로막는 법적・제도적 규제의 완화와 함께 체계적인 지원에 노력한다면 중국의 전자상거래는 양적이나 질적으로 급속한 성장이 예상됨. - 최근 현지기업의 정보화 및 e -비즈니스에 대한 인식 역시 급속히 높아지고 있어 향후 기업의 e -비즈니스화가 빠른 속도로 진전될 것으로 보임. ◦ 우리나라의 중국 진출기업들은 중국경제의 급속한 e -비즈니스화 추세에 대응하여 전략을 정비할 필요가 있음. - IT 관련 업체는 중국의 업종별 또는 기업(소유)형태별 e -비즈니스의 특성과 발전도를 고려한 보다 세분화되고 단계적인 현지시장 진출전략 추진 - 일반 진출기업들도 중국 내 경쟁업체나 해당 업종의 e -비즈니스화 진전에 대응하여 e -비즈니스를 적극적으로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확보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 추진 - 효과적인 e -비즈니스 전략 추진을 위해 현지에 진출한 우리나라 IT 서비스업체와의 유기적인 협력체제 구축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주간포커스05-09:중국 국가과기프로그램 분석(3)
[ChinaWeeklyReport 2005.04.15(제9호)] ----목차--- Ⅰ. 공관계획 추진배경 Ⅱ. 제10/5계획기간 공관계획 추진현황과 성과 Ⅲ. 공관계획과 863계획 비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과 중국 경제의 딜레마
[HRI컬럼 2005.04.07] -대 외 적 압 력 -내 부 적 평 가 절 상 지 연 요 인 -다 시 부 각 되 는 대 외 적 압 력 -시 사 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4년 WTO세계무역 순위결과
[무역유통 동향정보(4.15)] 한국 세계 수출 12위, 수입 13위 (4.14일, WTO World Trade 2004 발표) *WTO가 발표한 2004년중 세계무역 통계에 따르면, - 전세계 상품 수출은 전년대비 21% 증가한 9조 1,235억불, 상품 수입은 전년대비 21% 증가한 9조 4,583억불 기록 - 한국의 수출은 전체의 2.8%인 2,538억불로 세계 12위, 수입은 전체의 2.4%인 2,245억불로 세계 13위, 교역규모는 2.6%인 4,783억불로 세계 12위 기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홍콩의 IP-TV 서비스 시장 현황
[정보통신정책 제17권 7호 (통권368호)] 1. 개 요 2. 홍콩 IP-TV규제환경 3. 홍콩의 IP-TV시장규모 4. 주요업체 현황 5. 결 론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정치,경제적 영향력 확대 도모와 미국의 견제 가능성
[Memorandum “Restricted” 050324-MR] *자료를 보시려면 해당사이트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 요 약- □ 중국의 개방이후 중국과 미국은 교역과 투자 면에서 괄목할 만한 신장세를 보이는 등 양국 경제간 상호의존성이 증가 ㅇ 중국의 對美 수출비중은 90년 이전 8% 수준에서 21% 정도까지 상승했고, 중국산 저가품과 중국의 美 국채 대량 매입은 미국의 저인플레, 저금리 유지에 기여 □ 제4세대 지도자인 후진타오(湖錦濤) 집권 이후에는 경제분야와 에너지 안보, 국제 정치적 영역 등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과거보다는 확대되는 조짐 ㅇ 中-ASEAN FTA 추진 등으로 對 아시아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EU, 인도, 사우디, 이란, 수단, 베네수엘라 등과 정치경제적 연대가 강화 ㅇ 중국의 영향력 확대 목적은 아시아 주도권 강화를 통한 미국중심의 국제질서(Uni-polar system) 재편과 美-EU-中을 축으로 한 글로벌 다극화 체제(Multi-polar system) 형성에 있다는 관측이 제기 □ 중국은 對美 경제협력을 유지하면서 동아시아 주도권 강화 및 에너지 확보 노력, 다극화 전략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미국이 추구하는 구도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 ㅇ 아시아 경제와 북핵, 대만 문제 등에서의 중국의 주도권 강화는 미국의 對 아시아 영향력 감소를 시사 ㅇ 중국의 글로벌 에너지 확보 전략은 미국의 최우선 외교전략인 에너지 안보 정책과 대립되고 급성장하는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군사력 증강도 우려 요인 □ 워싱턴의 일부 Neo-con들은 정치 경제 관계를 전반적으로 재평가하여 새로운 對中 견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 ① 일본과의 정치군사적 연대 강화 ② 센카쿠 열도 영유권 분쟁에서 일본측 지원 ③親 대만정책 강화 ④ South China Sea의 군사적 방어력 강화 ⑤ 중국의 對 북한, 이란 정책에 대한 수정 압력 배가 ⑥ 글로벌 에너지 안보 벨트 재확충 등을 거론 □ 그러나 북핵문제 등에서 美中간의 협력이 여전히 필요한데다 경제의 상호의존성 등을 고려할 경우 정치적 대립 양상이 쉽게 표면화되지 않을 가능성 ㅇ 다만 글로벌 역학관계의 변화로 중국의 성장세가 과거보다 제약 받을 가능성을 예의 주시하여 국익 차원에서 기민히 대응할 필요. 中 GDP 1%p 둔화 경우 우리의 對中 수출은 5% 정도 감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최근 경제상황 및 금년도 정책전망
[해외경제정보 제2005-37호] 海外經濟情報 제2005-37호 *中國의 최근 經濟狀況 및 今年度 政策展望 -중국경제는 최근 투자가 과열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였으나 서서히 연착륙하고 있는 상황이며 중국정부는 금년중 8%대 중후반의 고성장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따라서 금년 경제정책은 투자억제를 지속하는 한편 소비 활성화와 경제효율 제고를 통한 성장동력의 유지, 계층간 불균형 완화를 위한 개혁 가속화 등에 역점을 두고 추진될 전망이며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금리인상 또는 환율제도 개혁의 조기시행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됨.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우리나라의 중국 투자 현지법인 경영현황 분석
[2003회계연도 기준] - 차 례 - [대중국 해외투자 현지법인 경영성과 요약].........................1 Ⅰ. 우리나라의 대중국 해외직접투자 개황..................... 4 Ⅱ. 분석대상 현지법인 개황.....................10 Ⅲ. 현지법인의 재무현황......................18 Ⅳ. 현지법인의 차입금 구조.........................28 Ⅴ. 현지법인의 매출입 구조 및 투자효과...........35 Ⅵ. 현지법인의 현금흐름 및 재무비율..........51 Ⅶ. 현지법인 對 모기업의 재무비율 비교.........67 Ⅷ. 2002년 해외직접투자와의 비교...........74 Ⅸ. 중소규모 해외직접투자와의 비교..............82 Ⅹ. 우리나라 전체 해외직접투자와의 비교...........90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투자시 합자기업과 독자기업의 장단점 비교
중국 투자시 설립할 수 있는 기업 형태인 합자, 합작, 독자 기업의 장단점과 근거법령에 대한 설명 자료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1분기 GDP 성장률 발표
[이슈:금융(2005.04.20)] 4월20일 오전 11시에 중국국가통계국 통계국장인 정징핑(鄭京平)은 올해 1분기 중국경제는 과학적발전관과 거시조정 정책의 성과로 조화롭고 안정된 경제발전을 달성했다고 발표. 정징핑의 발표내용을 요약하면 1분기 GDP 성장률은 작년동기대비 0.3%P 하락은 9.5%로 집계됐고, 1차산업은 작년동기대비 4.6%, 2차산업은 11.3%, 3차산업은 7.6% 늘어났음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