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5년 중국의 3G 통신시장 전망
*상해지부,「滬港經濟」 및 관련 보고서 자료 정리, 2005. 5. 6 □ 중국 이동통신 시장 개요 □ 중국의 이동전화단말기 시장전망 □ 2005년 6월 중국은 본격적으로 3G(3Generation)통신기술 상업화 □ 3G통신시장 폭발적인 성장 전망 □ TD-SCDMA 산업체 형성 □ TD-SCDMA의 해외시장 확장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환율 정책상의 딜레마와 대처전망
[Memorandum “Restricted” 050427-MR] <요 약> ㅁ 국제사회는 중국이 자본 자유화에 앞서 위안화 절상을 수반하는 환율제도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 ㅇ IMF 등은 경제가 견실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무역수지가 흑자이며 자본 유출입이 규제 되고 있는 현재가 변동환율제도로 이행할 적기라고 강조 ㅇ IIE는 환율 절상, 밴드폭 확대 및 바스켓 페그제 도입, 부분적 자본 자유화, 변동환율제 도입 등의 단계적인 환율제도 유연화 방식을 제시 ㅇ 미국도 환율제도를 유연화하는 것이 세계경제의 불균형 해소와 중국경제 안정에 유리 하다고 지적하면서 절상 압력 강화 ㅇ EU도 01년 이후 달러 하락의 영향을 주로 유로화가 부담하였다는 관점에서 달러에 페그된 위안화 절상 및 유연화 요구 증대 ㅁ 중국당국은 환율제도 개편의 필요성은 인정하나 부작용과 충격을 우려, 실행상의 딜레마에 처해 있음 ㅇ 급격한 자금 유입으로 유동성 과잉을 우려하는 상황에서 환율제도 유연화의 물가안정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인정 ㅇ 그러나 소폭 절상만으로는 효과 미흡할 뿐만 아니라 추가 절상 기대감을 불러일으켜 자본 유입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으며 대폭적인 절상은 국내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크다는 점에서 정책 단행이 쉽지 않은 상황 -> 절상 지연시, 미국 등의 보호주의 촉발 우려가 있는 반면, 절상시에는 외세의 압력 에 굴복하였다는 비판도 의식해야 하는 입장 ㅇ 중국정부는 궁여지책으로 先 외환 및 자본자유화, 後 변동환율제 이행을 추진 -> 구체화되고 있는 자본 자유화의 주요 내용은 ▲국내기업의 해외투자 규제 완화 ▲국제개발기구의 중국 내 위안화 표시 채권 발행 허용 ▲보험업체들의 해외 증권 투자 허용 등임 ㅇ 환율제도 변경에 따른 불안정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시스템 개혁을 강조 ㅁ 중국의 위안화 절상 문제는 경제적인 요인보다 정치적인 고려가 우선시될 가능성이 높음 ㅇ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변동폭 확대, crawling peg, 복수통화바스켓 등 중간 단계의 다양한 환율제도를 검토, 정치적 결단만 남은 것으로 보임 ㅇ 정치적 결단을 통해 금년내 불시 소폭(3-5%)의 절상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 우세 -> 최근 위안화 선물가격도 1년 후 위안화가 5% 절상될 가능성을 반영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류의 경제적 효과 분석 外
[주간무역리뷰 No.158] *Trade Focus -Focus 1 : 한류의 경제적 효과 분석 -Focus 2 : 우리나라 및 주요국의 무역의존도 -Focus 3 : 대만 국민당 주석 롄잔의 방중(訪中) -Focus 4 : 최근 일본 수출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Focus 5 : 원-달러환율, 세자릿수 환율 지속 *세계 경제/동북아 Briefs - 중국 수출단가, 지속적 상승세 유지 - 歐州위원회, EU확대 1주년의 경제적 효과 발표 - 1/4분기 일본경제, 전기비 0.6%(연율 2.5%) 성장 추정 * FTA News/Market Watch - 대만-과테말라 FTA 협상, 올해 6월 안에 종료 예정 - 패션의 노란 물결, 골드가 돌아온다 *주간 주요 경제지표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위안화 평가절상을 활용한 재테크 방법
- 위안화의 환율 조정은 '언제, 어떤 방식으로 하느냐'가 관건 - 위안화의 국제화에 대비하라 - 위안화 절상으로 가장 큰 수혜를 볼 곳은 중국 부동산시장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미국인과 유태인 그리고 중국인이 보는 금융정책의 시각차
최근 중국 위앤화 절상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입장차가 분명히 나뉘면서 상반된 글들이 매일 증권시장에 올라오고 있다. 지난 주 <뉴스위크>는 “중국의 세기”라는 장편의 특별기사를 통해 중국의 발전은 세계에 많은 이점을 가져온다고 보도했었다. 모건스탠리는 지난 10년동안 중국의 저가상품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6,000억 달러를 절약할 수 있게 해줬고, 미국 제조업체에도 이익을 주었다고 분석했다. 이는 1993년 917억 달러였던 중국의 수출규모가 2004년 5,934억 달러로 6.5배 증가했고 이중 62%가 미국, 유럽, 일본 등 외국자본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은 미국이 무역적자의 속죄양으로 중국을 지목하고 위앤화를 절상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올해 중국은 캐나다를 대신해 미국의 최대 무역국이 될 전망인데, 중국과 미국간의 무역규모가 확대될수록 동일한 무역정책과 금융정책을 놓고 벌어지는 미묘한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이는 미국인과 중국인간에 금융정책을 보는 근본적인 시각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중경제 교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주요경제현안 2005.05.12] □ 韓․中 경제 교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1. 韓․中간 경제 관계의 확대 2. 韓中간 경제 교류 확대의 긍정적 효과 3. 韓中간 경제 교류의 전망과 부작용 4. 시사점과 대응 방안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최근 대중국 해외투자 동향
2005년 1사분기 기준, 대중국 해외투자 수치와 최근 투자 동향 자료입니다 Ⅰ. 2005년 1사분기 해외직접투자 동향 Ⅱ. 대중국 투자 동향 분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5년 중국의 부동산업 전망
[격월간한중무역 2005년 5월호] 중국, 거시조정을 통해 부동산 급등 억제할 듯 중고거래 활성화, 개발지 부족현상 초래도 1. 환율․금리의 소폭 인상과 부동산 업계의 자금 조달 환경 개선 2. 부동산 개발지 부족 현상 출현 가능성 3. 부동산시장 수요의 구조적 조정과 중고 부동산 매매의 증가 4.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가격의 지속적 상승 가능성 존재 5. 경기가 불안정한 대형 상업 부동산의 조정 가능성 6. 전통적인 부동산 대리판매의 위축․ 부동산 서비스 시장의 고급화로 새롭게 떠오르는 컨설팅업 7. 대형 부동산개발업체의 경쟁력 강화 8. 중고 부동산시장 전망은 양호하나 부동산중개시장의 경쟁은 치열 9. 부동산 산업정책에 대해 정부 각 부문의 정책 일관성 결여 10. 부동산 시장의 본격적인 경쟁체제에 돌입
홈 > 추천연구보고서 -
美中 경제 마찰의 여파
[주간경제정보 2005.05.12 ] 미국의 날로 확대되는 쌍둥이 적자, 對 中國 무역수지 적자 심화, 중국의 팍스 시니카 견제 등으로 美․中간 경제 마찰이 심화되고 있다. 최근 미국은 중국이 6개월 내에 위안화를 평가절상하지 않는다면 27.5%라는 고율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는 초강경책을 제시하였다. 중국은 위안화를 평가절상하거나, 또는 미국의 수입관세 부과를 용인하든지, 이의 대안으로 중국 스스로 자국산 수출 제품에 대한 수출관세 부과를 해야 할 형편에 처해있다. 앞으로 중국이 어떤 정책 조합을 시행할지 모르나, 세 가지 경제여건 변화 모두 중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로 위안화 평가절상은 외환보유액 가치 손실, 수출 감소, 성장률 하락, 일자리 창출 감소 등의 악영향을 줄 전망이다. 두 번째로 중국이 수출관세 부과를 선택할 시 외환보유액 가치의 無변화, 투기성 자본 유입 근절, 정부 수입 증대라는 긍정적 효과와 동시에 중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 약화를 가져올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수입관세 부과가 위안화 절상과 동일한 효과를 지닌다면, 27.5%의 수입관세 부과는 중국 경제에 치명적 영향을 줄 전망이다. 미중간의 경제 마찰은 한국 경제에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제공할 것이다. 위안화 평가절상이 단행될 시 단기적으로 수출 가격의 경쟁력 증가로 對中 수출은 증가할 전망이나, 중장기적으로 중국의 성장률 하락으로 對中 수출은 감소할 것이다. 중국이 자발적인 수출 관세 선택과 미국의 수입 관세案을 수용할 시 중국內 한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 약화가 우려되나, 한국內 기업의 가격 경쟁력 강화로 對美 수출은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對中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수출지역 다변화와 함께, 중국산 수입 물가 상승에 대비한 수입 다변화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야 하며, 상대적으로 對美 수출 경쟁력이 높아진 한국은 이를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의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칼럼:양회(兩會)의 주요 내용과 시
[격월간한중무역 2005년 5월호] 3월5일 오전 9시 직전에,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을 위시해 권력서열 순서대로 정치국 상무위원들이 박수 속에 인민대회당 회의장에 입장했고, 정면의 주석단 자리가 모두 다 채워지자 우방궈(吳邦國) 전인대 위원장이 개막을 선언했다. 첫 일정은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의 정부업무 보고였다. “거웨이 다이뱌오, 셴자이 워다이뱌오궈우위안, 샹다후이줘궁줘바오가오(各位代表! 現在我代表國務院, 向大回作政府工作報告:대표 여러분! 이제 저는 국무원을 대표해서 대회에 정부업무를 보고하겠습니다)”라고 시작한 원 총리의 업무보고는 장장 2시간20분 가량이나 계속 이어졌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