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ㆍ중ㆍ일 경제관계와 동북아 경제협력
제Ⅰ장 서 론 제Ⅱ장 세계화와 지역주의 제1절 21세기 세계 경제의 발전추세 제2절 지역 블록화의 발전추세와 그 특징 제3절 세계 경제 3축에서의 동북아 경제권의 위상 제Ⅲ장 동아시아 경제와 한ㆍ중ㆍ일 경제 제1절 동북아 경제의 역동성 제2절 동아시아의 교역과 한ㆍ중ㆍ일 교역구조 제3절 동아시아의 외국인 투자 제Ⅳ장 동북아 경제권의 범위와 지정ㆍ경학적 환경 제1절 동북아 경제권의 개념과 범위 제2절 중국의 동북 경제구 제3절 동북아 경제권의 지경학적 환경 제4절 동북아 경제권의 지정학적 환경 제Ⅴ장 동북아 경제권 협력 모델과 실천 제1절 경제통합이론 제2절 동북아 경제협력의 각종 모델 제3절 국지적 경제협력(次區域經濟合作)의 발전과 한계성 제4절 동북아 경제권 협력의 실천적 모델 제Ⅵ장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시나리오와 중국 제1절 동아시아 FTA 열기의 배경 제2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여정 제3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특징과 시나리오 제4절 동북아 경제통합의 전망 제5절 중국-ASEAN FTA의 형성과 발전 제Ⅶ장 결 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위앤화 절상 전망에 관한 최근 논란
海外經濟情報 제2005-46호 2005. 5. 12. 중국 위앤화 절상 전망에 관한 최근 논란 최근 중국에 대한 환율제도 유연화 압력이 다시 강화되면서 위앤화 절상이 임박했다는 예상이 제기되고 있음 그러나 중국 지도부가 점진적으로 환율제도를 개혁해나간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중국 경제상황도 금융 개혁이 지연되고 있는 데다 고성장을 유지할 필요가 큼에 따라 가까운 시일내 위앤화 절상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주간중국산업정보 제 26호
週刊 中國産業情報 第15期 (總26號)2005年 5月 9日 目 次 ■ 정책 : <기업 국유 재산권의 관리층 양도 임시규정> 제정 / p 1 ■ 분석 : 2005년 은행업 서비스 이용습관 조사 보고 / p 3 ■ 산업 1. 가전산업 : 2005년 가전산업 원재료 가격 추세 분석 / p 8 2. 에너지산업 : 다국적 기업의 중국 제품유 시장 진입전략 / p 13 ■ 통계 : 2004년 중국의 상위 5대 전자부품 수입구조 / p 18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동북아 한류와 문화상품시장 동향
[자료 05-002] ㅇ 목차 제 1 장 일 본 Ⅰ. 일본내 한류 현황과 문화∙경제적 효과 /7 Ⅱ. 일본의 문화 상품 시장동향 /15 Ⅲ. 일본 문화콘텐츠 산업의 해외진출 /33 Ⅳ. 문화콘텐츠 대일시장 진출 동향 /40 Ⅴ. 일본시장진출 방안 /48 제 2 장 중 국 Ⅰ. 중국내 한류 현황과 문화∙경제적 효과 /73 Ⅱ. 중국의 문화 상품 시장 동향 /82 Ⅲ. 문화상품의 중국시장 진출 방안 /100 Ⅳ. 韓流를 활용한 중국 시장진출 방안 /105 제 3 장 홍 콩 Ⅰ. 홍콩내 한류 현황과 문화∙경제적 효과 /193 Ⅱ. 홍콩의 문화상품(문화 콘텐츠 시장)동향 /197 Ⅲ. 한류를 활용한 시장 진출 방안 /206 제 4 장 대 만 Ⅰ. 대만내 한류 현황과 문화∙경제적 효과 /211 Ⅱ. 대만의 문화산업 동향 /214 Ⅲ. 대만시장 진출 방안 /220 Ⅳ. 한류를 활용한 시장 진출 방안 /224.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4년 中國 鐵鋼産業 動向分析 報告
Ⅰ. 2004년 중국 철강산업 추세 및 특징 1. 생산 증가, 소비 감소 2. 鋼材 교역구조의 변화 ‐ 수입 감소, 수출 증가 3. 철강가격 상승으로 이익 대폭 증가 4. 제품 구조의 개선으로 강판 생산 증가 5. 원료 비용 상승으로 제조원가 상승 6. 과열투자 억제로 산업구조 개선 7. 합작과 개조의 가속화 Ⅱ. 주요 철강 제품의 수요 분석 및 예측 1. 주요 제품의 생산량 현황 2. 주요 철강 기업의 생산량 변화 (1) 생산 설비 확대 현황 (2) 생산량 증가 기업 현황 (3) 생산량 감소 기업 현황 3. 주요 제품의 수요 현황 4. 2005년 시장 전망 (1) 종합 전망 (2) 철강 제품별 동향 Ⅳ 철강 기업들의 생산, 경영 동향 1. 상장 기업의 생산 현황 2. 상장 기업의 최근 동향
홈 > 추천연구보고서 -
濠-中 FTA가 우리 상품의 對호주 수출에 미칠 영향
濠-中 FTA, 자동차.가전제품 등 우리나라 주요 품목의 對濠수출에 악영향 우려 - 濠-中 FTA, 세계시장에서 韓.中 경쟁 심화의 신호탄 - - 중국 생산 한국 상품의 對호주 우회수출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 지난 달 호주의 하워드 수상이 중국을 방문, 중국을 시장경제국가로 인정하고 FTA 체결협상 의향서에 공식 서명하면서 향후 2년여에 걸친 협상에 본격적으로 돌입한 바 있다. 이와 관련, KOTRA(사장: 洪基和)는 호주 외무부가 중국 측과 공동으로 작성한 “濠-中 FTA 타당성 연구” 보고서를 바탕으로 濠-中 FTA 체결 시 향후 한국산 자동차 및 가전제품, 타이어, 신문용지 등의 對호주 수출에 적지 않은 영향이 우려된다는 분석을 내놓아 주목 된다. KOTRA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對濠수출 상위 110대 품목(HS코드 6단위, 연간 수출액 4백만 불 이상)의 경우 현재 韓中간 관세격차는 거의 없어 단지 15개 품목만이 중국과 1% 포인트의 관세 차이가 있을 뿐이나, 濠-中 FTA가 체결되면 승용차, 자동차부품, 볼베어링 등 6개 품목의 경우 관세 격차가 10%로, 칼라 TV, 타이어 등 66개 품목에 대해서는 5%의 관세 격차가 발생하는 한편, 8개의 유류/화학제품에 대해서는 똑같이 적용받던 종량관세가 중국산 제품에는 무세 적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권중헌 KOTRA 해외조사팀장은 “국제분쟁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호주는 아시아지역에서의 정치적 입지강화와 세계 최대의 중국시장 선점이라는 경제적 효과를 모두 염두에 두고 있어 濠-中 FTA의 경우 지난 해 체결된 濠-泰 FTA와 유사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실제로 지난해 호주가 체결한 濠-泰 및 濠-美 FTA 내용 분석 결과, 태국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을 양보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앞으로 중국에 대해서도 유사한 양보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 된다”고 밝혔다. 한편, KOTRA는 홍콩 다음으로 가장 많은 한국 기업이 중국에 진출해 있기 때문에 濠-中 FTA 체결 시 중국을 통한 한국 상품의 우회수출이 크게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중국에서 생산된 한국 상품이 濠-中 FTA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양국 협상과정에서 원산지 규정이 우리기업에 유리한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향후 중국 정부가 원산지 규정과 관련한 각계의 의견수렴 과정에 대비하여 중국 진출 국내기업들의 효과적인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최근 중국 정부가 FTA에 매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고 13억 거대시장을 가진 FTA 상대국으로서 중국이 가지는 매력을 감안할 때, 향후 중국과의 FTA 체결 국가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세계 시장에서 중국 제품과의 경쟁도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이는데 濠-中 FTA는 이러한 경쟁 심화의 본격적인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고 KOTRA는 밝혔다. 따라서 우리 기업과 정부는 현재 경쟁우위를 보이고 있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및 BT, NT 등 신산업 개발, 중국 진출기업의 활용, 부품산업의 육성 등의 전략을 통해 향후 더 한층 격화될 중국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참고자료> -濠-中 FTA 발효 직후 발생할 韓-中간 호주 수입관세 격차 분석 - 구분 품목수 주요 해당품목 10% 격차 발생 6 승용차(대,중,소형),기타차량,자동차 부품,볼베어링 5% 격차 발생 66 칼라TV,냉장냉동고,화물차,타이어,신문용지,모조장신구 등 1% 격차 발생 3 강관(원형외의 것),강선(합금강,비합금강) 종량관세 격차 발생 8 유류제품(연료),벤졸 등 화학제품 격차 발생 없음 27 휴대폰,컴퓨터,유선전화기,석유화학제품,기계식 프레스 등 계 110 - ※ 승용차, 칼라TV의 경우, 현재 양국 적용관세가 각각 10%, 5%이나, 濠-中 FTA 체결 시 호주가 중국산에 적용할 관세는 공히 0%로 줄어들 것이 예상됨 ※ 호주는 자국산업 구조조정계획에 따라 단계적 관세인하 프로그램을 운용중이라, 관세격차를 연차적으로 산출해야 하나, 편의상 FTA 발효직후의 관세격차를 표기한 것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灵活运用货币政策
[國際貿易 2005年 제4期] 进入新世纪以来,尤其是2004年之后,世界经济从 软转入强劲增长以及各国通货膨胀日皱 ,所有这些均导致了世界各大经济体宏观调控发生新的变化,其中,最引人目的则是宏观经济政策的新变革,这在美国,日本,欧盟和中国表现得尤为突出。 诚然,因国情不同,其表现形式也不尽相同,但在宏观经济政策变革的基本方面则并没有实质性不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東アジア經濟統合の現状と展望 —日・中・韓・アセアンの視點
[経済広報センターポケット・エディション・シリーズ No.56] *東アジア経済統合の現状と展望 —日・中・韓・アセアンの視点 日 時 二〇〇五年三月一日(火) 一三時〇〇分~一七時四五分 場 所 経団連会館 国際会議場 講演者 次頁参照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央银行货币政策的透明与模糊
*中国社会科学院世界经济与政治研究所 --内容提要 -- 本文在权重保守的中央银行框架下,讨论了中央银行目标透明度对经济的影响。本 文发现,在一定条件下,货币政策目标模糊一方面可以导致公众通货膨胀预期的提高,降低社会福 利;另一方面有助于稳定产出,提高社会福利。当中央银行比较保守时,后一种效应占优于前一种效 应,货币政策的适度不透明提高了整个社会的福利。我们的研究可以解释为什么通货膨胀控制比较 成功的国家,如美国和德国,其中央银行通常被允许保持一定程度的私密性,其货币政策存在一定程 度的模糊性,而许多具有较高通货膨胀率的国家,如以色列、英国、加拿大和瑞典等,开始采用通货膨 胀目标制,坚持非常公开、透明的货币政策。另外,本文还讨论了中国货币政策透明度问题。尽管中 国当前在货币政策决策和操作上还缺乏足够的透明度,但近年来在透明度的建设方面已取得了很大 的进步。由于人民银行近年来非常重视通货膨胀控制,可以被看成是一个“权重保守”的中央银行, 因此适度货币政策模糊性的引入可能有助于提高社会福利。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人民元・中国経済の展望 と 日本経済への影響
*Marubeni Research Institute : 丸紅經濟硏究所 Ⅰ. 정치 Ⅱ. 개혁개방의 흔적 Ⅲ. 계속 미루어진 과제, 금융제도의 개혁 Ⅳ. 인민원개혁의 행방 Ⅴ. 경제의 현황과 전망 Ⅵ. 반일데모가 일중경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