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은 지금 가격 전쟁 중
수년 전부터 지속된 중국 공산품, 특히 가전제품의 가격 인하 경쟁이 끝이 보이지 않고 오히려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 내수시장에 진출하는 외자기업은 이런 어려운 사업 환경을 충분히 고려한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The Eleventh Survey of Cost Comparison(投資コスト調査英文版) Relating to Investment in Major Cities and Regions in ASIA
Outline of the Survey JETRO conducted a survey in December 2000 that compared investment- related costs among Asian major cities and regions. Target areas of the survey were the usual 24 cities in 14 countries or regions, including the newly added cities of Tashkent(Uzbekistan), for a total of 25 cities in 15 countries regions. This eleventh surbey(the survey is conducted annually, instead of semiannually, since 2000) was conducted in 25 citiess regarding the investment-related costs like wages, land values, office rents, communication costs, power rates, and water rates that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dollar.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JETRO overseas offices. For wages by job type,surveys of the actual wage status conducted by the local Japanese Chambers of Commerce and Industry were used. When such surveys had not been conducted, four or five Japanese companies were selected as usual and requested to answer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For other costs,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local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affiliated companies. The interbank rate of December 13,2000 was adopted for local currency exchange rates to the U.S.dollar.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신용카드 시장의 잠재력에 주목하라
아직까지 중국 은행카드 산업은 은행 중심의 직불카드시장이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중국 은행연합 주식회사의 출범과 신용정보 구축, 소비자 대출시장의 성장을 계기로 신용카드 시장의 전망이 밝아지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China begins to curb budget deficit: economist
BEIJING, Aug. 1 (Xinhuanet) -- China has begun to curb its growing budget deficit and is likely to dodge the risk of possible debt crisis by adopting proper measures in the next 5-10 years, an economist said Thursday. Bai Hejin, of the Macro-economy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State Development Planning Commission, said the budget deficit is expected to rise to 62.5 billion yuan (7.6 billion US dollars) this year. The ratio between the budget deficit and gross domestic product (GDP) would grow to around three percent from 2.6 percent last year. If the deficit-GDP ratio could be kept under three percent in the coming years, China would not have heavier pressure of debt repayment in the next 5-10 years than it has at present, Bai said at the 2002 Chinese Economic Environment Review seminar. The pro-active fiscal policy that had been in place for five years is losing power this year, which Bai sees is the result of agovernment move to curb budget deficit. As the amount of treasury bonds issued this year remained at the same level as last year, both the ratio between construction T-bonds and financial expenditure and that between T-bond investment and total fixed asset investment have been shrinking since 2000. Enditem
홈 > 추천연구보고서 -
China Leads Asia in Advertising Industry
Statistics released by Nielsen Media Research show that China's advertising industry was worth 3. 8 billion US dollars in the second quarter, dwarfing all other Asian countries. Forrest Didier, chairman of Nielsen Media Research, said the second quarter was a boom time for the Asian advertising industry thanks to the robust regional economy and the first hosting of the football World Cup in Asia. According to Nielsen, many Asian countries reported double- digit advertising growth in the second quarter. China and India were the most notable countries in the region, both boasting a 33 percent increase over the same period last year. Next to China and India, the Republic of Korea (ROK) also earned 1.4 billion US dollars in advertising income. Didier said that like other Asian countries, China's advertising industry also profited from the World Cup, but the country's driving economy was still the major motivating force for advertising.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중 정보통신세미나 2002" 주요내용.. "중국 IT응용분야 300억달러 돌파"
“현재 중국시장은 IT 응용분야에서 300억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매년 27%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거대 IT시장이다. 중국은 신식산업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따라 거대 외자를 도입해 통신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같은 정책은 한국을 비롯한 다국적 기업들에 엄청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에 따라 중국이 거대 IT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국제 행사대행 전문업체인 아이피알포럼(www.ipr.co.kr 대표 맹청신)은 최근 개최한 '한・중 정보통신 세미나'에서 민간부문의 한・중 정보통신 산업분야 협력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이 모색됐다. 한국주재 중국경제국 이효청 공사는 “중국경제는 90년이후 매년 20~30%이상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5년동안은 20%대의 신장세를 보일 것”이라며 “한국의 기업들과 정보통신부문에서 기술・자금・인재의 상호 교류의 확대를 원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는 중국 진출을 계획하는 국내 중소기업인 200여명이 참석해 중국 시장에 대한 높는 열기를 반영했다. 주요 연사들의 주제발표 내용을 요약한다. ◈WTO가입 이후 중국시장에서의 IT기업 발전의 길(후샤오밍(胡小明) 중국신식협회 상무부회장겸 국가 정보화센터 부주임) 올해 중국의 IT시장은 IT응용분야에서 300억달러를 초과할 것이며, 성장률은 연간 27%에 달할 것이다. 앞으로도 성장세는 매년 지속될 것이다. 지금 중국은 중소도시의 완벽한 통신 플랫폼이 구축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선진화 시스템인 전사적자원관리(ERP)와 e비즈니스가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공공 네트워크의 보급이 활발하고 여성들의 IT교육에 관한 관심도 높아진 것이 중국 IT 시장의 특징이다. 홍보와 광고도 중요한 부문이다. 많은 중국인들은 미국의 광고를 봐왔기 때문에 이들을 설득하는 것은 쉽지않다. 때문에 지역적으로 한곳을 집중 공략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상황으로 볼때 한국 기업이 쉽게 공략할 수 있는 곳은 산둥(山東)지역이다. ◈중국 소프트웨어 산업발전 현황 및 중한협력 전망(모행춘(毛杏春) 중신집단공사 동사장 겸 총재) 중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급속한 신장세에 있으며, 2001년 제품 판매액으로 볼때 330억위안에 육박하고 있다. 이는 전년대비 38.7% 증가한 수치이다. 지역적으로 볼때 화베이(華北), 화둥(華東), 화난(華南)지역의 경제가 비교적 발달하고 대기업이 많으며, 과학기술 수준 또한 높아서 소프트웨어 시장이 비교적 크다. 특히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광저우(廣州) 등의 중심도시에 사용자가 집중돼 중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의 점유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중국의 소프트웨어 기업은 이미 안정된 발전궤도에 올라섰으며, 국제적 경쟁에 참여할 수 있는 초보적 능력도 갖췄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기업의 창조능력 부족과 경쟁력 결핍이라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바로 이점이 한국 기업에는 기회이다. 이 부분에서 중국 기업들은 한국의 기업과 협력을 강하게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차이나 유니콤의 성장으로 본 중국전기통신업의 발전 및 한중합작의 전망(류웬지에(劉韻潔) 차이나 유니콤 부총재 및 기술총책임자) 차이나 유니콤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3월말 현재 4705만명을 넘어섰다. 중국은 현재 음성전화망을 포함한 대용량 데이터망을 구축하고 선진국 수준에 올라섰다. 차이나 유니콤이 보급하는 CDMA 기술은 현재 중국에서 보편화돼 있는 유럽의 GSM 방식보다 데이터 전송능력에 있어서 더 빠르고 비용이 덜 든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2004년말까지 중국의 CDMA 이동통신 가입자는 5000만명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는 중국이 세계 최대의 CDMA 시장으로 성장을 예고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차이나 유니콤은 무선 인터넷 부문과 네트워크 설비, 단말기 설비 등의 부문에서 한국기업과의 협력을 원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중환경산업투자포럼" 개최결과(7.4〜5, 북경)
7.4목) 〜 7.5(금) 기간 중 아국 환경부와 주재국 환경보호총국 공동주최로 개최된 "한・중환경산업투자포럼"은 관계 공무원, 기업인 및 학자 등 총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중환경차관회담, 기술교류세미나, 투자상담, 학술교류협의회, 한국 하수처리기술 현장시연회 등 우리 환경산업 진출기반 강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었는 바, 그 요지 아래 보고함. 행사개최 개요 목적 : 환보기술전시청 개관 1주년 기념 환경산업투자포럼 개최 일시 : '02.7.4(목) 〜 7.5(금) 장소 : 명인국제호텔(北京市 亞運村 소재) 주최 : 한국 환경부 및 중국 국가환경보호총국 공동 주관 : 한국 환경산업협회, 한국상하수도협회, 中國環境保護産業協會, 靑華大 및 國傑老敎授科學技術開發硏究院, 후원 : 한국 환경관리공단, 수자원공사, 中國市政工程協會, 中國環境科學硏究院 참가 : 한・중 정부・학계・기업인 등 250여명 * VIP : 한중 양국 환경부 차관 행사 : 기념식, 차관회담, 세미나, 학술교류회, 황사현장 시찰, 하수처리기술 시연회 등 주요 행사결과 한・중환경차관회담 - 이만의(李萬儀) 환경부차관과 주재국 王紀戎 국가환경보호총국부국장은 7.4(목) 중국환경과학연구원에서 개최된 차관회담에서, 한・중 양국의 환경산업 협력 강화를 위해, 매년 7월 북경에서 "환경산업투자포럼"을 정기적으로 개최키로 하고, - 동 포럼의 주제 및 활동내용 등 세부적 사항은 관계실무협의회에서 논의, 결정키로 하였음. 기술세미나 및 투자상담 - 7.4(목)〜7.5(금) 기간중 진행된 환경기술세미나에서는 정부정책 관련 4건 및 환경기술관련 14건 등 총 18건의 논문이 대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처리, 토양오염 및 상하수도 등 전 분야에 걸쳐 발표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총 17건의 투자상담이 병행 진행되었음. - 李震濤 중국재정부 EDCF 차관사업 담당관은 "EDCF 차관과 환경보호 프로젝트 개발" 題下의 발표에서, 한국의 EDCF차관이 1945년부터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환경산업부문의 사용량은 11%에 불과하며, 이와 같이 사용실적이 저조한 사유는 한국 한국기술에 대한 지명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 향후 우리기술의 지명도 제고를 위한 활동의 필요성을 역설하였음. - 한국측 변규혁 한국수출입은행 북경사무소장은 EDCF 차관 지원방향과 관련, 수출전략산업의 국제수주 경쟁력 강화 및 기금 재원의 가용성 제고를 위해, EDCF 기금과 여타 공적자금을 함께 사용, 혼합신용도를 제고해야한다고 주장하고, IT, 환경 등 신규성장 가능분야의 참여확대 필요성을 강조하였음. 학계간 학술교류협의회 - 7.5(금) 개최된 "한・중대학간학술교류협의회"에서는 한국측에서 신응배 한양대학교 교수 등 4인과 중국측에서 Michael Yuan 國傑老敎授科學技術開發硏究院 주임 등 3인이 참여, 한・중 양국의 상하수도기술 교류 방안과 대학간 협력 방안 등을 광범위하게 논의하였음. - 중국측은 향후 학계간 환경프로젝트의 공동추진 등을 제안하며, 동 사업 등의 협의창구로 중국측에서 Michael Yuan 國傑老敎授科學技術開發硏究院 주임과 한국측에서 주봉현 주중국대사관 환경관을 제안, 양측 합의하였음. 하수처리기술시연회 - 7.5(금) 북경시 소재 方莊下水處理場(시설용량 4만톤/일)에서 실시된 "한국 하수처리기술시연회"에는 한・중 상하수도 분야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 노후 하수처리장의 성능개선에 적용할 수 있는 신기술을 선 보임. 동 시연회는 기존 하수처리장에 한국의 수처리 전문회사 에치투엘(주)이 "섬모상생물막을 이용한 고도처리기술(CNR공법)"을 활용, 설치한 시범시설에서 실시되었으며, 문제가 있는 기존시설의 성능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입증해 보임으로써, 향후 한국기술의 동 분야 진출 가능성을 높게 평가 받았음. 중국환경산업 체험시찰(상하수도학회) - 7.4(목)〜7.7(일) 기간중 한국상하수도학회는 소속회원 16명(단장 신응배 교수)으로 구성된 환경산업 현지시찰단을 조직, 환경산업투자포럼행사 및 북경시 하수처리시설 기술시연회 등 관련 행사에 참석하고, 國傑老敎授科學技術開發硏究院 등 학술단체 관계관 등과 간담회를 개최, 향후 상하수도분야 시장개척을 위한 시장상황 파악 등 활동을 전개하였음. 관찰 의견 이번 행사는 한국환보기술전시청 개관 1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아국 환경부에 의해 독자적으로 추진되었으나, 이 소식을 접한 중국측 국가환경보호총국, 국가 환경과학연구원, 청화대 및 國傑老敎授科學技術開發硏究 등 기관으로부터 적극적 공동개최 및 공동주관 요청이 있어, 한・중 합동행사로 개최하게된 것임 - 이는 중국측 정부, 학계 등 지도층으로부터 향후 중국 환경시장에서의 한국 환경기술과의 협력 필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그러나, 기술세미나에 발표된 중국 정부측 인사의 의견은 주로 한국 기술의 현장 지명도가 낮아 중국내 보급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바, - 향후 이번 세미나와 같은 형태의 기술교류 기회를 확대해 나가면서, 동시에 유관기관 및 단체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강구, 시행함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됨. 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2년 상반기 중국 대외교역 동향
1. 2002년 상반기 중국은 WTO 가입으로 인한 무역수지 악화 우려와 세계경제의 침체지속에도 불구, 지난해에 이어 대외교역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였으며, 외국인직접투자도 크게 증가하였음 가. 상반기 대외무역 동향 ㅇ 상반기 교역량은 전년대비 12.3%가 증가한 2,707억달러 - 수출은 14.1%가 증가한 1,420억6천만달러, 수입은 10.4% 증가한 1,286억 5천만달러를 기록하여 상반기 무역흑자는 134억1천만달러 달성 ㅇ 무역형태별 수출입 구조 - 일반무역규모 : 1,159억5천만달러, 이중 수출은 595억3천만달러(12.5%증가), 수입 564억2천만달러(3.4%증가) - 가공무역규모 : 1,323억8천만달러(17.5%증가), 이중 수출은 787억2천만달러 (15.1%), 수입 536억6천만달러(21.3% 증가) ㅇ 상품별 수출입 구조 - 기계・전기・전자제품 수출은 높은 성장속도를 유지하여 상반기 총 수출액은 680억7천만달러(24% 증가)로 수출총액의 47.9%를 차지 - 이중 전기 및 전자제품이 278억3천만달러(21.1% 증가), 기계 및 설비수출은 227억달러(45.9% 증가) 기록 - 이외에 의류수출액은 168억8천만달러(4.3% 증가), 플라스틱제품은 28억2천만달러(15.9% 증가)에 달함 - 대두, 원유 등 초급제품의 수입액은 211억1천만달러(7.0% 감소), 공업제품 수입이 1,075억4천만달러(14.7% 증가) 기록 - 특히 기계전자제품 수입이 659억2천만달러(16.8% 증가)에 달해 수입총액의 51.2% 차지 나.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ㅇ 상반기 중 외국인직접투자는 총 15,155건으로 누계 40만건을 초과 - 실제 유치금액은 245억7,900만달러에 달해 총 투자유치액(누계)이 4,198억 200만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외환보유고는 2,427억달러에 달함 2. 평 가 ㅇ 중국은 WTO가입으로 인한 관세인하 등 시장개방의 여파로 수입이 증가되어 무역수지가 악화될 것이라는 당초 우려와는 달리, 상반기 무역수지는 지난해 동기 80억불 대비 68% 증가한 134억불을 달성하였는 바, - 이는 중국의 WTO가입으로 중국의 관세인하 및 무역장벽 완화와 더불어 외국의 중국상품에 대한 무역장벽 완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중국의 시장 개방에 따른 실보다 세계의 중국제품에 대한 시장개방에 따른 득을 얻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 아울러 각국의 투자가 중국에 집중되면서 이들 투자기업이 중국의 수출에 미치는 유발효과가 현저히 나타나고 있는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보임 (외국투자기업이 중국수출에 차지하는 비중은 50%에 달함) ㅇ 또한 상반기 중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의 확대로 누계기준 총 40만건, 4천억불을 돌파하였는 바, - 이는 미국의 9.11테러 사태 이후 미국에 대한 투자 위축의 반사적 효과로 각국이 중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 결과인 것으로 관측됨 ㅇ 한편, 지난해 하반기의 수출증가세 하락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상반기에 수출이 큰 폭으로 확대되는 등 대외교역이 성장추세를 회복하였는 바, 이러한 성장추세는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 한편, 최근 미국 등 세계경제의 침체가 당분간 지속된다면 이는 중국의 대외교역에도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조심스런 관측도 있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중소기업촉진법' 제정
제9회 전인대 상무위원회 제28차 회의(6.29)에서 '중국 중소기업촉진법'이 통과되어 2003.1.1일부로 시행될 예정 금번 발표된 '중소기업촉진법'은 중소기업의 투자환경 및 영업활동을 개선하고, 국유기업과 동일한 법률적 보호를 제공하며, 재정지원 및 조세 특례와 신용증대를 통하여, 중소기업의 창업과 진흥을 촉진하기 위해 제정된 중소기업관련 최초의 기본법으로서, 우리의 '중소기업기본법', '중소 기업진흥 및 제품구매 촉진에 관한 법률', '중소기업창업지원법' 등 중소기업 관련법의 내용을 망라한 종합적인 중소기업지원법이라고 할 수 있음 동 법에서는 중소기업 촉진과 관련, 본 법에서는 국무원, 중앙부처 및 현 이상의 지방정부에서 각각 수행할 업무의 대강만을 규정하고, 세부적인 사항에 대하여는 국무원과 지방정부 등에서 별도로 정하도록 규정함으로써 통합법으로서의 법체계를 구성하고 있음 국무원이 제정할 규정 : '중소기업발전기금조성 및 사용관리', '중소기업신용보증관리방법' 등 경무위가 제정할 규정 : 중소기업 산업발전 지도목록 지방정부가 제정할 규정 : 그 지역 중소기업의 상황에 적합한 시행방법 중국에서의 중소기업 비중은 2001년말 현재 29.2백만개의 중소기업이 174백만명을 고용하고, GDP의 50%, 수출의 60%, 조세수입의 43.2%를 점유하는 등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바, 금번 촉진법의 제정으로 종래 대형 국유기업 중심으로 추진된 산업정책을 중소기업 육성 방면으로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WTO가입에 따른 개방 일정과 더불어 국내외 기업에 의한 창업 및 투자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경제의 구조조정의 촉진 및 창업에 따른 실업자 흡수가 동시에 진행되어 경제구조의 고도화 및 건전화가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됨 첨부 : 중국중소기업촉진법.hwp (37.53KB)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동 법률의 주요내용(총 7장 45조)> 가. 총 칙 제정 목적(제1조) -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개선 및 건강한 발전 촉진, 도시와 농촌의 고용기회 확대, 국민경제와 사회발전에 있어서의 중소기업의 역할 발휘 등 중소기업의 정의(제2조) - 중국내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 사회수요를 만족시키고 고용을 증가시키며 국가산업정책에 부합되면서 생산경영규모가 중소형에 속하는 각종 형식의 소유제 및 기업 - 중소기업의 구분기준은 국무원 기업담당부처(경무위)가 기업의 직원수, 매출액, 자산총액 등의 지표에 근거하여 산업특징을 결부시켜 제정하되, 국무원에 보고하여 승인을 받아야 함 중소기업정책 추진체계(제4조) - 국무원이 중소기업정책 제정을 담당하며, 전국적 중소기업 발전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함 - 국무원 기업담당 부처는 중소기업 관련 국가 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고, 전국의 중소기업발전에 대한 종합적인 협조, 지도 및 서비스 제공 - 국무원 관련 부처는 중소기업의 국가 정책 및 계획에 근거하여 권한 범위내에서 중소기업사업에 대해 지도 및 서비스 제공 - 현 이상의 지방정부 및 산하 기업담당기관과 기타 관련기관은 권한 범위내에서 당 행정구역내 중소기업에 대한 지도 및 서비스 제공 중소기업 산업발전 지도목록 작성(제5조) - 국무원 기업담당부처는 국가산업정책에 적합하고 중소기업의 특징과 발전 상황을 고려하여 '중소기업 산업발전목록'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중점지원 대상을 확정하고, 중소기업의 발전을 유도, 장려함 중소기업인의 권익 보호(제6조) - 국가는 중소기업 및 출자인의 합법적인 투자, 그리고 투자로 인해 획득한 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함 - 여하한 기관이나 개인도 중소기업의 재산 및 합법적인 권익을 침범할 수 없으며, 어떠한 기관도 법률 및 법규에 위반하여 중소기업으로부터 비용을 수취하거나, 벌금을 부과할 수 없으며, 경제적인 부담을 시킬 수 없음 - 중소기업은 상기 규정을 위반하는 행위에 대해 거부, 신고 및 기소를 할 권리가 있음 중소기업의 의무(제8~9조) - 중소기업은 노동안전, 직업위생, 사회보장, 자원환경보호, 품질, 조세납부, 금융 등 관련 분야의 법률 및 법규를 준수하여야 함 - 법에 의한 경영관리, 직원들의 합법적인 권익 및 사회공중이익의 보호 - 직업윤리 및 신용 준수, 업무수준 향상 노력, 자체개발능력 제고 등 나. 자금 지원 예산 배정 및 집행(제10조) - 중앙재정예산에 중소기업 예산항목을 설치하고, 중소기업발전지원 전용 자금을 배정함 - 지방정부는 현실에 맞게 중소기업에게 재정지원을 함 지원 용도(제11조) - 중소기업 서비스시스템 구축, 중소기업 업무지원, 중소기업발전기금 보충 및 중소기업 발전 지원 관련 사항에 사용 중소기업발전기금 조성 방안(제12조) - 중앙재정예산에서 배정한 중소기업발전지원 전용 자금, 기금수익, 기부 및 기타 자금 - 국가는 조세정책을 통해 중소기업발전기금에 대한 출연을 장려함 중소기업발전기금 사용 내용(제13조) - 창업지도 및 서비스, 중소기업신용담보체계의 건립 지원, 기술혁신 지원, 전문화 및 대기업과의 협력 장려, 인재훈련 및 정보자문 서비스 분야 지원, 국제시장 개척 및 청정생산 지원 등 - '중소기업발전기금 조성 및 사용관리' 조치는 국무원에서 별도 규정 금융기관의 역할(제14~15조) - 중국인민은행은 신용대출정책성 지도를 강화하고 중소기업의 융자환경을 개선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대출을 확대함 - 각 금융기관은 중소기업에게 금융지원을 제공하고 금융서비스를 개선하며 서비스 태도와 의식을 향상시킴 - 각 상업은행과 신용회사는 신용대출관리 개선, 서비스 범위 확대, 금융상품 개발, 신용대부구조 조정 등을 통해 중소기업을 위한 신용대출, 결산, 재무자문, 투자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 정부의 역할(제16~21조) - 중소기업이 직접융자를 받을 수 있는 조치를 마련 - 조세정책을 통해 벤처투자기관의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 확대 장려 - 중소기업의 신용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체제를 수립 - 중소기업 신용담보체계를 수립(현 이상 지방정부 및 관련 기관) * '중소기업신용보증관리방법'은 국무원에서 별도로 규정 - 중소기업에 대한 담보 및 중소기업간 상호융자보증 확대 다. 창업지원 창업지원 서비스(제22조, 제25~28조) - 기업설립에 필요한 정보와 자문서비스 제공 - 중소기업 개발 수요에 따른 장소와 시설의 합리적 배치 - 실업자, 장애자 지원 및 보조, 기술전문학교 졸업생의 고용기회 확대 등 - 현실에 맞는 공상, 재무, 조세, 융자, 노동, 사회보장 등과 관련한 정책자문 및 정보서비스 제공(지방정부) - 법률에 의한 등록조건 및 법적 절차에 의거한 중소기업 설립 및 등록 수속 - 중소기업의 중외 합자 또는 합작 지원 - 산업재산권 또는 비특허기술을 통한 중소기업의 투자 참여 지원 등 조세지원(제23~24조) - 실업자가 설립한 중소기업, 장애자 및 실업자 고용비율이 국가규정에 도달한 중소기업, 하이테크 중소기업, 소수민족지역 및 빈곤지역에서 설립한 중소기업 등에 대해 일정기간 소득세 감면, 우대조세정책 실시 라. 기술개발 기술개발 및 기술개선 항목에 대한 어음할인 혜택 향유(제29조) 기획, 용지, 재정 등 지원 및 각종 기술서비스 기구, 생산력 촉진센타, 인큐베이터 기지를 설립 등(제30조) 중소기업과 연구기관간 기술합작, 교류를 통한 과학기술협력성과의 산업화 촉진 (제31조) 마. 시장 개척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제32조) -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시장자원의 안정된 배치를 통하여 원재료 공급, 생산, 판매, 기술개발, 기술개선 등의 협력관계를 구축 중소기업의 합병 및 매수 지원(제33조) - 중소기업이 통폐합, 인수 등의 방식을 통해 자산의 재조합 또는 자원의 재배치가 최적화될 수 있도록 유도, 추진, 규범화함 정부구매시 우대(제34조) - 정부구매시 우선적으로 중소기업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함 중소기업의 수출 및 대외협력 지원(제35~36조) - 중소기업 제품의 해외수출을 촉진하고 대외경제기술협력 및 교류를 지원함 - 중소기업제품의 전시판매 및 정보자문활동 강화 - 정책성 금융기관은 수출입신용대출, 수출신용보험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을 지원 바. 사회서비스 지원서비스(제38~40조) - 컴퓨터 네트워크를 활용한 첨단의 중소기업지원시스템을 구축 - 창업보조, 기업진단, 정보서비스, 마케팅, 투융자, 대부금담보, 재산권 거래, 기술지원, 인재유치, 연수, 대외협력, 전시회 판매, 법률자문 등 관련 서비스 제공 중소기업의 마케팅, 관리 및 기술수준 제고(제41조) - 관련기관, 대학 및 전문학교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관리 및 생산기술과 관련, 직원의 연수, 훈련 등을 통해 경영 능력 향상 사. 부칙 성, 자치구, 직할시는 당해 지역 중소기업의 상황에 관련 시행방법을 제정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2. 1/4분기 중국의 통신시장현황
2002. 1/4분기 중국의 통신시장현황에관한 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 게시하니 참고바랍니다. 가. 2002 1/4통신서비스매출 및 신규가입자 ■ 통신업무 매출액: 1029.8억 위엔(전년대비 14.9% 증가) - 郵政서비스 매출은 120.8억 위엔(전년대비 10.4%증가)이고 통신서비스 매출은 909억 위엔(15.6%증가)임 - 통신서비스 매출구조 이동통신: 417억 위엔(45.9%) 유선통신: 323.4억 위엔(35.6%) 데이터통신: 42억 위엔(4.6%) 기타: 126.6억 위엔(13.9%) 합계: 909억 위엔(100%) - 郵政儲蓄의 잔고는 6467.9억 위엔으로 동기에 비해 27.9%증가 ■ 신규가입자 전체 신규가입자는 2630만 명으로 총 사용자가 3.5억 명에 이름 -일반유선전화 신규가입자: 961만 명(누계 1.9억) -이동전화 신규가입자: 1669만 명(누계 1.6억) -인터넷 등 전용선: 62.8만 명(누계 3753.2만) 나. 통신분야 신규투자 및 시설용량 ■ 투자규모 -고정자산투자를 191.4억 위엔으로 전년동기대비 36.2%증가 그중 신규 통신인프라투자가 93억 위엔이고 통신시설개조투자가 98억위엔임 -지역별 투자현황으로 보면 동부지역은 138.4억위엔(72.3%), 중부지역은 33.5억위엔(17.5%), 서부지역은 19.4억위엔(10.2%)임. ■ 통신시설용량 -새로증가한 전화교환시설용량은 154만회선으로 총용량은 2억회선임. -새로증가한 이동전화교환시설용량은 2330.9만회선으로 총용량은 2.4억만회선임 다. 통신회사별 시장점유율 ㅇ 3월말까지 통신업무매출의 시장점유율은 중국전신 50.5%(지난년말51.2%), 중국이동 36.6%(지난년말38.1%) 중국연통 11.3%(지난년말0.3%), 기타 (中國衛星, 中國網通, 吉通,鐵通)가 1.6%를 차지. ㅇ 이동전화업무매출과 사용자의 시장점유률은 중국이동이 각각 79.8%, 70.4%를 차지하고 중국연통은 20.2%와 29.6%를 차지. ㅇ 장거리 케이블사업은 중국전신에서 66.3%에 중국연통은 23.5%임. ㅇ IP전화업무의 시장점유률(통화시간으로 계산)은 중국전신60.8%, 중국이동 22.6%, 중국연통 10.5%, 中國網通 3.5%, 吉通2.6%를 차지함.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