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세계 R&D 거점화에 대비해야
[e-Kiet 산업경제정보 제258호(2005-19)] 산업연구원은 최근 다국적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중국에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하면서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기술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국과의 기술격차 축소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료에서는 중국정부는 R&D 센터 유치를 위해 외자기업의 연구개발센터 설립 형식, 경영범위, 조건, 설립 절차 등을 규정하고, 다국적기업들이 설립한 연구개발센터에 대해 우대정책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중국이 보유한 우수한 인재와 경제성장 잠재력 등은 다국적기업들이 중국에 R&D 센터를 설립하는 주요 동기로 작용하고 있다고 했다. 자료에서는 다국적기업들의 연구개발센터 설립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전체 257개중 미국이 85개사로 전체의 33%, 유럽이 58개사로 22.6%, 일본이 45개사로 17.5%, 화교계 기업이 50개사로 19.4%를 각각 차지했고, 업종별로는 IT산업이 146개로 전체의 56.8%를 차지했으며, 다음은 제약과 생명공학(BT)이 30개로 전체의 11.7%를 차지하는 등 첨단산업 위주로 설립됨으로써 중국 산업구조 고도화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고 했다. 또한 주로 경제가 발전하고 우수 연구인력이 풍부한 上海 중심의 長江삼각주 지역(149개로 전체의 57%)에 가장 많이 설립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산업연구원은 중국정부의 지적재산권 보호의지 취약, 연구인력의 실질적 연구경험 부족, 부품・소재 등 연관산업의 미발달, 중국측 파트너의 비성실성 등은 다국적기업들의 중국 R&D 센터 설립에 애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하며, 중국의 이러한 약점을 적극 활용해 중국에 투자하려는 다국적기업들의 연구개발센터를 한국에 유치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주간중국산업정보 제28호 [2005.05.23]
週刊 中國産業情報 第17期 (總28號)2005年 5月 23日 ----目 次---- ■ 정책 : “十一五” 기간 산업구조 변화 추세 / p 1 ■ 분석 : 2005년 1/4분기 중국 IT 시장 종합 분석 / p 3 ■ 산업 1. 조선산업 : 1/4분기 중국 조선산업 동향 분석 / p 8 2. 기계산업: 외자 공작기계기업의 중국 현지화 진행 현황 / p 11 3. 유통산업 : 주유소를 둘러싼 유통기업들의 경쟁 / p 16 ■ 통계 : 1-4월 구리, 알루미늄 수출입 통계 / p 18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제약시장의 현황과 국내 제약회사의 중국 진출방안 모색
- 중국이 시장경제 체제 전환, 소득수준 향상, 의료보험의 농촌지역 확대와 인구 노령화 등으로 제약시장이 매년 17% 안팎으로 성장하고 있음 - 중국의 제약시장은 6,000여개의 제약기업이 난립하고 범용약품 중심으로 약품이 공급과잉 되고 있음 - 이에 따라 중국은 신약개발, R&D 투자 확대, 기업 구조조정을 제약산업 발전 정책으로 제시하여 추진하는 한편, - 제약 산업과 약품 유통시장에 대한 제도정비를 2004년부터 적극 추진하고 있음 - 세계적인 제약기업의 대부분이 중국에 진출했으며, 우리 제약기업은 2005년 3월말 현재 34건, 20.5백만 달러가 투자되었음 - 중국 제약시장의 진출을 위해서는 약품을 유통시키는 도매상 선정이 중요하며, 국내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시장을 확보한 약품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주간중국산업정보 제27호 [2005.05.16]
*週刊 中國産業情報 第16期 (總27號)2005年 5月 16日 ----目 次---- ■ 정책 : “十一五”기간중 중국의 대외개방전략 및 정책 방향 / p 1 ■ 분석 : 2005년 1/4분기 디지털카메라 신제품 출시동향 분석보고 / p 4 ■ 산업 1. 자동차 산업 : 2005년 하반기 자동차 가격에 영향을 미칠 요소 / p 9 2. 물류산업 : 2004년 중국 물류 산업 운행 현황 분석 / p 13 3. 에너지산업 : 長城石油 거대한 민영 석유기업 등장 / p 19 ■ 통계 : 2005년 3월 주요 가전제품 생산량 통계 / p 23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동북아 제조업의 분업구조와 고용관계(I)
[연구보고서 2005-05] 요 약 i 제1장 서 론 (조성재) 1 제1절 문제의 제기 1 제2절 연구의 전략과 구성 3 제2장 중국의 산업화 전략과 제조업 고용관계 (장영석) 9 제1절 도 입 9 제2절 중국의 경제성장과 산업화 전략 10 제3절 중국 제조업의 고용관계 변화 28 제4절 소 결 46 제3장 일본 제조업의 국제화와 새로운 분업구조의 모색 (오재훤,조성재) 49 제1절 일본 제조업의 공동화 논의 50 제2절 일본 제조업의 국제화 실태 53 제3절 제조업의 구조변화와 고용의 감소 61 제4절 새로운 국제분업론의 대두 65 제5절 소 결 77 제4장 동북아 3국의 무역 및 투자 현황과 한국의 일자리 변동 (김혜원) 79 제1절 서 론 79 제2절 한국의 수출과 해외투자 동향 81 제3절 수출과 일자리 창출 87 제4절 해외직접투자와 일자리감소 102 제5절 소 결 113 제5장 한국 제조업의 해외진출 현황과 결정요인 (조성재) 118 제1절 문제 제기와 자료의 구성 118 제2절 해외진출 현황과 영향 요인 120 제3절 해외진출 지역 결정의 영향 요인 144 제4절 향후 해외진출 전망 151 제5절 해외진출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154 제6절 소 결 163 <부록> 한국노동연구원 사업체패널 3차 조사의 '해외 진출' 관련 설문 내용 168 제6장 중국 자동차산업의 발전과 고용관계 (장영석,조성재,박준식) 173 제1절 머리말 173 제2절 중국 자동차산업의 특징 175 제3절 중국 자동차산업 고용관계에 대한 사례 연구 212 제4절 소 결 243 제7장 일본자동차산업 인적자원관리의 최근 변화 (오재훤,조성재) 246 제1절 도 입 246 제2절 고용관리 248 제3절 임금 및 승진제도 256 제4절 작업조직 및 교육훈련 262 제5절 소 결 269 제8장 일・중과 비교를 통해 본 한국 자동차산업의 고용관계 (조성재) 273 제1절 분석시각 및 조사의 개요 273 제2절 자동차산업 고용관계를 둘러싼 환경요인 276 제3절 완성차 부문의 고용관계 비교 287 제4절 부품 부문 고용관계 비교 300 제5절 소 결 339 제9장 결 론 (조성재) 349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과 함의 349 제2절 분업구조 및 고용관계와 관련한 정책방향 366 참고문헌 370
홈 > 추천연구보고서 -
外国直接投資が中国産業発展に与える影響とその示唆 —ケーススタディを中心に-
[研究レポート No.230] 【要旨】 中国は、外国直接投資(FDI)誘致と輸出振興の成功で注目されている。だが、多国籍企業による技術移転の内部化戦略の加速等の状況変化に対して、多国籍企業の技術移転に依存している中国FDI政策は、量的拡大よりも技術移転効果等を図るための選択的なFDI政策の方向へシフトしている。しかし、選択的なFDI政策の根拠はどこにあるのか。中国で評価の高いケースと評価の低いあるいはマイナス効果への懸念の多いケースを調査研究して、これらの問いに実証面から解を求めた。ケーススタディは、(1)携帯端末産業、(2)自動車産業、(3)小売業、(4)銀行サービス業に対して行った。これらの産業を調査研究の対象にしたのは、外資進出が多く中国にとっていずれも需要な産業であり、評価も分かれていたからである。 ケーススタディの結果、FDIが中国経済・産業に与えるプラスの影響として、投資資金導入とともに、(1)輸出拡大、(2)技術拡散、(3)地場サプライヤーの育成、(4)雇用拡大、(5)企業統治の改善やマネジメントレベルの向上、(6)競争促進等の効果が上げられる。プラス効果は大きく、マイナス効果も散見されている。 中国の経験から途上国政策担当者へのヒントや示唆が得られる。それには、(1)発展レベルの低い段階にある途上国は、FDI流入の量的拡大政策が優先されるべきこと、(2)初期段階を終えた途上国は、FDIにともなう技術移転効果の向上をはかるべきこと、(3)FDI活用につながる地場企業育成政策を推進すること、(4)インセンティブ・システムは効率的に追求すべきこと、(5)サービス業の自由化を推進すべきこと、(6)クラウディングアウト効果を最小限に留められる政策セットを同時に推進することが上げられる。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진출기업의 경영환경 현지 실태조사
[보도자료/원문] 1. 조사개요 / 1 2. 중국 진출기업의 경영실태 2.1. 우리기업의 중국 진출현황 / 2 2.2. 우리기업의 체감 경영환경 / 4 2.3. 우리기업의 공정절차 / 7 2.4. 우리기업의 애로사항 / 8 3. 우리 정부의 정책과제 / 10 중국진출기업, “손익분기점 도달위해 40개월 소요” - 수익구조: 손익분기 수준(39.3%), 흑자(31.6%), 적자(29.1%) - 진출이유: 인건비 절감(40.2%), 시장개척(30.5%), 노동력 확보(19.5%) 順 - 현지애로: '전력부족'(81.5%), '원자재난'(53.1%), '세제문제'(46.9%) <항목별 '예''아니오'> 우리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인건비 절감(40.2%)'이며 진출기업이 현지에서 손익분기점에 도달하는 데는 평균 40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성)가 최근 중국 현지에서 중국한국상회를 통해 200개 현지법인을 대상으로 '중국 진출기업의 경영환경 현지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국에 진출한 우리기업들이 손익분기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평균 40개월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진출기업중 흑자기업은 31.6%였으며, 나머지는 손익분기점 수준에 머물러 있는 기업이 39.3%, 적자기업이 29.1%인 것으로 조사됐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위안화 절상이 우리나라 수출입에 미칠 영향
[보도자료/원문] 中國 위안貨 切上이 우리나라 輸出入에 미칠 影響 Ⅰ. 檢討背景・・・・・・・・・・・・・・・・・・・・・・・・・・・・・・・・・・・・・・・・・・・・・・・・・・・・・・・・・・・・・・・・・・・・・・・・・ 1 Ⅱ. 위안貨 切上이 우리나라 輸出入에 미칠 影響・・・・・・・・・ 3 1. 波及經路・・・・・・・・・・・・・・・・・・・・・・・・・・・・・・・・・・・・・・・・・・・・・・・・・・・・・・・・・・・・・・・・・・・・・・・ 3 2. 輸出에 미칠 影響・・・・・・・・・・・・・・・・・・・・・・・・・・・・・・・・・・・・・・・・・・・・・・・・・・・・・・・ 5 3. 輸入에 미칠 影響・・・・・・・・・・・・・・・・・・・・・・・・・・・・・・・・・・・・・・・・・・・・・・・・・・・・・ 11 Ⅲ. 綜合評價・・・・・・・・・・・・・・・・・・・・・・・・・・・・・・・・・・・・・・・・・・・・・・・・・・・・・・・・・・・・・・・・・・・・・・・・・ 15 한국은행은 최근 발표한 '중국 위안화 절상이 우리나라 수출입에 미칠 영향' 보고서에서 중국 위안화가 10% 절상될 경우 수출(+24억달러)이 수입(+4억달러)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하여 상품수지는 20억달러(2004년중 상품수지 흑자 382억달러의 5.2% 수준) 개선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위안화 절상과 함께 원화도 2% 동반 절상될 경우 상품수지는 개선폭이 줄어들겠으나 여전히 8억달러 개선(수출 +20억달러, 수입 +12억달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위안화 절상으로 중국의 수출 및 내수 증가세 둔화되어 수출감소 효과가 위안화표시 對韓 수입가격 하락에 따른 수출증가 효과를 압도함으로써 對중국 수출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제3국 시장에서는 중국제품에 대한 국산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향상되면서 수출증가가 기대되며, 실증분석 결과 중국 위안화가 10% 절상되면 수출은 향후 1년간 24억달러 내외 증가(원화가 2% 동반 절상될 경우 20억달러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은행은 위안화 절상으로 대중국 수입은 중국제품의 수입가격 상승에 따른 수입수요 둔화로 감소하겠으나 중국 이외 지역으로부터의 수입은 우리나라 수출증가에 따른 수입수요의 확대 등으로 수출용 원.부자재를 중심으로 증가할 전망이며, 중국 위안화가 10% 절상될 경우 수입은 향후 1년간 4억달러 정도 증가(원화가 2% 동반 절상될 경우 12억달러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人民元の国際化と決済リスク対応策
目次 1. 人民元の国際化のプロセス (1)3段階の国際化 (2) 資本取引自由化のプロセス (3) 為替相場制度の変更時期 (4) 人民元建て取引自由化の時期 2.中国の証券・為替決済リスク (1) 中国の資金・証券決済システムの現状 (2) 中国の為替資金決済システムの現状 3.中国の対外証券・為替決済リスクの削減方法 (1) 香港の資金・証券決済システムの現状 (2) 香港の為替資金決済システムの現状 (3) 今後の展望
홈 > 추천연구보고서 -
Is China's FDI Coming at the Expense of Other Countries?
[NBER Working Paper No. 11335] ---- Abstract ----- We analyze how China's emergence as a destination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affecting the ability of other countries to attract FDI. We do so using an approach that accounts for the endogeneity of China's FDI. The impact turns out to vary by region. China's rapid growth and attractions as a destination for FDI also encourages FDI flows to other Asian countries, as if producers in these economies belong to a common supply chain. There is also evidence of FDI diversion from OECD recipients. We interpret this in terms of FDI motivated by the desire to produce close to the market where the final sale takes place. For whatever reason -- limits on their ability to raise finance for investment in multiple markets or limits on their ability to control operations in diverse locations -- firms more inclined to invest in China for this reason are corresponding less inclined to invest in the OECD. A detailed analysis of Japa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 outflows disaggregated by sector further supports these conclusions.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