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안화 평가절상 가능성과 대응방향
[오늘의 세계경제] 요약 ▣ 최근 중국 위안화의 조기 평가절상을 예상하는 다양한 관측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는 2003년 이후 2년 이상 지속된 논란임. - 이러한 논란이 지속되는 이유는 최근 2년간 달러가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중국의 고정환율제가 결과적으로 위안화의 사실상 평가절하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임. - 또한 미국의 대중 무역수지 적자가 2004년 1,619억 달러에 이르는 등 국제무역의 불균형이 심화되면서 각국으로부터의 절상압력이 가중되고 있음. ▣ 실제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을 반영하는 위안화의 실질실효환율이 2004년 10월 이후 5% 정도 절하되어 수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서 인민폐 평가절상에 대한 시장의 압력은 가중 - 그러나 국제수지 흑자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지 않고, 통화량도 적절히 통제되고 있어서, 평가절상에 대한 국내적 필요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며, 중국 정부 역시 일회적인 평가절상보다는 점진적인 변동환율제로의 이행을 선호하고 있음. ▣ 따라서 금년 중 평가절상의 가능성은 크지 않으며, 절상이 있더라도 5% 정도의 소폭 절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됨. - 다만 달러가치가 급격하게 하락한다면, 위안화의 조기 평가절상이 이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중국은 2005년 5월부터 도입되는 시장조성자(market maker) 제도가 안정화되고, 위안화 파생상품의 도입 등 위안화 환율 결정 시스템이 어느 정도 갖추어지는 2006년 이후에, 평가절상에 대한 외부의 기대가 잦아드는 시점을 택하여 변동환율제로의 이행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됨. ▣ 소폭의 위안화 평가절상은 우리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상대적으로 개선되어 수출증가 등 우리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전망됨. . - 다만 한중 경제관계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업종과 사업형태에 따라서는 평가절상으로 인한 부정적 충격도 나타날 수 있음. ▣ 이상을 종합할 때, 위안화 평가절상의 부정적 충격에 대한 우려를 과장할 필요는 없으며, 향후 위안화의 수준(level)보다는 변동환율제 도입에 따른 변동성(volatility) 증가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 또한 평가절상 결정이 장기간 지연될 경우에는, 미중 통상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한 수출환경의 악화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人民币升值与人民币汇率形成机制改革
摘要:人民币汇率问题随着本月6日美国参议院通过的一项草案再次成为关注的焦点。本文编撰了有关人士 对人民币汇率问题的观点,强调了人民币升值是问题的表象,完善人民币汇率形成机制是目前的主要任务。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현대화보고2005」의 의미와 시사점 [보도자료/원문]
중국의 경제현대화 전략은 運河(canal)戰略 - 2030년경, 현재 한국과 같은 규모의 시장 30개 형성 전망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소장 현오석)는 <「중국현대화보고2005」의 의미와 시사점> 이라는 보고서에서, 중국이 선진국 경제를 따라잡기 위해 공업화 → 지식산업화, 서비스산업화라는 기존의 발전경로 대신 산업과 지역에 따라 공업화와 非공업화(지식산업화, 서비스산업화)를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중국현대화보고2005-경제현대화연구」라는 연구서는 중국정부(중국 과학기술부)의 자금과 정책적 지원을 받고 중국과학원 중국현대화연구센터에서 작성한 자료로서, 중국의 발전전략 선택에 일정한 영향력을 가지게 될 것으로 예상됨. 중국, 공업화와 非공업화(지식산업화, 서비스산업화)를 동시에 추진 중국의 목표는 현재 선진국들이 위치한'지식경제'와 개발도상국들이 위치한'공업경제'에'運河(canal)'를 개통해 그 길을 따라 추격발전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運河戰略 임) 추격발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2050년경에는 2002년 현재의 선진국의 경제발전 수준에 도달하게 되며, 1인당 GDP는 현재의 27배, 공업생산성은 10배, 1인당 무역액은 22배, 서비스업 GDP 비중은 70% 이상이 될 전망이다. 2002년 중국과 선진국의 경제발전 수준 비교 1인당 GDP 공업생산성 인터넷 보급 1인당 무역액 서비스업 GDP 비중 선진국 (2050년 중국의 목표수준) 26,965달러 51,521달러 364명 11,974달러 71% 중국(2002년) 989달러 5,143달러 46명 542달러 34% * 공업생산성=공업부가가치/공업노동력, 인터넷보급=1,000명당 인터넷 사용자수 그러나, 중국의 자체평가는 다소 보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북경과 상해, 심천 등은 이미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성장하였으며, 동부 연안지역의 주요 도시들도 2020년경에는 한국과 비슷한 경제규모가 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예측대로라도 2030년이면 중국의 1인당 GDP가 6,900달러를 초과하게 되는데, 현재 추세대로라면 10,000달러에 근접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인구 규모로 보아 현재 한국과 같은 규모의 시장이 30개가 형성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대내외적으로 보수적인 자세를 취함으로써 내부결속을 도모하고, 외부의'중국위협론'에도 대응하자는 의도로 분석되었다. 중국 경제규모의 팽창이 세계적인'위협'요인이라는 말들이 많지만, 적어도 우리에게는 그 만큼이나 큰'기회'요인도 된다.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의 현오석 소장은“중국효과(China effect)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중국을 개별 지역과 산업으로 세분하여 철저히 조사・준비하고 결과물을 축적시킬 필요가 있다”면서,“무역연구소에서도 중국경제와 산업・기업에 관한 자료를 모아 DB化하는 작업을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롄잔 방문과 양안관계
[정세와 정책 2005년 6월호] 양당 간의 공동발표문에 포함되어 있는 5개항의 합의내용은 대만의 국제사회 활동촉진, 양안 간의 대 화회복 촉진, 양안 간의 적대관계청산 촉진, 양안 간의 전면적 경제교류 촉진, 黨대黨정기교류토대 마련 으로 요약해 볼 수 있으며, 그 내용을 살펴볼 때 전체적으로 양안 간의 관계회복 및 교류촉진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위안화 환율 절상 가능성과 영향 분석
[정세와 정책 2005년 6월호] 중국정부는 정책상 딜레마에 처해 있다. 소폭 절상만으로는 효과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추가 절상 기대감을 불러일으켜 자본 유입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대폭적인 절상은 국내경제와 정치에 미치는 충격이 크다는 점에서 정책실시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주간중국산업정보 제29호
*週刊 中國産業情報 第18期 (總29號) 目 次 ■ 정책 : 財政部 <자동차소비세신표준>초안 제정 / p 1 ■ 초점 : 도시 지역 전자상거래 실태 조사 / p 2 ■ 산업 1. 철강산업 : 4-5월 중국 鋼材市場 가격동향 분석 / p 7 2. 석유화학산업 : 중국의 석유 및 화공 산업 100대 기업 실적 분석 / p 11 3. 유통산업 : 대형 가전제품 체인점의 2, 3급 시장 진입장벽 분석 / p 15 ■ 통계 :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발전추세 예측 / p 22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위안화 절상의 금융시장 영향에 대한 IB 분석 종합
[Memorandum “Restricted” 050531-MR] *내용보기는 해당사이트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 2~3개월내에 2~5%정도의 위안화 절상이 있을 것이라는 IB 전망이 다소 많은 편 □ 외환시장 : 아시아 통화의 동반 절상이 예상되나 소폭에 그칠 가능성 □ 주식시장 : 일부 아시아 증시에는 다소 부담, 미국과 EU 등에는 긍정적 영향 □ 채권시장 : 채권 수익률 상승 요인. 美Agency채와 단기물 영향 상대적으로 클 듯 □ 원자재시장 : 단기적으로는 중국과 아시아의 구매력 증대 효과와 달러약세 등으로 달 러표시 원자재가격 강세 예상되나 중기적으로는 추가적 수요 유입 둔화 가능성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위안화 평가절상의 두 가지 위험
[주간 금융브리프 14권 22호] 중국의 위안화 절상폭이 시장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현재보다 더 큰 폭의 절상이 불가피한 상황이 초래되어 중국경제가 경착륙할 가능성이 있음. 또한 시장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위안화 평가절상은 중국 등 아시아지역에 유입된 국제투기자본의 급격한 유출로 이어져 역내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도 있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류 지속과 기업의 활용방안
[CEO Information 제 503 호] 요약 Ⅰ. 한류 붐의 현주소 Ⅱ. 국가별 한류 현황 Ⅲ. 기업들의 한류 활용 Ⅳ. 한류 지속과 활용을 위한 방안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国の台頭とNIEs、ASEANの構造調整~競合か補完か
[日本銀行2005年6月] -はじめに -中国の貿易構造の変化 -NIEs、ASEAN各国の輸出構造——中国との比較 -NIEs、ASEAN各国と中国との競合度 -輸出関数からみた貿易面の競合度 -まとめと先行きの見通し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