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一切归结为汇率 - 兼议当前我国宏观经济形势
[脑库快參 总第088 期] 2005 年4 月17 日 (2005 年第7 期 ) 高增长的困惑 高增长的原因 高增长的无奈 高增长的调控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최근 중국경제의 현안과 과제
[한은 금요강좌] ㅇ 일 시 : 2005. 6. 24. (금) 14:00 ~ 16:00 ㅇ 주 제 : 최근 중국경제의 현안과 과제 ㅇ 강 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 지만수 팀장 ㅇ 장 소 : 한국은행 화폐금융박물관 1층 시청각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深刻化する中国と米国・EUの繊維摩擦
[中国ビジネス・レポート No.28 (05/27)] 1.美国が中国に対してセーフガード(緊急輸入制限措置)を発動 2.急増する中国の纎維輸出 3.セーフガードの発動と影響 4.懸念される中国を卷きこめるんだ貿易摩擦の拡大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기업의 해외투자 러시와 시사점 [보도자료/원문]
中國 기업의 해외투자 러시와 시사점 - 외자유치 일변도에서 벗어나 인진라이(引進來)와 저우추취(走出去)의 쌍방향 정책으로 선회 - - 中 기업과 전략적 관계 설정 필요- O 저우추취(走出去), 중국 정부의 준비된 전략 최근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후원을 등에 업고, 외자유치의 경험과 넉넉한 자금을 무기로 중국기업들의 해외투자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외국자본의 블랙홀이었던 중국이 어느덧 세계적 투자대국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중국기업들의 주요 타깃은 기술과 브랜드는 있으나 자금이 부족한 우량기업들로, 이들 기업을 인수함으로써 단기간 내 무명기업에서 탈피하고 선진기술과 브랜드를 동시에 거머쥔다는 전략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쌍용자동차 인수사례 이후에야 중국기업의 적극적인 해외투자가 주목을 끌었으나 실제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훨씬 그 이전부터 준비된 전략이었다. KOTRA(사장: 洪基和, www.kotra.or.kr)가 발표한 『중국기업의 해외투자(走出去) 러시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 20여 년간 적극적으로 추진한 외자유치 성과를 토대로 중국정부는 2015년까지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 안에 50개의 중국기업이 포함되도록 육성한다는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관련제도를 정비하고 있는데 이의 일환으로 중국기업의 해외투자와 해외기업 M&A가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중국정부가 기존의 인진라이(引進來)라는 외자유치 일변도에서 인진라이와 저우추취라는 쌍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한 것은 중국 대외개방정책에서 인진라이와 저우추취의 양대 축 사이에서 이제는 균형점을 맞추려고 시도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저우추취를 통해 경제 분야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대외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포석이 깔려있는 것으로 KOTRA는 분석하고 있다. 해외투자 초기에는 정부주도의 국영기업이 정책적 목표 달성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었던데 반하여 최근에는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우량 민영기업의 해외진출이 증가하며 저우추취의 새로운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O 해외 M&A, '저우추취'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아 최근 중국의 해외투자의 특징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해외 M&A다. UNCTAD 통계에 따르면 2003년도 중국기업의 M&A 규모는 16.47억 불로 전년대비 57.3%나 증가하였는데 2003년 전체 투자에서 M&A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91.5%에 달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 우량기업에 대한 M&A가 증가하면서, 선진국 시장개척과 핵심기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중국기업의 행보가 더욱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해외 M&A는 핵심기술 인수, 브랜드 확보, 다국적기업과 제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무게가 실어지고 있으며, 특히 국내시장의 공급과잉으로 해외투자의 선봉에 섰던 가전, IT전자 등의 해외투자와 M&A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중국기업의 해외 M&A 동향】 생략 자료원 : World Investment Report 2004(UNCTAD) O 중국의 對韓투자, 선진기술 확보 위한 M&A 형태 증가 예상 중국의 對韓투자도 2000년대 들어서면서 약진을 보이며 투자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BOE의 하이디스 인수 사례나 상하이치처(上海汽车)의 쌍용자동차 인수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기업에 대한 M&A도 선진기술을 획득하기 위한 발판으로 활용한다는 점이며 향후 투자재원을 확보한 중국기업은 선진기술 확보를 위해 우리기업을 계속해서 두드릴 것이다. 【중국의 對한국기업 주요 M&A 현황】 (생략) 【중국의 對韓투자 동향】 자료원 :Invest Korea (생략) O 中기업과 전략적 관계 설정하여 분업체계 구축 필요 앞으로 위안화 평가절상까지 이루어지게 되면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새로운 탄력을 받게 될 것이다. 이렇게 중국을 넘어 세계의 중심이 되려는 중국기업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이와 관련, 이 동철 KOTRA 동북아팀장은 “중국기업이 몰려오는 것에 전전긍긍하는 대신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제는 피동적 자세보다는 적극적인 자세로 중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고 전략적 제휴를 통한 분업체계를 구축해야하며, 더 나아가 중국기업을 역이용하여 중국 내수시장 진출의 새로운 돌파구 마련도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동 보고서는 아울러 ▶세계 FDI 시장에서 큰손으로 부상한 중국을 신흥 투자유치원으로 활용하여 적극적인 투자유치 프로젝트를 마련해 중국기업의 투자유치를 적극 활용 ▶ Made in China가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현지 생산, 현지 판매되는 Made by China와 경쟁하는 시대로의 전환에 대비하여 고부가가치, 브랜드파워를 활용한 非가격 경쟁력 확보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요약】.........................................ⅰ I. 중국의 해외투자(走出去)정책 추진 배경........................1 1. 해외투자(走出去)정책의 전략적 함의.................................1 2. 중국정부의 정책적 지원................................................................5 II. 중국의 해외투자 ...............................................................15 1. 해외투자 발전 동향......................................................................15 2. 해외투자 발전 특징......................................................................25 3. 해외기업 인수 현황......................................................................29 III. 중국의 대한국 투자 현황...............................................35 1. 대한국 투자 동향 .........................................................................35 2. 대한국 투자 특징 .........................................................................38 IV. 시사점 및 대응방안.........................................................40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이 원유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기본연구보고서2004-14] <목 차> Ⅰ.서론 Ⅱ.중국의 석유산업 현황 1. 경제개관 및 주요 경제지표 2. 석유산업 개황 가. 석유 상류부문 현황 나. 석유 하류부문 현황 다. 석유 판련 정부기관 및 석유회사 3. 석유 정책 및 투자환경 가. 석유・가스 정책 나. 석유 세제 및 투자환경 4. 석유수급 및 교역 추이 ・ 가. 석유생산 및 소비 추이 나. 석유 수출・입 추이 Ⅲ.중국의 석유수급 및 세계 석유공급 전망 1. 중국 경제의 장기 전망 가. 주요 기관의 전망 나. 중국경제의 고성장 지속 가능성 2. 중국의 석유수급 전망 가.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전망 나. 미국 에너지정보청(I(A)의 전망 다. 일본에너지연구소의 전망 라. 석유 수급 전망치 비교 3. 세계 석유공급 전망 가. 석유생산 추이 나. 석유매장량 및 석유생산 정점 다. 세계 석유공급 전망 라. 삭유시장얘 주는 시사점 Ⅳ.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 1. 국내 원유의 적극적인 개발 가. 국내 원유 개발 전략 나. 국내 유전 개발 현황 2. 해외유전 개발투자의 확대 가. 해외유전 개발 전략 나. 해외유전 개발 현황 다. 해외 석유개발 전망 3. 원유도입선 및 수송로의 다변화 가. 원유도입선의 다변화 나. 원유수송로의 다양화 4. 석유 비축시스템의 확립 5. 적극적 석유외교의 추진 Ⅴ. 석유공급안보어 주는 영향과 시사점 1. 중국 원유확보 전략의 배경과 정치・경제적 영향 2. 동아시아 지역 및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가. 중동 산유국과의 협상력 변화 가능성 나. 역내 석유제품 수급 불균형 심화 다. 해상 수송로의 불안 증대 3. 중국발 에너지위기 대비 국내 에너지안보 정책 가. 유가 변동에 대한 유연성 제고 나. 석유공급의 안정성 강화 Ⅵ.결 론 <참고 문헌> <부 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기회와 위협이 공존하는 중국시장
[CEO Information 제 506 호] Ⅰ. 호황 속 불안이 점증하는 중국시장 Ⅱ. 업종별 중국시장 상황 Ⅲ. 국내기업의 대응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주식시장의 현황 및 전망 [Close-Up]
중국 주식시장은 2003년 현재 시가총액이나 거래대금 기준으로는 아시아에서 거대 시장이라 할 수 있으나 GDP대비 시가총액이나 거래대금 기준으로는 한국, 태국, 싱가포르, 홍콩 등에 비해 그 규모가 작다. 그리고 중국기업이 주식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비중이 2003년 현재 3.9%에 머무르고 있음을 감안해 볼 때 중국 주식시장은 아직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주식시장을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개혁․개방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上海․深川 종합주가지수는 2001년 상반기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책의 실효성이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 중국 주식시장의 이분화로 외국인투자자에 대한 투자제한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점, ▲ B주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이 할인되어 거래되고 있는 점, ▲ 주식시장 내 비유통주의 비중이 높아 유동성이 낮은 점, ▲ 주가지수 혹은 주식에 대한 파생상품시장의 부재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이 부족한 점 등 중국 주식시장만의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향후 중국 정부는 주식시장의 통합, 비유통주의 유통주로의 변환, 上海․深川 증권거래소의 특성화, 주식관련 파생상품시장의 개설 등을 통해 주식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것으로 전망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자동차산업의 역동성과 승용차 부문의 도약
[월간한중 06-2호] 중국동향 - 중국 자동차산업의 역동성과 승용차 부문의 도약 1. 중국 경제성장과 자동차산업의 발전 2. 중국의 자동차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승용차 부문 3. 중국 승용차 부문 주요 생산지역 및 주요 플레이어 4. 양적성장과 질적성장의 동시 추구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홍콩과 심천의 상호 전략적 활용에 관한 연구
[월간한중 06-2호] 중국지역연구 - 홍콩과 심천의 상호 전략적 활용에 관한 연구 1. 홍콩의 산업구조와 심천특구의 역할 1) 중국개혁개방 전후 홍콩의 경제상황과 문제점 2) 홍콩의 산업구조조정과 심천의 등장 2. 홍콩의 전략적 가치를 활용한 중국의 개혁개방정책 1) 특구설립과정 2) 정부의 심천특구 지원 3) 심천특구의 역할 3. 역사적인 전략적 관계(長期打算, 充分利用)의 형성 1) 육류 등 생필품 공급 협력 2) 용수공급 협력 4. 결론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과학기술발전을 제약하는 4대 요소
[주간포커스 05-12] *주간 중국과학기술[2006-06-30] ----목차---- 1. 배경 2. 4대 제약요소 분석 3. 정책적 건의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