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5년 대만 (2분기)
[지역별경제정보-동북아] 2005년 대만 (2분기) I. 일반개황 Ⅱ. 주요 경제지표 Ⅲ. 경제 현안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최근 중국의 부동산 경기 추세와 중국정부의 대책 분석
[中國産業動向分析 05-06] ■ 개 요 ■ 부동산 경기 과열(부동산 경기 과열의 주요 내용) ■ 과열의 부정적인 영향 ■ 중국의 현행 부동산 세제 ■ 최근 부동산과 관련한 신규 정책의 세부 내용 비교 ■ 최근 각종 부동산 정책의 분류 ■ 부동산 정책 조정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 정책적인 조절 통제 최종 목표는 부동산 가격의 안정유지 ■ 실현 가능한 장기적인 부동산 과세정책의 선택 全經聯 中國産業硏究센터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위안화 평가절상 단행과 우리 수출에의 영향
Ⅰ. 위안화 평가절상 단행 Ⅱ. 기존의 위안화 환율제도 및 위안화환율 추이 Ⅲ. 중국의 외환관리제도 변화 전망 Ⅳ. 위안화평가절상의 우리수출에의 영향 Ⅴ. 향후 위안화 환율 전망 Ⅵ. 우리기업의 대응방향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자동차산업 대외무역 현황
[월간한중 07-2] 중국동향1 1. 중국 자동차산업 무역적자 현상의 심화 2. 중국의 자동차 수출입 수량 및 차종별 수출입 비중 3. 중국의 완성차 및 부품총액 수출입 증가율 추이 4. 국가(지역)별 중국의 자동차 수출입 현황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북경시 도시건설 : “하나의 큰 중심”에서“다중심”모델로 전환
[주간 중국과학기술 05-15] Ⅰ. 서론 Ⅱ. 북경시 도시건설 “하나의 큰 중심”포기 Ⅲ. 북경시의 새로운 도시종합계획 Ⅳ. “다중심”발전은 산업배후단지를 중심으로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5년 상반기 중국경제 현황 분석
[월간한중 07-2] 중국동향2 1. 시점일치; 위엔화 평가절상 단행과 상반기 경제지표 발표 2. 2005년 상반기 중국경제 현황 1) GDP와 공업생산 부가가치증가액 2) 고정자산투자, 소비자물가상승률 및 소매총액 3) 대외무역 4) 1인당 가처분소득 3. 질주하는 중국경제와 미약한 환율변화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위안화 변동 전망과 영향
[주요국제문제분석] 1. 위안화 평가절상의 대내외적 여건 2. 위안화 변동 전망 3. 평가 절상의 경제적 영향 4. 고려사항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아세안 FTA로 우리 수출경쟁력 악화 우려 [보도자료/요약문]
한국무역협회는 중국과 ASEAN이 FTA 상품양허를 통해 2005.7.20일부터 2010년(예외 2012년)에 걸쳐 대폭적인 관세인하를 단행함에 따라 자동차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 품목에서 한국산 공산품의 광범위한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고 발표했다. 발표에서는 중국과 ASEAN 주요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의 무관세비중은 2010년까지 평균 89.5%로 90% 내외까지 상승할 것이고, 오는 2021년이 되면 對중국 수출의 20% 이상이 ASEAN과의 경쟁에 있어서 10%p 이상의 관세율 격차를 안게 되며 또한 대ASEAN 수출에 있어서도 중국기업과의 경쟁시 역시 10%p 이상의 관세율 격차를 안게 될 것이라고 했다. 발표에 따르면, 중국과의 경쟁이 불가피한 ASEAN의 수입시장에 있어서도 인도네시아에서는 철강금속, 기계, 전기전자 등 우리측 주종품목에서 중국기업에 비해 불리한 관세율을 적용받게 되며 말레이시아에서는 전기전자, 철강금속이 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대한무역협회는 정부의 한-ASEAN FTA 협상 추진시 우리 측의 對ASEAN 관심품목의 조기 관세인하 실현과 함께, 금번 중-ASEAN 상품양허로 인해 우리 수출의 타격이 예상되는 품목에 대해서도 관세인하를 조속히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위안화 절상이 중국 및 아시아 경제에 미칠 영향
[(해외경제정보 제2005-67호) 보도자료/원문] 海外經濟情報 제2005-67호 2005. 7. 22 ---- 중국의 환율제도 변경과 대책 --- 중국인민은행은 7월 21일 19:00(현지시각) 중국 위안화의 미 달러화 페그제에서 벗어나 시장수급에 기초한 복수통화바스켓을 참조하여 조정하는 관리변동환율제로 전환한다고 발표하였다. 미 달러화당 위안화를 8.28에서 8.11로 2.0% 절상함과 동시에 일중 환율 변동폭(band)을 ±0.3%로 설정하였으며, 바스켓 구성통화와 가중치는 발표하지 않고, 중국인민은행은 향후 금융 및 경제상황을 보아가면서 동 변동폭을 조정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엔/달러 환율이 동경시장 112.5에서 이번 조치 발표후 런던시장에서는 21:00 현재 110.3으로 2.0% 절상되었고, NDF 원/달러 환율(1개월물)은 21:00 현재 1,020원으로 금일 서울외환시장 종가 1,035.5원에 비해 15.5원 하락하였다. 중국 위안화 절상폭(2.0%)은 당초 예상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중국이 환율제도를 고정환율제에서 관리변동환율제로 전환한 것은 그 동안 세계경제에 불확실성 요인 제거되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크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을 보면, 원/달러 환율은 단기적으로 영향을 받겠으나 그 동안 원/달러 환율이 여타국 환율에 비하여 큰 폭으로 절상되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앞으로 원/달러 환율이 중국 위안화 평가절상의 영향을 받아 급격히 하락할 경우에는 시장안정화 조치를 강력히 시행하여 외환시장 안정을 기하며, 재정경제부와 한국은행은 합동 Task Force를 구성하여 중국 위안화 평가절상이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필요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 1. 위안화 환율의 향후 변동 전망 □ 환율제도 변경에 따라 향후 위안화 환율은 점진적으로 절상되겠으나 그 속도는 매우 완만할 것으로 전망 2. 위안화 절상이 중국경제에 미칠 영향 □ 현 절상폭이 예상에 크게 못미치는 소폭(2.1%)인데다 빠른 절상은 없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국경제에 커다란 충격은 없을 것으로 전망 □ 오히려 위안화 절상이 경제의 과열을 진정시키면서 중국경제의 연착륙 및 지속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 3. 중국 환율제도 변경이 아시아 경제에 미칠 영향 □ 위안화 환율제도 변경은 이미 예견되었던 데다 소폭의 절상에 그쳐 아시아 국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 □ 위안화 절상에 따른 아시아국가의 무역수지 개선효과도 크지 않을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주간중국산업정보 제35호-2005년판 상해시 외상투자 중점산업 목록 외
週刊 中國産業情報 第24期 (總35號)2005年 7月20日 目 次 ■ 정책 : 2005年版 <上海市 외상투자 중점산업 목록> / p 1 ■ 분석 : 중국의 환경표준과 향후 정책방향/ p 3 ■ 산업 1. 鐵鋼産業 : 2005~2020년 중국 鋼管시장 전망 분석 / p 9 2. 電子産業 : 珠三角 지역의 FPD(Flat Panel Display)산업배치 현황 분석/ p 14 3. 電線産業 : 향후 5년간 호황기 예상되는 중국 電線産業 / p 20 ■ 통계 1. 2005-2010년 방향성 규소강의 소비량 예측 / p 25 2. 2005-2010년 무방향성 규소강의 사용량 예측 / p 26 全經聯 中國産業硏究센터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