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안화 평가절상 동향 및 영향분석
중국 인민은행은 7월 21일 위안화를 미 달러당 8.28위안에서 8.11위안으로 유지를 전제로 2.1% 절상하고, 달러화에 고정했던 페그제(고정환율제)를 폐지하고 22일부터 교역국과의 가중치를 고려한 외환 바스킷을 기반으로 하는 변동환율제(1일 변동폭 ±0.3%)를 채택한다고 밝혔다.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위안화절상에 따른 중국의 수입가격 하락 및 대중 수출증가 요인도 있으나, 중국의 수출둔화 및 성장률하락으로 원부자재를 중심으로 대중수출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고, 중국제품의 수출가격 상승에 따른 대중 수입감소가 예상되나, 대부분 수입품목이 수입가격에 비탄력적인 1차산품 및 현지법인 생산품으로 소폭 감소에 그칠 것을 전망되었다. 중국의 성장둔화에 따른 세계수입수요 둔화에 따른 효과보다는 중국 상품에 대한 우리 제품의 가격경쟁력 상승으로 경합품목을 중심으로 제3국에 대한 수출은 증가되고, 위안화의 절상에 따라 수출이 확대될 경우 수출용 원.부자재를 중심으로 제3국으로부터의 수입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번 위안화 절상은 예상(5~10%)보다 절상폭이 적어 우리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불필요한 과민반응은 억제해 나갈 필요하 있다. 다만 원화의 동반절상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나, '02년 이후 원화는 아시아 통화 중에서 절상율이 가장 높아 추가적인 동반절상 압력은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편, 그동안 누적되어온 위안화 변동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거되어 장기적으로 세계경제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업들은 위안화 변동폭 확대에 대응하여 환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상품의 비가격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중국의 내수시장 진출 확대에 주력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중국의 환율변동 동향을 상시 모니터링하는 한편, 업종별로 차별화된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을 강구하여 관련 정책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경제이슈-위안화와 글로벌 유동성의 부활[Macro Vision 2005.07.25]
변동환율제도 개혁의 시작 일회성 움직임이 아닌 변동환율제도 개혁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향후 3% 추가 절상과 더불어 아시아 통화의 동반 강세 예상 중국은 향후 시장 친화적 정책수단에 더욱 의존할 것으로 판단됨. 실물경기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단기적으로 글로벌 불균형 해소에 직접적 도움이 되기 어려움. 한국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글로벌 경기가 3분기 이후 업턴하는 과정에서 중국의 수입수요 증대는 한국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 차별적 움직임에 주목 달러화는 동아시아 통화에 대해 추가 약세를 보일 것이나, 유로화와 엔화에 대해서는 강세 기조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 원/달러는 3분기 1,000~1,030원 범위를 유지되나, 원화와 엔화의 차별적 움직임 이 강화되어 향후 원/엔 비율은 9.0 ~9.3 범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글로벌 유동성 증가 중국은 관리변동환율제도 도입 이후 위안화 가치의 안정을 위해 시장개입을 꾸준히 단행할 것이고, 아시아 중앙은행 역시 자국 환율의 안정을 위해 시장의 투기적 움직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 아시아 중앙은행의 미 국채 매수규모가 증가할 경우 글로벌 유동성 확장의 신호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인민폐 평가 절상과 관련한 현지 분석
조치내용 특징 성격 배경 국내경제에 미칠 영향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위안화 절상의 영향 및 대응방향
[2005.07.22 보도자료] 1. 위안화 환율제도 변경 내용 2.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각국 반응 3. 위안화 절상이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4. 향후 전망 및 대응방향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위안화 절상에 따른 주요업종별 영향 및 대응과제[보도자료]
-차례- 요약 I. 7월 21일 위안화 2.1% 절상 전격 발표 1 Ⅱ. 위안화 절상의 주요 업종별 파급효과 전달 경로 3 Ⅲ. 위안화 절상에 따른 시나리오별 영향 분석 결과 5 1. 한국의 대 중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5 2. 한국의 대 중국 수입에 미치는 영향 7 3. 한국의 대 세계 수출에 미치는 영향 8 4. 한국의 대 중국 투자에 미치는 영향 10 Ⅳ. 대응 과제 13 1. 기업 차원의 대응 과제 13 2. 정부 차원의 대응 과제 14 3. 환헷지 차원의 정책 제안 16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國人民元切り上げの背景、評價、見通し、影響
[調査リポート] Mizuho Research Institute (みずほ総合研究所 ) アジア調査部中国室 主任研究員 鈴木貴元 *中国人民元切り上げの背景、評価、見通し、影響 [NEW] (みずほアジアインサイト [2005.07.26])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美宏观经济形势分析和展望
[政策性研究简报 2005年第34期(总第519期)] *北京大学 中国经济研究中心 : China Center for Economic Research(CCER) at Peking University 中美宏观经济形势分析和展望 ——第七届“CCER-NBER中国与世界经济”年会简报之一 北京大学中国经济研究中心(CCER)与美国国家经济研究局(NBER)第七届中国与世界经济年会于2005年6月30日至7月2日在北京大学中国经济研究中心召开。来自美国和中国的多位经济学家就中美宏观经济问题、银行与货币政策、资本市场与税收政策、管制与经济秩序、移民与卫生经济学、公共财政与退休社会保障、国际贸易与外商直接投资等热点问题进行了广泛而深入的讨论。第一期简报报道开幕词和有关中美宏观经济形势发言内容。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國人民元の切り上げについて [みずほマーケットインサイト]
*みずほ総合研究所 (Mizuho Research Institute) 원제명 : 中国人民元の切り上げについて 중국 인민원은 1달러=8.11 위안 약2% 절상 개혁의 목표 ・ 원칙은 "주체성", "콘트로라빌리티(コントロ—ラビリティ)" , 점진성 인민원 고압력은 남지만, 조기의 추가 절상은 곤란한가? みずほマーケットインサイト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国经济成长进入实际汇率升值新时期
[政策性研究简报 2005年第42期 (总第527期)] *北京大学 中国经济研究中心 (China Center for Economic Research(CCER) at Peking University) 中国经济成长进入实际汇率升值新时期 ——评人民币汇率体制改革最新进展 7月21日晚,中国人民银行发布公告,宣布我国实行以市场供求为基础、参考一篮子货币进行调节,有管理的浮动汇率制度。同时宣布美元对人民币交易价格调整为1美元兑8.11元人民币,升值约2个百分点。汇改新政一经公布,立刻在国内外财经界、政界和学术界引起广泛关注和积极评价,甚至引发有关国家汇率政策相应调整。我国实行一项经济政策,在国际上立刻引起如此热烈反响,折射出我国对全球经济的重要性。分析理解汇改新政的影响和作用,是一个具有理论和现实意义的问题。
홈 > 추천연구보고서 -
Focus 3 : 중국의 서비스수지 현황
[주간 무역리뷰 (7월 25일)]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서비스산업은 빠르게 발전하였지만,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매출기준으로 볼 때 요식산업이 전체 서비스 산업을 선도하고 있음 -서비스분야 무역액은 2001년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연평균 20%의 높은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