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주력수출상품, 중국과의 경합 심화
[주간 무역리뷰 8월8일] Focus 1 : 광복 60주년, 한국 무역의 위상 [274KB] Focus 2 : 전세계 지역무역협정(RTA) 체결 현황 [161KB] Focus 3 : 한국 주력수출상품, 중국과의 경합 심화 [78KB] Focus 4 : 중국 진출 글로벌 기업의 노무관리 10대 포인... [85KB] Focus 5 : 원-달러환율, 하락세 지속으로 주말 1012원 [162KB] ꏅ 세계 경제 동북아 Briefs ◦ 일본 6월 완전실업률 4.2%로 경기회복 조짐 확산 /11 ꏅ FTA News/Market Watch ◦ 7월 31일, 대만-과테말라 FTA 공식 서명/12 ◦ 8월 1일, 일본-태국 FTA 실질적 타결 이름/12 ◦ 비타민 강화 생활가전/의류가 일본 시장 강타/13 ◦ 말하는 응급 처치함 출시/14 ꏅ 주간 주요 경제지표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国の通貨政策のレジーム変更
[債券・為替MARKET VIEW 2005年8月1日 ] 【コラム】 ◇ 中国の通貨政策のレジーム変更 2 【マーケットビュー】 ◇ 債券 7-10 年ゾーンは依然割高 3 ◇ 為替 人民元を切り上げた中国 8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国経済政策史(1996-2004)-財政・金融を中心に-
*Ministry of Finance, Policy Research Institute (財務総合政策研究所) ---目 次--- Ⅰ.序論 Ⅱ.中国経済の諸課題 Ⅲ.江沢民体制の経済政策 Ⅳ.胡錦涛体制の経済政策 Ⅴ.中国財政の構造問題 Ⅵ.おわりに Ⅶ.補論 中国におけるケインズ的財政政策の政治過程 付表 政府・党首脳の経済政策に関する主要発言(財政・金融関係を中心に) 中国主要経済指標 参考文献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도시와 농촌 주민의 소득현황 및 소비구조 분석
월간한중 08-1호 (2005. 08. 11) [중국동향] - 중국 도시와 농촌 주민의 소득현황 및 소비구조 분석 목차 1. 중국 도농간 1인당 소득차이의 심화 2. 중국 도시와 농촌주민 1인당 소득 증가율 추이 3. 중국 도시와 농촌주민 1인당 소득구조 및 소득수준별 소득현황 1) 도시와 농촌주민 1인당 소득구조 추이 2) 소득수준별 1인당 소득 추이 3) 소득수준별 1인당 소득, 소비 및 엥겔계수 4. 중국 도시와 농촌주민 1인당 소비지출 구조 5. 중국의 도시화와 도농간 소득격차 *참고문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해외시장 리포트] 중국편: 중국정부, 과열된 부동산 시장 진정에 나서 [나라경제 2005년8월호]
상하이 부동산에 투자하세요. 투자 가치가 대단합니다.” 지난 2003년 9월 상하이 포브스 포럼에서 한정(韓正) 상하이 시장은 참석자들에게 상하이 부동산 시장을 소개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그로부터 2년이 채 되지 않은 지금, 상하이에선 부동산에 투자하라는 이야기는 더 이상 들리지 않는다. 공무원들은 부동산 종합 안정대책을 설명하면서“집값이 너무 빠르게 올라서는 안 되며 부동산은 주거 목적이 우선이지 투기로 과열돼서는 안 된다”며 목청을 돋운다. “투자하라”며불을 지펴대던 정부가 불과 1년 9개월여만에이제는불을끄느라여념이없다. 현재 중국경제의 이슈로는 부동산 과열 문제가 으뜸으로 꼽힌다. 그 한가운데 상하이가 있다. 상하이 부동산 시장의 과열 정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거품이 곧 터질 것이라는 우려론이 있는가 하면 앞으로도 집값이 계속 오를 것으로 보는 낙관론도 없지 않다. 그러나 이 같은 시각의 차이는 인정하더라도 부동산문제가 당국을 바짝 긴장하게 만드는 뜨거운 문제임에는 틀림없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대학 과학기술기업 발전 현황
[주간포커스 05-18] Ⅰ. 교판기업의 개혁 Ⅱ. 주요 대학별 개혁 현황 Ⅲ. 개혁 실적 Ⅳ. 맺음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고유브랜드 수출현황 및 시사점
<요약> o 현황 -수출기업 중 고유브랜드를 가진 기업수의 비중 20%미만 -중국 수출액 중 고유브랜드 점유율 10%미만 o 목표 -2010년까지 40%이상의 중국수출기업이 고유브랜드를 갖춤 -고유브랜드 수출액이 전체 수출액의 20%이상을 차지 o 지원책 ①“수출브랜드발전기금”, 저리의 정책금융 등 자금지원 ②쿼터제 물량 우선배정, 해관통관 등 세제 및 금융혜택 부여 ③품질인증과 환경관리인증 등에 준하도록 기술지원 o 시사점 -중국정부가 자체브랜드육성을 통해 국제경쟁력 강화노력을 하는 가운데 지적재산권관련 해외 침해사례가 급증 -한국기업들은 해외시장 개척시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중국시장의 브랜드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함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정부, 외국기업 탈세 조사 강화한다 [보도자료/원문]
<해외현장정보> 중국 정부, 외국기업 탈세 조사 강화한다 - 지난해 외자 기업의 41%가 결손 보고 - - 이전가격 이용한 탈세가 일반적 - <칭다오 무역관 보고>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전국 공업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8만개에 달하는 외자기업 중 41%가 결손상태로, 매년 결손액만 1,200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표면적인 결손과 실제 결손 간에는 큰 거리가 있어 앞으로 중국 정부가 이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KOTRA(사장: 洪基和) 칭다오 무역관이 밝혔다. 중국 정부는 외자기업이 표면적으로 결손을 보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대량의 외자가 끊임없이 몰려들고 있으며, 해마다 결손을 보고 있는 일부 외자기업들이 여전히 투자자금을 늘리고 있음에 유의하고, 이제까지 외자유치에만 중점을 둔 결과 투자기업의 경영상황에 대한 철저한 감독체제가 이루어지지 못한 부분이 외자기업의 결손과 밀접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중국 내 회계 전문가들은 외자기업이 탈세할 경우 이전가격을 이용한 방법이 가장 일반적인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그중 한 가지는 투자기업의 국내 모기업으로부터 높은 가격으로 원부자재를 들여오고 중국법인에서 제조된 제품은 낮은 가격으로 내보내는 방법으로 이윤을 전이시키는 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파견 근로자의 임금, 기술 및 용역 사용료, 특허권 및 로열티 비용 등 명목의 지출을 허위 보고해 이윤을 해외로 전이시키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적지 않은 기업들이 세수 부담을 회피하면서 법인세 감면 혜택을 추가로 받기 위해 타 지역에 출자회사를 계속 설립하는 한편, 재투자해 설립된 자회사에 기존 법인의 이윤을 전이시키는 방식이다. 중국 정부는 외자기업의 이러한 탈세가 중국 정부의 세수에 막대한 손실을 끼치고 있다고 판단, 국가세무국에서 이미 탈세 단속 전문부서를 설치해 조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외자기업들이 해마다 회계사무소 등을 통해 회계 관련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데, 탈세 단속 전문부서는 바로 이들 회계사무소가 보고한 회계감사 결과 중에서 문제점을 찾아 탈세 여부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근 전력난, 인력난 등 외부 경영환경의 악화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우리 투자기업들의 입장에서는 중국의 세무조사 강화가 결코 반가운 소식은 아니지만, 기존에 관례적으로 처리해 오던 절세 방안이 자칫 현지 세무기관에서 탈세로 판정되어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향후 세무회계 관리의 투명도를 더욱 높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문의처 : KOTRA 동북아팀 김윤희(Tel : 3460-7414)
홈 > 추천연구보고서 -
美 '차이나 달러' 경제론 급부상 동향 및 전망
[현안리포트 05-028] 목차 Ⅰ. 최근 중국의 미국 공세 동향 /1 1. 美-中교역 동향 /1 2. 중국의 美기업 인수 동향 /3 3. 기타 중국 관련 주요 동향 /8 Ⅱ. 중국의 공세에 대한 미국의 입장 /11 1. 정부의 입장 /11 2. 의회의 입장 /12 3. 업계, 노동계의 입장 /13 4. 언론의 입장 /15 5. 학계의 입장 /16 6. 투자분석가의 시각 /16 7. 일반국민의 시각 /17 Ⅲ. 향후 전망 및 시사점 /18 1. 향후 미국의 대응전망 /18 2.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19.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ACFTA 앞세워 ASEAN시장 지배 노린다 [보도자료/원문]
중국, ACFTA 앞세워 ASEAN시장 지배 노린다 - ACFTA로 인해 ASEAN에서 무관세 혜택 누리게 되는 중국 - - 고관세 품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수출경쟁력에 타격 예상 - 지난 7월 20일을 기점으로 중-ASEAN간 교역 상품 관세의 단계적 인하가 실시되면서 ACFTA(아세안-중국 FTA)실현을 향한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인구 18억 4000만 명(세계 1위), 역내 GDP 2조 3000억 달러, 역내 교역 규모1조 6600억 달러(세계 3위)의 거대 경제권 출범의 첫걸음을 내디딘 셈이다. 이러한 ACFTA로 인해 ASEAN시장에서의 우리나라 수출경쟁력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KOTRA(사장: 홍기화)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 “ACFTA 이후 ASEAN에서의 주요 수출상품 한.중.일 경쟁관계 분석”에 따르면 향후 중국은 ASEAN시장에서 한.중.일 경합품목 중 상당수 품목을 대상으로 무관세 혜택을 받게 될 전망이다. 중-ASEAN간 관세인하 및 철폐는 조기자유화프로그램(Early Harvest Program), 일반품목(Normal Track), 민감품목(Sensitive Track) 3분야로 진행되는데 민감품목을 제외하고는 종국적으로 관세를 철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한.중.일이 ASEAN에서 경합하고 있는 기계류.전기기기 (HS코드 84.85류)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對ASEAN 수출경쟁력에 큰 타격이 예상되며 특히 이들 경합품목 중 한국과 일본이 부담하는 최혜국 관세율이 높은 경우 무관세 혜택을 받는 중국에 비해 크게 불리한 위치에 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말레이시아에서는 자동차용 부분품.부속품, 인도네시아는 굴착기 등의 건설기계류, 태국은 음성재생기기, 가정용 전열기기, 공기조절기, 송풍기 등을 중심으로 피해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품목들은 한.중.일 3국이 해당국가에 대해 각각 5백만 달러 이상씩 수출하고 있는 경합품목들로서 한국과 일본이 10~80%에 이르는 관세를 부담하는 반면 중국은 ACFTA로 인해 늦어도 2018년까지는 무관세혜택을 받게 된다. 반면 말레이시아의 경우 컴퓨터 입출력장치, 기억장치, 냉장설비용 기체압축기, 인도네시아의 경우 전동기 및 발전기 부분품, 태국의 경우 반도체디바이스, 송신기기, 입출력장치 등의 품목에 대해서는 한국과 일본도 무관세로 수출을 하고 있기 때문에 ACFTA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는 받지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피해 예상 품목이 그렇지 않은 품목보다 훨씬 많은 관계로 ACFTA로 인해 한국과 일본이 피해를 입는 것은 불가피하다. ACFTA로 인한 피해는 일본보다 한국에 더 심각할 전망이다. ASEAN시장에서 중.일의 수출경합도(ESI : Export Similarity Index)에 비해 한.중의 경합도가 지속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일본의 경우 한국에 비해 중국과 ASEAN 현지에 많은 자국기업들이 진출해 있어 이들 일본기업 역시 ACFTA로 인한 무관세 혜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권 중헌 KOTRA 해외조사팀장은 “ACFTA로 인해 중국이 기계류.전기기기 등에서 무관세 혜택을 받는다면 우리의 對ASEAN 수출경쟁력은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국내기업의 중국, ASEAN으로의 진출을 독려하고 ASEAN과의 FTA협상을 조속히 타결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