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철강산업의 생산능력 증가동향 및 발전추세
[중국산업정보 제42호(2005.09.08)] ■ 정책 : 휘발유 및 나프타에 대한 수출환급세 일시 중단 ■ 분석 : 중국 철강산업의 생산능력 증가동향 및 발전추세 ■ 산업 1. 시멘트산업 : 2005년 상반기 중국 시멘트 산업 동향 분석 2. 기계산업 : 중국 계측기기 산업의 최근 운행현황 분석 ■ 통계 1. 2003-2004년 전국 高新區 기업의 납세현황 2. 2003년-2004년 전국 高新區의 연구비 투입현황 3. 2004년 전국 高新區의 기술부문 판매수입 분포현황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이전가격과세제도와 그 시사점
[재정포럼 2005년 8월호(제110호)] Ⅰ.서론 Ⅱ.입법 연혁 및 법률 연원 Ⅲ.현행 이전가격과세제도 개요 Ⅳ.이전가격과세제도의 최근 동향 Ⅴ.시사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SHANGHAI ‐ FROM DEVELOPMENT TO KNOWLEDGE CITY
■ Summmary: This report provides insights on the expansive development in Shanghai of human resource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creation of a huge web of incubators, university science parks, district industrial parks, and various specialized development zones. With a total population of some 17 million and a GDP per capita of around US$3,000 the city planners expects that 2.5 per cent of its GDP will in 2005 be us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FDI in high technology and returning scientists in microelectronics illustrate the ambitions of Shanghai to become a knowledge city. More than 140 foreign-controlled R&D laboratories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in Shanghai. Their number and sizes will increase and also involve more basic research as the IPR regime improves. Shanghai will emerge as innovative knowledge region on the world stage that before 2020 will be competing with other global knowledge regions such as the Oxford-London-Cambridge triangle by attracting talent and creating new knowledge. This report highlights a rapid and continue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in Shanghai that now has 59 colleges and universities with a total enrolment in 2004 of 600,000 students The City has 10 universities which are included in the national list of Top-100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sele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receive special treatment and extra resources. Three of a dozen Chinese universities with expectation to become recognized as world-famous research universities are located in Shanghai ‐ Fudan University, Tongji University and Shanghai Jiaotong University. Fudan University Science Park and the School of Microelectronics at Fudan University provide examples of the changing character of the university system in Shanghai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s a web of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of which Zhangjiang High-Technology Development Zone provides an illustration of ongoing efforts to integrate industrial production, research and university education Shanghai is attracting overseas entrepreneurs in its advancing semiconductor industry, exemplified by SMIC with one of its bases in Zhangjiang High-Technology Development Zone, Shanghai is also attracting returning scientists to expand its IC knowledge base as exemplified by the School of Microelectronics at Fudan University, which has 600 graduate students.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国经济的稳定、平衡增长呼唤积极财政
[国际经济评论2005 年第7-8 期] The Institute of World Economics and Politics (IWEP) 中国当前的宏观经济形势 对中国经济周期性变化的理论解释 在当前形势下,应该采取怎样的货币政策和财政政策?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농업성장의 요인과 양상
[월간 세계농업뉴스 제60호(2005년 8월)] 기타연구보고 (M45-60) (3 〜27 Pages) ----차례---- 1. 중국의 경제성장과 농업 2. 농업성장의 주요 변수 3. 중국의 농업정책 4. 중국의 농산물 무역정책 5. 결론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위안화 절상 이후에도 對 중국 Hot money 유입세 지속되는 것으로 추정
[Memorandum “Restricted” 050902-MR] *해당사이트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요 약> ㅁ 04년 이후 위안화 절상 조치 이전인 05년 6월까지 월평균 Hot money 유입액 은 81억 달러 정도이며 총 1,458억 달러 정도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 - 위안화 절상(7/21)이 있었던 7월의 공식통계는 발표되지 않았으나, SCB는 자체적인 외환보유액 증가분 추정을 통해 약 187억 달러의 Hot money가 유입된 것으로 분석 ㅁ 향후 위안화 절상의 속도와 폭에 대해서는 견해차가 있으나 시장에서는 추가 절상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으로 최근의 위안화 절상 조치 이후에도 Hot money 유입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 - AWSJ, FT 등의 언론들도 중국경제가 고도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2% 정도의 소폭 절상은 펀더멘털의 변화로 받아들이기 어려워 추가적인 절상 압력이 지속될 것이 고 이에 따라 Hot money 유입도 지속될 것이라고 지적 ㅁ 위안화 절상 이후 Hot money 유입액의 상당부분은 그 동안 상대적으로 자금 유입이 저조했던 증시로 유입되었을 가능성 - 지난 7월 22일 이후 8월 31일 현재까지 중국 증시는 13.9% 상승했고 일평균 거래금액 도 7월 1~21일 동안의 일평균 거래금액에 비해 137% 증가 - 증시관계자들은 정부의 증시 구조조정 지원과 기관자금 유입, 유통주 개혁시범기업의 자사주 매입 계획 등도 상승 배경이 되었지만 위안화 절상 수혜기업 주가의 단기 반등 을 노린 Hot money의 유입도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 - 부동산 시장으로의 유입도 5월 부동산 규제 강화 조치 이후 다소 감소했겠으나 고급 상업용 부동산 등을 대상으로 여전히 진행되고 있을 것이라는 의견 ㅁ 중 당국도 복수통화 바스켓제도를 채택한 것이 오히려 위안화의 추가절상 기대를 증폭시켜 Hot money 유입을 부추길 가능성이 있음을 우려 - Hot money 유입을 제한하기 위해 절상 기대감이 사라질 정도의 큰 폭 절상 조치를 취할 경우 광범위한 부작용이 우려되고, 위안화 금리 동결 및 외화 금리 인상, 자본유입 통제와 유출 자유화 확대 등도 급격한 실행이 어려운 상황 - 다만 부동산 규제 강화이후 시장의 관망세 지속과 증시 비유통주의 유통화로 인한 물량 부담, 긴축 이후 경기둔화 가능성 등으로 Hot money가 유입되더라도 그 규모의 증가세가 지속되지는 않을 가능성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등장, 세계경제 및 상대가격체계상의 다양한 구조변화 초래
[Memorandum “Restricted” 050901-MR] *해당사이트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요 약> ㅁ 대규모 저가 노동력을 보유한 거대 개방경제인 중국의 세계경제 편입으로 세계경제의 구조변화를 초래 ㅁ 생산요소시장에서 대규모 저임 노동력 공급으로 세계적 임금상승률 저하와 기업이익률 상승현상 발생 ㅇ 01년 이후 경기회복기에 미국의 민간 노동자 실질보수 증가율은 과거의 17%에 크게 미달한 11%에 그치고, 노동자의 임금교섭력도 저하 ㅇ 반면, 주요국의 GDP대비 기업의 세후 이익률은 크게 증가 ㅇ 또한 인접국 투자흡수로 이들 국가의 산업공동화 초래 ㅁ 생산물시장에서 중국이 수입하는 원자재가격은 상승하고, 중국이 저가로 생산 하여 수출하는 제품가격은 하락하는 상대가격 체계 변화 발생 ㅇ 최근 유가상승에 불구, 과거와 달리 인플레이션율이 낮고 세계경제 성장이 견조한 이유는 중국의 저임 노동력에 의한 저가생산 효과가 원자재가 상승효과 등을 능가 하기 때문 ㅁ 자산시장의 이상급등은 중국의 저가생산에 따른 물가안정에 힘입어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저금리정책이 가능하였고, 이에 따른 글로벌 유동성 버블에 기인한 측면 ㅇ 최근 경기회복기의 미국의 단기 실질이자율은 0.7%로 과거에 비해 2%p나 낮은 수준 ㅇ 인플레이션 우려에서 비교적 자유로워진 중앙은행들의 역사적 초저금리 정책으로, 과잉 모기지차입 및 주택시장 버블 등을 초래 ㅁ 금융시장에서 장단기 금리격차 축소에 기여 ㅇ 위안화 가치상승을 저지하기 위한 중국의 대규모 미국 증권 매입은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장기금리를 하락시킨 한 원인 ㅁ 세계경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으나, 중국경제의 구조적 위험 요인 상존으로 중국발 위기요인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필요 ㅇ 중국의 세계경제에의 영향력 지속으로, 세계경제 안정을 위한 중국의 책임과 권리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질 전망 ㅇ 비효율적 경제운영, GDP 중 과도히 높은 투자비중, 취약한 금융시스템, 소득격차 심화 등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는 중국의 위험요인을 밀착 감시해야 ㅁ 우리나라의 산업공동화, 투자 및 고용 위축, 중국관련 대기업의 이윤증대 및 주가상승, 임금격차 심화, 부동산가 상승, 일반물가 안정 및 저금리 유지 가능, 분배악화 등 제반 현상도 중국의 영향으로 상당부분 풀이될 수 있음 ㅇ 변화를 재빨리 수용하고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정책의 강구가 긴요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동북아 물류정책 동향 및 Hot Issue
[동북아물류동향 2005년 8월호(통권22호)] 요약----6 1.중국동향---9 2.일본동향---14 3.국내동향---34 4.기타동향---38
홈 > 추천연구보고서 -
拡大する中国の外貨準備と対米証券投資~投資分散が徐々に進んでいる可能性あり~
[中国ビジネス・レポート No.30] (2005年8月23日) 調査部のレポート 05/52 -2001年以降, 急擴大する中國の外貨準備高 -中國は日本に次ぐ米國債保有國 -中國側から見ると新規 の外貨運用に占める米證券シェアは低下傾向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자동차산업발전의 제약요인 분석
월간한중 09-1호 (2005. 09. 15) [중국동향Ⅰ] - 중국 자동차 산업 발전의 제약요인 분석 목차 1. 중국 자동차산업발전 제약요인의 시기별 성격 2. 중국 자동차산업발전의 제약요인 1) 간접적 제약요인 1; 에너지문제 2) 간접적 제약요인 2; 환경보호 3) 직접적 제약요인; 원자재 수요증가 3. 중국 자동차산업발전의 제약요인 해소방안 *참고문헌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