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정부, 부동산 가격안정 대책 강화 외
[POSRI CHINA QUARTERLY 2005년 3호 (통권 5호)] Executive Summary 경제동향 경제성장……………………………………………………………… 4 물가동향………………………………………………….…...……… 7 통화금융……….………………………..……………….…...………..8 FDI와 외환보유고………………………….…..…….…..…….……11 현 안 경제 중국정부, 부동산 가격안정 대책 강화.........................…….13 중국 난징자동차, 영국 Rover 인수..……….…..…..……….16 중국기업들의 미국기업에 대한 M&A 활동 강화...............20 정책 및 제도 중국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대한 현장보고…….…..……22 서부대개발 정책 및 추진현황…………………….….….…..25 동북진흥 정책의 기본방향과 추진현황……….….…….…..27 정치사회 중국의 집단소요사태: 현상과 함의………….……..….….…28 새로운 발전단계로 접어든 중국의 사회보장……..….…….31 대외관계 중∙미관계………………….………….….….…...…….………. 35 중∙대만관계…..…………………….…..…….….…….………..37 중∙일관계………………………….….….…….……..…………39 기타 국가와의 관계………….….…….….…….….………….40 특 집 7. 21 위안화 환율제도 변경…………...……….…..…………….43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공회 제도
[국제노동브리프 2005년 9월 (Vol.3, No.9)] ▣ 국제노동동향 중국의 공회 제도 ■ 머리말-최근 중국 진출기업의 가장 큰 노사문제와 공회설립 ■ 공회법의 제정-노사간의 이익조정과 노동자계급의 주인역할 ■ 공회의 조직-정치적 성격이 강한 시스템 ■ 공회의 집행부, 간부 및 전문종사자 ■ 공회의 주요한 권리와 의무 ■ 맺음말-외국인투자기업의 공회에 대한 대응방안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강대국 대외정책
[국가전략 2005년 제11권 3호] 2005년 가을(통권 제33호) -요약- 중국의 대외정책이 완만하지만 분명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들어 중국은, 6자회담 의 개최나 아세안 국가들과의 FTA의 체결 그리고 EU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 노력 등에서 나타나듯, 지역과 세계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또 자신의 선호와 목표를 구현하려 시도한다. 이 글은 이러한 대외적 적극성은 경제적 성장과 대외적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의도 에 기인한 것으로, 중국의 대외정책이 강대국 대외정책으로서의 속성을 강화해감을 보여준다 고 규정한다. 그러면서도 이 글은 중국의 강대국 대외정책이 공세 일변도이기보다 두 개의 상반된 측면들을 동시에 포괄함을 제시한다. 중국은 한편으로 국제질서에 대한 영향력을 제고시키기 위해 노력하면서도 동시에 자신의 등 장이 위협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협력과 다자주의에도 적극적으로 임한다. 이처럼 공세적 측면과 타협적 측면을 동시에 포함하는 강대국 대외정책은 중국의 국제적 지위와 영향 력을 증대시키고 국제구조의 권력분산을 유발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 고 중국은 기존질서에의 참여를 선택함으로써 지역과 국제질서의 안정에도 기여했다. 이러한 중국의 대외적 선택은 힘이 증대됨에 따라 권력의 유혹에 빠질 것이라는 지배적인 시각과 차이를 보인다. 물론 이러한 중국의 대외정책은 전략적인 고려에 기인한 것으로, 앞으로도 계속될 것인가는 무엇보다도 미국의 대응이라 는 국제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轉換期迎える日本企業の中国戰略[みずほリサーチ]
원제명 : アンケート調査結果; 転換期迎える日本企業の中国戦略 ~ビジネス見通しは悪化するも、積極化する統括会社や研究開発への取り組み~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동북아 국제관계와 한국의 국가이익: 미・중・일 세력관계를 중심으로
[국가전략 2005년 11권 3호] -요 약 - 국가이익은 광범위한 정책적 포괄성과 상당한 수준의 사회과학적 완결성을 겸비한 개념적 도구이다. 한국의 외교안보적 국가이익은 그 지정학적 특수성을 고려할 때 통상 주변 4강으 로 불리는 외교관계의 종속변수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통상 외세활용의 전략을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 상대적 약소국의 처지에서 군사, 경제적으로 월등한 지위의 주변국을 상대로 주 도적인 외교전략을 구사한다는 것은 지난한 국가과제이다. 동북아 국제관계는 미중일간 세력 관계를 핵심축으로 47-72년, 73-90년, 91-97 년, 98-현재에 이르는 대체로 네 차례의 단계 적 전환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관계 속에서 우리는 각각 주권확립, 산업화, 민주화, 그리고 강소국으로서의 국가이익을 추구하였는데 이러한 이익은 대체적으로 미중일 삼국관 계의 세력변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 시점에서 우리는 남북관계의 정상화, 동북 아 평화정착, 그리고 선진자본주의 동참이라는 각기 한반도적, 동북아적, 그리고 세계적 수준 의 국가이익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익을 실현은 주변 미중일간 세력관계의 변화를 주목 하고 이들 국가들이 추구하는 외교전략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최근 채권시장 개혁조치 내용 및 향후 정책과제
[해외경제 포커스(제2005-40호)] (2005. 9. 25 ~ 2005. 10. 1) ◇ 최근 동 가격상승 배경과 전망 ◇ 중국의 최근 채권시장 개혁조치 내용 및 향후 정책과제 Ⅰ. 주요국의 금융, 경제 【미 국】 ▷ 2005년 2/4분기중 GDP 성장률 3.3%로 확정 【일 본】 ▷ 기업 업황판단, 2분기 연속 개선 【유 럽】 ▷ 유로지역, 2004년중 재정적자 소폭 개선 【중 국】 ▷ UBS, 베이징증권 경영권 확보 【주요 신흥시장국】 【기타 지역】 Ⅱ. 국제금융시장 Ⅲ. 국제원자재시장 Ⅳ. 경제지표 발표일정 및 시장 전망치 Ⅴ. 주요국의 경제지표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아세안 FTA체결과 우리 수출시장에의 영향
[현안리포트 05-032] ㅇ 목차 Ⅰ. 중-아세안 FTA 개요 /1 Ⅱ. 지역별 주요 수출품목의 영향 /4 1. 개요 /4 2. 중국 /7 3. 태국 /12 4. 싱가포르 /15 5. 말레이시아 /18 6. 인도네시아 /21 7. 베트남 /26 Ⅲ. 주요국 대응방안 /31 1. 개요 /31 2. 일본 /32 3. 호주 /37 4. 대만 /46 Ⅳ. 시사점 /51. 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대중국 해외투자의 국내고용 및 투자에 대한 효과분석 [보도자료/내용요약]
한국경제연구원www.keri.org(원장 盧成泰)은 최근「대중국 해외투자의 국내고용 및 투자에 대한 효과분석」(박승록 선임연구위원, 현재 북경사회과학원 방문학자)이란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보고서에서 박 박사는 한국의 대중 수교 후 2003년까지 대중국 해외투자로 인해 약 13만 4,000명의 국내 일자리가 상실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대중국 해외투자의 초기에는 1993-1997년까지 매년 600여명 내지 5,000여명 정도에 불과한 국내고용 손실을 초래했으나, 1998년 이후부터는 매년 1만명 이상의 고용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2002년에는 2만 6,000여명, 2003년에는 4만 4,600여명의 고용손실이 발생했다고 분석하였다. 한국기업들의 대중국 해외투자의 형태가 중국을 단순한 생산기지로 이용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구매, 완제품과 부품 및 소재의 일관생산- 판매- 연구개발 등 현지 완결형 투자체제로 전환하면서 원부자재의 현지생산을 위한 동반진출 등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진출업종도 노동집약적 산업에 이어서 최근에는 대규모 투자와 IT분야의 벤처기업 투자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진출 기업의 고용감소와 투자감소를 만회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 상실됨으로써 해외투자의 고용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대중국 투자가 보다 크게 진전될 경우 고용감소 효과가 더욱 강하게 나타날 개연성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충분한 사전대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4 한중일 직접투자동향 분석 - 한중일 3국의 대내/대외 직접투자의 특징 및 배경 -
[기획조사 05-046] 1. 들어가며 /3 ■최근 세계 FDI 경향 /3 ■한중일 FDI 경향 분석의 의의 /4 2. 2004 한중일 FDI 흐름과 경향 /7 ■한국의 대내 FDI 유입 경향 /7 ■한국의 대외 FDI 진출 경향 /12 ■중국의 대내 FDI 유입 경향 /15 ■중국의 대외 FDI 진출 경향 /22 ■일본의 대내 FDI 유입 경향 /29 ■일본의 대외 FDI 진출 경향 /34 3. 한중일 무역 및 상호 FDI 흐름과 경향 /40 ■최근 한중일 무역 흐름의 정리 /40 ■최근 한중일 무역 흐름의 요인 /41 ■한중일 상호 FDI의 양상 및 실태 /45 ■최근 한중일 상호 FDI 투자의 특징 /47 ■기타 한중일 3국의 FDI 투자환경 제반사항 비교 /51 4. 결언 /57. 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OECD, 中 지속 성장 위해는 시장 규범 확립 및 금융・재정개혁 박차 긴요
[CEO Information 050928-CEO] *해당사이트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ㅁ OECD는 중국경제의 고속 성장 불구 성장을 위한 개혁 필요성을 지적 ㅁ 중국의 고성장은 민영기업 비중 증가 등 시장 친화적 정책 실시의 영향인바,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 확보를 위한 관련 법과 제도 정비 필요 ㅁ 또한 금융 및 재정 개혁도 성장 모멘텀 유지 위한 중요한 과제 ㅁ 그밖에도 지역간 소득 격차 및 환경 문제의 해결도 경제성장에 중요 ㅁ 따라서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율적 자본 배분, 노동의 자유로 운 이동, 도시화, 민간경제 발전을 위한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할 필요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