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베이징> 향후 5년 생활수준 향상 기대
베이징시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北京市人民代表大 常 委 )는 베이징 통계국 산하의 사회상황 및 민의조사센터(社情民意 中心)에 의뢰, ‘2013년 베이징민생현황(2013年北京民生 )’조사를 실시함. 설문에 응한 베이징 시민 중 69.4%는 향후 5년, 중국과 베이징의 지속적 경제발전에 힘입어 자신의 생활수준 역시 향상될 것으로 기대함. 연령별로 30세 이하 응답자 79%, 31~40세 응답자 65.6%, 41~50세 응답자 60.5%, 51세~65세 응답자 59.3%가 향후 5년 생활수준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였고, 연령이 높을수록 기대치는 낮음. 열악한 거주환경, 물가 상승, 비싼 의료비, 잘못된 사회풍조, 양로문제, 높은 자녀교육비 및 입학난 등이 생활곤란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인 것으로 조사됨. 그중 부동산가격 상승으로 인한 열악한 거주환경이 1위(28.7%)에, 다음으로 물가상승이 2위(19%)에 랭크됨. 곤란한 생활환경에 처했을 때 54.1%는 친구에게 도움을 청하고, 46.6%는 정부관련 부서에, 33.8%는 사법기관에, 21.4%는 지역사회 조직에, 19.4%는 언론매체에 도움을 청하며, 11.9%는 당 조직에 도움을 청할 것이라고 응답함(복수 선택). 베이징 시민들이 생각하는 정부가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할 현안으로 의료, 물가상승, 주택문제를 꼽음. 응답자 38.4%는 정부의 의료개혁 역량강화로 진찰받기 어렵고 값비싼 의료비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길 희망함. 또한 31.6%는 지나치게 빠른 물가상승을 통제하고, 27.1%는 부동산 가격 상승을 통제하고 보장성 주택 건설을 늘리길 기대함. 개인 및 가정의 재산, 인신(人身), 교통, 의료, 식품, 노동, 개인정보 등 7개의 부분에 대한 안전감(安全感)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인신, 개인 및 가정의 재산부분을 가장 안전하게(50% 이상) 느끼는 것으로 조사됨. 다음으로 노동, 의료, 교통부분에 안전감(40%)을 느끼고 있으며, 식품과 개인정보부분은 각각 24.1%와 19.3%로 가장 안전하지 않다고 느낌. 【출처: 北京七成受 者:近5年生活水平改善, 北京日 , 2013-06-04】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인 1회 여행 소비지출액 세계 1위
후룬바이프(胡 百富)가 발표한 ‘중국호화여행보고서(中 奢 旅游白皮 )’에 따르면 중국인의 여행 소비지출액은 3년 연속 세계 1위임. 2012년 중국인 여행객이 1회( ) 여행시 지출하는 비용은 약 875유로(한화 약 130만원)으로 전년대비 8% 증가하였으며, 세계 평균보다 71% 높은 수준임. 세금환급대행업체인 ‘글로벌 블루(Global Blue)’의 2012년 글로벌 여행자 소비데이터¹ 에 따르면, 중국인 여행객 소비지출액은 3년 연속 세계 1위로 총 30억 유로(약 4조 5천억 원)에 이름. 또한 소비지출액 세계 점유율은 24%로 전년도 대비 4% 증가함. 중국을 이어 2위 러시아, 3위 일본, 4위 인도네시아, 5위 미국이 랭크되었으며, 소비지출액 점유비율은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임. 아시아국가 중 태국과 말레이시아도 10위권에 진입하면서 아시아의 막대한 소비능력은 과시하고 있음. 중국인 여행객 소비지출액 증가율는 2년전 대비 다소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약 50%의 빠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음. 2012년 중국인 여행객 소비지출액 증가율은 57%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 여행객은 약 30%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호화 해외여행시 중국인은 매회 1인 평균 6,000달러를 소비하고 있으며, 1인 평균 5,000달러 이상 지출하는 비율은 43%, 1만 달러 이상 지출하는 비율은 11%로 조사됨². 또한 여행 일정 수립시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부분은 쇼핑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로 전문 판매점, 명품매장, 백화점 등에서 보석과 시계, 의류와 장신구등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남. ¹. 공항면세점 소비 및 글로벌 블루 회원외의 데이터는 포함하지 않음. ². 1인 평균 1만 달러 이상 소비하는 호화여행은 9.6일이 평균여정이며, 하루 평균 7,000위안을 소비함. 【출처: 究 告 中 游客 消 仍第一, 州日 , 2013-06-04】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3년 1-5월분 고장자산 투자 현황
2013년 1-5월분, 전국 고정자산투자액(농가 불포함)은 131,211억 위안이었으며 동기대비 명목증가율은 20.4%로 1-4월분 대비 0.2% 하락함. 5월 고정자산 투자액은 전월대비 1.43% 증가함. <그림 1> 고정자산 투자 동기대비 증가율 산업별로 살펴보면, 1-5월분 1차 산업 고정자산투자액은 2,730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31.1% 증가하였으며, 증가율은 1-4월분 대비 1% 하락함. 2차 산업 고정자산투자액은 56,657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15.7%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0.6% 하락함. 2차 산업 중, 공업투자액은 55,702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16.4%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1-4월분 대비 0.6% 하락함. 광산업 투자액은 3,740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7.1% 증가하였고 증가율도 1.9% 증가함. 제조업 투자액은 46,460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17.8%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0.6% 하락함. 또한 전력, 열에너지, 가스 및 물 생산 공급관련 투자액은 5,501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11.3%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2.3% 하락함. 3차 산업 고정자산투자액은 71,824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23.9% 증가하였으며, 증가율은 1-4월분과 같은 수준임. 지역별로 살펴보면, 1-5월분 동부지역 고정자산투자액은 64,696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19% 증가였으며 증가율은 1-4월분대비 0.2% 하락함. 중부지역 투자액은 34,857억 위안으로 23.9% 증가하였으며 증가율은 0.2% 하락함. 또한 서부지역 투자액은 30,842억 위안으로 22.7% 증가하였으며 증가율은 0.3% 하락함. <그림 2> 지역별 투자 동기대비 증가율 1-5월분, 국내자본기업의 고정자산투자액은 123,088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21.3%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1-4월분 대비 0.1% 감소함. 홍콩 마카오 타이완 기업은 동기대비 8.8% 증가한 3,683억 위안을 투자하였으나 증가율은 4.1% 하락함. 외국계 기업은 동기대비 5.6% 증가한 3,839억 위안을 투자하였으나 증가율은 0.4% 하락함. 1-5월분, 중앙정부 프로젝트 투자액은 6,110억 위안으로 같은 기간 대비 7.1% 증가였으나 증가율은 1-4월분 대비 1.4% 감소함. 지방정부 프로젝트 투자액은 125,101억 위안으로 21.1%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0.2% 하락함. 【출처: 2013年1-5月 全 固定 投 主要情 , 家 局, 2013-06-09】
홈 > 최신중국동향 -
[교육] 2013년 중국 대입시험 수석자 선호 대학
중국교우회넷(中 校友 )은 ‘2013년 중국대학평가연구보고(2013中 大 价 究 告)’를 발표함. 보고서는 2013년 중국 양안사대( 岸四地)*지역의 대학순위, 중국대학교 졸업생 수준 순위, 교수 수준 순위, (성·시·현의) 대입시험 수석자(高考 元) 선호 대학 순위 등을 소개하고 있음. 6성급 및 5성급 대학에 선정된 대학은 중국 최고 일류대학으로 정치, 경제, 과학기술, 문화, 예술, 체육 등 각 분야에서 최고의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이라고 할 수 있음. 중국의 대입시험 수석자의 93.53%는 중국 최고 대학인 베이징대학교, 칭화대학교, 홍콩대학교와 홍콩중문대학교 등 6성급 대학 진학을 선호함. 중국 5성급 대학은 중국 일류대학으로 분류되며 종합실력, 학교운영에 있어 최고수준이며 세계에서 비교적 높은 지명도를 자랑함. <표> 2013년 분류별 대학 현황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베이징대학교와 칭화대학교는 중국 각 지역 대입시험 수석자 각각 482명, 403명을 선발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석자의 88.06%를 차지함. 그밖에 각 지역 대입시험 수석자 중 42명이 홍콩대학에, 20명이 푸단대학에, 13명이 홍콩중문대학에 지원 선발됨. 2000년 이후 중국 10위권 대학인 저장대학교(浙江大 ), 우한대학교(武 大 ), 지린대학교(吉林大 )등은 중국내 유명대학과 홍콩 대학의 영향으로 중국 최우수 수험생의 선택을 받지 못함. 또한 중국 대입시험인 가오카오(高考)가 부활한 1977년 이후, 대입수석자 약 1,900명 중 60% 가량이 학부를 마친 뒤 유학길에 오른 것으로 조사됨. 중국 대학 졸업생 수준과 관련, 베이징대학교와 칭화대학교의 수준이 각각 1위, 2위로 가장 높았으며, 졸업생 직업성취도와 사회적 지위 면에서도 최고 수준인 것으로 조사됨. 그 뒤를 푸단대학교, 중국인민대학교(中 人民大 ), 난징대학교(南京大 )가 잇고 있음. *. 중국, 타이완, 홍콩 및 마카오 【출처: 2013中 最受高考 元 大 排行榜, 中 校友 , 2013-05-29】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35개 도시 생활질량 순위: 베이징 1위
중국경제실험연구원(中 究院)이 발표한 ‘2013년 중국 35개 도시 생활질량 보고서(2013年中 35城市生活 量 告)’에 따르면, 사회경제지수 상승으로 베이징이 1위에, 충칭(重 )은 두 계단 하락한 35위를 랭크됨. 중국 도시 생활질량 체계(CCLQI)는 ‘주관적 만족도 지수(주관적 지수)’와 ‘사회경제데이터 지수(객관적 지수)’로 구성됨. 사회경제데이터 지수’는 720개 사회경제 객관적 지수*를 근거로 도시생활 전반을 평가한 지수임. 사회경제데이터 지수’부분 상위 5위권에 진입한 도시는 순위 순으로 베이징, 광저우( 州), 난징(南京), 시안(西安), 선전(深 )이며, 하위 5위권 도시로는 하이코우(海口), 정저우( 州), 난닝(南 ), 시닝(西 ), 충칭(重 )순으로 집계됨. 2013년 전국 35개 도시 ‘사회경제데이터 지수’부분의 평균 점수는 57.75점으로 2012년 평점인 54.56점 보다 3.1점 향상됨. 그중, 베이징은 전년대비 1.0점 증가한 69.8점으로 1위에 랭크되었으며 충칭은 전년대비 1.5점 감소한 47.83점으로 35위에 랭크됨. 그러나 주민이 직접 평가한 ‘주관적 만족도 지수’부분에서는 베이징이 24위, 충칭이 19위로 만족도가 낮음. 2013년 35개 도시 생활질량 조사 결과는 2012년 대비 객관적 지수부분에 있어 다소 향상되었으나 주관적 지수는 여전히 전년수준에 그침. 객관적 지수 향상의 주된 원인은 중앙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민생공정(民生工程)의 지속적 실현에 있으며, 치솟는 생활비, 부동산 가격 상승세, 먹거리 안전문제, 사회치안 문제와 대기질 문제 등 갖가지 난제로 주관적 지수 상승은 어려워 보임. *. 소비율(소비/수입), 1인 평균 자산(1인 평균 저축+1인 평균 주택 자산), 1인 평균 가처분소득, 1인 평균 소비 신장, 1인 평균 재산 증가, 1인 평균 가처분소득 성장, 주택 판매가격 지수, 통화 팽창률, 교육제공지수, 사회보장율, 기본 의료보험보장율, 실업보험보장율 등 【출처: 35城市生活 量 告:北京第一重 底, 每 , 2013-06-24】
홈 > 최신중국동향 -
[재정] 5월 중앙 재정수입 소폭 증가 2.6%
재정부에 따르면 2개월 연속 감소하던 중앙재정 수입이 5월 소폭 증가세로 전환되었으나, 증가폭은 전년도 동기대비 2.6% 증가에 그침. 5월분 전국 공공재정수입은 12,749억 위안으로 전년도 동기대비 6.2% 증가하였으며, 1-5월분 수입은 56,214억 위안으로 전년도 동기대비 6.6% 증가함. <표 1> 전국 공공재정 수입 현황 재정수입 중 세수는 48,979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6.9%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2.5% 하락하였으며, 非세수 수입은 1,338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8.9% 하락함. 그중 중앙 非세수 수입은 200억 위안으로 석유특별수익금 감소영향으로 49.9% 급감함. 재정지출에 있어, 5월분 전국 공공재정 지출액은 10,266억 위안으로 전년도 동기대비 12% 증가하였으며, 1-5월분 전국 공공재정 지출액은 46,610억 위안으로 13.2% 증가함. <표 2> 전국 공공재정 지출 현황 그밖에 정부는 공공지출에 있어 교육에 6,787억 위안, 문화체육 및 매체분야에 652억 위안 등을 지출하여, 민생보장에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고 있음. <표 3> 영역별 공공지출현황 【출처: 政部:5月 中央 政收入小幅增 2.6%, 新 社, 2013-06-09】
홈 > 최신중국동향 -
[당정] 공산당 당원수 8,500만명 돌파
공산당 창건 92주년을 맞이하여 발표된 당( ) 조직부 통계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중국 공산당 당원 총수는 8512.7만 명으로 전년대비 252.5만 명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은 3.1% 임. 당 기층조직 수는 379.2개로 전년대비 17.5만개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은 4.3% 이름. 당원대오 구성으로 살펴보면, 전국 여성 당원 수는 2026.9만 명으로 전체 당원 총수의 23.8%에 해당하며 소수민족 당원 수는 580.2만 명으로 전체의 6.8%를 점유함. 전문대이상 학력을 보유한 당원 수는 3408.1만 명으로 당원 총수의 40%를 차지하며 35세 이하 당원 수는 2180.1만 명으로 25.6%를 점유함. 당원구성을 직업별로 살펴보면, 공업 노동자가 725명, 농목어업 종사자가 2534.8만 명, 당 정부기관 종사자가 715.7만 명, 기사업단위(企事 位, 민간비영리기업 포함) 관리자 및 전문기술연구원이 3408.1만 명으로 조사됨. 또한 학생 당원 수는 290.5만 명, 정년퇴직한 당원 수는 1553.8만 명, 기타 직업에 종사하는 당원은 673.3만 명에 달함. <그림> 당원 직업별 구성 기층당 조직분포를 살펴보면, 전국 7,245개 도시, 3.3만개 향전( ), 8.7만개 사회(거주지 주민위원회), 58.8만 개 건제촌(建制村, 성시급 국가기관의 승인을 거쳐 설치된 촌)에서 당조직을 설립함. 기관(机 ), 사업단위(事 位)의 당조직 보급률은 각각 99.97%, 99.94%에 달함. 공유제 기업의 당조직 보급률은 99.98%이며, 147.5만 개 비공유제 기업이 당조직을 건립하였음. 【출처: 中共 突破8500万名 非公企 增加, 京 , 2013-07-01】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1/4분기 여행소비가격지수 주요 동향
중국사회과학원 관광연구센터(中 社 科 院旅游 究中心)는 2013년 상반기 전국 여행소비가격지수(TPI)의 변동 추세와 규칙을 분석한 ‘중국여행소비가격지수 모니터링 보고(中 旅游消 价格指 告)’를 발표함. 중국 50개 주요 관광도시를 대상으로 소비물가 및 숙박, 교통, 입장료 등 중점적 검측을 시행함. 상반기 전국 여행소비가격지수(TPI)는 1월부터 3월까지 10%를 초과하는 큰 변동 폭을 보이다 4월부터 6월까지 다소 하락하며 완만해짐. 춘절이 있는 2월의 PTI는 1월 대비 35% 증가함. 청명절, 노동절, 단오절 등 연이은 명절효과 이후 5월, TPI 변동 폭은 점차 안정권에 접어듦. 2013년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급등하였고 여행소비가격지수(TPI)도 반년 만에 최고점을 찍는 등 TPI와 CPI는 일정한 일치성을 나타냄. 지역별로 살펴보면, 상반기 TPI 변동 폭은 하이코우(海口), 산야(三 )지역이 극심하였으며, 시안(西安), 꾸이린(桂林), 두장옌(都江堰), 충칭(重 ), 샤오산(韶山) 등 도시에서는 성수기 가격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남. 이와 반대로, 상하이, 베이징, 톈진 등 종합형 대도시의 여행소비가격 변동 폭은 강력한 물가 안정정책에 힘입어 비교적 완만하게 나타남. 상반기 숙박비는 완만하게 유지되었으나, 관광지 입장료는 여론의 초점이 되었으며, 큰 교통비 변동 폭은 전체 TPI 흐름에 영향을 줌. 50개 도시 중 도시 표준여행을 기준*으로 소요되는 경비를 산출한 결과, 2013년 6월, 산시성( 西省) 셴양시(咸 市)는 196위안, 둔황시(敦煌市)는 293위안, 하얼빈시(哈 市)는 300위안으로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여행할 수 있는 도시로 선정됨. 그러나 다롄시(大 市)는 697위안, 우시시(无 市)는 664위안, 상하이시는 658위안으로 여행경비가 가장 많이 소요되는 도시로 조사됨. 도시 표준여행 소요경비 중 입장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샤오산시, 두장옌, 취푸시(曲阜市)의 입장료가 전체 여행경비의 60% 이상을 차지함. *. 1박, A급 관광지 2곳, 시내교통수단 이용을 근거로 여행경비 산출 【출처: 社科院 告 一季度旅游消 价格指 波 烈, 人民 , 2013-07-10】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13년 상반기 '국오조( 五 )' 시행 후 부동산시장
중국지수연구원(中 指 究院)은 ‘2013년 상반기 중국 부동산시장 연구보고(2013年上半年中 房地 市 究 告)’를 통해 2013년 상반기 중국 부동산 시장 현황을 분석하는 한편, 소위 ‘국오조( 五 ) ’*의 시행에 따른 정책결과를 살펴보고 있음. 보고서는 2013년 상반기 중국 부동산시장 현황을 4개 분야로 나눠 살펴보고 있음. o 정책: ‘국오조( 五 )’, 안정적인 부동산시장을 위한 엄격한 통제 - 중앙정부는 기존의 구매제한, 대출제한 등 단계적 통제정책을 긴밀하게 이어가는 동시에 장기적으로 부동산시장 통제를 위한 메커니즘 역할 수행. - 보장성주택 보급정책, 주택정보 네트워크 및 부동산 등기 조례를 제정, 부동산세 시범징수 확대시행 등, 부동산시장 현황을 예기하며 부동산시장의 장기적 안정을 보장함. o 신규주택: 100대도시가격지수(百城价格指 )* 상승폭 점차 완만, 주요 도시거래량 정점에서 하락세, 전국 매출 동기대비 대폭 증가 - 가격부분: 100대도시가격지수는 정책반영의 영향으로 3월 최고조에 이른 후 점차 하락함. 그러나 6월 거래 평균가격은 역대 최고수준을 기록하였으며 부분도시의 가격상승 압력도 여전히 큼. - 거래부분: 상반기 주요도시의 주택 거래량은 최근 4년 이래 최고 수준이었으며, 특히 3 4선 도시의 거래 증가량이 동기대비 뚜렷함. ‘국오조’의 영향으로 2/4분기 거래량은 하락하였으나 전월대비 하락폭은 감소함. ‘국오조’의 영향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o 중고주택: 가격 상승폭 점차 감소, 3월 최고 거래량 기록 후 점차 감소, 신규주택보다 큰 변동 폭 - 가격부분: 2013년 상반기 10대 도시 주요지역 중고주택 가격은 10% 상승함. 특히 3월 가격은 전월대비 2.8% 증가하며 뚜렷한 상승폭을 나타냄. 그 후 가격상승폭은 점차 감소세를 그리며 6월 1% 대로 떨어짐. - 거래부분: 상반기 10대 도시의 중고주택 총 거래량은 동기대비 122.9% 증가한 55.80만 채로, 2012년 한해 거래량인 64.82만 채에 근접함. ‘국오조’ 세칙 시행 전, 3월 중고주택 거래량은 사상최대로 증가하였다가 4~6월 점차 감소하기 시작함. 중고주택은 신규주택보다 큰 변동 폭을 나타내며 거래량은 2011년 이래 최고 수준임. o 건설용지: 1 2선 도시의 물량 및 가격 상승, 전국 각종지표 전년대비 우수 - 공급부분: 2013년 상반기 전국 300개 도시 주거용지 공급 및 거래량은 동기대비 각각 13.2%, 11.4% 증가하였으며, 특히 1선 도시의 증가율이 가장 뚜렷함. - 가격부분: 전국 300개 도시의 단위면적당 주거용지 토지가격은 동기대비 36.6% 증가하였으며 프리미엄률(溢价率)은 14.5%로 임. 2/4분기 주택, 상업용지 프리미엄률은 최근 2년간 가장 놓은 수준임. - 1 2선 도시의 수급 및 가격평균 회복은 300개 도시의 상반기 토지 양도금(총 1.2조 위안, 동기대비 64.1%성장) 증가를 선도함. o ‘국오조’ 시행으로 부동산 과열도시의 투자 투기수요 재상승을 억제함. - 베이징, 상하이 등 지방정부 차원의 세칙(양도세 20% 징수 등)은 더욱 엄격해졌으며, 기타 대다수 도시들도 이와 유사한 세칙을 수립할 것으로 보임. * 국오조( 五 ): 2013년 2월 20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부동산 시장 통제를 위한 5개항의 조치인 ‘국오조( 五 )’를 발표함. ‘국오조’는 부동산 가격안정 책임제, 투기성 부동산 구입제한, 신규주택 및 건설용지 공급보장, 사회보장형 주택건설계획 확립. 부동산시장 통제 강화를 주 내용으로 함. * 100대도시가격지수(百城价格指 )는 전국 100대 중요도시의 신규주택 가격평균 및 변동현황을 반영한 것으로, 그중 가격평균은 100개 도시의 견본주택 신규판매에 대한 평균치임. 【출처: 2013年上半年中 房地 市 究 告, 搜房 , 2013-07-10】
홈 > 최신중국동향 -
[정부] 주요 9개 영역 정부정보 공개 추진
국무원은 ‘당면한 정부정보 공개 주요사업 계획( 前政府信息公 重点工作安排)’를 발표하고, 정부정보 공개를 지시함. 정부정보 공개 주요 9개 영역으로 먼저, 행정심사 정보공개를 추진함. 행정심사 항목의 조정정보 공개를 강화하고 심사 허가과정 결과 공개를 추진하며 행정허가현황 정보공개에 힘씀. 둘, 재정 예산 결산 및 ‘삼공경비(三公 )*’ 공개를 추진함. 2013년까지 각 성급 정부는 ‘삼공경비’를 전면적으로 공개하며, 전국 시 현급 정부는 2015년까지 적극적으로 공개함. 셋, 보장성주택의 정보공개를 추진함. 시 현급 정부는 서민형 보장성 주택인 안거공정(安居工程) 건설, 공급, 철수 정보를 공개함. 넷, 식품 약품 안전정보 공개를 추진함. 식품 약품 안전과 관련한 주요문제, 중점 정치(整治)사업, 법 집행 여부 등 정보 공개를 추진함. 다섯, 환경보호관련 정보공개를 추진함. 중점적으로 공기질, 수질환경, 건설항목 환경영향평가 등 정보공개를 추진함. 여섯, 안전 생산 정보공개를 추진함. 2014년을 기점으로 중대 사건사고 조사보고서의 전면 공개를 시행함. 일곱, 가격 및 요금의 정보공개를 추진함. 교육, 교통 운송, 농민부담( 民 ), 의료, 부동산시장, 여행시장 등에 관련된 가격 및 요금의 관리감독 정보를 공개함. 여덟, 토지수용 및 철거관련 정보공개를 추진함. 토지수용 정보조회 제도를 추진하고, 주택수용 결정, 징수조사 결과, 잠정적 평가결과, 보상 현황정보 공개를 통해 공개적 징수를 추진함 아홉, 교육을 중점으로 한 공공기업과 기관의 정보공개를 추진함. 대학 입시정보 공개 범위를 확대하고, 대학의 재무정보 공개 역량을 강화함. <표> 주요 9개 영역 정부정보 공개 사항 *. 삼공경비(三公 ): 공무 접대비, 관용차 구매 및 운영비, 공무 해외출장비를 지칭함.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2012년 중국 중앙정부가 지출한 경비는 74억2500만 위안(약 1조3,900억원)으로 당초 예산보다 5억5900만 위안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됨. 【출처: :推 九方面政府信息公 , 北京日 , 2013-07-11】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