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공산당 제16기 5中全會 평가
[주요국제문제분석 2005.12. 5] 1. 5중전회의 배경 2. 5중전회의 내용: 제11차 5개년 규획 3. 5중전회의 시사점 4. 한국의 고려사항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허베이성 11개 도시 발전현황 분석
월간한중 01-1호 (2006. 01. 05) [중국지역연구] - 허베이성 11개 도시 발전현황 분석 목차 1. 허베이성이 중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2. 허베이성 11개 도시 인구 및 GDP 현황 1) 인구 및 인구 증가율 2) GDP 총액 및 산업별 GDP 구성 3. 허베이성 11개 도시 공업생산총액,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실제외자사용액 1) 공업생산총액,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증가율 2) 실제외자사용총액 및 증가율 4. 허베이성 11개 도시 1인당 GDP, 근로자 평균임금 및 증가율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사회소매총액 추이와 요식업 소매총액 현황 분석
월간한중 01-1호 (2006. 01. 05) [중국동향] - 중국 사회소매총액 추이와 요식업 소매총액 현황 분석 목차 1. 중국의 사회소매총액 추이 1) 중국의 사회소매총액 및 전년대비 증가율 2) 업종별, 행정구역별 사회소매총액 비중 2. 주요 성시별 사회소매총액 현황 분석 3. 요식업 소매총액 현황 및 요식업 발전의 필요성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제11차 5개년 계획의 산업정책 방향과 시사점
요약 제I장 머리말 제II장 제11차 5개년 계획의 특성과 주요 산업별 정책방향 1. 제11차 5개년 계획 목표와 방향 2. 주요 분야별 정책방향 3. 주요 산업별 정책방향 4.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와 해외투자 정책 제III장 향후 중국 경제와 산업・교역구조 고도화 전망 1. 중장기 경제성장 전망 2. 산업구조 고도화 현황과 전망 3. 교역구조 고도화 현황과 전망 제IV장 평가와 시사점 1. 평가 2. 한국 경제에 대한 시사점과 대응방안 참고문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인디펜던트지>, 중국의 성장세는 장기간 계속된다
- 영국 <인디펜던트지>는 중국은 최근 과소평가된 사영경제에 대한 통계 수정작업 결과가 발표됨에 따라, 경제규모 면에서 영국을 뛰어 넘어 세계 4대 경제대국이 됐다고 보도 - 골드만삭스는 2년 전에 작성한 브릭스에 대한 보고서에서 중국의 경제규모는 2009년 독일을 뛰어넘어 세계 3대 경제대국이 되고, 2050년 세계 경제순위는 중국, 미국, 인도 순이 될 것이라고 주장 - 최근 골드만삭스는 연구대상을 小대륙형국가인 인도네시아까지 확대시켜, 브릭스 국가에 대한 심층연구를 진행시키고 있음. 일본, 싱가포르, 한국, 타이완보다 중국의 고도성장 추세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음 - 3~5년 사이 중국의 성장세를 위축시킬 위협요인은 에너지 수급차질임. 국제에너지기구는 내년 세계 석유수요는 중국의 수요증가로 7.8%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음. 하지만 중국은 이산화탄소 배출량 제한을 받지 않고, 해외에너지자원개척과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국제유가 상승으로 큰 타격을 입지 않을 전망 - 올해 중국의 자동차 생산량은 11월까지 21.6% 늘어났고, 소비지출은 12.4% 증가하는 등 안정된 내수시장은 통상마찰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장을 이끌 것으로 보임 - <인디펜던트지>는 중국의 경제성장이 얼마동안 지속될 수 있는 가에 대해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 중국은 지금 인구 통계학상 “황금의 시기”에 진입해 있어 “10년 동안은 노동인구는 늘고, 출생률이 떨어지지만 인구 증가에는 영향을 못 미치는 시기”라고 주장. 노동인구가 줄어드는 10년 뒤에나 성장률이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5년 중국의 수출입규모 1조4221억 달러
- 1월10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전국 세관장회의에서 세관 청장인 머우신성(牟新生)은 “올해 중국의 대외무역은 빠른 발전추세를 보일 전망이고, 수출입 총액면에서 균형을 유지해, 계속 세계 3위의 무역대국 지위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힘 - 머우신성(牟新生)은 2005년 중국의 수출입 총액은 1조4221.2억 달러로 작년보다 23.2% 증가했다고 발표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6년 거시경제를 운영하는데 7가지 난제
- 중국경제넷은 1월9일자 보도에서 올해 중국경제는 7가지 난제에 직면할 것으로 보여 이를 해소하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주장 1)올해 경제운영의 목표는 경기하락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과잉생산 문제를 해소시키는 것임. 각종 물가가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철강, 자동차, 전해알루미늄 등 투자과열로 경제전반에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음 2)재정정책과 세무제도를 완비시키고, 외자에 대한 초국민 대우를 개선시켜야 함. 내외자 기업간의 차별적인 세금제도는 세금 공평원칙에 모순되고, 위앤화 평가절상 압력과 무역마찰을 가져옴 3)믿음직한 통화정책과 신용대출에 대한 감독철저. 올해도 높은 수출증가세가 예상됨에 따라 M2/GDP 비율은 200%를 웃돌 전망. 직접금융시장의 미발달로 은행이 전체금융업 자산의 90%를 차지하고 있어 은행 감독관리에 철저할 필요 4)빠른 도시화 속에 농민소득 향상에 주력해야 함. 중국은도시화, 공업화, 국제화, 시장화의 4개 방향의 경제발전을 추구하고 있음. 그 중에 도시화는 “3농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수단이고, 경제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원동력임. 농촌의 세금과 비용을 개혁시키고, 농촌 기간시설에 대한 투자 및 농촌 신용조합의 개혁을 가속화시켜야 함 5)부동산산업의 합리적 발전을 유도. 선진국과 비교해 중국의 도시화율은 20%~30% 낮은 수준으로 향후 상당기간 부동산산업은 고속성장이 가능. 부동산산업은 철강, 시멘트, 전해알루미늄 등의 발전 뿐만 아니라, 교통, 유화업종 등의 성장을 가져오는 국민경제의 바로미터임 6)은행과 자본시장의 개혁을 앞당겨, 경제발전을 위한 초석을 다짐. 올해 말 금융시장 전면개방을 앞두고, 건전성확보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상업은행의 해외상장 추진 및 해외 전략적협력을 강화시킬 예정. 채권시장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조속히 채권시장을 개혁시킬 방침 7)대외무역에 의존한 성장 방식을 전환하고, 외환보유고의 합리적 활용을 모색. 2005년 무역흑자는 1천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보여 외환보유고는 8200억 달러 가량에 이를 전망. 수출증대를 통한 성장 방식을 내수확대로 전환시키고,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전략물자인 석유 등 천연자원 구입, 인적자원의 해외연수, 기간시설 및 교육, 의료부문에 투자할 수 있게 다변화 할 필요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국가나노과학센터 발전현황
[목 차] 1. 배경 2. 중국 나노과학연구에 존재하는 문제점 3. 국가나노과학센터 현황 4. 주요 연구성과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유럽 갈릴레오계획 및 중국이 참여하는 협력프로젝트
[목 차] 1. '갈릴레오' 첫 시험위성 발사 2. 유럽의 '갈릴레오' GNNS시스템 개발목적 3. '갈릴레오'계획의 경제/사회적 효과 4. GPS시스템과 비교한 '갈릴레오' GNNS시스템의 우위 5. 중국이 참여하는 협력프로젝트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화공기계장비 R&D 현황
최근 수년간 중국 내 토종기업과 연구기관은 화공기계장비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중대한 R&D성과를 따냈다. ① 대련석유화학공사(大連石化公司): 중국 최초로 연간 처리량 350만 톤의 중유촉매분해장치를 개발하여 시범운영에 성공했다. ② 중국석유화학공정건설공사(中石化工程建設公司)/일중그룹(一重集团) /제로석유화학주식회사(齊魯石化股分公司): 세 회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천톤급 수소첨가반응기는 국가급 기술검수에 통과되었다. 이는 중국이 대형 수소첨가반응기 자체적 설계제조능력을 확보했음을 의미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