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간의 무역액 사상 처음 1천억 달러 돌파
- 인민일보 2월6일자 보도에 따르면 해관(세관)총서가 발표한 통계자료에서 2005년 한중간의 무역액은 사상 처음으로 1천억 달러를 넘었음. 유럽연합과 미국도 중국과의 무역규모가 각각 2000억 달러를 돌파했음 - 2005년 중국의 6대 무역파트너는 모두 무역액이 1천억달러를 초과했음. 중국의 1대 무역파트너인 유럽연합과의 무역총액은 2173억 달러로 22.6% 늘었음. 2대 무역파트너인 미국은 2116.3억 달러로 24.8% 증가. 일본은 1844억 달러로 9.9% 늘었음 - 2005년 중국은 한국과 아세안으로부터 수입한 금액은 전체 수입증가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중국은 한국으로부터 768.2억 달러를 수입해 전년대비 23.4% 늘었음.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증가율은 전체 증가율보다 5.8%P 높았음. 한국은 중국의 2번째 수입국가로 지난해 3위에서 한단계 상승 - 아세안은 중국의 3번째 수입지역으로 2005년 중국은 아세안으로부터 750억 달러를 수입해 지난해 대비 19.1% 증가했음 - 한중 정상은 지난 11월 서울에서 <한중 공동성명>을 통해 수교 20주년이 되는 2012까지 양국의 무역규모를 2000억 달러까지 확대시키로 합의 - 지난 13년간 한중간의 무역증가율은 27%에 달했기 때문에 향후 7년간 교역증가율이 13%씩 성장할 경우 2000억 달러 달성이 가능할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5년 북한-중국간 무역동향과 시사점
<목 차> 1. 총괄 2. 무역방식별 수출입 3. 품목별 수출입 4. 평가 5. 전망과 과제 ---북한-중국 무역, 사상 최고치 경신 (보도자료) 최근 북한과 중국간의 정치, 경제협력이 강화되면서 양국간 무역이 매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재철)가 발표한 '2005년 북한-중국간 무역동향과 시사점'에 따르면 북한 중국간의 무역은 지난 2003년 사상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넘어선데 이어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14.8% 늘어난 15억8,034만달러로 전년의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국 북한간의 교역확대는 지리적 인접성, 중국의 저가 공산품 공급능력 확대, 정치유대 강화 등에 힘입은 것으로 지난해의 경우 중국의 대북한 자원개발투자 확대에 따른 무연탄, 철광석 무역이 크게 늘어난데 힘입었다. 수출입실적을 각각 살펴보면 북한의 대중국 수출은 주종 수출품인 무연탄, 철광석의 수출이 크게 늘어난 반면 어패류의 수출이 감소, 전년 대비 14.3% 감소한 4억9,918만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원유, 석유・역청유(粗製品 포함), 옥수수 등의 수입이 크게 늘어나 전년 대비 36.0% 증가한 10억8,118만달러를 기록했다. 중국에 이어 북한의 제2위 무역국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의 경우 지난해 10억5,575만달러로 전년 대비 51.5% 증가했고 일본의 경우 1억3,870만달러로 전년 대비 22.9% 감소했다. 무역협회는 ▲중국의 단동 및 두만강지역 개발 ▲동북3성 산업시설 개조를 위한 북한과의 경제협력 강화 의지 ▲2000년대 초?중반 중국 북한 간에 논의돼 왔던 중국 기업의 대규모 대북투자 프로젝트들의 2004년 이후 속속 실행단계 진입 등에 힘입어 앞으로 북・중간 무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국가통계국 조직개편의 배경과 전망
[지역별 경재정보] 중국 국무원은 지난 1월 2일, <중화인민공화국통계법실시세칙 수정에 관한 결정(国务院关于修改<中华人民共和国统计法实施细则>的决定)>을 발표하여 2006년 2월 1일부터 수정된 통계법실시세칙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수정의 주요 내용은 국가통계국의 조직개편이며, 그 목적은 통계조사의 독립성 확보와 통일 집중된 중앙통계 관리체제의 확립으로 요약된다. 통계법 실시세칙 수정과 더불어 국가통계국은 서비스산업 조사 센터 설립, 기업과 사업단위에 대한 통계 DB 구축, 과학기술 통계부 조직개편 등을 추진하여 3차 산업과 과학통계의 정확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지방정부의 GDP 수치 조작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한편 통계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강화하여 향후 경제운영에 있어 통계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려는 중국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은 최근 통계 조직개편과 수정실시세칙 시행으로 통계와 관련된 그동안의 여러 비난에서 자유로워지는 한편, 향후 중국 정부는 좀 더 정확한 통계를 바탕으로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경제사회 발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방정부 간부평가에 있어서는 '녹색 GDP' 개념을 도입하여 경제통계와 사회통계를 그 기준으로 삼을 것으로 예상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주식시장 개방의 현황과 전망
[지역별 경제정보] 2006년 1월 5일 중국증권감독위원회, 상무부, 세무총국, 공상총국, 외환관리국 등 5개 기관이 연합하여 공포한 《외국투자자의 상장기업 전략적투자 관리방안(外国投资者对上市公司战略投资管理办法)》는 적격외국인기관투자자(Qualified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QFII) 이외에도 일정자격을 갖춘 외국인 투자자에게 종전 내국인에게만 투자기회가 주어졌던 'A주식'을 매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지금까지 발표된 조치 중 주식시장의 대외 개방 폭이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위 방안에 따르면 외국투자자는 주식매입 대상회사의 지분을 최소 10% 이상 매입해야 하며 3년 간 보유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중국 정책결정자들은 눈부신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침체를 벗어나지 못했던 중국 주식시장에 외국자본이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금번 조치로 중국 주식시장에 관심을 가진 외국자본에 의한 M&A가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쓰촨(四川)성 14개 주요 도시 발전 현황
월간한중 02-2호 (2006. 02. 16) [중국지역연구] - 쓰촨(四川)성 14개 주요 도시 발전 현황 목차 1. 쓰촨(四川)성이 중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2. 쓰촨성 14개 주요 도시 인구 및 GDP 현황 1) 인구 및 증가율 2) GDP 총액 및 산업별 GDP 구성 3. 쓰촨성 14개 주요 도시 공업생산총액 및 고정자산투자총액 1) 공업생산총액 및 고정자산투자총액 2) 공업생산총액 증가율, 고정자산투자총액 증가율 및 실제사용 외자총액 4. 쓰촨성 14개 주요 도시 1인당 GDP, 근로자 평균임금 및 증가율 1) 도시(市區) 근로자 1인당 평균임금 및 증가율 2) 1인당 GDP 및 증가율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6년도 중국의 통관정책 관련 변경사항
최근 중국 상무부는 2006년도 관세율 변경품목과 쿼터량을 발표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관세율이 약간 하향 조정되며 쿼터량은 수입은 물론 수출에도 적용되는 품목이 적지 않으니 관련업체는 대중국 비즈니스시 관세율과 쿼터량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国市場で求められる戦略的広報
[知的資産創造 2005年11月号] *野村総合研究所(NRI): Nomura Research Institute
홈 > 추천연구보고서 -
Effects of WTO membership on income distribution and labour movement in China — A CGE analysis
[Discussion Papers 18 2005] 2005-12-30 Bank of Finland Institute for Economies in Transition (BOFIT) Contents Tiivistelmä .....................................5 Abstract ......................................6 1 Introduction: China's WTO entry framework .....................................7 2 Trade liberalisation with sectoral/regional inequality ............................9 2.1 Trade patterns ................................9 2.2 Lowering barriers.......................12 2.3 Regional industry structures .................................14 3 CGE models of China ............................................15 4 Basic model structure.............................................20 5 Database, baseline and scenario design .................................21 5.1 Data and special considerations ........................22 5.2 Baseline scenario ................................23 6 Simulation results for trade liberalisation ................................27 6.1 Macro results..................................................28 6.2 Sectoral results ...............................................30 6.3 Provincial/regional results .....................................31 7 Major poli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33 References...........................37 Appendices.....................42
홈 > 추천연구보고서 -
Economic trends and China's impact on world trade
[NZ Trade Consortium working paper No43] December 2005 *The New Zealand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NZIER) Contents 1. Introduction .......................................................... 1 2. Economic trends & their impacts on business ........................... 1 2.1 Economic trends ................................. 1 2.1.1 Demographics................................. 1 2.1.2 Resources & technology ................................... 2 2.1.3 Economic connectedness ............................. 4 2.2 Impact on business/economy ............................ 7 2.2.1 Demographics....................................... 7 2.2.2 Resources & technology .................................. 8 2.2.3 Economic connectedness ................................ 9 3. China & world trade ..................................... 10 3.1 How China impacts on global trends ........................... 10 3.1.1 Demographics............................................. 10 3.1.2 Resources & technology .......................... 11 3.1.3 Economic connectedness .................... 13 3.2 How important is China's influence compared with other influences? ................................... 17 3.2.1 Demographics....................................... 17 3.2.2 Resources & technology ........................... 17 3.2.3 Economic connectedness ....................... 18 4. Take out points.................................... 19 5. References............................. 21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아시아 주요국의 2006년 경제 전망 및 정책 과제
[해외경제정보 제2006-3호] 2006년 아시아 경제는 내수가 견조한 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IT 경기 회복, 중국, 일본의 경기 호조에 따른 수출 증가, 인프라 투자 및 설비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성장률이 대부분 국가에서 전년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홍콩, 인도는 민간소비 둔화 및 지난해 높은 성장에 따른 반동으로 성장률이 둔화되겠으나 대만, 싱가포르, 태국 등은 성장세가 큰 폭으로 확대될 가능성 다만 금리 인상 및 인플레이션 압력 증대로 인한 민간소비 위축, 조류 인플루엔자의 확산, 유가 상승 등이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