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지방정부 부정부패 가장심각
중국사회과학원 문헌출판사(中 社科院社 科 文 出版社)와 상하이교통대학 여론연구실험실(上海交通大 情 究 室)이 공동으로 ‘2013년 여론청서( 情 皮 )’를 발표함.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동안 반부창렴(反腐倡廉:부패를 반대하고 청렴을 제창함)관련 여론사건( 情事件) 발생빈도를 조사한 결과 4 5 6월 및 8 9월의 빈도가 높게 나타남. 특히 2012년 12월이 여론사건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달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2012년 11월 8일 ‘제18차 중공 전국대표대회’ 개최 후 형성된 여론 때문임. 많은 사건 중에서 반부패관련 사건, 특히 지방정부의 부정부패 사태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됨. 2012년 지방정부가 연루된 부정부패사건 비율이 57.0%로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이나, 2010년 72.4%에서 2011년 59.7%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임. 최근 인터넷으로 폭로되는 부정부패사건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웨이보, 블로그, 칼럼 등을 통해 폭로된 사건 비율은 2012년 20.8%으로, 2010년 5.9%, 2011년 12.9% 대비 크게 상승함. 인터넷 폭로로 사회적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주요사건은 정저우에 주택 11채를 보유한 부동산녀(房妹) 사건, 교통사고현장에서 웃은 산시 안감국장( 西安 局 ) 사건, 광둥 샨토 도로국장( 汕 公路局)의 여러 명의 내연녀 사건, 랴오닝 펑청시( 城市) 위원회 서기의 2억 횡령 출국사건 등이 있음. 2012년 여론지속기간이 일주일 이내인 사건비율은 55.2%로 2010년 37.3%와 2011년 53.8%에 비해 뚜렷이 증가함. 여론지속기간이 1~2주인 사건비율은 18.1%로 2011년의 26.9%보다 감소함. 여론이 2주에서 한 달간 지속된 사건이 주로 매체와 대중의 지대한 관심을 받은 사건이었으며, 그 뒤를 2~3달 지속된 반부패 사건이 잇고 있음. 2012년 한 해 동안 가장 핫(hot)한 부정부패사건은 충칭 당서기 레이정푸(雷政富)의 '성상납' 동영상 폭로사건과 정저우 부동산녀 사건임. 【출처: 社科院 情 告:地方反腐居首位 雷政富 度最高, 法制 , 2013-08-19】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은퇴 후 살기 좋은 도시: 항저우
미국경제잡지 포춘(FORTUNE) 중문판에 ‘2013년 은퇴 후 가장 살기 좋은 중국 도시’로 항저우(杭州市), 칭다오( 市), 청두(成都市), 주하이(珠海市), 샤먼(厦 市)이 ‘최신 5대 도시’로 선정됨. 그중 항저우는 2011년부터 연속 3년간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샤먼은 2010년 처음으로 순위권에 진입한 후, 올해 5위권에 이름을 올림. 항저우는 전반적 생활수준, 사회복지, 인문환경 등 8개 항목의 표준평가에서 각 분야별 상위 5위권을 유지하고 있음. 또한 칭다오는 북방도시 중 유일하게 은퇴 후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됨. 5대 은퇴 후 살기 좋은 도시 중, 항저우의 평균 부동산가격은 1㎡당 1,700위안으로 가장 높았으며, 칭다오와 청두의 1㎡당 부동산가격은 1만 위안에 못 미치는 수준임. 대기질이 가장 좋은 도시는 주하이로 대기질 1급인 날이 1년 중 235일로 가장 많았고, 청두는 30일에 불과함. 올해로 4년째 시행되는 이 조사는, 고위급 행정 간부 25,000명을 대상으로 중국의 특색 있는 도시 50개를 선정하여 투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됨. 【출처: 2013“中 最适宜退休城市”出 杭州三 冠, 中 新 , 2013-08-2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3년 500대 민영기업 순위
전국 상공업연합회 경제부(全 工商 部)는 ‘2013년 500대 중국민영기업 조사연구보고(2013年中 民 企 500强 分析 告)를 발표함. 보고서는 2012년 500대 민영기업이 직면해 기업의 주된 애로사항으로 가격상승을 꼽고 있음. 500대 민영기업 순위에 쑤닝전자그룹( 器集 ), 롄샹주식유한회사( 想控股有限公司), 화웨이투자주식유한회사( 投 控股有限公司)가 1위~ 3위에 랭크됨. 또한 4위부터 10위까지는 장쑤사강그룹(江 沙 集 ), 산둥웨이차오(山 魏 ), 저장지리(浙江吉利), 다롄완다(大 万 ), 위룬주식회사(雨 控股), 완커기업(万科企 ), 메이디그룹(美的集 )이 순위에 들었음. 500대 민영기업의 전체 규모는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성장속도는 느려지고 있음. 500대 민영기업의 영업 총수입은 105,774.97억 위안(기업당 평균 211.55억 위안)이며, 성장속도는 2011년 대비 19.6% 감소한 13.65%임. 2008년 이후 처음으로 세금공제 후 순이익이 납세액보다 낮은 상황이 연출됨. 2012년 500대 민영기업의 세금공제 후 순수익은 4,238.44억 위안이었으나 총 납부세금은 4,334.78억이었음. 납세액이 가장 큰 기업은 화웨이투자주식유한회사로 253억 위안을 납부하였으며, 같은 시기 순이익은 153.8억 위안에 그침. 두 번째로 납세액이 큰기업은 완커기업으로 211.25억 위안을 납세하였으며 같은 시기 순이익은 156.63억 위안으로 집계됨. 500대 민간기업의 세금공제 후 순이익은 2011년보다 3.39% 감소하였으며, 하락폭은 2008년 금융위기 때의 –0.08%보다 높은 수준임. 2012년 1인 평균 순이익 또한 2011년 9.48만 위안에서 8.12만 위안으로 감소함. 15년간 시행된 500대 민영기업 순위선정은 전국상공업연합회의에 등록된 규모이상 민영기업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함. 순위선정은 민영기업의 자원(自愿)참가를 원칙으로 하며, 영업수입 5억 위안 이상인 민영기업의 경영상황을 분석하여 민영경제발전 현황파악에 목적을 둠. 2012년 500대 민영기업 진입 카트라인은 영업수입 77.72억 위안으로 2011년 대비 12억 증가함. 【출처: 2013年中 民 企 500强 告, 中 行 究 , 2013-08-30】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대륙)내 외국인 10년 사이 35% 증가
국제이민기구(IMO)가 발표한 2013년 세계이민보고에 따르면 선진 경제권에서 발전중 경제권 국가로의 이민현상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미국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큰 이민 목적국가이며, 중국도 흡인력이 큰 이민 목적국가로 자리 잡았음. 본 조사는 세계 150개 국가, 70만 명을 대상으로, 최초 시행된 객관적 이민현황 분석 자료임. 2011년 기준,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은 69만 명 이상으로 10년 전 대비 35% 증가함. 중국은 빠른 경제성장에 힘입어 이민 목적국가로서의 흡인력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낮은 생활원가도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함. 중국은 한국, 일본, 구미국가 등 개발도상국가로부터의 이민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만과 홍콩으로 부터 회귀하는 화교들도 증가하고 있음. 또한 남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의 많은 사람들이 중국행 이민을 선택하고 있으며 이들은 보통 중국의 ‘외국인 노동시장’에 진입하게 됨. 또 하나의 현상은 중국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 수가 신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이들은 주로 한국, 미국, 일본에서 유학생 온 학생들임. 이와 동시에, 중국은 해외에서 유학을 하거나 일을 하다가 돌아온 ‘하이구이(海 )’의 인원도 함께 증가하고 있음. 발전중 경제권에서 선진 경제권으로의 이민이 여전히 주된 이민흐름이며 미국은 여전히 가장 큰 이민목적 국가임. 현재 미국에는 멕시칸에서 온 이민자수(12,000명 이상)가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중국(190만 명 이상)이 잇고 있음. 【출처: 告 大 外 人10年增35% 留 生 量 大, 子 , 2013-09-15】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2013년 상반기 해외여행자수 18% 증가
중국여행사협회(中 旅行社 )와 중국 해외여행 컨설팅 기업인 아이비 얼라이언스(Ivy Alliance)는 공동으로 ‘2013년 중국 해외여행 분기별 보고서(中 出境旅游季度 告2013)’를 발표함. 2013년 1/4분기 중국 여행자수는 약 16%, 2/4분기는 약 21% 증가하는 등 상반기 해외여행자수는 약 18% 증가함. 전국 각지 여행사를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문에 응한 여행사중 87%가 3/4분기 해외여행자수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단체 해외여행객 유동량과 관련하여, 설문에 응한 여행사 중 83%는 해외여행객이 증가하였으며, 그중 22%는 단체여행객이 20%이상 증가하였다고 응답함. 또한 여행사중 5%는 작년과 동일한 수준이었으며, 12%는 여행객이 감소하였다고 답함. 2/4분기 해외여행지 선정과 관련하여, 한국 및 동남아시아와 섬지역을 선호하였으며, 장거리노선으로는 유럽이 가장 인기 있는 지역으로 선정됨. 최근 위안화의 지속적 상승과 비자간소화, 항공노선확대 및 신규노선취항의 영향으로 세계는 더 많은 중국인 해외여행객을 흡수하고 있음. 10월 1일 시행되는 <여행법*>은 3/4분기 해외여행시장에 아직 실질적 영향은 끼치지 않고 있음. 많은 여행사들은 여름휴가라는 성수기의 영향으로 비교적 낙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음. 해외여행관련 설문에 응답한 여행사 중 68%는 4/4분기 패키지상품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78%는 자유여행상품이 확연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4/4분기 여행법 시행으로 단순여행 패키지상품의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바캉스 상품, 크루즈 상품, 여행 상품, 포상여행 상품, 고객맞춤형 상품 등이 주요 인기상품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됨. *. 중국인 관광객의 권익을 보호하고 중국 관광산업의 건강한 발전을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여행법(旅游法)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음. 비합리적인 저가 상품을 만들 수 없음. 또한 쇼핑 또는 별도 요금의 여행항목을 만들어 수수료를 받을 수 없음. 관광객에게 서비스 요금을 요구하거나 별도로 요금을 내야 하는 옵션 참가를 강요할 수 없음. 또한 구체적인 센터를 지정하거나 여행 일정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음. 【출처: 告 示:2013年上半年我 出境人 增 18%, 球 , 2013-08-2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서비스업 경쟁력 : 상하이, 베이징, 텐진
중국사회과학원 재정전략연구원(中 社 科 院 略 究院)은 ‘2013년 중국서비스업발전보고(中 服 展 告2013)’를 발표함.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지역 서비스업 종합 경쟁력 순위에 상하이, 베이징, 톈진이 1위부터 3위에 랭크됨. 보고서는 서비스 규모경쟁력, 발전 잠재력, 발전수준, 서비스 구조 등 4개 부분으로 나누어 지역별 서비스업 경쟁력을 분석함. 2012년 1/4분기,중국서비스업 증가치는 공업증가치를 초과하며 GDP 성장에 가장 큰 공헌을 하였으며, 서비스업이 중국경제에서 미치는 비중은 날로 증가하고 있음. 최근 중국의 제조업은 중서부지역으로 이동하고 인구는 동부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어, 지역간 제조업 격차는 축소되고 있으나 서비스업 격차는 확대되고 있음. 중국의 지역별 서비스업은 여전히 매우 불균형한 발전 상태로, 서비스업 종합경쟁력 상위 10위권에 진입한 도시 중 9개 도시가 동부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서부지역보다 크게 앞서고 있음. 그러나 서부지역의 서비스업 발전 속도는 동부지역을 앞서고 있음. 동부지역의 서비스업 성장효율은 중 서부지역을 크게 앞서고 있으나, 중부와 서부지역간의 격차는 크지 않음. 변이할당분석법(Shift-share method)으로 서비스업 전체 성장현황을 분석한 결과, 동부지역이 중 서부지역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부지역은 비록 지역내 격차는 컸으나 전반적으로 중부지역보다 앞서있음. 주요 업종별로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동부지역이 서비스업이 발전해있으나 업종별로는 격차를 보이고 있음. 중국의 지역별 서비스업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동부지역 서비스업 경쟁력이 전체적으로 중 서부지역을 크게 앞서고 있으며, 중 부지역의 서비스업 경쟁력은 평균 수준임. 중부지역의 서비스업 경쟁력은 서부지역보다 앞서있으며, 서부지역내 경쟁력은 격차는 비교적 크게 나타남. <그림> 지역별 서비스업 종합경쟁력 보고서는 중국의 지역별 서비스업의 균형발전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 다음의 7가지를 제안하고 있음. 첫째, 시장화 개혁을 가속화하여, 서비스업 발전을 위한 양호한 제도적 환경을 마련함. 둘째, 낙후된 지역에 서비스업 투자를 촉진시켜 투자효과를 향상시킴. 셋째, 적극적이고 주동적인 대내 외 개방 정책으로 지역 서비스업 발전을 추진함. 넷째, 조속히 세재 개혁안( 改增: 증치세 확대)을 전면적으로 시행하여 합리인 지역간 세수경쟁을 규범화시킴. 다섯째, 둥베이와 중서부 지역에 연해지역 제조업 이전을 적극 장려함. 여섯째, 지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인재유동 정책 등 우대혜택과 유연한 정책을 제정함. 일곱째, 서비스업 지역 구조를 최적화하여, 지역간 경쟁을 통해 특색 있는 서비스업 발전을 선도함. 【출처: 中 社科院 告: 京津名列中 服 力前三甲, 中 新 , 2013-09-03】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통계국 2012년 GDP 성장률 7.7%로 수정
최근 통계국이 ‘잠정적 확인(初步核 )’작업을 통해 발표한 2012년 중국 국내총생산액(GDP)은 518,945억 위안으로 당초 ‘잠정적 집계(初步核算)’때보다 380억 위안이 감소함에 따라, 통계국은 2012년 GDP 성장률을 0.1% 감소한 7.7%로 하향 수정함. 통계국은 연말 재무자료 등 전면적이고 신뢰성 높은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GDP데이터를 수정 발표하게 됨. 중국의 GDP는 ‘잠정적 집계(初步核算)’, ‘잠정적 확인(初步核 )’, ‘최종 확인(最 核 )’ 3단계 작업을 통해 최종 산출됨. 중국 GDP 데이터 ‘잠정적 집계’본은 차기년도 1월 20일 이전에, 연도 GDP ‘잠정적 확인’ 데이터는 9월 이전에, 연도 GDP ‘최종 확인’ 데이터는 후년 1월에 완성됨. 통계국은 2012년 통계연보와 부분 업종별 재무자료, 표본조사자료를 근거로, 2012년 GDP 데이터 ‘잠정적 확인’작업을 실시함. 2012년 제1차 산업 GDP 총액은 52,374억 위안으로 ‘잠정적 집계’때 대비 3억 위안 감소하였으며, 성장률은 4.5%로 ‘잠정적 집계’때와 유사함. 2차 산업 GDP 총액은 235,162억 위안, 성장률은 7.9%으로 ‘잠정적 집계때’보다 157억 위안 감소, 0.2% 하락함. 3차 산업 GDP 총액은 231,406억 위안으로 ‘잠정적 집계’ 대비 220억 위안 감소하였으며, 성장률은 8.1%로 ‘잠정 집계’때와 유사함. 잠정적으로 확인된 2012년 중국 3차산업 구조는 10.1%:45.3%:44.6%로 나타남. <표> 2012년 GDP 잠정적 확인 데이터 및 잠정적 집계 데이터 대비 【출처: 家 局 布公告:2012年GDP增速修 7.7%, 新 社, 2013-09-0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35개 도시 공공버스카드 통용: 베이징, 광둥 제외
10월 29일부터, 톈진(天津), 션양(沈 ), 푸저우(福州) 등 18개 도시가 추가로 ‘통합 카드(一 通)’ 연계 플랫폼의 대열에 합류해, 총 35개 도시에서 교통카드 통합연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됨. 통합 카드’ 시행으로 거주지 IC교통카드 하나로 35개 도시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할인혜택도 받아볼 수 있게 됨. 2008년부터 준비해온 ‘전국 도시 통합 카드 연계 플랫폼’사업에 2012년 7월 상하이(上海), 란조우( 州), 닝보( 波) 등 8개 도시를 시작으로 총 35개 도시가 가입함. 이 도시들은 주로 장강삼각주지역, 동북지역, 화중지역에 집중해있으며, 그중 2개 직할시, 4개 성회도시, 2 3선도시가 포함되어있음*. 타지역간 IC교통카드 통용에 있어 통일된 표준시스템과 안전체계 확보가 중요한 전제조건이며, 현재 160여개 도시가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 또한 타지역간의 충전문제 해결을 위하여 온라인상 충전이 가능하도록 시험단계에 있으며 곧 연계도시로 전면 확대 시행될 예정임. 현재 베이징, 광둥은 이미 통합연계시스템이 갖춰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시행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베이징, 광둥은 2 3선 도시와 달리 교통카드 발급량이 매우 많으며 교통카드를 이용한 소비지출, 세금납부 등 교통카드의 응용영역이 넓어, ‘통합 카드’ 통용을 위해 각 해당 부서 및 업종간의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임. *. 2012년 7월 上海, 波, , 湖州, 台州, 常熟, 州, 白 등 8개 도시 가입, 2013년 4월 南昌, 永州, 葫芦 , 州, 江油, , 昆山, 江 , 淮安 등 9개 도시 가입, 2013년 10월말 天津, 沈 , 福州, 三 , 湛江, 无 , 南通, 源, 松原, 克拉 依, 林, 岩, 舟山, 泰州, , 店, 潭, 里 등 18개 도시가 가입할 예정임. 【출처: 全 35 城市一 通互 北京 州 未入 , 法制 , 2013-08-19】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14개 성시 2013년 임금 가이드라인 발표
전국 14개 성시는 2013년 9월 26일을 기준으로 2013년 기업 임금 가이드라인을 발표함. 그중 임금 표준가이드라인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간수(甘 )로 17%이었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광둥으로 10.5% 임. 최근 광둥성 인력자원 및 사회보장청( 省人力 源和社 保障 ) 발표에 따르면, 광동지역에 소재한 기업의 올 한해 조정임금 가이드라인 표준을 10.5%, 상한선은 16%, 하한선은 4% 상승으로 제안함. <표> 중국 14개 성시 2013년 임금 가이드라인 푸젠성의 임금 가이드라인 상한선이 아직 설정되지 않은 가운데, 산둥성의 상한선이 22%로 가장 높으며, 상하이와 광둥성이 각각 16%로 가장 낮음. 임금가이드라인 하한선 값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간수와 스촨, 지린으로 모두 7%로 제안되었으며, 하한선이 가장 낮은 지역은 닝샤로 제로 성장함. 기업 임금가이드라인은 정부가 한 해 동안 경제발전현황을 전망하여 기업에 임금 상승 가이드라인을 제안한 것으로 강제성은 없으나 임금 협상의 근거로 삼을 수 있음. 임금가이드라인은 표준선, 상한선, 하한선으로 나뉘며, 표준선은 기업의 임금 평균 상승폭을 지칭함. 상한선은 주의선( 警 )이라고도 하며, 기업임금 상승의 최대 허용정도를 말하며, 하한선은 기업임금의 최저 상승 폭을 일컬음. 기업은 실제 경영상황을 고려하여 기업 임금 상승 수준을 조정할 수 있음. 【출처: 14省 布2013年工 指 甘 最高 最低, 中 新 , 2013-09-27】
홈 > 최신중국동향 -
[국제] 2013년 양안( 岸) 교류 협력 5대 성과
현재까지 중국과 타이완은 양호한 경제협력을 이룩하였으며 또한 하반기에 양안 평화포럼, 양안 경제문화포럼 등 중요 교류행사가 예정되어 있어 양안간 교류협력과 평화발전에 중요한 작용을 할 것으로 전망됨. 2013년 양안이 이룩한 경제협력 성과는 다음과 같음. 첫째, 양안 경제협력기본협정(ECFA*) 체결 후 서비스무역협정, 물류무역협정, 분쟁해결협정 등 후속협의와 새로운 진전을 거둠. 중국 세관통계에 따르면, 1월부터 6월까지 타이완기업은 동기대비 25.6%증가한 3.14억 달러 상당의 관세혜택을 받음. 또한 타이완 세관통계에 따르면, 동기간동안 중국기업이 받은 관세혜택은 동기대비 13.4% 증가한 2,963만 달러로 집계됨. 둘째, 양안은 산업협력부분에 있어 사회단체인 ‘양안기업가회담’을 설립하고 7개의 산업협력팀을 창설하는 등 새로운 진전을 이룸. 셋째,7 양안간 ‘삼통(三通)*’ 수준이 한 단계 제고됨. 2013년 8월을 기점으로 양안간 여객운송 직항노선은 매주 616편에서 670편으로 증가였으며 화물운송 직항편도 매주 56편에서 68편으로 증편됨. 2013년 1월부터 8월까지 양안간 무역교역액은 1,332.1억 달러로 동기대비 27.4% 증가함. 1월부터 7월까지 중국정부가 비준한 타이완기업의 투자프로젝트 수는 1,165개이며 실제 사용한 타이완 외자투자액은 14.2억 달러에 이름. 1월부터 8월까지 중국기업이 타이완에 투자한 프로젝트 수는 175개로 총 10억 달러를 투자함. 넷째, 양안간 금융부분에서 새로운 성과를 거둠. 중국은 처음으로 타이완계 은행의 본토 지사 설립을 허가하여, 2013년 1월부터 8월까지 총 11개 타이완계 은행이 지점을 설립함. 그중 6개 은행은 이미 위안화 서비스를 시행함. 중국은 현재까지 총 3개의 중국계 은행을 타이완에 설립함. 7개 은행이 신규 추가되어 총 24개 타이완금융기구가 적격외국인기관투자가(QFII)의 자격을 얻게 됨. 또한 4월 1일부터 중국에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타이완인을 대상으로 A주식 투자를 허용함. 다섯, 양안간 인원교류가 아주 활발해짐. 7월까지 양안간 인원교류 인원은 총 461.1만 명이었으며, 타이완행 중국인 관광객 수는 130.5만 명으로 동기대비 11.7% 증가함. 그중 단체 관광객은 104.6만 명으로 동기대비 4.5% 감소하였으나, 개인관광객은 25.9만 명으로 동기대비 249.4% 증가함. * ECFA는 2010년 6월 중국과 타이완이 중국 충칭에서 체결한 경제협력체제로 상품무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철폐하고, 서비스무역개방, 투자보장, 분쟁해결, 지식재산권 보호 등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한 무역협정을 일컬음. 이는 중국이 타이완을 공식 국가로 인정하지 않아 타이완과의 FTA 체결이 불가능하므로 그 대안으로 제시된 개념임. * 삼통(三通)이란 중국과 타이완 양안간의 전면적인 직접교역(통상·通商), 수송(통항·通航), 서신왕래(통우·通郵)를 뜻함. 【출처: 今年以 岸交流合作呈 五大亮点 , 新 , 2013-09-13】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