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주요 도시 인구 및 비농업인구 현황
월간한중 03-1호 (2006. 03. 10) [중국지역연구] - 중국 주요 도시 인구 및 비농업인구 현황 목차 1. 2004년 말 호적기준 도시인구 200만 명 이상 도시의 성별, 권역별 현황 1) 중국 내 도시인구 200만 명 이상 도시 현황 2) 중국 도시인구 200만 명 이상 도시의 성별, 권역별 분포 현황 2. 2004년 말 호적기준 도시지역 비(非)농업인구 100만 명 이상 도시의 성별,권역별 현황 1) 중국 도시지역 비(非)농업인구 100만 명 이상 도시 현황 2) 중국 도시지역 비(非)농업인구 100만 명 이상 도시의 성별, 권역별 분포 현황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4대 직할시 경제발전 현황
월간한중 03-1호 (2006. 03. 10) [중국동향] - 중국 4대 직할시 경제발전 현황 목차 1. 중국 4대 직할시 인구 및 GDP, 1인당 GDP 2. 중국 4대 직할시 고정자산투자총액, 소매총액 및 공업생산 부가가치증가액 3. 중국 4대 직할시 도시주민 1인당 연간 가처분소득 및 소비지출액 4. 중국 4대 직할시 재정수입, 재정지출, 수출입총액 및 실제사용 외자총액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신농촌 건설' 운동의 내용과 시사점
[Issue Paper 06-5] *해당사이트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차례---- Ⅰ. '신농촌건설과 중국 농촌문제의 중요성 --------1 1. '신농촌건설' 운동의 제기 2. 중국 농촌문제의 중요성 3. 보고서의 목적 Ⅱ. '신농촌건설'운동의 내용과 평가 --------8 1. 목표와 내용 2. 방법 3. 재원 4. 종합 : '신농촌건설' 운동과 중국의 농촌 문제 ------18 < 참고 > 한국의 농업 및 농업기계분야 투자현황 <참고문헌> Ⅲ. 대중 교류에 대한 시사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가입이후 중국인민은행의 개편현황 및 전망
[금융경제연구 247호] 본 연구에서는 WTO 가입을 전후하여 중국의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에서 일어난 변화를 살펴보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지에 대하여 예상해 보았다. 1995년 중국인민은행법이 제정되어 중국에도 서구 자본주의국가들과 유사한 중앙은행이 탄생되었다. 공산당과 국무원의 감독하에 놓여있어 독립성이 많이 부족하였다. 중국은 2001년 말 WTO 가입으로 금융권 전체의 구조조정이 진행되었고 이와 함께 중국인민은행의 기능과 조직도 변화하였다. 은행감독 기능을 전문감독기관에 이양하는 한편 금융안정 부문을 대폭 강화하였으며 상하이에 중앙은행 제2본부를 설립하여 금융시장동향을 보다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의사결정방식도 중요사안만 중국공산당과 국무원에 사전회의에 부치고 나머지 업무는 사후보고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어 자율성이 강화되었다. 이처럼 WTO 가입 이후 중국인민은행에 변화가 있었으나 아직 선진 자본주의 중앙은행들에 비해 제도적으로 뒤져있는데다가 효율적인 중앙은행을 지향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것에 비추어볼 때 중국인민은행의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투명성을 더욱 높이는 방향으로 제도가 개선되어 나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공산당의 권력을 유지하면서 금융개혁을 하려는 중국의 입장에서 중앙은행 개혁도 결국 체제문제라는 제약으로 인해 매우 신중하고 점진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에너지 확보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Issue paper 06-01] * 해당 사이트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목차--- Ⅰ. 에너지 부족과 중국 -------------1 Ⅱ. 중국과 에너지 안보 -------------4 1. 세계 에너지 수급 2. 중국의 에너지 조달 3. 에너지를 둘러싼 국가간 갈등 Ⅲ. 시사점 및 대응방안---------------19 1.기본인식 -------------19 2.대응방안 ------------- 20 참고문헌 ---------------23
홈 > 추천연구보고서 -
全國人代 常務委員會의 2006년도 입법계획
< 목 차 > ■ 정책 : 全國人代 常務委員會의 2006년도 입법계획 ■ 분석: 중국의 물류 총원가 구조 연구 ■ 산업 1. 전자산업 : “十一五” 기간 중국 IC산업의 발전전망 2. 석유산업 : 중국 정유업의 2005년 동향 및 2006년 전망 ■ 통계 1. 2005년 중국 국유기업의 수익실적 2. 2005년 중국과 주요 국가의 세계 조선시장 점유율 비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동북아 제조업의 분업구조와 고용관계(II) - 자동차산업과 전자산업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2006-04] 요 약 ・・・・・・・・・・・・・・・・・・・・・・・・・・・・・・・・・・・・・・・・・・・・・・・・・・・・・・・・・・・・・・・・・・・・・・・・・・・・・・・・・・・・・・・・・・・・・・・・・・・・・・・・ i [도입편] 1 제1장 서론 (조성재) 3 제2장 분업구조와 고용관계를 바라보는 시각 (조성재) 25 [자동차산업편] 63 제3장 중국 자동차산업의 다국적기업 진출과 고용관계 (박준식・조성재) 65 제4장 일본 자동차산업의 고용관계 (오재훤・오리하시 신야) 120 제5장 중・일과 비교한 한국 자동차산업의 고용관계 (조성재) 143 [전자산업편] 213 제6장 중국 전자산업의 분업구조와 고용관계 (장영석) 215 제7장 일본 전자산업의 구조조정과 고용관계의 변화 (요시모토 데츠오・조성재) 249 제8장 중˙일과 비교한 한국 전자산업의 고용관계 (조성재) 274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기업소득세 단일화 논의와 전망
[지역별 경제정보] 중국은 외국자본의 적극적인 유치전략의 일환으로 외자기업에게 기업소득세 특별혜택을 부여해 왔으나, WTO 가입 이후 현행 기업소득세제가 중국 내자기업에게 역차별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기업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 세제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외자유치에 차질을 우려한 상무부를 주축으로 세제혜택 폐지가 시기상조라고 주장하는 반대론도 있다. 2006년 3월 3일 개막된 제 10기 중국정치협상회의(政協) 4차회의에서 기업소득세 단일화 논의가 1호 안건으로 상정되었으며, 2006년 8월 전인대 상무위원회에 내・외자기업의 소득세를 통일하는 소득세법 개정안이 제출될 예정으로, 새로운 기업소득세법은 이르면 2008년 경부터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소득세가 단일화되면 중국 내자기업들에게 현행보다 낮은 세율이 외자기업에게는 높은 세율이 부과되므로 외자기업들에게 어려움이 예상되며, 세제혜택의 기준이 외자기업 여부가 아니라 산업별, 지역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국 내자기업과 가격경쟁이 심한 산업에서의 외자기업에게는 특별히 더 큰 타격이 예상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인민은행 『통화정책 보고서』를 통해 본 통화 및 환율 정책 방향
[해외경제정보 제2006-19호] 중국인민은행은 2월 21일 「2005년 4・4분기 통화정책 집행보고서」를 통해 2005년중 경제상황을 평가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제시하였음 2005년중 총통화(M2) 증가율은 높아졌으나 대출 증가율이 낮은 수준에 머물렀으며 장기대출 증가율 둔화 등 대출구조도 개선되었다고 평가하는 한편 2006년에는 안정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금리기능을 확대하고 산업구조 조정을 위한 금융기관 대출지도를 강화한다는 방침을 밝힘 환율은 합리적이고 균형적인 수준에서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간다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하였으나 2005년중 환율제도 개혁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이 크지 않다고 평가함으로써 향후 위안화 절상속도가 다소 빨라질 것을 시사함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주요국 한류와 문화산업시장 동향 - 한류, 유행에서 산업으로
[무공자료 06-006] [ 목차] 제1장 일 본 Ⅰ. 일본의 한류 현황 / 11 Ⅱ. 일본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16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34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38 제2장 중 국 Ⅰ. 중국의 한류 현황 / 47 Ⅱ. 중국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53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86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90 제3장 대 만 Ⅰ. 대만의 한류 현황 / 99 Ⅱ. 대만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106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126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128 제4장 홍 콩 Ⅰ. 홍콩의 한류 현황 / 135 Ⅱ. 홍콩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142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156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159 제5장 베트남 Ⅰ. 베트남의 한류 현황 / 163 Ⅱ. 베트남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170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179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183 제6장 태 국 Ⅰ. 태국의 한류 현황 / 189 Ⅱ. 태국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203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241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245 제7장 인도네시아 Ⅰ. 인도네시아의 한류 현황 / 251 Ⅱ. 인도네시아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256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275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277 제8장 말레이시아 Ⅰ. 말레이시아의 한류 현황 / 283 Ⅱ. 말레이시아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288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304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305 제9장 필리핀 Ⅰ. 필리핀의 한류 현황 / 309 Ⅱ. 필리핀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315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323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324 제10장 멕시코 Ⅰ. 멕시코의 한류 현황 / 329 Ⅱ. 멕시코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334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357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358 제11장 브라질 Ⅰ. 브라질의 한류 현황 / 363 Ⅱ. 브라질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367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381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383 제12장 우즈베키스탄 Ⅰ. 우즈베키스탄의 한류 현황 / 387 Ⅱ.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392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402 Ⅳ. 한류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연계 방안 / 403 제13장 카자흐스탄 Ⅰ. 카자흐스탄의 한류 현황 / 407 Ⅱ. 카자흐스탄의 문화산업 시장동향 / 416 Ⅲ. 우리 기업의 한류 활용 현지 마케팅 사례 / 436.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