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일 FTA의 수산부문 효과와 대응방안
[동북아연구시리즈 06-01]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한・중・일의 수산부문 무역특화구조 1. 한・중・일 수산업의 국제위상 가. 수산물 생산 나. 수산물 무역 다. 한・중・일 경제에서 수산업의 비중 2. 한국의 수산무역구조와 무역특화 가. 수산물 무역구조 나. 품목별 무역특화 3. 일본의 수산무역구조와 무역특화 가. 수산물 무역구조 나. 수산물 품목별 무역특화 4. 중국의 수산무역 구조와 무역특화 가. 수산물 무역구조 나. 품목별 무역특화 5. 한・중・일 3국간 수산물 무역특화 가. 한・일간 수산무역 나. 한・중간 수산물 무역 다. 중・일간 수산물 무역 제3장 한・중・일의 주요 수산품목별 경쟁력 1. 한국수입시장의 품목별 경쟁관계 가. 품목별 시장점유율 나. 품목별 상대단가지수 다. 일본산 수산물의 경쟁력 라. 중국산 수산물의 경쟁력 마. 조정관세대상품목: 일본산과 중국산 경쟁력 2. 일본수입시장의 품목별 경쟁관계 가. 품목별 시장점유율 나. 품목별 상대단가지수 다. 한국산 수산물의 일본시장 경쟁력 라. 중국산 수산물의 일본시장 경쟁력 마. 일본의 IQ 대상품목: 한국산과 중국산의 경쟁력 3. 중국수입시장의 품목별 경쟁관계 가. 중국의 주요 수입 수산품목 나. 한국산 수산물의 중국시장 경쟁력 다. 일본산 수산물의 중국시장 경쟁력 제4장 한・중・일의 수산부문 무역장벽 1. 한국의 수산물 무역제도와 장벽 가. 수산물 관세율 나. 수입수산물 검사 다. 원산지표시와 품질인증 2. 일본의 수산물 무역제도와 장벽 가. 수산물 수입관세율 나. 김 수입쿼터(IQ) 다. 기타 어패류에 대한 IQ 라. 굴에 대한 위생검사 마. 수산물 원산지표시제도 3. 중국의 수산물 무역장벽 4. 한・중・일의 수산물 무역장벽 비교 제5장 한・중・일 FTA의 수산부문 파급효과와 대응 1. 수산부문 개방과 파급효과 가. 수산부문 개방에 대한 3국의 입장 나. 일반균형모형의 효과 추정 다. 주요 품목의 무역효과 추정 라. 한・중・일 FTA의 수산부문 대응과제 2. 양허의 범위와 속도 가. 수산물 양허의 범위와 속도 조절 나. 양허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항목 3. 수산부문 구조조정과 지원체제 개편 4. 국제경쟁력 제고와 대외진출 5. 수산부문의 FTA 협상전략 가. 수산업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협상구조 나. 수산물 양허에 대한 신중한 접근자세 다. WTO DDA 및 여타 FTA와의 일관성 제6장 요약과 결론 102 참고문헌 104 부 록 108 Executive Summary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从国际市场看中国经济发展面临的挑战
[国际经济评论2006 年第3-4 期] 1978 年中国经济开始面向世界 1998 年中国经济已经影响世界 2018 年中国经济必须溶入世界 2038 年中国经济可能引领世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 금년 외국인 개인소득세 관리 크게 강화
[목 차] Ⅰ. 최근 중국의 외국인 개인소득세 관리강화 동향 ..................... 1 1. 2006년 세무조사 중점 조사대상 / 1 2. 납세신고 의무대상 명시 / 1 3. 원천징수 의무자 신고대상 확대 / 2 4. 개인소득세 관리시스템 강화 / 3 5. 외국인 개인소득세 집중관리 추진 / 4 Ⅱ. 중국 개인소득세 세제 현황............................................................. 6 1. 개인소득세 관련 주요 법령 / 6 2. 중국 내 외국인의 개인소득세 납부대상 소득 / 9 3. 개인소득세 세율 및 계산방법 / 10 4. 외국인의 개인소득세 면세 우대혜택 항목 / 12 Ⅲ. 외국인 개인소득세 징수강화 배경과 전망 ............................... 13 1. 외국인 개인소득세 징수강화 배경 / 13 2. 향후 정책추진 방향 및 전망 / 14 Ⅳ. 중국내 외국인 소득세 납세현황 및 탈루사례 ......................... 16 1. 중국 내 외국인 개인소득세 납세현황 / 16 2. 중국 내 외국기업 직원의 개인소득세 탈루 적발사례 / 16 Ⅴ. 우리기업의 대응 및 시사점 ............................................................ 18 1. 급변하는 중국의 세제환경 변화 / 18 2. 향후 대응방안 및 시사점 / 20 【침고】최근 개정 주요 법령 ............................................................. 23 - 중화인민공화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 23 - 개인소득세 전원전액관리 원천징수 신고관리 잠행방법 / 30 - 국가세무총국 《개인소득세 관리방법》 발령 관련 통지 / 34 - 국가세무총국의 외국 국적 개인의 개인소득세납세대장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통지/ 47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6년 1/4분기 중국 거시경제 동향
[중국산업정보 제66호] < 목 차 > ■ 정책 : 2006년 1/4분기 중국 거시경제 동향 ■ 분석 : 2010년 중국의 2차, 3차 산업 인재부족 실태 예측 ■ 산업 1. “十一五”기간 중국 석유화공산업 전망 2. 2006년 전국 의 전력 공급수요 분석 ■ 통계 1. 2006년 3월 현재 통신산업 주요지표 2. 2006년 3월 지역별 전화가입자 현황 全經聯 中國産業硏究센터
홈 > 추천연구보고서 -
美中 무역 현안과 시사점
[Issue Paper 06-14] *해당사이트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요 약] Ⅰ. 최근 美中간 통상마찰과 협의과정 1 Ⅱ. 美中간 주요 통상이슈 4 1. 미중무역 불균형 문제 4 2. 위안화 평가절상 문제 7 3. 지적재산권 보호와 무역장벽 완화 10 Ⅲ.美中무역 관계 전망과 시사점 12 1. 美中무역 관계 전망 12 2. 시사점 13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최근 미국․중국의 경제동향과 시사점
[보도참고자료] ◇ 최근 세계경제의 성장엔진인 미국과 중국이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모습 ㅇ 중국의 경우 오히려 금년 1/4분기 성장률이 10.2%를 기록하는 등 과열조짐이 나타남에 따라, 경기의 안정적 조율차원에서 금리를 소폭으로 인상 ◇ 세계경제의 호조세가 지속되면서 향후 우리 수출경기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 ㅇ 중국의 금리인상 조치는 전반적인 긴축조치가 아니라 과열진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홈 > 추천연구보고서 -
4.28. 중국 금리인상의 의미와 전망
[세계경제 초점] 2006년 4월 28일 중국 인민은행은 1년 만기 대출이자율을 5.58%에서 5.85%로 0.27%p 인상한다고 발표하였다. 금번 조치는 11차 5개년계획의 기조를 반영한 금리조정으로 성장률 자체의 억제보다는 설비투자 및 부동산 버블 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따라서 금리인상은 주로 기업의 투자와 부동산 분야에 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금리인상 기조로의 전환이라는 신호를 확실히 전달하고 있으나, 2004년과 동일한 상승폭을 가진 금번 금리인상 역시 즉각적이고 대규모로 경제에 충격을 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철강과 건자재 등 분야의 대중 수출감소등이 우려되나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따렌시 11차 5개년 규획 (중문)
본 고는 2006년 4월 20일 인천발전연구원에서 거행된 인천발전연구원과 대련시정부발전연구중심간의 공동연구발표회에서 대련시정부발전연구중심 李才 주임이 발표한 대련시 11차 5개년 규획의 중문 PPT 자료입니다. [지역경제] - 따렌시 11차 5개년 규획 목차 1. 따렌 개황 2. 10차 5개년 계획기간의 따렌의 발전 3. 11차 5개년 규획기간의 따렌의 발전전략 4. 따렌의 11차 5개년 규획의 발전 목표 5. 따렌의 11차 5개년 규획의 중점 임무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도시경쟁력 순위
[지역경제] - 중국의 도시경쟁력 순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1/4분기 고성장에 대한 평가와 전망
[海外經濟情報 제2006-38호] 중국경제가 1․4분기 중 10.2%라는 예상외의 고성장을 기록한 데다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이 크게 높아지고 유동성도 확대됨에 따라 투자과열의 재연 우려가 제기 중국당국은 최근 투자 증가 추세가 지나치다는 인식하에 대출금리 인상 및 일부 과열업종에 대한 토지공급과 대출을 제한하는 등 투자억제에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 이에 따라 고정투자 증가율은 점차 낮아지겠으나 11차 계획에 따른 투자 확대 필요성이 크기 때문에 그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2006년 성장률은 9%대 중반의 높은 수준을 지속할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