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하이 전시산업의 SWOT분석
전시산업은 “하늘에 떠있는 비행기에서 달러를 뿌리는 것과 같다.”라고 표현될 정도로 도시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한편, 시장 규모도 커 그 중요도가 큰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음. 중국에서도 전시산업이 점점 그 규모가 확대되며 도시 브랜드 제고와 함께 경제 활성화를 위해 경쟁적으로 국제회의와 전시회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2006년 말 현재 중국 전역에 걸쳐 약 170여개의 전람관이 건립되었고, 전시 공간 총 면적은 537km²로, 규모면에서는 세계 3위를 차지함. - 2006년 말 중국에서 개최된 전시회가 4000여 건으로 업계 수익은 약 140억 위안(약 2조 8천억 원)에 달함. 이중 43개 전시회는 국제전시연합(UFI)의 인증 획득. - 베이징, 상하이, 광조우가 중국 3대 전시 도시로 성장, 전체 전시회의 22%가 상위 10개 유명 전시회 중 7개가 이 세 도시에서 개최됨. 이중 상하이는 ‘2010년 세계도시 엑스포’ 개최로 세계도시로 발돋움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임. 이에 이번 이슈브리프에서는 상하이 전시산업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함. <목 차> 1.상하이 전시산업의 SWOT분석 2.시사점
홈 > 인차이나브리프 -
중국인의 해외여행 현황분석
중국의 해외여행객수는 1992년 300만 명에서 1997년 535.56만 명으로 평균 12%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1998년에서 2003년까지는 20%의 성장률을 보임. 특히 2003년의 경우 해외여행객수가 2,022만 명에 달해 일본을 제치고 아시아 1위를 차지하였으며 2007년에는 4,095만 명에 달함. WTO(World Tourism Organization)는 2020년 중국의 해외여행객수를 1억 명으로 추정, 세계 관광시장의 6.2%를 점유하며 독일, 일본, 미국에 이어 세계 4대 관광 강대국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함. <목 차> 1.중국인의 해외여행 시작 2.중국인의 해외여행 현황 3.중국인의 해외여행 급증요인 4.중국인 해외여행 증가가 중국에 미치는 영향 5.정책적 시사점
홈 > 인차이나브리프 -
중국-대만 해운직항의 영향
2008년 12월 15일 중국과 대만은 항공, 해운, 우편 분야에 대한 “대삼통(大三通)”시행. - 11월 3~7일, 중국의 해협양안관계협회 회장 천윈린( 云林)과 대만해협 교류재단 이사장 장빙쿤(江丙坤)은 2차 양안회담을 대만 타이베이에서 개최. - 11월 4일 대만과 중국 간의 전면적인 삼통(三通 : 通商, 通郵, 通航을 지칭하는 용어로 양안 간 경제, 우편, 항공해운 왕래 개방을 의미) 시행에 합의함. 특히 해상운송방면의 <해협양안해운협의>는 양안간 해운업계에 시간과 비용절감의 이점과 함께 세계 경제위기 속에서 양안경제는 물론 항만업계에 돌파구를 마련해 주는 계기가 됨. <목 차> 1.2차 양안회담 주요내용 2.중국과 대만간 해운 직항 관련 협의 내용 3.양안간 해운직항이 미치는 영향 4.시사점
홈 > 인차이나브리프 -
2009년 중국 거시경제 및 정책동향 전망
▣ 본 보고서는 2008년 12월 중국의 차이징( ) 잡지와 중국국가통계국의 중국경기모니터링센터(中 景 中心, 이하 모니터링센터라 칭함)가 합작으로 진행한 거시경제조사 결과를 정리한 것으로, 4조 위안(약 805조원)이 투입되는 경기부양계획의 효과, 그리고 2009년 중국의 거시경제 위험요소와 정책 동향에 대해 전망한 내용임. ::::: 목 차 ::::: I. 신뢰지수를 통한 전망 II. 중국 경제 회복에 대한 전망 III. 중국 경제의 변화 특징
홈 > 인차이나브리프 -
위기속에서 기회 잡는 중국 자동차 산업
▣ 9년간의 지속적인 두 자리 수 성장을 거듭해 오던 중국의 자동차 산업에도 세계 경제위기로 인한 한파가 밀려드는 가운데, 이를 기회로 반전시키기 위한 중국 자동차 업계의 자구책이 속속 발표되고 있음. 타 다국적 기업들 역시 연간 소비량 930만대를 넘는 중국시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속적 투자를 계획 중이며, 이로 인해 향후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보임. ::::: 목 차 ::::: Ⅰ.세계 자동차 산업 불황이 중국에 미치는 영향 Ⅱ.중국 자동차 시장에 대한 전망 Ⅲ.중국 대체 에너지 자동차 개발의 약진 Ⅳ.중국의 자동차 산업 지원정책
홈 > 인차이나브리프 -
도시의 성장동력 중국 이우(義烏)소상품 시장
개혁개방이래 경제부흥을 중점으로 한 도시건설이라는 '흥상건시( 商建市)' 발전 전략하에 이우( )시는 소상품 도매시장을 중심으로 공업화, 국제화, 도농(都農)일체화를 도모해옴. 본고에서는이우시의 경제사회발전특색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알아보고자 함. <목 차> Ⅰ.이우시장의 현황과 발전 특징 Ⅱ.이우시장을 세계로 이어주는 "이우 박람회" Ⅲ.세계적 불황속에서도 성장하는 이우시장
홈 > 인차이나브리프 -
월경(越境)적 교류 확대를 통해 도시기능을 통합하는 홍콩과 중국선전(深 )
홍콩이 중국 선전과의 협력을 시작한 이래, 홍콩주민의 선전에 대한 관광, 투자와 비지니스, 소비 및 거주뿐만 아니라 선전 주민의 홍콩에 대한 방문과 투자가 급속도로 증가함. 홍콩-선전의 협력강화와 도시기능 통합은 추후 남북의 신뢰 형성 및 통일 후 도시 기능 통합, 체제 융합의 좋은 모델이라 할 수 있음 <목 차> Ⅰ.홍콩-선전의 교류 현황 Ⅱ.홍콩-선전 접경지역 공동개발의 가속화 Ⅲ.시사점
홈 > 인차이나브리프 -
중국 대학 산학 연계 창업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전세계적으로 소상품시장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는 중국 절강성 이우시에 입지하고 있는 이우공상직업기술대학(( 工商 技 院, 이하 "이우공상대학"이라 칭함)에서는 산학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제운영으로 졸업생의 창업 및 실무능력 제고에 주력하고 있음. <목 차> Ⅰ.창업과 함께 관련 기업이 캠퍼스로 진출 Ⅱ.창업과 대학교육의 접목 Ⅲ.정책적 시사점
홈 > 인차이나브리프 -
중국 5대 경제특구 충칭(重慶)- 지우롱포 개발구
▣ 충칭시는 베이징, 상하이에 이은 세 번째 국가급 중심 도시로서 서부 진출의 전략적 거점지역이라는 이점과 발전우위를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 목 차 ::::: Ⅰ.충칭시 개요 Ⅱ.지우롱포 개발구 현황 Ⅲ.지우롱포의 5개 산업원구 Ⅳ.정책적 시사점
홈 > 인차이나브리프 -
2008 중국 전시산업 현황
2008년 중국의 인쇄, 제지업, 포장, 바코드라벨산업의 전시회 현황을 지역, 월별로 분석 <목 차> Ⅰ.연간 전시회 개최 현황 Ⅱ.지역별 전시현황 Ⅲ.지역·년도별 전시현황 Ⅳ.전시회장별 현황 Ⅴ.주관업체별 현황
홈 > 인차이나브리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