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재정적자, 경제위기로 연결되나
중국은 국유기업 개혁으로 인한 실업문제, 금융체제 개혁, 공급과잉 경제 등 당면한 경제문제에 위한 재정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재정적자는 중남미 국가들과 달라, 고도성장이 지속되고 구조조정이 성공할 경우 경제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稅制개혁 추진과 시사점 : 기업소득세를 중심으로
<목 차> 요 약 I. 기업소득세율 및 감면현황 II. 세제개혁 필요성 III. 세제개혁 기본방향 IV. 추진전망 1. 내외자기업 세율통일 2. 중앙과 지방세율의 통일 3. 增値稅 개혁 4. 세금감면특혜의 지속분야 V. 시사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경제개혁과 성과
1. 중국 경제개혁의 경과와 단계별 특징 2. 주요 부문별 개혁 전략 분석 (정치, 농촌, 소유제, 기업, 금융, 조세, 가격, 노동, 사회보장 체제, 대외개방정책) 3. 주요 과제와 해결방안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2년 상반기 중국경제동향 및 평가
1.경제성장률 2.농업부문 3.공업부문 4.고정자산투자 5.국내시장매출 6.수출입 및 외국인투자 7.물가 8.기업경제효율 9.주민소득 10.통화 11.예금 및 대출 12.외환보유고 13.세수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상반기 경제동향
2002년 상반기 중국경제동향 자료를 게재합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사회과학원, 최근 2002년 중국경제지표 예측, 발표
중국 사회과학원은 최근 2002년 중국경제지표를 다음과 같이 예측, 발표하였습니다. 1. 주요경제지표 ㅇ GDP 성장율 : 7.4% ㅇ 1차 산업 성장율 : 2.8% ㅇ 2차 산업 성장율 : 8.7% - 중공업 성장율 : 9.2% - 경공업 성장율 : 8.5% ㅇ 3차 산업 성장율 : 7.4% - 교통,운수,체신업 : 9.3% - 상업, 서비스업 : 7.9% 2. 사회고정자산 투자 ㅇ 총투자규모 : 41,430억 위앤 ㅇ 명목성장율 : 12.3% ㅇ 실질성장율 : 11.8% ㅇ 사회고정자산투자의 GDP 점유율 : 39.8% 3. 물가 ㅇ 상품 소매가격지수 팽창율 : -0.4% ㅇ 주민 소비가격지수 팽창율 : 1.0% ㅇ 투자품목 가격지수 팽창율 : 0.5% ㅇ GDP deflator : 0.6% 4. 주민수입 및 소비 ㅇ 도시주민 실질 평균 가처분소득 증가율 : 6.6% ㅇ 농촌주민 실질 평균 순수입 증가율 : 3.9% ㅇ 도시주민소비 실질증가율 : 11.6% ㅇ 농촌주민소비 실질증가율 : 4.5% ㅇ 사회소비 실질증가율 : 9.9% 5. 소비품 시장 ㅇ 사회소비품 소매총액 : 41,560억위앤 ㅇ 명목증가율 : 10.5% ㅇ 실질증가율 : 11.0% 6. 재정 ㅇ 재정수입 : 19,170억위앤 ㅇ 증가율 : 17.1% ㅇ 재정지출 : 22,180억위앤 ㅇ 증가율 : 17.7% ㅇ 제정적자 : 3,010억위앤 7. 금융 ㅇ 주민저축액 : 81,040억위앤 ㅇ 증가율 : 9.9% ㅇ 신규대출 : 12,910억위앤 ㅇ 신규화폐발행 : 1,340억위앤 8. 대외무역 ㅇ 수입 : 2,684억 달러 ㅇ 증가율 : 10.2% ㅇ 수출 : 2,890억 달러 ㅇ 증가율 : 8.6% ㅇ 교역흑자 : 206억 달러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1 중국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통계 공보
중국 국가 통계국이 지난 2월 28일 공표한 [2001년 중국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통계 공보]를 각 분야별로 정리하여 게재합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0년 중국 주요 경제지표(통계국 발표치)
국가통계국이 공식 발표한 2000년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입니다. [ 관련뉴스 ] - 중국국가통계국이 발표한 2000년 중국국민경제 및 사회발전통계공보에 따르면 2000년 중국 GDP가 RMB 8조9,404억으로 US$ 1조를 넘어섰고 전년대비 8%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음 - 2000년 중국경제성장률은 수년간 지속되어온 둔화추세에서 벗어났고, 소비자 물가지수도 0.4%상승하였음 - 무역수지는 US$ 241억을 기록하여 전년대비 US$ 51억 감소하였으나 연말 외환보유액은 US$ 1,656억으로 전년대비 US$ 109억 증가하였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GDP 집계는 어떻게 진행되나
중국 국가통계국 국민경제핵산사에 따르면, 중국 GDP 집계방식은 통상 기초평가, 기초확인, 최종확인 3가지 과정을 거치며 경우에 따라 계수조정과정을 거치게 된다. 각 과정별 시기 및 소요되는 데이터를 살펴보면 기초평가 - 시기 : 이듬해 연초 - 자료원 : 국가통계국 專業司가 제공한 주요 전문분야별 속보 통계자료 기초확인 - 시기 : 이듬해 2/4분기 - 자료원 : 국가통계국 각 전문분야별 통계자료, 국무원의 통계자료, 부분별 행정관리 자료 등 최종확인 - 시기 : 이듬해 4/4분기 - 자료원 : GDP 계산에 필요한 전체의 통계자료 수집 후 재확인 계수조정 - 신규 자료원과 기존자료 간 차이가 큰 경우 혹은 GDP 분류통계기준의 변화 등 최종 확인 후 외부요인에 따른 수치 조정과정이 필요한 경우 세부조정을 거쳐 발표하게 됨.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은 지금 전쟁 중 : 치열한 가격전
China Economic Focus ■ 중국은 지금 전쟁 중 : 치열한 가격전 ■ "중국은 전쟁 중" 이 말은 현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치열한 가격전 양상을 한 마디로 표현하는 말임.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으로 공급과잉이 지적되고 있음. 물론 유통이 낙후된 부분도 있기 때문에 지역적으로는 공급 부족 현상을 보이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중국 국가경제무역위원회 보고서에 의하면 2002년 약 600개 상품군 중에서 80%가 공급 초과 현상을 보일 것이며, 나머지 20%는 수급균형을 이룰 것이라는 분석. 이는 공산품 466종과 농산품 102종 등 모두 600개 주요 상품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전체 600개 조사 대상 품목 중에서 수급균형이 예상되는 품목은 82종으로 식용유와 소맥, 육류, 차, 과일 등 대부분 농수산품에 집중돼 있음. 가전제품 중에는 35인치 평면TV, 캠코더, 문화용품 중에는 신문용지, 디지털 카메라 등이 수급균형을 이룰 것으로 예상됨. 나머지 518개 품목은 공급 초과 현상을 보일 것이며 특히 대부분의 공산품은 공급이 수요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중국 시장에서 가격전이 가장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부문으로 단연 TV 시장을 들수 있음. TV 시장의 가격전은 1996년 중국 최대의 TV 생산업체인 창홍(長虹)에 의해 촉발되었는데, 1995년 2,993위안(약 48만원)이던 21인치 칼러TV 가격을 2,767위안으로 낮춤. 그 이후 지난해까지 모두 6차례의 가격 인하전이 벌어지면서 지난해에는 궈메이전자(國美電子)에서 588위안(약 9만원)까지 가격을 인하함. 최근에는 중국 가전업체들이 고가 TV를 생산하면서 중국 TV 시장의 가격전이 고가 제품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음. 지난해 말부터 샤프가 3만9800위안짜리 액정TV 가격을 29800위안으로 1만 위안 인하였는데 그 인하 폭이 한국 돈으로 약 160만원에 달함. 이 같은 가격 전쟁 와중에서 일본 가전업체들이 가장 먼저 손을 들었는데, 70〜80년대 중국 일반 TV 시장을 겨냥해 진출했던 소니, 파나소닉, 마쓰시타 등이 시장을 포기하고, 대형 TV와 프로젝션 TV 시장 등 고가품 쪽으로 시장을 전환함. 중국 업체들의 출혈도 심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지난해 창홍(長虹), 캉지아(康佳), TCL 등 중국 상장 가전 업체들은 대부분 적자를 기록하거나 적자를 면했더라도 영업 이익을 거의 내지 못함. 이 같은 현상을 통해 중국 시장 진출에 앞서 장차 직면하게 될 가격전에 대한 어느정도의 예상과 대비가 필요할 것이며 기술개발을 통해 가격전을 피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