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광] 2014년 관광산업 전망
6차 중국 관광경제보고서는 중국경제의 안정적 호전세, 시장심화개혁추진, 신형도시화 등의 영향으로, 2014년 관광산업 성장 낙관 보고서는 2014년 관광산업 총 수입을 전년도 동기대비 10% 증가한 3.2억 위안으로 전망. 중국 국내관광 수입은 2.91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12% 증가, 관광객 수는 35.8억 명으로 8.5% 증가할 것으로 전망. 또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1.31억 명으로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관광수입은 490억 달러로 동기대비 2% 증가할 것으로 전망 해외관광으로 인한 지출은 동기대비 18% 증가한 14,000억 달러로 예상되며 2013년 보다 16%가 증가한 1.14억 명이 해외관광을 떠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중국의 관광시장은 ‘입국관광→국내관광→출국(해외)여행’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외부수요에서 내부수요로 전환된 국민관광소비가 핵심이 됨. 중국 관광수요에 있어 공무 비즈니스 부분은 상당 수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며 국민 여가수요는 한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관광산업을 이끄는 주력이 될 것으로 전망 지난 30년 동안 중국의 관광산업은 시장화 과정 속에 있었으며, 현재 국유기업과 민영기업, 국내자본과 해외자본이 공존향후 관광산업은 경제형 호텔, 온라인관광서비스 등과 같은 현대기술이 접목되고 자유여행객(散客)과 대중의 수요에 입각한 발전을 가속화 필요 대형기업의 투자와 대형프로젝트 투자가 여전히 우위에 있으나 경제형 호텔, 온라인관광서비스, 일체형 관광레져단지(旅游 合 )에 대한 민간자본과 외국자본 유입속도가 빠름 세계관광업이사회(世界旅游 理事 )는 중국이 2023년 세계 제1의 관광대국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그러나 현재 중국 관광산업의 국제화 경쟁력은 전반적으로 낮은 상태이며 관광서비스무역 수지 적자도 날로 심각해져 중국 당국은 여행객의 ‘출국’을 ‘입국’으로 전환하기위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함 <출처: 2014年旅游 中向好 中 期 : 展方式 型, 人民 , 2014-01-02>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2013년 관광산업 분석
중국관광연구원(中 旅游 究院)은 「제6차 중국 관광경제보고서: 2013년 관광경제운영분석 및 2014년도 발전전망(中 旅游 皮 :2013年旅游 行分析 2014年 展 )」을 발표 2013년 중국 관광경제는 소비수요와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안정적으로 운영되었으나, 중국인 해외여행(出境旅游)의 급격한 증가로 국제 관광수지 적자가 지속적 확대되고 있음 2013년 중국 관광산업의 큰 성과는 <관광법(旅游法)>과 <국민여행 및 여가요강( 民旅游休 要)>이 발표된 것으로 관광산업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침. 전면적 소강사회 가속화에 따라 ‘여행’은 이미 국민 여가생활에 있어 중요한 일부분이 됨 2013년 “8항 규정(八 定)”, “6항 금령(六 禁令)”등의 영향으로 공무여행이 급감하였으며 비즈니스 여행도 확연히 감소. 그러나 국민여가 여행은 여전히 강세를 보임 2013년 분기별 관광산업 경기지표는 각각 115.85, 110.16, 128.74와 110.02로 안정적으로 나타났으나 호텔, 여행사, 종합여행기업의 경기변동은 비교적 큼 2013년 중국 국내여행객 수는 33억 명으로 동기대비 11.6% 증가함. 또한 2009년 수립한 목표였던 국내 관광수입 2.6조 위안(동기대비 14% 성장)을 2년 앞서 달성 2013년 중국 방문 해외관광(入境旅游)객은 1.29억 명으로 동기대비 3% 감소하였으며 관광외화수입은 480억 달러로 동기대비 4% 감소. 그러나 국내경제 성장과 위안화 가치상승에 힘입어 해외여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2013년 동기대비 18% 증가한 약 9,800만 명의 중국인이 해외여행을 떠난 것으로 잠정 집계됨 해외여행소비액은 1,200억 달러로 동기대비 20% 증가하여 관광서비스무역 수지 적자는 720억 달러에 이름
홈 > 최신중국동향 -
최신중국동향 vol.126
*. 본 Vol.126는 2013년 하반기 인천 주요일간지에 게재된 인천과 중국 간의 경제ㆍ산업동향 기사를 모은 것으로 2014년 인천-중국 관계내실화를 위해 2013년 경제 및 산업 전반을 되짚어 보고자합니다. <목 차> 1. [경제] 韓·中 FTA 호기··· 항만업 활성 도모 2. [산업] 도화에 中자본 ‘창조패션타운’ 만든다 3. [기업] 급변하는 中시장 대처하려면 4. [물류] 인천-다롄 노선의 가치 5. [관광] ‘바다·하늘’ 품은 인천 ‘명품 관광도시’ 닻 올렸다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세계 2위
국제연합무역개발회의(UNCTAD)가 1월 28일 발표한 ‘세계투자동향보고서’에서 작년 중국에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는 1,270억 달러로 세계 2위에 올라 1위인 미국과 320억 달러 차이를 보임 2013년 세계 외국인직접투자는 2012년 대비 11% 상승, 2012년 1조 3,170억 달러에서 1조 4,610억 달러로 증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투자가 비슷하게 증가 개발도상국에 높은 투자 지난해 전체 외국인직접투자의 중 개발도상국에 대한 투자 비중은 52%를 차지 7,59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해 지역, 아프리카 지역의 투자 급증이 돋보임 세계에서 투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아시아로 2012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선진국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39%에 그침 미국이 여전히 세계외국인직접투자 1위 국가로 1,590억 달러에 달하지만, 투자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유럽연합(EU) 국가 중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등의 투자도 증가, 그중 독일이 392% 증가했지만, 프랑스는 77% 대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출처: 外 直接投 居全球第二, 京 , 2014-01-30>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도시와 농촌의 연금제도 통일
리커창 총리는 2월 7일 개최한 국무원상무회의에서 농촌과 도시의 연금제도를 합병, 기본연금제도를 전국적으로 통일할 것이라고 결정 중국사회과학원은『2014 사회보고서(社 皮 )』에서 도시와 농촌 노동자의 평균 연금액 수준이 각각 2.09만 위안, 859.15위안으로 그 차이가 24배 이상이라고 밝힘 도시화를 통해 도시의 노동인구가 꾸준히 증가했지만, 도시로 유입된 농민에 대한 사회보장 수준은 여전히 매우 낮음 농촌의 의료, 연금, 사회보장 항목은 아직 수립단계로 도시와 비교해 항목의 불완전, 협소한 수혜범위, 낮은 보장 수준 등 많은 문제점이 있음 중국사회과학원은 재정 마련이 도농 간 연금제도 통일의 최대 난제가 될 것이라 예상 보험수준 통일에 있어 먼저 유동인구의 파악과 균등한 보장이 가장 중요함 이는 대도시, 동부와 중소도시, 서부지역을 하나로 통합하는 문제임 도농통합은 연금제도 합병을 시작으로 공평하고 완전한 제도 마련을 위해 긴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 연금보장은 교육과 같이 국민이 누려야 할 기본권익으로 중국정부의 태도가 매우 중요함 <출처: 一 老保 是 小城 差距的重要一步, 人民 , 2014-02-0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베이징 인터넷 소비, 백화점 매출 뛰어넘어
온라인 소비의 빠른 증가는 2013년 베이징 소비시장의 특징으로 꼽힘 『2013년 베이징 상업 발전 보고서(2013北京商 展 皮 )』에서 2013년 1-10월의 베이징 온라인 구매 소매액이 전통 백화점을 뛰어넘었다고 밝힘 2013년 베이징의 소비시장 규모는 계속 확대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함 2013년 1-10월 베이징 시 사회소비품의 판매액은 6,814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8.9% 증가 월별 판매 성장률은 1, 2, 4, 10월을 제외하고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임 2013년도 베이징의 온라인 구매 소매액이 백화점 매출액을 뛰어넘어 베이징 소비시장 성장의 원동력이 됨 베이징 도소매업의 온라인 판매액은 716.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44.9% 증가함. 사회 소비품 판매액의 10.5%를 차지해 백화점 비중을 초과함 백화점들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 2012년 81곳의 중대형 백화점의 판매액은 2,287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8.9% 증가함, 이는 2011년 16.5%에 비해 확연히 낮아진 수치 전문가들은 향후 백화점은 중산층을 잡아야 한다고 말함 온라인 소비는 기본적으로 저가상품을 판매, 백화점은 상류층의 소비가 주가 되었지만, 중산층의 확대로 소비의 새로운 주체로 급부상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베이징의 성급 호텔은 객실수입뿐만 아니라, 요식업 수입, 상품 판매수입 모두 내림세를 보이고, 그중 상품 판매의 감소폭은 36.3%를 기록함 삼공(三公: 공개적이고 공정하고 공평하게 이루어지는 거래)소비와 전반적인 소비시장의 침체가 호텔업 이익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함 <출처:京 零 首超百 , 京 , 2014-01-29>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인터넷의 질적 성장
2014년 1월 16일,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가 발표한 『중국인터넷발전현황통계보고(中 互 展 告)』에 따르면, 2013년 중국의 인터넷 사용자는 6억 1,800만 명에 달하고, 인터넷 보급률은 45.8%로 집계됨 그 중, 스마트폰 이용자는 5억 명 이상으로 계속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스마트폰 이용자의 증가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발전이 2013년 중국 인터넷 발전의 큰 특징 2013년 5,358만 명의 신규 사용자가 늘었고, 보급률은 2012년 대비 3.7% 증가함. 보급률이 점차 포화 상태에 이르러 인터넷 발전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됨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사용자 규모가 5억 명을 넘었고, 연평균 증가율은 19.1%로 인터넷 사용자 중 스마트폰 사용자의 비율은 2012년 74.5%에서 2013년 81%로 증가함 3G 인터넷 보급을 시작으로 영상, 음악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발전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해 동영상을 보는 이용자수는 2.47억 명으로 애플리케이션 내 이용 비중이 가장 큼 또한 웨이보와 같은 SNS 이용률은 2012년에 비해 다소 감소 메신저나 소셜 미디어는 이미 안정적으로 발전해 증가율은 높지 않지만, 기존 기능 외에 결제, 금융 등 서비스를 추가하며 충분한 발전 가능성이 존재 반면 게임시장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함 기존 PC 인터넷 게임 사용자는 2012년 59.5%에서 54.7%로 감소한 반면, 스마트폰 게임 사용자는 3.38억 명으로 234만 명 증가했지만, PC 인터넷 게임 시장은 스마트폰 게임의 급속한 발전으로 어려움에 직면 온라인 소비 규모의 급속 확대 2013년 중국의 온라인 소비자는 3억 명으로 사용률은 48.9%로 2012년에 비해 6% 증가함 온라인 소비와 함께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성장이 기대 쇼핑 애플리케이션은 발전 단계로 대형 오픈마켓의 애플리케이션은 비교적 보편화 되었지만, 소규모 쇼핑몰은 아직 작은 규모로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 <출처: CNNIC 布第33次《中 互 展 告》, 新 , 2014-01-16>
홈 > 최신중국동향 -
[지방양회] 2014 지방양회 주요 아젠다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 2014년 1월 19일부터 시작된 각 성(省)급 지방정부의 양회가 2월 16일 후난성 행사를 끝으로 마무리 됨 이번 지방양회의 공동의제는 다음과 같음 전면적인 심화개혁 2014년 지방양회의 가장 큰 이슈는 개혁으로 각 성의 정부공작보고에서 평균 50회 이상 언급되며, 올해의 정부 주요임무로 자리매김 개혁영역의 확대 정부기능 전환, 경제체제 개혁, 국유기업 개혁, 재정·세수체제 개혁, 농촌개혁, 토지관리제도 개혁이 논의됨 상하이는 중국상하이자유무역시험구를 중심으로 전면적인 심화개혁개방 진행 시사 쓰촨성은 청두에 지역성 금융개혁시험구 건설을 추진하기로 함 광둥성은 부정부패관리 방식을 확대 천명 GDP 성장속도 조절 중국의 31개 성·시 중 70%에 달하는 22곳이 성장률 목표를 지난해보다 하향 조정 반면 헤이룽장성과 하이난성은 올해 성장률 목표를 지난해보다 각각 0.5%포인트, 0.1%포인트 상승한 8.5%, 10%로 상향 조정 산시, 네이멍구 등 7개 성은 성장률 목표를 지난해와 같은 수준을 유지 스모그 관리 개발이 더딘 시짱(西藏·티베트)자치구, 닝샤(寧夏)자치구를 제외한 26개 지방정부가 대기오염 개선을 명시 15개 지방 정부가 스모그 혹은 초미세먼지(PM2.5)를 논의 베이징(北京)의 경우 PM2.5 농도를 5% 줄인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업무보고에 포함 두 자녀 정책 추진 저장(浙江), 안후이(安徽), 광시(廣西) 등 3개 지방 정부가 두 자녀 정책의 시행에 들어간 데 이어 상하이(上海), 장쑤(江蘇), 장시(江西), 산시(陝西), 베이징(北京), 후베이(湖北), 네이멍구(內蒙古), 지린(吉林) 등의 지방 정부가 추가로 이 제도 시행을 위한 입법화 절차를 마무리 공무경비 감축 2014년 지방정부 공공예산, 정부기금예산, 국유자산경영예산, 사회보장기금예산 축소 장쑤성은 30%, 베이징 12%, 상하이 11.2%, 허베이성 6%, 장쑤, 닝샤, 칭하이는 5% 감축 정부 기능 전환 각 지방정부는 정부기능을 실행 가능한 효율적이고, 새로운 방안으로 전환 예정 저장성은 정부의 권력제도 규정을 전면적으로 추진. 법에 의거한 공개적인 권력이동과정, 이체자금, 기업수취 행정사업비의 간접 지급 방안 마련 베이징은 통제기구를 엄격하게 재편 상하이는 심사비준, 행정사업성 비용을 최대한으로 감축 시사 도시화 지방양회에서는 매년 도시화 비율을 1%포인트씩 올려 도시 인구를 1,300만 명씩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함 2020년까지 40조 위안(7,200조원)을 투자해 도시화율을 60%까지 끌어올려 내수시장을 확대할 계획 베이징과 상하이의 상주인구는 이미 2000만을 넘어 특대형 도시로 분류, 유입인구를 엄격하게 제한 쓰촨은 도시와 자연의 융화를 중시하며, 자연보호와 도시문화를 보존 구이저우는 농민공의 현( )급 또는 소도시로의 편입이 문제 농민공의 취업, 창업, 주거 조건을 마련, ‘사람의 도시화(人的城 化)’ 문제를 언급 <출처 : 2014地方 点:促改革、 增速、 , 中 新 , 2014-01-2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방양회] 22개 성(省)시 GDP 성장목표 하향조정
지난 2월 16일 후난성을 끝으로 지방양회 폐막, 31개 성(省)시는 정부공작보고를 발표 각 지방정부의 정부공작보고에서 2013년 GDP 총액, 2013년 GDP 성장률, 2014년 GDP 성장률 목표치를 제시 헤이룽장과 하이난이 유일하게 성장 상승세를 보이며, 올해 GDP 성장률 목표를 지난해보다 각각 0.5%포인트, 0.1%포인트 높은 8.5%, 10%로 상향 조정 산시, 네이멍구 등 7개 성의 GDP 성장률 목표는 지난해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 그 외 22개 성은 하향조정 베이징과 상하이의 지난해 GDP 성장률은 7.7%로 최저 기록 2014년 성장률 목표는 지난해보다 0.2% 포인트 낮은 7.5%로 설정 텐진, 구이저우, 티베트의 2013년 GDP 성장률은 12.5%로 가장 큰 성장폭을 보임 구이저우의 올해 성장목표를 지난해와 같이 12.5%로 설정 <출처 : 地方 全部 幕 22省 市下 GDP目 , 新 , 2014-02-16>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도시 생태환경지표 최하위
상하이사회과학원은 사회과학원문헌출판사와 공동으로 2월 12일 『국제도시보고서: 국제도시발전보고』를 발표 경제, 사회, 문화, 정치, 생태환경, 지리적조건 총 6개의 요소를 중심으로 세계 대도시 40곳을 평가 동아시아 도시들은 경제지수로는 비교적 높은 순위를 기록 생태환경 분야에서는 하위권을 기록하여 도시 순위평가에 악영향을 미침 세계 대도시 40곳 가운데 도쿄, 런던, 파리, 뉴욕, 싱가포르가 TOP5로 선정 홍콩 8위, 상하이 21위, 베이징 31위, 타이베이 32위를 차지 보고서는 생태환경 방면에 있어, 모스크바가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꼴등인 40위에 선정 상하이와 베이징은 각각 36위, 39위로 최하위권에 랭킹 베이징의 경우, 40곳의 대도시 중 경제발전능력은 17위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남 반면, 환경문제에서는 오염정도가 이미 적정 수준을 넘어 사람이 살기 적절하지 못한 정도의 수치를 보임 상하이는 36위로 주거 가능한 범위에 속하지만, 환경 오염 수치가 국제 평균 수준보다 낮음 지리적 조건에서도 상하이의 교통 인프라의 후진성으로 통근시간이 평균보다 길고, 선진국에 비해 확연한 차이를 보임 국제도시인 싱가포르와 홍콩의 경쟁이 점차 치열 홍콩의 금융시장은 매우 선진화되어 뉴욕, 런던과 비슷한 수준 경제면에 있어서도 평균을 한참 웃돌며, 전체 도시 순위를 끌어올림 그러나 환경과 문화 요소인 주거, 환경, 오염 항목은 세계 평균 수준보다 낮음 신흥도시의 발전 속도는 매우 빠르지만, 선진도시와 전체적으로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남 신흥도시는 경제 발전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환경,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전반적인 발전이 필요, 국가 전략적으로 추진되어야 함 <출처 : 告 多城市生 境指 排名 底, 中 新 , 2014-02-13>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