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허난성 선두 공업도시 정저우
허난성사회과학원은 『허난공업보고서』를 발표 허난지역의 공업경쟁력을 평가, 2013년 허난성의 공업경제현황을 분석하고 2014년을 전망 보고서는 허난성의 지급시(地級市)의 공업수준을 4등급으로 분류 공업경쟁력을 경쟁력, 발전 잠재력, 발전환경을 수치화해 종합적으로 순위를 매김 정저우의 공업경쟁력은 허난성에서 월등히 뛰어나 경쟁력, 발전잠재력, 발전환경 세부분에서 모두 다른 지역과 큰 격차를 보이며 선두도시로 자리매김 총 16가지 항목 중 11가지 항목에서 1위를 차지 정저우가 1급 공업도시로 선정 뤄양(洛 ), 난양(南 ), 쉬창( 昌)은 2급 싼먼샤(三 ), 핑딩샨(平 山), 안양(安 ), 저우커우(周口), 푸양( ), 뤄허( 河)은 3급 카이펑( 封), 자오쭤(焦作), 허비( 壁), 신샹(新 ), 주마뎬( 店), 상추(商丘), 신양(信 )은 4급 그중 저우커우(周口)시는 전통농촌지역이지만, 단위 산업생산량 에너지 소모가 허난성에서 가장 우수하고, 공업 발전속도도 가장 빠름 최근 국제·국내관계가 점차 복잡해지고 있지만, 허난성의 공업은 점차 발전하고 있음 허난성의 공업은 천천히 안정적으로 발전하는 특징을 가짐 2013년 공업규모는 전년대비 11.8% 증가했고, 2014년에는 12%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 <출처 : 河南工 皮 布 州工 力全省 先, 州日 , 2014-02-15>
홈 > 최신중국동향 -
[정치]지방정부 투명도지수 발표
중국사회과학원이《지방정부투명도지수보고》를 발표 2013년 55곳의 국무원부서, 31개 지방정부, 49개 대도시 정부의 정부정보 공개수준에 평가를 실시 지방정부의 정보공개평가 기준은 공개목록, 정부보고, 규범성 문건, 행정비준, 환경보고, 연도보고 등으로 이루어짐 평가결과 지방정부의 정보공개 수준이 확연히 향상됨 구이저우 지방정부는 “삼공(三公 : 공개적이고 공정하고 공평하게 이루어지는 거래)” 경비 등의 정보를 공개하고, 성 정부 행정부서는 웨이보 “구이저우의 소리” 를 운영하는 한편, 성 정부 상무회의를 생중계하는 등의 사례 소개 <출처 : 法制 皮 :省政府透明度全 排第八, 黔中早 , 2014-02-26>
홈 > 최신중국동향 -
[물류]중국 물류현황 보고
중국 국가통계정보망은 2013년《중국물류현황보고》를 발표 사회물류총액이 비교적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2013년 중국의 사회물류총액은 197.8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9.5% 증가함 분기별로 9.4%, 9.1%, 9.5%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증가추세를 보임 공업품 물류총액은 181.5조 위안으로 전년대비 9.7% 증가함 수입화물 물류총액은 12.1조 위안으로 6.4% 증가했고, 농산물 물류총액은 전년대비 4% 증가함 전자상거래와 인터넷소비의 급증으로 회사와 개인 간의 물류총액이 30.4% 증가함 또한 녹색경제, 저탄소경제, 순환경제의 빠른 발전으로 재생에너지의 물류총액이 20%이상 증가함 2013년 사회물류 총 비용은 10,2조 위안으로 운송비용은 5.4조 위안, 보관비용은 3.6조 위안, 관리비용은 1.3조 위안이 듬 물류업의 부가가치는 3.9조 위안으로 GDP의 6.8%를 차지함 <출처 : 2013年全 物流 行情 通 , 中 信息 , 2014-03-07>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서고동저'지역 1인당 GDP성장률
《12·5중기(中期)중국성역(城域)경제경쟁력발전보고》는 지역의 1인당 GDP, 지방정부수입지출, 도시화와 소득수준을 통해 중국의 지역 균형발전전략의 성과를 탐색함 1인당 GDP 성장률의 특징은 ‘서고동저’로 서부지역인 구이저우( 州), 산시( 西), 충칭(重 ), 쓰촨(四川), 윈난(云南)이 각각 13.5%, 12.6%, 12.4%, 12.3%, 12.3%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성장이 가장 빠른 5곳의 지역으로 나타남 반면, 동부지역인 베이징, 상하이, 광둥, 저장(浙江), 하이난(海南)은 4.9%, 5.7%, 7.3%, 7.6%, 8%에 그침 중국 경제는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며, 중서부지역의 발전 속도는 동부지역보다 빠르고, 격차가 줄고 있지만, 절대적인 지역 간 격차는 여전히 큼 2010년 동부, 중부, 서부, 동북부의 1인당 GDP 차이는 2.06:1.08:1:1.53에서 2012년에는 1.84:1.03:1:1.47로 격차가 줄어듬 중국의 균형적 지역발전을 위해 도시화전략이 실시되고 있고, 도시화 수준이 향상되고 있음 2010년 49.9%였던 도시화율은 2012년 52.6% 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도시의 인구가 농촌인구를 뛰어넘음 도시와 농촌가정의 1인당 소득 차이도 3.2284에서 3.1029로 줄어듬 <출처: 皮 :中 域相 差 于 小 城 差距 和, 中 , 2014-03-06>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중국 지역 경제 경쟁력, 장쑤성 1위
2014년 『중국성역(城域)경쟁력보고서』에서 장쑤가 광둥을 제치고 1위를 차지 경제실질경쟁력, 경제구조경쟁력, 대외경쟁력을 기준으로 2012년 중국 31개 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경제종합경쟁력 TOP10은 장쑤, 광둥, 베이징, 상하이, 저장, 산둥, 톈진, 랴오닝, 푸젠, 쓰촨으로 2011년과 비교했을 때, 광둥과 장쑤의 순위가 뒤바뀜 2012년 유럽 국가채무위기가 중국의 대외무역 및 광둥을 비롯한 연해 지역 경제에 큰 타격 2011년과 비교해 21개 성의 경제경쟁력이 향상되었고, 11개 성의 순위가 변동됨 그 중, 티베트, 간쑤의 경제경쟁력이 큰 폭으로 상승함 안후이, 지린, 후베이의 순위가 크게 오름 중국 정부는 12·5(2011년-2015년)기간 중 지역 간 종합경쟁력의 격차를 줄이려 노력함 하지만 여전히 경제발전의 불균형 현상이 뚜렷함 최하위인 티베트는 1위인 장쑤에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임 중서부지역의 발전속도는 매우 빠르지만, 동부와 비교했을 때 절대적인 격차는 여전히 매우 큼 2012년 중국을 4개 지역으로 나누었을 때 종합경쟁력은 동부 47.22점, 중부 36.05점, 서부 31.46점, 동북 37.93점으로 나타남 <출처 : 中 省域 力排名公布:江 超 居首, 中新 , 2014-03-06>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관료 부패사건의 유형과 특징
중국사회과학원 법학연구소는 2014년 『법치보고서』에서 2013년 기율위원회가 공개한 부패사건의 특징과 함의를 탐색함 중앙기율위원회감찰부 정부사이트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8항 규정’을 실시한 이래, 전국 24,521건의 규정위반사례가 적발되었고, 30,420명이 처리됨 그 중 7,692명은 당 기율위원회의 처분을 받음 위반 사항 중에는 “공무 차량 부패”가 6,352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대규모 경조사”가 1,369건, “공금 연회”가 1,134건으로 집계됨 부패사건의 조사기간이 점차 짧고 신속해지고 있음 충칭시 베이베이구(北 ) 레이정푸(雷政富) 서기의 부패는 폭로에서 조사입안까지 63시간이 걸렸고, 전 네이멍구자치구 통일전선부 부장 왕쑤이(王素毅)의 부패사건은 입안에서 최고인민검찰원의 강제조치까지 7일이 소요됨 보시라이의 뇌물수수, 직권남용, 횡령 범죄 또한 1차 공개 재판에서 2차 판결까지 고작 32일이 소요됨 공직자들의 범죄는 발견에서 입안까지 사법기관 이송과 사법절차 소요시간의 간소화 특징이 명확히 나타남 보고서에 따르면 123명의 부패공직자 가운데, 성급(省部 )간부는 27명으로 22%, 관청급( 局 ) 간부가 가장 많은 70명으로 56.9%, 현급( )은 26명으로 21.1%로 집계됨 부패공직자의 평균 연령은 59세로 퇴직이 가까운 연령으로 권력을 이용해 함부로 부정부패를 일삼음 적발된 부패 공직자 중 64세의 연령이 가장 높았으며, 최연소는 39세로 나타남 51세~60세 부패공직자가 53.7%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비중을 보임 <출처 : 法治 皮 : 反八 定 “ 腐 ”居首, 北京晨 , 2014-02-25>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13-2014.2 중국 철강산업 연간통계 발표
중국철강공업협회는 2013년~2014년 2월까지의 일일 철강생산추이를 발표 중국 철강산업은 최근 몇 년간 과잉생산문제로 철강기업의 적자부담이 가중되고 있어 산업 구조조정을 추진함 중국 허베이성 발전개혁위원회는 허베이성의 철강산업 구조조정안을 제출함 2017년까지 철강의 생산능력을 6000만 톤 감축, 허베이 탕산(唐山)시 내 10개 철강사 통합을 목표로 함 2013년 중국의 철강 생산 증가율은 7.54%로 7.79억 톤에 달하며, 세계생산의 48.5%를 차지함 중국철강공업협회는 2012년 대비 2013년 6,920만 톤의 철강이 추가생산 되며, 산업규모가 더욱 확대되었다고 밝힘 시장의 수요가 여전히 증가하고는 있지만, 기업들의 과잉생산으로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름 중국은 세계 최대 철광석 수입국으로 2013년 세계 철광석의 63%를 수입함 올해 2월부터 세계경제 침체로 중국내 철광석 수요가 줄어들게 되면, 기존에 창고에 보관중인 물량과 새로 수입한 물량이 재고로 남게 될 것이라 우려함 2014년 중국의 철광석 수입은 지난해 대비 6% 증가한 8.7억 톤에 달할 것이라 예측함 <출처 : 中 工 :中 行 短期 无法解 , 浦 , 2014-02-26>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도시군의 현황과 과제
2014년『징진지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징과 톈진의 종합경쟁력은 매우 높은 반면 허베이의 1인당 GDP는 두 지역 비해 낮을 뿐만 아니라, 전국 평균 수준보다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도시화 중간단계에 머뭄 지역 내 경제발전 불균형으로 중소형도시에서 베이징과 톈진으로 인구가 유입되는 현상을 보임 통계에 따르면 2005년에서 2010년 사이 허베이에서 베이징으로 유입된 노동인구는 매년 약 100만 명 정도이며, 톈진은 약 60만 명에 달하고, 점차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임 2010년 제6차 인구조사에 따르면 허베이에서 베이징으로 유입된 인구는 155.9만 명으로 베이징에 상주하는 외지인구의 22.1%를 차지함 톈진의 경우 허베이에서 유입된 인구는 75.45만 명으로 텐진 상주 외지인구의 25.2%를 차지함 이러한 노동인구 유출은 허베이성의 도시화 발전 속도, 규모,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베이징과 톈진과 같은 대도시들에게는 운영과 관리에 큰 부담이 됨 베이징시 중심에는 기업과 여가, 유통이 모두 밀집해 있으며, 베이징중심지의 인구밀집은 최근 10년 동안 점차 심각해짐 인구 분산을 위해 왕징(望京) 신도시, 후이롱관(回 ) 신도시 등을 건설해 주거 인구를 외곽으로 이동시켰지만, 기업, 여가, 쇼핑센터가 중심지역에 몰려있음 출퇴근시간마다 벌어지는 교통 혼잡은 산업이전과 주민들의 생활편의는 전혀 고려하지 않아 여전히 문제점이 존재 보고서에서는 베이징, 톈진, 허베이 공동참여의 신도시 및 개발단지 모델 제안 베이징 신공항 건설을 징진지의 국가급 경제구역합작시범구로 공동 신청 톈진의 투자와 무역 편의를 위한 종합개혁신구를 베이징, 허베이가 공동 참여할 것을 제의함 징진지의 과학기술산업 발전을 위해 과학단지노선을 “중관촌(中 村:베이징)-이장(亦庄:베이징)-랑팡(廊坊:허베이)-우칭(武 :톈진)-베이천(北辰:톈진)-둥리( :톈진)-빈하이신구( 海新 :톈진)”로 연결하여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함 <출처 : 京津冀 皮 :省 移可 收分享, 新京 , 2014-03-26>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초광역수도권(징진지) 일체화 가속화
2014년『징진지(京津冀·베이징, 톈진, 허베이의 약칭) 보고서』를 출판, 베이징-톈진-허베이 일체화를 위한 정책을 제안함 수도권을 묶는 940km의 외곽순환도로가 2015년 완공 예정 특히, 허베이성 바오딩(保定)시로 수도 행정기능 일부를 이관하는 방안 등이 논의 중임 징진지 일체화를 위한 연석회의 구성 예정 징진지 연석회의의 주석은 베이징시 시장, 톈진시 시장, 허베이성 성장이 차례로 맡게 됨 연석회의의 사무실과 비서처는 베이징에 설치해 중앙과 편리하게 소통할 예정 연 1회 회의를 개최하고, 징진지 발전개혁위원회 회의는 연 2회 개최 “징진지도시군발전개혁위원회”를 구성해 지역 간 교통체계, 생태환경, 시장체계, 사회보장제도 통일을 주요 업무로 하며, 부처 간 정책협조, 갈등중재를 하게 될 것임 징진지 구역 내 생산투자, 산업이전, 과학기술단지, 외부기업과 외자유치 등에서 오는 이익과 접경지역 산업의 세수를 공유하는 제도와 정책을 마련할 예정임 국가개발은행과 같은 방식의 수도경제권발전은행을 설립 보고서에서는 수도공공서비스자원의 강점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교육발전, 원거리 의료 등에 투자하여, 주변지역의 공공서비스수준을 향상을 도모할 것이라 함 그 외에도 도시군 내 인구서비스 연결을 위해 새로운 호적제도, 도시와 농촌의 일체화, 지역합작 방식을 마련하고, “너 안의 나, 내 안의 너( 中有我,我中有 )”라는 슬로건을 걸고 공동체의식을 강화함 <출처 : 京津冀 皮 :省 移可 收分享, 新京 , 2014-03-26>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문화소비 12.6% 증가
중국사회과학원문화연구센터가 4월 9일 발표한 『문화보고서』에서 2012년 전국문화소비가 12.64% 증가한 11,405.9억 위안에 달한다고 밝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인의 1인당 문화소비는 844.45 위안으로 나타남 문화소비의 성장은 생산액증가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도시와 농촌의 수입증가율·총소비·저축 증가율보단 낮게 나타남 문화소비의 도농간 차이는 지난해에 비해 1.97% 줄어듬 2012년 문화소비를 가장 많이 한 도시는 장쑤, 베이징, 상하이 순임 소비증가율이 가장 크게 증가한 곳은 톈진, 지린, 허난으로 나타남 <출처:文化 皮 :全 城 文化消 需求 增 12.64%, 中 , 2014-04-09>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