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중국 지역별 경제발전능력
베이징사회과학원 중국본부경제연구센터와 베이징팡디(方迪)경제발전연구원은 6월19일 《중국본사경제발전보고(2013-2014)》를 발표 보고에 따르면 2013년 세계 500대 기업 가운데 중국기업이 95개에 달해, 미국 다음으로 세계 2위에 랭크됨 2013년 시노펙(중국석유화공), 페트로차이나(중국석유), 스테이트 그리드(국가전력망) 3곳이 TOP 10에 랭크됨 중국 지역별 경제발전능력 종합점수는 베이징이 88.99점으로 상하이, 광저우, 선전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함 베이징과 상하이는 다국적기업과 중국 대기업 본사가 자리 잡고 있음 베이징의 경우 중국 전역으로의 경제 파급효과가 크지만,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성)에 대한 파급효과는 미미함 이와 반대로 상하이의 경우 전국적인 영향력은 크지 않지만, 창장삼각주지역(상하이, 장쑤성, 저장성)에서의 경제 파급효과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남 <출처:中 部 皮 布 北京 部 位列第一, 中 人民共和 外交部 香港特 行政 特派 公署 , 2014-06-20>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산둥성 기업육성 현황
산둥사회과학원은 2014년 6월 20일 『산둥보고서: 산둥 경제형세 분석과 예측(2014)』을 발표 1993년부터 산둥성은 “조대방소”전략을 시행, 풍부한 석유, 석탄, 철광석 등 에너지 자원을 활용한 대기업을 육성함 2012년 산둥성의 전체 공업 내 중공업비중은 68.9%로 2002년에 비해 17.8%p 증가함 에너지자원과 원자재 업종의 수입비중이 44.3%에 달함 그중 석유가공, 화학공업, 건설자재, 철강, 전력 등 6대 에너지 고소비기업이 전체 공업 규모의 32.2%를 차지함 대규모 중화학공업, 공업의 고부가가치로 GDP 성장에 큰 역할을 함 현재 이와 같은 기업은 에너지 고소비,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많은 문제점이 야기됨 세계금융위기 이후 산둥성 지방정부는 지역 GDP 성장을 위해, 낙후된 공장의 생산을 재기하고, 중공업 발전에 많은 자본을 투자하지만, 생산성이 낮은편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수요를 예측하지 못한 과잉생산으로 상품의 가격이 원가 보다 낮은 심각한 문제로 기업의 정상적인 발전이 힘들어짐 <출처:山 皮 :山 工 能 剩 突出, 中 , 2014-06-27>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웨이(微)”의 시대
2014년 6월 25일 중국사회과학원은 『뉴미디어보고서(2014)』를 발표 중국에는 6억 명의 웨이신(微信· 카카오톡과 같은 글로벌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사용자와 13억 명의 웨이보(微博·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음 오늘날 중국의 미디어는 “웨이”의 시대라고 표현함 6억 명의 웨이신 사용자는 200개 국가, 20개 언어로 전세계에서 사용 중에 있음 웨이신을 활발하게 이용하는 사용자 수는 2억 7천만 명에 달함 매일 8천개 이상의 소식을 주고받으며 활발한 교류의 장으로 이용되고 있음 웨이보가 제공하는 서비스 사이트가 현재 총 103개로, 계정 수는 이미 13억을 넘어섬 이용자수로는 QQ가 선두를 차지하고 있지만,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사이트는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인 시나닷컴(新浪)이 제공하는 웨이보임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웨이신 이용자층이 점차 젊어지고 있음 사용률이 가장 높은 집단은 24세 이하로 33.7%로 나타남 3,000~5,000위안의 중산층의 비중이 32%로 나타남 웨이신 사용자는 주로 소비주체로 소비 잠재력이 비교적 큰 편임 웨이보 사용자의 특징 저학력, 저소득, 젊은 층으로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집중되어있음 청소년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지만, 대학생의 활동이 가장 활발함 중고생 이하의 사용자 비중이 77.9를 차지함 5,000위안 이하 소득 사용자는 91.5%이며, 이 중 소득이 없는 사용자가 25.6%에 달함 64.1%의 청소년은 고정적인 상대와 교류를 나누고, 10.7%의 청소년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 이성 친구를 사귀어 봤다고 답함 <출처:山 皮 :山 工 能 剩 突出, 中 , 2014-06-27>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산둥성 칭롱철도( 城 ) 건설
인천을 비롯한 한국과 긴밀한 교류를 하고 있는 산둥성의 옌타이(烟台)시는 2014년 7월 18일 산둥성의 칭다오(靑島)와 롱청(榮成)을 연결하는 칭롱철도( 城 ) 건설 상황을 공표 2014년 12월 말 지난( 南), 옌타이, 웨이하이(威海), 롱청 방면의 도시 간 열차가 선행 개통, 2015년 9월 말 옌타이와 칭다오를 잇는 노선이 개통될 예정 철도가 개통되면 지난-웨이하이 노선이 1.5시간, 지난-옌타이가 3시간 이내, 옌타이-칭다오 간 소요시간이 1시간으로 줄어들 것임 자오둥반도( 半 )를 관통하는 칭롱철도는 산동성 도시와 도시를 잇는 첫 번째 지역 간 고속철도로 높은 투자 가치를 지님 노선의 전 길이는 298.971km로 3개의 주요 도시인 칭다오, 옌타이, 웨이하이를 연결함 반도 도시군 간 중요한 교통 인프라이자 도시 간 가장 빠른 운송로가 될 것이라 예상 관련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칭롱철도 전 노선의 고객 서비스가 이미 개설되었으며 올 9월 말부터 준공 실시 예정 신설되는 13개 역의 여객서비스체계 및 공무, 공안, 화물관리 정보체계와 연관되는 공정의 설비 공급 등 보조설비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임 칭롱철도의 건설로 중국 동부 연안의 중심도시인 칭다오, 옌타이, 웨이하이가 올해 말부터 1시간 생활권으로 변화 예상 산둥성에서 건설 중인 도시철도와 고속철도가 모두 개통되면 웨이하이-상하이 7시간 30분, 웨이하이-베이징 5시간 30분으로 더 가까워지며 더 큰 소비시장을 형성할 것임 <출처: 城 明年9月通 至烟台 1小 , , 2014-06-29, 중국 산동성 칭다오-롱청 도시철도 올 연말 개통, 아주경제, 2014-07-18>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4년 중국 지역별 최저임금 상향조정
2014년 7월 11일 중국신문망(中新 )은 쓰촨, 장시, 구이저우, 네이멍구 지역의 최저임금기준이 2014년 7월 1일부터 상향 조정된다고 밝힘 2014년 상하이, 선전, 톈진, 베이징 등 중국 15개 지역의 최저임금을 상향 조정 상하이의 최저임금 월급기준과 시급기준이 각각 1,820위안과 17위안으로 제일 높음 쓰촨성에서는 2013년 4개의 등급으로 나누었던 최저 임금 기준을 2014년 3개의 등급으로 나누고 월 최저임금을 1400위안으로 조정 중국 국무원의 《수입분배제도개혁에 대한 의견(深化收入分配制度改革的若干意 )》에 따르면 2015년까지 대부분의 지역의 최저임금기준이 해당지역 근로자 평균 월급의 40% 이상이여야 한다고 규정 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 통계에 따르면 2011년에 전국 24개 성급 도시가 평균 22%, 2012년에는 25개 도시가 평균 20.2%, 2013년에는 27개 도시가 평균 17% 최저임금을 인상함 <출처: 15地 公布最低工 准 四川位列第九, 中新 , 2014-07-1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지역금융 운용현황
중국인민은행은 2014년 6월 24일 ≪중국지역금융운용보고(2013)≫를 발표 보고에 따르면 2013년 베이징의 자금 순유출은 42.4조 위안으로 전년대비 7.3조 위안 감소했지만, 여전히 주요 자금유출지역임 2013년 베이징지역 금융기관의 외화예금은 40%이상 대폭 하락했으며, 위안화예금 또한 10% 가까이 감소함 2012년 대비 광시, 윈난, 티베트는 자금유출지역에서 유입지역으로 전환되었으나, 후난, 구이저우, 헤이룽장, 산시( 西)는 반대로 자금 유출지역으로 전환됨 자금유입에 있어서는 장쑤성이 10.7조 위안으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은 광둥, 상하이, 산시(山西), 지린 5개 지역의 순유입 자금 총합은 22.6조 위안임 인민은행은 베이징지역 금융기관의 위안화예금이 점차 회복하고 있다고 밝힘 2013년 말, 베이징 금융기관의 외화예금은 전년대비 8% 증가 그 중 위안화예금은 전년 동기대비 8.1% 증가 보고에서는 사회융자에 관해 규모가 증가하고, 융자구성이 다원화되고 있다고 밝힘 2013년 전국 사회융자 규모는 17.3조 위안으로 지난해보다 1.5조 위안 증가함 특히 동부지역의 사회융자 규모는 8.5조 위안에 달해 전국 규모의 52.2%를 차지 광둥, 베이징, 장쑤, 산둥, 저장 다섯 지역의 사회융자 규모가 8,000억 위안을 초과 <출처:中 域金融 行 告出 :北京 融出42万 , , 2014-06-2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위안화국제화보고 발표
2014년 7월 20일 런민대학(人民大) 국제화폐연구소와 교통은행이 공동으로 ≪위안화국제화보고≫를 발표 보고에서는 2020년까지 위안화가 엔화와 파운드화를 제치고 세계 3대 국제통화로 등극할 것이라 예상 2013년 국가 간 위안화 무역 결제규모는 4조 6,30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57.5% 증가함 그 중 수출입 위안화 결제 비율이 10%이상을 차지 위안화 직접투자규모는 5,337.4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9배 증가 위안화국제화지수(RII)는 2012년 4분기 0.92에서 2013년 4분기 1.69로 84% 급증함 2013년 미국달러의 국제화지수는 52.96, 유로화 30.53, 영국파운드화 4.30, 일본엔화 4.27임 상하이자유무역구는 위안화 대출, 직접투자 등 편리한 해외금융거래를 위한 제도를 마련 홍콩·싱가포르·런던·룩셈부르크·프랑크푸르트 등 역외시장의 활성화로 위안화 사용이 늘고 있음 <출처:5年 人民 成第三大 次于美元 元, 北京 , 2014-07-20>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부호들의 최대 이민 희망국, 미국
중국의 재계정보 전문 조사기관인 후룬연구원(胡 究院)에서 『중국투자이민백서(2014)』를 발표 현재 중국 부호들이 가장 희망하는 이민국은 여전히 미국으로 교육, 환경, 식품안전을 이민희망의 이유로 꼽음 ‘가장 희망하는 이민국’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미국 52%, 캐나다 21%, 호주 9%, 유럽국가 7%, 뉴질랜드 4%, 싱가포르 3%, 홍콩 2%의 결과가 나타남 구체적으로 선호하는 해외도시로 로스앤젤래스, 샌프란시스코, 밴쿠버를 희망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뉴욕, 토론토, 시애틀 등을 꼽음 미국은 교육, 자원, 식품안전에 있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이미 많은 화교사회가 조성되어있으며, 이민에 대해 관대하다는 인식이 강함 또한 미국의 영주권 취득·신청 절차가 비교적 간단함 언어에 있어서도 영어는 중국인이 가장 익숙한 제2외국어로 다른 국가보다 언어장벽이 적음 최근 중국부호들은 유럽 부동산매입이민, 국채이민 등 새로운 형태가 나타남 미국은 50만 달러이상을 투자해 사업을 운영하며 1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면 영주권을 주는 투자이민정책을 운용하고 있음 <출처:中 投 移民白皮 :半 以上移民者首 美 , 球 , 2014-07-15>
홈 > 최신중국동향 -
[문화]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성장
2014년 7월 25일 베이징영화학원(北京 影 院)과 사회과학문헌출판사는 공동으로 『애니메이션보고서: 중국애니메이션 산업 발전보고(2014)』를 발표 보고서는 중국의 애니메이션의 산업화가 초보적인 시작단계로 아직은 세계 애니메이션 강국과의 수준차이 크다고 인정함 하지만 중국의 ‘시양양과 후이타이랑(喜羊羊 灰太狼)’, ‘슝추모(熊出 )’와 같은 애니메이션이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점을 들며, 이는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긍정적인 성장 가능성을 밝히고 있음 중국 최대포털사이트 바이두의 애니메이션 검색 순위를 살펴보면 TOP25 작품 가운데 일본작품이 16개, 중국 6개, 유럽·미국 2개, 기타 1개로 비중이 각각 64%, 24%, 8%, 2%로 나타남 범위를 넓혀 검색 TOP200 애니메이션의 국가 비중을 살펴보면, 일본이 45.5%, 중국 33.5%, 유럽·미국 20%, 기타 1%로 중국과 일본산 애니메이션의 시장점유율 차이가 좁혀짐 보고서에서는 애니메이션기업의 첨단기술 습득을 장려 특히 CG 그래픽기술과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한 보급 확대에 힘써야 한다고 지적 많은 해외 애니메이션이 인터넷을 통해 중국 젊은 층에게 인기를 얻고 있음 그러나 일부 작품의 폭력성과 선정성 등으로 청소년이 관람하기 부적절한 상품이 있으며, 이에 대한 관리 소홀문제를 지적, 기관의 청소년관람불가판정제도 도입과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 <출처:2014年《 漫 皮 》指出中 漫 力大, 人民 , 2014-07-25>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중・서부발전전략과 산업이전
중국사회과학원의 ≪경제보고서 여름호: 중국경제성장보고(2013-2014)≫에서는 지역간 산업이전의 가능성을 논함 최근 농민공의 분포를 보면 동부지역의 농민공 비중이 40% 이상으로 큰 변화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임 중서부지역 농민공이 여전히 동부지역으로 유입되고 있음 1999년부터 동부지역으로의 노동력 편중이 심화되었으며, 중서부지역의 노동력 비중은 점차 하락함 공업화 후발지역경제의 필수조건은 저자본과 풍부한 잉여노동력임 하지만 현재 중·서부지역으로의 노동력 유입이 충분하지 않아 전통적인 대규모 공업화 산업운영에 어려움을 겪음 또한 임금상승으로 공업화의 필수요건인 값싼 노동력 활용도 불가능한 현실임 지역 간 동일한 최저임금 기준도 중·서부 공업 발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함 동부와 중·서부지역의 상이한 인적자원 수준 동부지역의 교육과 직업훈련은 산업발전에 밑거름이 되었지만, 중·서부지역의 인적자원과 관련한 잠재성장의 동력은 매우 부족한 상황임 동부지역 뿐만 아니라 중·서부지역의 생산자본, 물가, 임금 등의 앙등은 중·서부의 전통공업과 서비스업의 발전을 더디게 함 이런 상황에서 중·서부발전전략의 조정은 물론 이전의 단순한 산업이전 전략에 대한 대대적인 변화가 필요함 <출처:社科院:通 中西部高增 抵消 速可能性不大, 中 , 2014-07-25>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