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7.4% 전망
2014년 7월 25일 중국사회과학원은 ≪경제보고서 여름호: 중국경제성장보고(2013-2014)≫를 발표 보고서에서는 2014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7.4%로 전망 중국의 향후 5년 경제성장률은 6.4%-7.8%가 될 것이라 예측함 2013-2014년, 중국 거시경제 성장은 투자와 수출입이 이끌고, 서비스업의 발전이 투자와 소비의 새로운 동력으로 작용할 거라고 전망 올해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3% 수준으로 안정적이며,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여전히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 보고서에서는 중국 경제는 산업구조전환, 개혁추진, 안정적 성장, 리스크 관리와 지방채위험 완화, 절세와 대출자본 감축을 통한 기업수익 제고 등의 과제에 직면했다고 판단하고 있음 구조적 경제성장 둔화의 위험을 지적 인구구조 전환에 의한 직접적인 성장속도 감소 산업구조의 서비스화는 3차 산업의 노동생산성이 증가하지 않으면, 직접적으로 노동생산성이 감소 도시화율이 57%를 넘은 상황에서 투자율이 하락하면 투자효과가 줄어들고, 자본확보가 어려워져 경제성장에 악영향을 미침 <출처:社科院: 未 五年 增 率6.4%—7.8%, 中 , 2014-07-2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투자공사 해외투자 수익률 9.33% 기록
2014년 8월 9일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이하“중국투자공사”)의 발표에 따르면, 2013년 중국투자공사의 해외투자 수익률은 9.33%, 누적수익률이 5.7%에 달한다고 밝힘 2013년 중국투자공사의 자산총액은 6,527억 달러로 순이익은 869억 달러임 2012년엔 각각 5,755억 달러, 777억 달러였던 것에 반해 자산이 크게 증가함 2013년 12월 31일 기준 중국투자공사의 해외투자는 주식시장에 40.4%, 장기자산에 28.2%의 비중으로 투자되고 있음 고정수익, 절대수익, 현금 및 현물의 비중은 각각 17%, 11.8%, 2.6% 인 것으로 나타남 2012년 해외투자 구성은 주식시장 32%, 장기자산 32.4%, 고정수익 19.1%로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가 8%p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주식시장에 대한 국가별 투자는 미국이 46%로 가장 많으며,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 37%, 신흥국가는 17%로 나타남 업종별로는 금융업에 대한 투자가 23%로 가장 많았으며, 소비품(13%), 정보과학기술(12%), 공업(10%) 등으로 다양한 업종에 투자되고 있음 중국투자공사의 투자는 33%가 직접운영투자이며, 67%가 위탁투자로 이루어져 있음 <출처:投 黑石 解套 中投增持境外股票, 21世 , 2014-08-09>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서부발전보고 발표
중국서북대학 중국서부경제발전연구센터는 8월 2일 《중국서부발전보고(2014)》를 발표 2013년 서부지역의 GRDP(지역내총생산)는 1,260,002.8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0%의 성장률을 보임 전국GDP 비중의 20% 가까이를 차지하며 중국경제성장에 큰 기여를 하고 있음 도시주민수입의 급증 2013년 서부지역 도시주민의 평균 가처분소득은 22,817위안으로 10.2% 증가함 전국평균 소득증가율은 9.7% 티베트(西藏), 칭하이( 海), 신장(新疆)의 수입증가율이 전국 TOP3로 나타남 2013년 서부지역의 농민순수입은 6,938위안으로 13.2% 증가함 칭하이, 티베트, 구이저우( 州), 신장의 농민수입 증가율이 전국 TOP4를 기록함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는 2012년 3.39:1에서 2013년 3.29:1로 완화됨 서비스업 발전, 농업현대화, 공업화, 정보화,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 내수시장의 발전과 기초 인프라 조건 개선으로 부동산투자와 관광 사업이 이루어짐 대외무역증가로 안정적인 외자유치와 선진기술력 향상 등으로 경제발전이 이루어짐 <출처:2014中 西部 展 告: 增速 7年全 先, 中 , 2014-08-02>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4년 상반기 중국 수출입 현황
2014년 8월 8일 중국세관(海 署)은 올해 1월-7월 수출입현황을 발표 세관통계에 의하면 2014년 7월까지의 수출입총액은 14.72조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0.2% 증가 수출액은 7.82조 위안으로 1.1%성장한 반면, 수입은 6.8조 위안으로 0,8% 감소함 무역흑자는 9,246억 위안으로 18% 증가함 일반무역의 지속적인 증가, 가공무역의 수출입 감소 일반무역 수출입은 5.2% 증가한 8.09조 위안으로 전체 무역의 55%를 차지함 가공무역의 수출입총액은 4.64조 위안으로 2.1% 감소했으며, 전체 무역의 31.5%를 차지함 EU, 미국, 아세안, 일본과의 수출입 증가 1월-7월까지 중국과 EU 국가들 간의 무역총액은 2.14조 위안으로 10% 증가 중미 무역은 1.87조 위안으로 3.9%, 아세안 국가와는 1.6조 위안으로 3.5%, 일본과는 1.1조 위안으로 1.2% 증가함 반면, 대륙과 홍콩 간의 무역은 1.18조 위안으로 19.7% 감소함 광둥, 장쑤 등 7개 지역의 수출입 비중 하락 광둥성의 수출입 총액은 3.46조 위안으로 중국 총수출입의 23.5%를 차지, 전년동기대비 13.76% 하락 같은 기간 장쑤성의 수출입총액은 3.9%, 상하이 5.2%, 저장성 4.5%, 산둥성 9.6% , 푸젠성 0.4% 증가함 중국의 7개 주요 수출입지역(광둥, 장쑤, 상하이, 저장, 산둥, 푸젠, 베이징)의 수출입비중은 77.7%로 지난해보다 2.2%p 하락 중서부지역의 수출 급증 충칭, 쓰촨, 장시, 광시, 후난의 수출이 각각 37.4%, 13.8%, 9.4%, 35.2%, 24.4%로 급증 <출처:中 前7月 出口 14.72万 7月出口大增14.1% , 中 新 , 2014-08-08>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90後 취업현황
중국 최대 생활정보사이트 간지왕( 集 )과 베이징대학 시장과 매체 연구센터는 공동으로 ≪지우링허우(90后:1990년대 출생자)졸업생취업보고≫를 발표 보고는 2013년 4월 1일~ 6월 30일까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68개 도시의 355,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음 최다 졸업생, 최저 취업률로 2014년 6월 말, 지우링허우의 취업률은 14.3%로 나타남 2014년 이들의 평균 월급은 2,443위안으로 지난해보다 324위안 증가함 지우링허우의 희망월급은 2,606위안으로 실제보다 163위안 많은 것으로 나타남 지역별 월급을 살펴보면, 1선 도시의 월급이 전체적으로 높음 상하이가 가장 많은 3,241위안, 베이징은 3,109위안으로 2위를 차지함 서부지역인 청두의 임금이 크게 올라 2,109위안으로 22위를 차지함 학력별 월급은 4년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월급은 2,776위안, 고졸생은 2,596위안으로 나타남 반면 72.9%의 기업은 적절한 인재구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응답함 졸업생의 대부분이 화이트칼라 직종을 선호하고 있어 구직자 쏠림현상이 취업난의 큰 원인으로 꼽힘 중국기업의 채용기간은 4, 5월에 집중되어 있어, 졸업예정자들은 2월부터 구직활동에 뛰어들게 됨 현재 86%의 기업이 인터넷을 통해 인재채용을 하고 있으며, 60% 이상의 기업이 이력서를 살펴보는 소요시간이 1분 미만이라고 답했으며, 10초 미만이라고 답한 기업도 9.3%에 달함 인사담당자는 화려한 경력보다는 신선한 이력으로 눈길을 끄는 것이 중요한다고 조언함 <출처:90后 生 碗 告出 起薪3241元全 第一, 方 , 2014-07-3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호구제도 개혁의 부동산시장 영향
최근 조사에 따르면, 90%이상의 농민공이 도시호구로의 변경을 원치 않음 주요 원인으로는 농민 호구의 숨겨진 이익, 즉 토지보상 및 철거보상으로 보임 이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많은 농민공이 외지에서 돈을 벌어 고향의 진( ), 현( ), 근처 도시의 주택 구입을 희망함 ≪의견≫ 이 규정한 농민공의 도시구입이나 거주를 통한 도시호구등기가 가능해 짐에 따라, 부동산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소도시의 호구 전면개방으로 지방 도시의 부동산시장에 큰 파장이 있을 것으로 예상 지방 도시의 주택임대 수요 급증은 작년 미분양주택을 해결할 수 있는 돌파구로 판단됨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과 같은 1,2선 도시의 경우, 엄격한 인구 통제로 인해 수요가 급증하지 않을 것으로 보임 하지만 정책이 안정적으로 시행되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본격적인 부동산 시장 영향은 2,3년 후가 될 것으로 보임 <출처: 중국 '호구제 개혁' 했는데...농민공 80% "호구제 뭐가 바뀐지도 몰라", 아주경제, 2014-08-03 籍改革 影 三四 城市住房需求, 羊城 , 2014-08-01 点 : 籍改革能成 救市成功的 所在, 点地 ( 州), 2014-08-05>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농민 “토지삼권”보장
공안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교육부, 민정부, 재정부, 인사부(人社部), 국토자원부, 주택건설부, 농업부, 위생인구계획위원회와 법제처 등 11개 기관은 ≪호구제도 개혁 강화에 대한 국무원의 의견≫규정에 따라 기능을 분배 교육, 취업, 의료, 연금, 주택보장 등의 정책을 시행 이번 ≪의견≫에서는 농민의 주요 권리인 토지청부경영권(土地承包 )과 택지사용권, 집체수익분배권(이하 “삼권”)을 국가에 반납하지 않고 도시호구를 취득해 계속 권리를 향유할 수 있도록 여러 법률문건에 명확하게 규정함 농민들의 도시유입 이후 “삼권” 반납여부에 있어 많은 논의가 있었음 농민들의 집체의무권리, 집체수익분배권리 또한 농민의 집체경제조직의 하나로 합법적인 재산권으로 인정, 반드시 농민의 주요 권리는 보호한다고 명시함 ≪의견≫은 농민의 도시유입에 있어 충분한 기회를 제공해, 도시화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길 기대함 지방정부는 농민들에게 평등한 공공서비스를 제공 “삼권”보장을 위해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토지청부관계를 시행하고, 장기간 정책을 유지한다고 공표 농촌재산권제도의 개선과 도시호구를 취득한 농민의 “삼권”보장을 위해, ≪의견≫은 농촌토지의 명확한 토지권 등기, 증명서 발급을 추진 농촌집체경제조직재산권( 村集 )도 개혁을 통해, 집체경제조직 회원 자격 인증 방법과 효과적인 실행방법을 모색해 집체재산권과 수익분배권을 보호할 것 또한 농촌재산권 거래시장을 형성하여, 농촌재산권의 유통을 보다 공개적이고, 공정화해 규범화 법에 의거한 자의적인 결정을 통한 경제적 보상을 원칙으로 농민들이 체계적으로 토지청부경영권을 유통할 수 있도록 유도 한편, 중국경제망(中 )의 자체 조사결과 82.9%의 농민공이 호구제도개혁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했으며, 65.3%는 정책 발표조차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출처: 十一部委 籍改革: 民 城不必退出"三 ", 每日 新 , 2014-07-3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그림으로 보는 호구제도 개혁
<출처: 解: 院 于 一步推 籍制度改革的意 , 中 政府 , 2014-07-30>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14년 중국의 호구제도 개혁
2014년 7월 30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회의에서 ≪호구제도 개혁 강화에 대한 국무원의 의견≫(이하 “≪의견≫”)을 심의하여 통과 중국은 개혁개방이후 계속적인 호구제도개혁을 실행해왔으나, 농업인구의 도시 유입 및 도시호구 등록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은 이뤄지지 않았음 시진핑 주석의 거듭된 호구제도개혁 강조와 심화개혁의 일환인 이번 호구제도개혁은 수많은 농민공의 의견을 반영하고, 인민대표, 정치협상위원회와 전문 학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완성 ≪의견≫은 2020년까지 1억 명 가량의 농민 및 기타 도시 상주인구의 도시호구 진입을 목표로 삼음 농업인구의 시민화 호구이전 정책의 개선으로 약1억 명에 달하는 농민공과 기타 상주인구에게 의무교육, 취업서비스, 기초연금, 기초의료위생, 주택보장 등 도시공공서비스 혜택을 모든 상주인구에게 제공 신형호구제도 수립 호구제도개혁을 통해 도시와 농촌의 호구등기제도를 통일, 거주증 제도를 전면실행 합법적인 고정거주지와 직업을 기본조건으로, 해당 상주거주지를 기준으로 호구이전 등기제도를 마련 국가인구의 데이터화, 부서와 지역을 아우르는 정보통합은 전면소강사회의 필요조건으로 국가통치체계와 현대화에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임 공안부는 ≪거주증관리방법≫ 초안을 완성했으며, 현재 국무원과 공안부가 공동으로 각 지방부처의 의견을 수렴해, 2014년까지 완성을 목표로 함 ≪방법≫의 주요내용은 거주증 신청과 수령 조건, 처리 절차 및 거주증 소지자의 권리와 의무로 이루어짐 약1억 명의 농촌인구의 호적이전의 핵심은 “도시화” “시민의 꿈”을 실현을 위해 농촌인구의 도시사회 유입, 국민의 대중생활수준 제고를 목표로 함 2014년 3월 16일 발표한《국가신형도시화계획(2014-2020)》은 호구제도개혁의 힘입어 목표달성을 위해 공동의 노력이 필요 소도시 전면개방, 중형도시 단계적 개방, 대도시 합리적 결정, 특대도시 엄격통제 ≪의견≫ 규정에 따라 도시를 인구별로 나누어 호구등기를 시행 사실상 소도시의 전면개방을 위한 정책이라 볼 수 있음 중국 지역공간 분포와 규모의 불합리성 해결 동부의 도시 높은 도시밀집도를 해결하고, 중서부의 풍부한 에너지원으로 인한 잠재력 적극 활용 기대 현재 중소도시의 인구부족으로 잠재력 발휘가 어려움 특대도시의 인구집중으로 대기오염, 교통 혼잡, 치안문제 등이 날로 심각해짐 이번 호구개혁은 단순히 행정상의 도시별 정책시행이 아님. 도시의 실제인구규모를 바탕으로 도시등급을 나누어 관리수용여부를 합리적으로 판단해 정책을 수립함 <출처: 1. 中 出台 籍制度改革新政 多部 回 点 , 中 新 , 2014-07-30 2. 威 :一 助 万人市民 的重大改革, 新 , 2014-07-3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4년 상반기 IPO 시장조사 보고
2014년 9월 1일 중국경제주간과 중국경제연구원은 2014년 상반기 경제보고 5편 ≪세계 IPO 시장조사 보고: 2014년 상반기 회고 및 하반기 전망≫을 발간 중국 증시는 2014년 4월 18개월 만에 IPO(기업공개) 심사가 개재 2014년 약 100개 중국기업이 상장, IPO가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됨 2014년 상반기 중국기업의 미국증시 상장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함 10개 기업이 미국증시상장에 성공했으며 규모는 31억 달러임 2014년 상반기 중국 A주 시장은 52개 기업이 IPO에 성공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이하“증감회”)는 신주발행 감독절차를 강화해, 신주발행액과 주가수익률이 하락 2014년 A주 시장은 의료업의 IPO 투자수익률이 가장 높음 과학기술, 방송통신업이 2위를 차지하고, 물류기업의 투자수익률이 3위로 TOP3 업종의 비중이 44%에 달함 A주 시장은 중소기업의 상장이 주를 이룸 홍콩:IPO건수와 규모 대폭상승 2014년 상반기 홍콩증시는 44개 기업이 상장, 규모는 807억 홍콩달러로 각각 110%, 104% 증가함 세계경제 회복과 유럽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완화, 미국증시의 연이은 상승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중국기업의 홍콩 H주 상장 리커창 총리는 2014년 4월 “후강통( 港通)” 개설 계획을 발표 후강통은 상하이거래소와 홍콩거래소의 교차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로 2014년 10월 시행예정 후강통제도 시행으로 투자자들은 홍콩거래소를 통해 상하이 A주 시장에 직접 투자할 수 있고, 중국투자자들은 상하이거래소를 통해 홍콩 주식시장에 투자가 가능해짐 많은 중국본토 기업은 중국의 강화된 A주 증시상장 절차로 홍콩증시 상장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음 중국 A주 시장의 IPO 회고 2014년 4월 말, 18개월만의 IPO 심사 재개로 상반기 52개 기업이 기업공개를 진행 2014년 A주 시장의 특징 실질적인 신주발행 심사 완화로 IPO 수량 증가 정보공개 요구조건 강화, 엄격한 재무조사와 장기간 IPO 중단, 우회상장 감소 등의 요인으로 많은 기업이 직접상장 또는 다른 방법으로 자금 확보에 노력을 기울임 증감회는 2014년 6월 27일 IPO 706개 기업을 심사한 결과 664곳이 정상, 42곳은 거래중지, 60개 기업은 상장폐지 됨 융자규모 5억 위안 미만 상장회사 비중 66% 자본시장 개혁 추진 2020년까지 기본개혁방안 마련, 시스템 완비, 규범화, 고효율과 개방성 자본시장 체계를 갖춰나갈 예정 신주발행 절차의 개혁으로 예정 발행 가격 주가수익비율(PER)이 동종 업계 상장사 평균 PER보다 높으면 발행 공고 때 위험요인을 설명하고 모집 금액이 합리적인지를 명확히 설명, 엄격한 가격 결정 방법을 재검토할 것을 권고하도록 규정 증권발행과 매도관리방법을 개정, 자금조달, 주식양도 등의 문제를 해결해 “3高”(높은 발행가, 높은 주가수익비율(PER), 높은 자금조달)를 개선 IPO 상장지역 선택 개방 차스닥( 板)의 문턱을 낮추고, 기존 9대 업종 제한을 철폐, 기업이 원활하게 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 2014년 하반기 IPO시장 전망 2014년 약 150개 기업이 IPO 발행, 융자규모는 1,0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 여전히 중소기업의 IPO가 A주 시장을 주도할 것 주요업종은 공업, 과학기술, 방송통신이며, 국가 전략산업인 문화·레져 서비스업, 농업, 환경보호 및 신재료 업종의 성장이 돋보일 것 자본시장 개방은 하반기 “후강통”실행으로 중국 본토에 새로운 투자자와 투자금이 유입되어, 활황할 것으로 전망 상하이와 홍콩 연계거래로 국제시장에 한걸음 다가가, 점차 성숙된 금융시장으로의 발전이 기대됨 <출처: 全球IPO市 告:2014年上半年回 及下半年展望, -中 周刊, 2014-09-01 [IN CHINA] 개혁 나선 주식 시장 증권 선진화 이뤄질까, 한경비즈니스, 2014-08-08>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