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2014년 상반기 위안화 현황
중국경제주간(中 周刊)과 중국경제연구원(中 究院)은 2014년 상반기 경제보고 시리즈 발표 위안화국제화지수(RGI)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국당국은 적극적인 위안화국제화에 나섬 해외기업 130곳의 위안화 사용실적 조사에 따르면, 향후 6개월 동안 위안화의 해외사용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하지만 역외 위안화(CNH)가 다시 위안화(CNY)로 디스카운트되면서 단기간 내 자금흐름이 증가할 것으로 보임 2014년 4월 RGI는 1,807포인트로 전년동기대비 91.8% 증가해 2012년 7월 이후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임 반면 전월대비 4.1%의 증가율은 최근 6개월 내 가장 낮은 수준임 해외무역결제의 감소 SWIFT와 중국인민은행이 밝힌 수치에 따르면, 위안화의 해외무역결제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SWIFT의 수치로 2014년 4월 홍콩, 싱가폴, 런던, 타이완 등 5개 시장에서 위안화결제액이 전월대비 12% 감소함 중국인민은행의 발표에서도 위안화로 결제한 무역액이 2014년 2, 3월엔 각각 19.2%, 21.1% 증가한 반면 4월은 14.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2014년 4월 위안화 해외결제는 하락했지만, 2013년 4분기와 비교했을 때 여전히 증가추세에 있음 유럽 내 위안화거래 선두, 런던 홍콩은 최대 역외 위안화 시장으로 RGI지수의 65.7%를 차지함 런던은 14.5%로 2위 싱가폴(9.2%), 타이베이(5.4%), 뉴욕(5.2%) 순으로 거래되고 있음 SWIFT에 따르면 런던의 위안화거래는 전년대비 149% 증가로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임 런던은 유럽에서 중국본토, 홍콩과의 위안화 거래의 57%를 차지함 2013년부터 유럽에서 런던의 위안화 거래가 압도적으로 가장 많으며, 독일, 프랑스 역외시장과의 격차가 큼 세계 금융허브인 런던에서의 위안화거래량이 빠르게 증가해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유럽의 다국적기업에 보다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함 주춤하는 역외 위안화 저축 2014년 4월 홍콩과 타이완의 위안화 저축액은 전월대비 각각 1.6%와 7.3% 증가함 2014년 3월 전월대비 증가율은 각각 2.7%, 8.6%를 기록함 실제로 위안화(CNY)와 역외 위안화(CNH)의 저축 증감은 이자율 변화의 영향을 받음 2014년 상반기 역외위안화 저축은 하락했다가 연말에 다시 회복할 것으로 예상 2014년 말 홍콩의 역외위안화 저축액은 1.15조~1.2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보임 적극적인 정부의 금융 정책 2014년 상반기 기업들은 위안화 절상, 상하이자유무역시범구, “후강통( 港通)”에 가장 주목하고 있음 상하이자유무역시범구 기업에 새로운 유동성 관리시스템이 제공되고, “후강통” 등을 통해 기업들은 신규 투자자를 유치할 수 있다고 기대 중국국가외환관리국은 5월 19일 ≪해외담보외환관리규정≫에서 역내 외환 거래 시 보증에 대한 승인제도를 철폐와 외환관리 표준화 등 외환관리 규제의 개혁방안을 발표 중국정부가 발표한 일련의 정책들은 경제성장 뿐만 아니라 자본시장 개방과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노력으로 보여짐 주택판매량과 주택건설의 하락 현재 중국의 40곳의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미분양주택이 급증하고 있음 베이징을 비롯한 1선 도시의 시내 중심 주택 가격도 하락세를 보이며 부동산 거품 붕괴가 점차 현실화 되고 있음 주택판매량이 증가하지 않으면 개발상은 큰 압박에 시달리고 주택건설업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 중국인민은행은 부양책으로 일부 농촌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이미 두 차례 인하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해 지급준비율 인하 대상 은행의 범위를 도시상업은행으로까지 확대 또한 각 지방정부는 투기적 주택구매 제한조치를 철회하고, 부동산 대출규제도 완화하고 있음 대출감소는 유동성 감소를 가져와 전체적인 경제성장 둔화를 야기 중국인민은행은 2013년 7월 대출금리 하한선을 철폐해, 금융기관이 자유롭게 정할 수 있도록 했지만 변화가 미미함 기업들의 매출이 호전되지 않는 상황에서 이자율만 상승, 기업의 채무부담은 점차 가중되고 있음 보고서에서는 중앙의 금융개혁추진과 함께 금융 완화정책을 유지해야 원만한 경제성장이 이뤄질 것 부동산산업 부진, 실질이자율 상승, 기업이율성장 둔화로 비추어보아, 2014년 경제성장은 더디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 <출처:2014年上半年人民 前沿 告, -中 周刊, 2014-08-25 중국 제조업 경기 급랭… 미니부양책 약발 벌써 다했나, 서울경제, 2014-09-0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의 실버산업 잠재력
2014년 9월 23일 전국노령공작위원회는《중국노령산업발전보고(2014)》를 발표 2020년 노인인구가 2.6억 명, 고령노인인구는 매년 10만 명씩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 2014년에서 2050년까지 중국의 노령인구의 소비잠재력은 4조 위안에서 106조 위안으로 증가, GDP비중 8%에서 33%까지 증가해 노령금융업과 노령부동산업의 성장이 예상됨 현재 중국의 실버산업은 이미 금융업, 실버용품업, 노령서비스업과 실버부동산업으로 크게 나뉘며, 금융업이 핵심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음 중국의 30~59세 잠재 실버금융서비스 대상은 약 6억 명으로 거대한 소비잠재력을 가짐 은행, 보험, 기금, 증권 등 기관에서 실버시장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양로전용 재태크 상품, 보험상품, 금융신탁 등 금융상품을 출시하고 있음 중국의 실버금융산업은 아직 초기단계로 단독 상품도 매우 적어, 대부분의 노인들은 저축이 유일한 재태크수단으로 금융상품이 매우 부족함 현재 중국은 노인소비장려 정책지원 부족, 노령금융업 육성, 노인용품업과 부동산업 발전의 정책이 사실상 백지상태임 보다 중점적으로 노인산업정책을 마련해 산업융자플랫폼 구비 필요 노령부동산업에 있어서도, 노령서비스기관 설립, 도시실버타운 조성, 주거지 시설개선이 이뤄질 것 현재 75%의 노인이 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주택시설이 노인들이 생활하기 불편한 점이 많음 특히 6층 주택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있지 않아, 많은 불편이 겪음 <출처: 老 告:2025年中 老 人口突破3 , 一 , 2014-09-23 告 中 成 全球老 市 力最大 家, 中 新 , 2014-09-23>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베이징 노령인구비율 21.2%
2050년 세계 노인인구는 20.2억 명에 달할 것이며, 중국의 노인인구는 4.8억 명으로 세계노인인구의 1/4을 차지, 세계 노인인구최다국가가 될 것이라 예상 베이징시 노령공작위원회는 2014년 9월 26일 《베이징시 노년인구정보와 노령사업발전현황보고(2013)》를 발표 2013년 베이징시 60세 이상 호적노령인구는 279.3만 명으로 전년대비 16.4만 명 증가, 빠른 속도로 노령화가 진행 베이징시 호적인구는 총 1,316.3만 명으로 그중 60세 이상 노인인구는 21.2%을 차지 남성노인 134.3만 명(48.1%), 여성노인 145만 명(51.9%) 80세 이상의 호적 고령인구는 47.4만 명으로 전년대비 4.8만 명 증가해 총 인구의 3.6%에 달하며, 여성이 약 2/3를 차지함 베이징의 100세 이상 노인은 589명으로 전년대비 45명 증가함 2013년 말 기준, 베이징시의 양로서비스기관은 총 410곳으로 2012년보다 10곳 늘어남 그 중 정부 운영기관은 211곳, 사회단체 운영기관은 199곳임 노인부부가구는 48.8만 명으로 전체 노인인구의 17.5%를 차지함 15세~59세 노동연령 호적인구와 60세 이상 호적인구를 계산했을 때 노인부양지수는 31.5%로 전년대비 2.1%p 증가 보통 노인 1명을 3명의 노동인구가 부양하는 것으로 분석됨 청장년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노인과 어린이는 증가하여, 노년부양계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출처: 北京加速 入老 化 籍人口中超 成是老人, 新京 , 2014-09-27>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사회보장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중국노동보장과학연구원은 2014년 9월 19일 《중국노동보장발전보고(2014)》를 발표 보고에 따르면, 2013년 말 노동자 기초양로보험 가입자는 3.22억 명임, 도농주민사회양로보험 가입자는 4.98억 명이며, 그 중 1.41억 명은 이미 연금을 수령하고 있음 노동자 상해보험, 실업보험, 양육보험 가입자는 각각 1.99억 명, 1.64억 명, 1.64억 명으로 집계됨 기업퇴직자 연금은 2005년부터 올해까지 10년 연속 인상하여 2005년 1인당 월평균 700위안에서 1,893위안으로 인상됨 사회보험기금 규모도 점차 증가해, 리스크 대비에 강해짐 2013년 말 기준, 5개 항목의 사회보장기금의 수령, 지출, 누적액은 각각 3.52조 위안, 2.79조 위안, 4.51조 위안으로, 전국사회보장기금 총액이 1조 위안을 돌파함 중국 사회보장제도는 현재 사영기업·중소형기업 노동자의 낮은 사회보험 가입비율, 차별대우로 인한 공평성문제, 기금의 운영 및 관리체계 문제점이 있음 거시경제 변화에 따른 영향, 노령인구의 급속한 증가, 도시화로 인한 인구의 이동, 공평성을 요구하는 소송건수의 급증을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요구됨 보고는 사회보험체계에 대해 더 많은 인구의 사회보장 혜택 향유, 지불제도 개혁, 희귀질병 보장제도 마련, 의료·실업·노동 상해보험 제도 개선 건의 또한 사회보장제도의 공평성 추진을 위한 도농주민양로, 의료와 최저생활보장제도 재정비 필요 현재 중국은 도시와 농촌, 노동자와 비노동자, 공무원, 저소득 등 사회보장보험이 따로 운영되고 있어 이의 통합이 필요 <출처: 中 前全民 保已基本 , 人民 , 2014-09-22 중국, 퇴직연금 10% 인상키로, 아주경제, 2014-01-09>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90%이상 도시 발전수준 낮아
2014년 9월 17일 중국사회과학원 도시발전과 환경연구소는 《중국도시발전보고 No.7》을 발표 중국 도시 발전의 모든 상황을 런던, 뉴욕, 파리 등 선진국가의 도시와 비교했을 때, 도시의 발전수준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남 도시 불균형발전으로 경제, 문화, 사회부분의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2013년도 도시발전지수의 종합순위는 선전(深 ), 상하이(上海), 베이징(北京), 포산(佛山), 쑤저우( 州), 중산(中山), 항저우(杭州), 주하이(珠海), 우시(无 ), 난징(南京) 순으로 권역별로 주장삼각주 도시 4개, 장강삼각주 도시 5개, 징진지(京津冀) 1개 도시가 속해있음 종합순위에서 1위를 한 선전은 경제, 문화, 사회, 환경에서 모두 TOP3위 안에 들었으며, 관리부분이 19위로 공공안전과 관리 효율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베이징의 경우 종합순위는 3위를 기록했지만 환경 부분의 순위가 206위로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됨 중국도시의 발전수준과 현황을 5개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크게 건강도시와 아건강( 健康:건강한 상태와 질병의 중간 상태) 도시로 분류할 수 있음 그 중, 경제, 문화, 사회, 환경, 관리 5개 항목의 순위가 모두 높은 도시들은 선전, 중산, 포산, 상하이, 쑤저우, 창저우(常州), 우시, 난징, 창사, 주하이, 양저우( 州), 항저우, 션양(沈 ), 다롄(大 ), 난퉁(南通), 옌타이(烟台), 샹탄(湘潭) 등 23개 도시임 베이징의 경우 환경부분에서 하위순위에 머물러 건강도시에 포함되지 못함 5개 항목 중 하나라도 중하위권에 포함된다면, 아건강도시로 분류 현재 중국의 287개 도시가 아건강도시로 베이징, 톈진 등 90%이상의 도시가 포함됨 <출처: 告 中 近九成城市“ 健康” 北京排名 后, 中 , 2014-09-1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4년 1-8월 공업이윤총액 3조 위안 이상
2014년 1-8월 중국의 일정규모이상 공업기업의 실질이윤총액이 3조 8,33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0% 증가 실제 주영업 활동이윤은 3조 5,87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9.6% 증가 8월의 경우, 실질이윤총액은 4,825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0.6% 감소했지만, 전월대비 13.5%증가함 2014년 1-8월 일정규모이상 유형별 공업기업 이윤은 다음과 같음 국유기업 및 국유지분 우위기업의 실질이윤 총액은 1조 17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5.3% 증가 집제기업의 이윤총액은 313억 위안으로 1.7% 증가 주식회사의 이윤총액은 2조 5,328억 위안으로 9.1% 증가 외상 및 홍콩마카오대만 투자기업의 이윤총액은 9,276억 위안으로 13.7% 증가 사영기업의 이윤총액은 1조 2,462억 위안으로 11.4% 증가 2014년 1-8월 일정규모이상 업종별 공업기업 이윤은 다음과 같음 채광업의 실질이윤총액은 4,445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3.4% 감소 제조업은 3조 691억 위안으로 13.5%증가 전력, 화력, 가스 등 생산·공급업은 3,193억 위안으로 20.2%증가 41개 공업대분류 업종 가운데, 36개 업종의 이윤총액이 전년대비 증가, 5개 업종 하락함 주요업종 현황을 살펴보면, 석유와 천연가스 채굴업 0.4% 증가, 농산식품가공업은 4.2% 증가, 방직업 8.9%증가, 석유가공·코크스, 핵연료가공업은 54.7% 증가 <출처: 1-8月 全 模以上工 企 利 同比增 10%, 家 局, 2014-09-27>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톈진 부가가치세 영세율구간 상향조정
톈진시 국세국은 2013년 8월 1일부터 “부가가치세 영세율 과세표준구간 2만 위안 상향조정”, “월 판매액 2만 위안 미만 기업 부가가치세 잠정 면제”정책을 실시해왔음 이 정책을 통해 톈진시 10만 개의 달하는 자영업자들이 2억 위안에 달하는 세금을 감면 받았고, 5만 명의 소액 납세자는 4,000만 위안의 세금은 감면 받았음 2014년 10월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월 판매액 2만~3만 위안의 부가가치세 납세자가 잠정 면세혜택을 받게 됨 2013년 8월에 시행된 정책에 이어, 국가가 적극적으로 소형기업의 감세정책을 내놓음 이번 정책으로 1만개에 가까운 소형기업과 자영업자가 혜택을 누려, 매년 7,000만 위안의 감세가 이루어 질것으로 예상됨 소형기업 월 판매액이 3만 위안인 경우, 정책시행 전 기업은 매월 30,000위안(월 판매액)× 3%(세율) = 900위안, 매년 납부해야할 부가가치세는 10,800위안이었으므로 시행 후 약 1만 위안정도의 감세혜택을 받게 됨 톈진시국제국은 이번 감세정책의 기준(연 판매액 36만 위안)은 국제기준과 비교해도 낮지 않은 수준이라고 설명 OECD 보고에 따르면, 부가가치세 징수국가는 33개 회원국으로, 칠레, 멕시코, 스페인, 터키 4개국은 부가가치세 영세율 과세표준 구간이 없음 기타 29개국의 부가가치세 영세율 과세표준 구간은 연평균 판매액 약 3.95만 달러로 위안화 환산 시 약 24만 위안에 달함 24만 위안보다 낮은 국가도 19개국에 달함 <출처: 小微企 迎利好 天津近万企 年 7000万元, 天津日 , 2014-10-13>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중국 국경절 해외여행 크게 늘어
중국국가여유국( 家旅游局)은 10월 1일부터 7일까지 전국여행객이 4.75억 명으로 지난 2013년보다 10.9% 증가, 실제여행수입은 2,453억 위안으로 15.7% 증가했다고 밝힘 스마트폰을 활용한 상품 예약이 크게 늘었으며, 해외여행시장규모도 매년 커지고 있음 빠링허우(80后)의 해외여행이 주를 이룸 대도시 근교 여행 급증 여행전문 웹사이트인 취날왕(去 )이 발표한 《국경절황금주간여행보고》에 따르면, 국경절 기간 동안 베이징, 상하이 및 장장삼각주지역, 광저우 및 주장삼각주지역 근교의 숙박예약이 평균 150%이상 증가 자가용여행과 자유여행객이 많아져 호텔, 콘도, 민박, 유스호스텔 등 숙박예약이 30%이상 증가함 늘어난 가족여행 보고에 따르면 약38%의 여행객이 부모 혹은 자녀와 함께 여행을 한 것으로 나타남 홍콩·마카오·대만 여행 현황 대만방문여행객은 50%이상 크게 증가 홍콩·마카오 정부의 통계발표에 따르면, 10월 1-6일 동안, 대륙에서의 홍콩방문객은 97만 명으로 전년대비 5.4%증가, 마카오방문객은 75만 명으로 전년대비16.5%증가함 해외여행의 폭발적인 증가 바이청(百程)여행사 분석에 따르면 최근 기존 대도시의 해외여행객뿐만 아니라 중소도시의 비자발급이 대폭 증가 해외여행 방문국가 역시 점차 범위가 확대되고 있음 기존의 한국, 일본, 몰디브, 동남아시아가 아닌 유럽여행객 비중이 24%로 크게 증가했으며, 호주, 네팔 등의 여행도 대폭 증가함 해외호텔 예약도 고급호텔 예약비중이 35%로 처음으로 호화호텔 예약건수가 중저가 호텔을 초과 해외여행객 연령분포를 보면, 빠링허우가 60%이상을 차지함 90년대 생의 해외여행비중은 17%로 주로 한국, 일본 등 인접국가의 쇼핑여행이 많음 빠링허우의 경제력이 탄탄해지고, 인터넷을 통한 정보습득이 원활해 해외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최근 70, 80년대 생들 사이에 유럽여행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명품쇼핑이 유럽여행의 큰 이유가 됨 <출처: 十一旅游 据 告:出境游火爆 移 端 成主流, 中 旅游新 , 2014-10-1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14년 국경절 황금주간 소비패턴 분석
2014년 중국의 황금휴일인 국경절기간 동안 전국 소비시장이 활황세를 보임 상품판매가 급증한 가운데 절약, 건강, 그린, 저탄소가 소비자의 관심사로 떠오름 중국상무부는 10월 1일부터 7일까지 전국 소매시장과 요식업의 실제 판매액이 9,75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2.1% 증가했다고 밝힘 새로운 형식의 홍보활동 각종 테마를 주제로 한 판촉행사로 저장성에서는 429행사장에 6,809개 기업이 참여해 큰 판매액을 기록함 웨이신, 웨이보를 활용한 홍보활동으로 젊은 소비자층을 겨냥 판매상품의 특징 이번 황금주간엔 계절의류, 고급보석, 디지털가전기기, 자동차 등의 상품 판매가 급증 허난, 장쑤, 칭하이는 계절의류 판매가 20%이상 증가했으며, 랴오닝은 스마트폰 판매가 전년동기대비 26.4% 증가함 후난성 주저우(株洲) 국경절 자동차박람회에는 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 2,000대의 차량을 판매함 중양절(重 , 노인의 날)과 겹친 2014년 국경절기간 보양건강식품, 실버의료기기 등의 판매가 급증함 선풍적인 대중요식 소비 적당한 가격의 가정식요리, 일반적인 뷔페를 선호가 가장 높음 연대(年代)별 특색음식, 향촌 요리, 노인들을 위한 건강식 등 특색 있는 음식점도 인기 다양한 여가활동 중국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여행, 레저, 독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휴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짐 고속도로 무료화정책으로 몇몇 구간의 고속도로는 주차장을 방불케함 중양절과 겹친 이번 국경절은 “효도관광”이 크게 늘어 안후이성의 주화산(九 山)은 노인단체관광과 가족단위 관광객들로 크게 붐빔 연휴기간 동안 전국각지에서는 독서대회 및 각종 스포츠대회가 열림 결혼시장 성업 중국의 긴 연휴기간은 결혼이 많이 이루어지는 기간으로 각 지역의 결혼식 연회장은 신혼부부와 하객들로 넘쳐남 톈진에서는 황금주간 동안 결혼식 연회장에 30여 만 테이블이 준비되었고, 연회수입이 5.6억 위안에 달한다고 밝힘 이와 맞물려 톈진 내 백화점의 고급보석 판매량이 동기대비 40%이상 증가함 <출처: 2014年 “十一” 金周市 定繁 大 消 唱主角, 商 部新 公室, 2014-10-0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의 인천 지역별 투자 현황
인천 지역구별 투자현황을 살펴보면, 신고금액은 남동구가 제일 높으며, 신고건수는 중구가 압도적으로 많음 인천 남동구는 남동공단이 위치하고 있어 금속 제조업, 기계·장비, 운송용 기계, 전기·전자에 큰 규모의 중국투자가 이루어졌음 인천항이 있는 중구의 경우, 신고건수 242건 중 도·소매(유통)의 신고건수가 220건으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함 <출 처> 1. 김수한·김현수·유다형(2014),『인천-중국 교류 현황- 도시외교, 유학생·다문화가정, 경제교류』, 인천발전연구원 2014년 상반기 현안과제. 2.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내부자료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