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 투표를 통한 2001년 분야별 중국 100대 사이트
〈China-Focus〉온라인 투표를 통한 2001년 분야별 중국 100대 사이트 Internet Content Providers(ICP) 1. www.sina.com.cn 2. http://commerce.china.com 3. www.sohu.com 4. www.163.com 5. www.263.net 6. www.online.sh.cn 7. www.21cn.com 8. www.gznet.com 9. www.east.net.cn 10. www.sc.cninfo.net 뉴스 미디어 1. www.peopledaily.com.cn 2. www.xinhua.org 3. www.hsm.com.cn 4. www.chinanews.com.cn 5. www.computerworld.com.cn 6. www.zjonline.com.cn 7. www.ciw.com.cn 8. www.cri.com.cn 9. www1.chinadaily.com.cn 10. www.cctv.com.cn 컴퓨터&네트워크 1. www.chinabyte.com 2. www.yesky.com 3. www.download.com.cn 4. http://freemail.263.net 5. www.163.net 6. www.soim.com 7. www.gov.cn 8. www.net.cn 9. www.zol.com.cn 10. www.nihao.net 정부기구 1. www.info.gov.hk 2. www.moftec.gov.cn 3. www.china-consumer.org 4. www.china.org.cn 5. www.fmprc.gov.cn 6. www.beijing.gov.cn 7. www.drcnet.com.cn 8. www.kmpg.gov.cn 9. www.setc.gov.cn 10. www.qingdao.gov.cn 상업 1. www.8848.net 2.. www.chinaMarket.com.cn 3. www.alibaba.com 4. www.yabuy.com 5. www.cei.gov.cn 6. www.shipping.com.cn 7. www.eachnet.com 8. www.lcs.legend.com.cn 9. www.cpcp.com.cn 10. www.itcn.com.cn 금융&증권 1. www.homeway.com.cn 2. www.stockstar.com 3. www.bank-of-china.com 4. www.eefoo.com 5. www.imoney.com.cn 6. www.99stock.com.cn 7. www.cmb.com.cn 8. www.cs.com.cn 9. www.ssnews.com.cn 10. http://Stock2000.com.cn 오락&스포츠 1. www.gl.cn.net 2. www.ccnt.com.cn 3. www.nlc.gov.cn 4. www.shawei.com 5. www.chinafootball.com 6. www.cnki.net 7. www.rongshu.com 8. www.artsofchina.com 9. www.jiyou.net 10. www.tvnet.com.cn 건강&의료 1. www.2919.net 2. www.gm.net.cn 3. www.jk123.com 4. www.healthoo.com 5. www.gsi.com.cn 6. www.iinmedicine.net 7. www.medboo.com 8. www.daoyi.com 9. www.cimtcn.ac.cn 10. www.MedicineChina.com 생활 1. www.zhaodaola.com.cn 2. http://shanghai.china.com 3. www.ctnweb.com 4. www.dreamercom.cn 5. www.yesite.com 6. www.chinaholiday.com 7. www.i.com.cn 8. www.jobs.com.cn 9. www.OICQ.com 10. www.Zhaopin.com 과학&교육 1. www.chinaedu.com 2. ww.ctMnet.com.cn 3. www.tsinghua.com.cn 4. www.enet.com.cn 5. www.pku.edu.cn 6. www.chinaschool.net 7. www.stdaily.com 8. www.chinakids.net.cn 9. www.cstnet.net.cn 10. www.bestinfo.net.cn
홈 > 추천연구보고서 -
국내기업, '한류(韓流)' 열풍으로 중국시장 공략 가속
〈China-Focus〉 국내기업, '한류(韓流)' 열풍으로 중국시장 공략 가속 최근 중화권 및 동남아시아 등지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에 힘입어 문화관광부는 28일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중국 베이징, 상하이 등지에 한국의 대중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한류체험관' 설치, 관련 업계가 참여해 한국 대중문화의 수준을 높이려는 '아시아문화교류협의회'구성, 서울 동대문 등 관광객 밀집지역에 한국의 대중문화를 알리는 '한류메카' 조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의 한류 열풍은 국내기업들의 중국 및 동남아 시장 공략에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생활건강 등 국내기업들은 이 지역에서 인기있는 국내 연예인을 광고모델로 기용하거나 이들의 공연을 지원하는 등의 방법으로 브랜드 이미지 및 시장점유율을 크게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중국 PC용 모니터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한 삼성전자는 현지에서 인기있는 탤런트 안재욱을 광고모델로 기용해 모니터 판매량이 급증한 것으로 보고 있다. LG생활건강은 베트남에서 장동건, 김남주 등을 광고모델로 기용해 베트남 화장품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한국기업은 앞다퉈 현지에서 인기있는 국내 연예인을 광고모델로 기용하기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한류 열풍이 얼마나 지속될지는 미지수이며, 저작권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것과 수출가격이 너무 싸서 실제 이익은 그리 크지 않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또한 현지 젊은이들이 한국의 대중문화에 열광하는 것과는 달리 기성세대는 한류에 거부감도 있으며, 해당지역 정부는 불량문화의 유입이 만연하므로 문화 시장 질서를 정돈하고 규범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공공연히 펼치고 있는 등의 현상도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류 열풍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적지않은 만큼 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새롭고 다양한 문화상품 개발, 대중문화 유통체제 정비 등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 역시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중교류센터, 중국문제 전략기관으로 발돋움
〈China-Focus〉 한중교류센터, 중국문제 전략기관으로 발돋움 중국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인천은 한・중수교 이전부터 중국과의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히 전개되어 왔으며, 지난 3월 인천국제공항 개항으로 인천의 대중국 교역에 있어서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우리나라 무역업체의 대부분이 인천과 서울・경기지역에 위치해 있고, 이로 인해 대중국 교역물량 중 90% 이상이 이곳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동 협회 인천지부 통계에 의하면 2000년 인천항을 통한 대중국 교역액은 65.3억 달러이며, 그 중 수출이 28.7억 달러, 수입이 36.6억 달러로 전년대비 각각 59.9%, 42.6% 증가했다. 중국이 WTO에 가입하면 그 규모는 더욱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올들어 최초로 지방정부 단위의 중국문제 전략기관으로서 인천발전연구원 내에 한중교류센터가 설립되었으며 지역연구, 정보제공, 비즈니스 자문, 국제교류 지원의 역할을 동시 수행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현재 한중교류센터에서는 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 및 교역을 위한 정보제공을 목표로, 중국에서 바라본 한국기업에 초점을 맞추어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현지화 과정 성공・실패요인 분석, 중국 경제통상관련 제도 및 관행, 그리고 중국 관광객 유치방안, 인천지역 내 차이나타운 조성방안 등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동 센터는 중국진출 관련기업에 실무적인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중국시장동향 소식지를 200여 업체 이상 발송하여 중국시장 전반에 대한 기업들의 이해를 높이는데 힘쓰고 있다. 그리고 국제교류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중국 각 지역 무역・투자설명회와 관련 세미나를 수시로 개최・지원하여 많은 기업들의 호응을 얻어가고 있다. 한중교류센터는 향후 중국관련 기업 비즈니스 자문・지원기능, 국제교류기능 및 연구사업을 확충해나갈 계획이며, 중국 경제관련 기초자료(특히 중국내 자료)의 지속적인 정리와 향후 웹페이지 운영을 위한 D/B 구축에 힘써, 명실상부한 중국관련 전문기관으로 정착하여 본격적으로 기업들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사회과학원(社會科學院), 중국 주요 도시 경쟁력 평가
〈China-Focus〉사회과학원(社會科學院), 중국 주요 도시 경쟁력 평가 KOTRA는 최근 중국 사회과학원이 실시한 중국 24개 도시 경쟁력 평가 결과를 게재했다. 이는 97〜99년 도시별 통계수치와 각계 전문가 의견, 거주민 설문조사 등을 종합한 것으로, 조사대상 도시중 종합경쟁력 상위 10개 도시는 상하이(上海), 션전(深 ), 광저우(廣洲), 베이징(北京), 샤먼(廈門), 우시(武錫), 텐진(天津), 다롄(大連), 항저우(杭州), 난징(南京)으로 나타났다. 각 도시별 경쟁력 우위분야는 다음과 같다. 상하이(上海) : 종합경쟁력 1위 자본, 과학기술, 관리 등에서 1위, 인재, 문화 등은 2위로 종합경쟁력 1위이다. 사회기초시설이 풍부하며, 정부의 업무효율성이 높고 서비스 관념이 양호하다. 션전(深 ) : 개방화 정도 1위 하이테크 분야, 기초시설 건설기술 및 개방경쟁력 등이 1위, 관리력이 2위, 자본력이 3위이다. 홍콩과 인접하여 비즈니스 관념이 강한 특징이 있다. 광저우(廣洲) : 기업관리력 1위 기업관리력 1위, 자본력은 5위이다. 중요 가공생산기지로 3차산업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으며, 정부의 사업 효율, 정책 시행이 고도화되어 있다. 베이징(北京) : 종합경쟁력 고속 상승 인재, 과학기술력 1위, 자본력, 금융통제력은 상하이에 이은 2위이다. 하이테크 산업이 신속 발전하고 있는 동시에 3차산업이 발달해 기술집약부문 종사자 비중이 전국 1위이다. 샤먼(廈門) : 평균 경제성장률 1위 평균 경제성장률 1위, 환경경쟁력은 주하이(珠海)에 이은 2위이다. 시장경제화, 외자비중, 비국유기업 비중 등 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우시(無錫) : 섬유산업 경쟁력 1위 섬유산업 경쟁력 1위, 비농업 분야 비중은 2위이다. 경제안전지수 및 사회안정지수가 매우 높으며, R&D투입, 특허, 하이테크산업 등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텐진(天津) : 성장잠재력 1위 인력, 자본, 과학기술제품 산출량 등이 1위이다. 교통이 편리하고 기초시설이 완비되어 있으며 제조・가공업 기초가 튼튼하다. 투자이윤 회수율이 높아 다국적기업의 생산기지로 이용되고 있다. 다롄(大連) : 도시미관 1위 환경 및 도시건설, 녹화가 1위이다. 산업분포, 인구밀도가 적절하고 개방경쟁력이 높으며, 대외교류가 활발하다. 그 회 둥관(東莞)은 제조업경쟁력 상승률 1위, 칭다오(靑島)는 유명기업체 수 최다, 충칭(重慶)은 서부지역 종합 경쟁력 1위, 쑤저우(蘇州)는 외자비중 1위, 하얼빈(哈爾濱)은 동북지역 종합 경쟁력 1위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도시경쟁력을 판단하는 절대적인 근거라기 보다 각 도시별 특징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대규모 사회간접자본 프로젝트
중국은 지역 불균형적 발전 전략에서 벗어나 서부대개발의 기치아래 전국적인 균형발전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발전을 이루기 위해 중국정부는 전국적인 규모의 사회 간접자본의 구축을 우선 추진하고 있다. 중국이 벌이고 있는 주요 사회간접자본 구축 프로 젝트들을 살 펴본다. 1.대륙을 가로지르는 송전프로젝트:서부 전력의 동부지역으로 송전(西電東送)중국의 수자원분포는 불균형이 심한 상황이다. 수력발전으로 개발 가능한 자원 중 90%가 중국의 서남부, 중남부 및 서북지구에 집중되어 있는 사실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수력발전 자원의 분포와 전력사용 분포간의 불균형은 객관적으로 수력발전의 개발과 이용을 제한하고 있다. 경제발달지역과 미발달 지역간의 상호 유리한 분야를 보충하기 위해 이미 오래전에 중국국무원은 “서부 전력을 동부지역으로 송전한다는 이른바 서전동송 (西電東送)”프로젝트를 실시키로 결정하였었다. 관련 부문의 계획에 따르면 전력송전 프로젝트는 3개의 주요 송전망 형성을 목표로하고 있다. 1)남부송전망 꾸이쩌우(貴州)성의 우강(烏江),윈난(雲南)성의 란창강(瀾滄江)과 꽝시(廣西)-윈난-꾸이 쩌우 세지역의 접경지인 난판강(南盤江),뻬이판강(北盤江),홍수이하(紅水河)의 수력발전자원 및 꾸이쩌우,윈난 두 성(省) 광산지역 화력발전소의 전기에너지를 개발하여 꽝뚱(廣東) 지 역으로 송전하는 전력망 형성. 2)중부송전망 삼협과 진샤강(金沙江) 지류의 수력발전을 주로 화동지역(상하이,지앙쑤,저지앙 등)으로 송전하는 전력망 형성. 3)북부송전망 황하 상류의 수력발전과 산시(山西).내몽고(內蒙古) 광산지역의 화력발전을 베이징.천진. 당산 지역으로 송전하는 전력망 형성. 현재 이러한 서부지역의 전력 송전 프로젝트는 초보적인 단계지만 어느 정도 형성단계에 접어들었다. 지난해 11월 아래 7개의 주요 송전망 형성 공사를 시작하였다. ①꾸이쩌우(貴州)성 홍지아뚜(洪家渡) 수력발전소 ②꾸이쩌우성 인쯔뚜(引子渡)수력발전소 ③ 우지앙뚜(烏江渡) 수력발전소 확충 ④ 티엔셩챠오(天生橋)-꽝뚱 간 제3차 500KV 교류 송전선 공정 ⑤충칭(重慶) 완현(萬縣)-삼협발전소 간 500KV선로공사 ⑥윈난성 슈엔웨이(宣威) 화력발전소 ⑦윈난성 빠오펑(寶峰)-루어핑(羅平)간 500 KV 교류 송전 선로 공정 중국정부는 전력 송전 프로젝트를 순조롭게 진행하기 위하여 송전망 건설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2000년부터 중국국가전력공사에서 인민폐 300억을 연속 투입하여 삼협송변전 공정 및 동북-화북,서북-화중,화중-화북,쓰촨충칭-서북,푸지엔(福建)-화동,산동-화북 등 7대 지역간 송전망 공사를 추진하였다. 10차5개년 계획기간(2001-2015년간)중국정부는 남부송전망 건설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2.남부의 수자원을 북부로 공급하는 프로젝트(南水北調) 중국의 수자원은 그 분포가 극히 불균형적이다. 북방은 건조.반건조 지역에 속하며 황하. 회하 유역의 일인당 수자원은 전국 평균수준의 1/5,세계 평균수준의 1/16에 불과한 중국에서 수자원이 가장 부족한 지역이다. 이러한 북방지역의 수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 중국정부는 50년대 이래 남부의 수자원을 북부로 공급해주는 프로젝트에 대해 조사 및 타당성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우선 동부지역의 남과북을 연결하는 방안이 제기 되었으며, 80년대 중반에는 중부지역의 남북을 연결하고 그 후에 동부지역을 연결하려는 순 차적인 건설방안이 제기되었다. 남수북조의 수자원 공급 프로젝트는 양자강을 중심으로 양자강의 상류-중류-하류로 각각 남부의 물을 북으로 끌어간다는 즉 '서부라인 공사(西線工程)'-'중부 라인공사(中線工程)' -'동부라인 공사(東線工程)'의 세 공사로 구성되어있다.지난해 11월 '남수북조'공정회 좌담회에서 중국지도부가 수자원절약, 수질오염방지,환경보호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면서 남수북조 공정을 시행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어 단순한 수자원 연결 차원을 넘어선 공사임을 명확히 하였다는 것도 동 프로젝트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관련 프로젝트는 단계적으로 시행에 들어갔다. 1)동부라인 공사 양자강 하류의 양쩌우(揚州),지앙뚜(江都)구역에서 13단계의 물을 끌어올리는 계단형 설비와 황하 하상의 지하도를 통해 양자강의 물을 북방의 티엔진 및 허뻬이(河北)성 지역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동부라인공사는 주로 황하.회하.해하(海河) 평원 동부지역의 물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공사로 주요 간선의 길이는 1,150km에 달한다. 2)중부라인 공사 양자강 호북성의 딴지앙커우(丹江口) 저수지의 물을 베이징으로 공급하는 공사이다. 주로 베이징, 티엔진 및 베이징-꽝쩌우 간 철도에 연해있는 도시들의 물 사용과 화북지역의 환경 용수 및 농업용수로 사용될 전망이다. 주요 간선의 길이는 1,240km이다. 3)서부라인 공사 현재 계획으로는 따뚜하(大渡河),야롱강(雅 江),통티엔하(通天河)에서 150억입방미터에 달하는 물을 황하 상류로 끌어들여 주로 닝시하(寧夏),내몽고(內蒙古),산시(陝西),산시(山西) 지역에 물을 공급한다. 3.대륙횡단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공사(西氣東輸) 중국 서부는 천연가스 자원이 비교적 풍부한 지역으로 전국 천연가스 총자원의 60%를 차 지하고있다. 특히 신쟝(新疆)의 타림분지 지역이 중심 저장지역으로 전국 천연가스 자원 총량의 22%를 차지하고있다. 그러나 서부지역 자체에서는 이 자원에 대한 수요가 별로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심각한 수급의 불균형은 관련 지역의 천연가스를 경제가 발달하여 수요 가 많은 동부지역으로 공급한다는 프로젝트의 현실적인 기초가 되고 있다. 중국정부는 이러 한 대륙횡단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공사를 통해 서부지역의 천연가스 자원의 우세를 서부지역의 경제발달의 동력으로 삼고, 또한 가스를 공급받는 지역들 (성,자치구,직할시 등) 의 산업구조와 에너지 구조를 조정하여 경제효율을 높이려는 원대한 목표를 갖고있다. 가스공급 주 파이프라인은 총 길이 4,200km으로,신쟝 타림분지의 룬난(輪南)유전에서 시작하여 쿠얼러(庫爾勒),깐수(甘肅)성 우웨이(武威),닝시하(寧夏)자치구 깐탕(甘塘), 산시 (陝西)성 징삐엔(靖邊), 산시(山西)성 린펀 (臨汾),허남(河南)성 쩡쩌우(鄭州),안후이(安徽 )성 띵유엔(定遠),지앙쑤(江蘇)성 난징(南京)을 거쳐 최종적으로 상하이에 연결된다. 주간선은 가스수송규모가 연간 120억 입방미터가 되도록 설계되어있다. 현재 관련 공사계획은 세 단계로 나누어 있다.(주: 현재 공사진척은 프로젝트에 참여할 업체 유치 단계이다.) 1)일단계 계획 쓰촨(四川),충칭(重慶)의 가스유전에서 매년 30억 입방미터의 잉여가스를 우선 우한 (武漢)으로 수송하고, 우한에서 신양(信陽)까지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동시에 산시-깐쑤-닝시하 접경 분지의 천연가스를 신양으로 수송하며, 신양에서 다시 이 가스를 상하이로 재 수송 하는 수송망이다. 2002년에는 동 수송망의 수송능력이 40억 입방미터에 달하도록 할 계획이다. 2)이단계 계획 차이따무(柴達木)분지의 천연가스를 란쩌우(蘭州)로 수송하고,란쩌우에서 시안(西安)까지 파이프라인을 설치하여 차이따무.산시-깐수-닝시하 및 쓰촨-충칭 3대 가스유전이 양자강 중 하류 지역의 가스공급기지화 한다. 2005년에는 80억 입방미터의 가스 수송능력을 갖추게 된다. 3)삼단계 계획 타림분지의 천연가스를 동부지역으로 수송토록 한다. 이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2007년에 이르면 양자강 중하류 지역으로의 가스 공급량이 140억 입방미터에 달하며,2010년에 이르면 190억 입방미터에 달하게 되어, 향후 30여년간 안정적인 천연 가스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현재 일단계 공사와 관련 파이프라인 노선이 초보적으로 확정된 상태이며 2001년에 서부 라인과 동부라인으로 나누어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며, 2004년에 관통시킬 예정이다. 초보적인 추산에 따르면 공사에 소요되는 강재가 174만톤, 소요되는 용접재가 5100톤,토목 공사량이 3000만 입방미터에 달할 전망이며, 동시에 대량의 물,목재,공기펌프,측량측정기기 및 자동화 설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 파이프라인 공사의 67%가 서부지역에서 이루어지는데 신쟝 가스유전에 대한 고정자산투자만도 인민폐 200억 이상에 이를 전망이다. 이런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면 현지의 경제발전을 가져올 뿐만아니라 재정수입 및 대량의 취업기회를 창출하게 될 것으로 중국정부는 내다보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대륙횡단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공사는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에너지 구조를 개선시킬 뿐만아니라 파이프라인에 연해있는 지역의 철강, 시멘트, 기계전자, 건설 등 부문의 성장을 가져 올 것이라고 지적하고있다. 4.삼협댐 공사 삼협댐 공사는 지난 1992년 4월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 7기 5차회의 에서 심의를 거쳐 통과됨으로써 본격적인 추진에 들어갔다. 실제 건설 공사가 시작된 것은 그로부터 2년 반이 지난 1994년 12월이었다. 삼협댐 공사는 지난 50년래 중국이 사도한 프로젝트 중 그 종합적인 성과가 가장 큰 공사 로 평가받고 있다. 삼협댐의 공사 총량은 2,643만 입방미터로 후뻬이(湖北)성 이창(宜昌) 시의 꺼쩌우(葛洲)댐 공사의 2.5배에 해당되는 공사량이며, 현재 세계 최대 수력발전소인 브라질의 이타이푸 공사의 2배에 해당되는 양이다. 삼협공사의 발전기 세트는 현재 세계 최대의 발전기 세트로 발전기 한기의 용량이 70만 kw에 달해 전체 공사가 완공되면 발전량은 1,820만kw에 달하게된다. 삼협댐 공사의 선박 통행을 위한 갑문은 영구적인 건축물로 상하 양방향의 5단계 연속 사다리식 갑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세계 최대의 갑문이다. 삼협댐공사의 댐은 시링협(西陵峽)의 이창시(宜昌市) 난진관;(南津關)에 건설하고 있는데 유리한 지리적 위치로 인해 양자강 상류의 홍수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징강(荊江)하단에 있는 홍수방지용 표시를 하상의 상승으로 현재 10년에 한번씩 높이고 잇는데 삼 협댐이 건설되면 100년에 한번 조정하게 될 전망이다.) 연평균 발전량 847억kwh로 계획된 삼협댐은 경제가 발달하였지만 에너지가 부족한 화중.화동 지역에 더욱 확실하고, 저렴하며 깨끗하고 재생할 수 있는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삼협댐공사는 후뻬이성 이창에서 충칭까지의 660km의 항로의 효율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고 만톤급 의 선박이 직접 충칭에 도달할 수 있게되어 통항 능력이 1,000만톤에서 5,000 만톤으로 향상되고 선박운송 코스트가 현재보다 35%-37%이상 내려갈 전망이다. 삼협댐공사는 총 공사기한이 17년으로 3기로 나누어 공사를 하고있다. 1기공사는 1993- 1997 년간으로 양자강을 가로 막는 공사였다. 2기 공사(1998-2003년)목표는 최초의 발전기 세트를 설치 발전을 시작하고 갑문을 건설하여 선박들이 통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3기 공사( 2004-2009년)목표는 주요 공정을 모두 완성하고 26대의 수력터빈 발전기세트 모두를 가동 발전하는 것으로 이것으로 전체 공정을 끝내게 된다. 5.베이징-상하이간 고속철 공사(京호高速鐵路工程) 중국내에서 베이징-상하이간을 잇는 교통망은 비교적 발달한 편이지만 운송수요와 비교 하면 운송능력이 상대적으로 모자라는 지역이기도 하다. 총연장 1,463km인 베이징- 상하이 (경호)철도는 승객/화물 운송이 가장 빈번한 중국의 주요 간선이다. 1995년 조사한 통계에 따르면 화물운송과 승객운송 밀도에 있어 전국 평균 수준의 각각 5.2배와 3.6배에 달할 정도로 운 송 밀도가 높다.(주:'호'는 상해를 표시하는 글자로 水(삼수변)+戶) 80년대 중반에 이미 중국 철도부가 초보적인 구상을 제시한 바있으며,1990년에 국무원의 비준을 얻어, 시험적으로 전장 147km인 광주-심천 노선을 시속 160km인 철도로 개조하였다. 1992년 베이징에서 개최한 '중국고속철 세미나'에서 고속철을 건설할 조건이 가장 성숙 된 역으로 베이징-상하이 철로로 인정하였다. 1994년 광주-심천간 준고속철이 건설되면서 중국 이 자체 개발한 기관차로 구성된 실험열차가 최고 시속 183km로 달렸다. 이와 동시에 국무 원은 철도부의 “경호고속철 예비 사업타당성검토서”를 비준하였다. 1998년2월 중국의 고 위층은 경호고속철을 2000년에는 기공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아직 기공하지 않은 상 태임. 현재 독일 등 유럽 방식과 일본 방식 중 어느 방식을 도입할지를 검토하고 있는 단 계임.) 경호고속철은 여객운송을 전문으로 하는 복선 전기화철로로, 베이징역에서 출발하여 천 진, 제남,서주,방부(蚌埠),남경을 거쳐 상하이에 도착하도록 설계되어있다.(현재의 베이징- 상하이간 철도와 대체적으로 같은 노선으로 건설될 예정) 고속철은 일반 철도보다 다소 짧 은 총연장 1,300km로 26개 역을 설치하며,역간 평균거리는 55km 으로 계획하고 있다. 역의 경우 베이징 , 천진, 제남, 서주, 남경, 상하이의 경우 기존 시설을 조금 개조하여, 기존의 간선철도와 연결을 시키는 것으로 구상하고있다. 베이징-상하이간 고속철은 토질이 대체적으로 무른 중국의 동부연해 평원지역을 지나가며 , 일부 선로는 연토(軟土)지대와 하천의 수해발생 지역을 통과하는 관계로 고가교량 설치가 많아져 고가교량이 총연장의 33%, 터널이 1.3%에 달할 전망이다. 고속철 건설을 위해서는 토석 1.1억 입방미터가 소요될 전망이며, 토지작업이 필요한 면적은 약 6천ha에 달할 전망 이다. 베이징-상하이간 고속철이 완공되면 여객운송시간이 현재의 14시간에서 6시간 이내로 대폭 단축될 것이다. 이 고속철은 중국 최초의 남북지역을 연결하는 고속철이 될 것이다. 6.티베트 지역 연결철도 공사(西藏鐵路工程) 시짱(티베트 西藏)지역은 중국에서 유일하게 철도가 없는 자치구(성과 동급 행정구역) 이다.중국 정부는 지난 50년대부터 탐측과 설계를 해왔으나 최종적으로는 1985년에 칭하이(靑海)-시짱을 연결하는 철도 공사에 착수 칭하이성 내의 시닝(西寧)-꺼얼무(格爾木)를 연결하 는 1기 공정을 완공하였다. 그러나 여러 가지로 이유로 꺼얼무에서 라싸에 이르는 노선은 건설되지 않았다. 중국정부는 시짱으로 진입하는 철도 건설의 필요성이 높아지자 2001-2005년간 추진되는 제 10차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계획에 시짱으로 진입하는 철도공정을 포함시켰다. 국가의 중심 프로젝트 중 하나가 된 것이다. 중국정부는 시짱으로 진입하는 철도를 1)칭하이-시짱,2)깐쑤-시짱,3)쓰촨-시짱,4)윈난-시짱의 네 방향에서 검토하였으나 기존에 설치된 칭하이-시짱선(칭하이성 부분만 건설되어 있음)을 연장하여 시짱의 중심인 라싸로 연결하는 것이 가장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향후 건설해야 할 철도의 길이는 1,100km에 달하고 있다.(현재 시닝-꺼얼무 간의 기존 철도도 2001 년 10월까지 확대개선할 계획이다.) 서부대개발 정책이 추진되면서 윈난(운남)성과 서짱을 잇는 윈난-시짱선(1,594km)의 사업 타당성이 초보적으로 검토된 단계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서부지역 투자환경개요
〈개황〉 물리적인 투자환경은 양호한 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중국정부가 외환관리체제, 외자기업 세수제도, 세관 관세규정 등 여러제도 등을 정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행과정에서 신중성이 부족하고 정책창구가 일원화되어 있지 않아, 과거 보다 많이 개선되긴 하였지만 진출확대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지역별 투자 확대 방향〉 중국은 80년대에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점 → 선 → 면으로 이어지는 개방전략을 취해왔으며, 90년대 들어서는 "전방위 다원화" 전략을 취했다. 특히 9차 5개년 계획기간중에는(96-2000) 지역을 7개로 나누어(동북지구, 환발해지구, 장강삼각주 및 연해경제구, 중부지구, 동남연해지구, 서남지구, 서북지구) 경제개발을 추진한 바 있다. - 7대 경제구개발계획 : 제8기 전인대 4차전체회의에서 중장기적으로 성,자치구 등 행정구역에 의한 경계선을 타파하고 지역간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전국을 7대 경제구로 나누어 각 지역에 부합하는 산업을 집중 육성키로 결정하였으며 단 산업의 획일화와 중복투자는 방지하고 동부지역과 중서부지역의 우위성을 감안한 산업정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99년 11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2000년 주요사업으로 "서부대개발"계획 추진을 공식 확정하고 1월하순 국무원 서부지역 개발팀을 주체로 하여 省市대표를 소집, 지역개발에 대한 기본방침을 정했다. "서부"란 陝西, 甘肅, 靑海, 寧河, 新疆, 西藏, 雲南, 貴州, 四川, 重慶, 廣西, 內蒙古등지로 정부당국의 "서부대개발" 계획은 덩샤오핑(鄧小平)이 제시한 바 있는 '90년대에는 동부연해지역의 유리한 요소를 활용하여 우선 개발하고 2000년이후 동부연해 지역의 발전을 중서부 지역의 개발에 활용, 공동발전을 모색해야 한다는 《兩個大局》'론에서 출발한다. 20여년의 대외개방을 거쳐 동남연해 지역경제가 상당한 발전을 하고, 서부도 기본적으로 일정한 기초적인 토대가 형성되었다고 전제할 때, 서부개발은 중국경제의 당면과제인 구조조정, 지역경제 발전, 내수부양과 관계될뿐만 아니라 민족단결, 사회안정이라는 경제이면의 효과도 수반하기 때문에 정부가 중장기 발전계획의 핵심과제로 삼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서부대개발"의 기본방침은 "우선 인프라구축을 강화한 다음 산업구조를 조정하여 과학기술과 교육을 발전시키고 인력을 배양, 대외개방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서부는 총 면적이 540만㎢로 전국의 56%를 차지하고 있고 인구는 2.85억으로 전국의 23%를 점유하고 있다. 탐사된 매장자원만해도 전국의 68%에 이르고 있으며 이밖에도 에너지, 관광자원 등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앙 및 지방정부가 서부개발의 추동력이 될 외국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내는 홍보자료에는 '서부지역의 풍부한 자원 예를들면 양모, 과일, 중약재, 석재 등을 이용하여 현지가공을 진행할 수 있고 군사공업기지, 중공업도시(시안,란저우 등)의 과학기술역량과 공업기초를 이용,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풍부한 관광자원으로 관광업 등 서비스업 발전이 유망하고, 신쟝(新疆)의 변경무역을 통해 현지 가공품의 중앙아시아 진출이 가능하다'라는 내용이 중점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각 지역별 특징과 대만기업의 투자현황
최근 대만의 월간지 《投資中國》6월호에서 대만기업들의 중국 지역별 투자현황을 다룬 특집을 마련했다. 《投資中國》에 따르면, 1991년부터 2001년말까지 중국에 투자한 대만기업은 62,351개사, 투자액은 959.87억달러이며, 투자업체순으로는 광동성이 총 14,136개사로 중국 31개 지역 중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강소성, 복건성, 상해시, 절강성 순이며, 투자금액순으로는 강소성, 광동성, 복건성, 절강성, 상해시 순이다. 다음은 그 내용을 요약정리한 것이다. □ 동북지역 동북3성은 석유, 천연가스, 석탄, 철 등 천연자원이 풍부하다. 요녕성의 철매장량은 중국 1위로, 철강재 및 철의 생산량은 전국20%를 점유한다. 요녕성 鞍山과 本溪철강회사는 중국 최대의 철강회사이다. 흑룡강성의 大慶, 요녕성의 遼河는 중국의 주요 유전지이다. 동북3성은 농업의 주요 생산지이기도 하여 옥수수, 벼, 소맥, 대두 등 농작물과 아마 등 경제작물을 생산하고 있다. 요녕성은 백년의 공업역사를 자랑하며 중공업과 국영기업 발전의 중심지로, 야금, 석유화학, 기계, 건자재를 지주산업으로 하고 전자공업을 신흥산업으로 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경공업은 제지, 방직이 주를 이룬다. 길림성은 삼림과 곡물은 풍부하나, 2, 3차 산업이 발전 주축이다. 자동차, 석유화학, 식품, 의약 등이 지주산업이며, 전자산업도 점차 발달하고 있다. 또한 중국 6대 林地 중 하나로 임업 용지면적은 성 면적의 50% 차지하고 있으며, 백두산의 인삼, 영지, 천마 등 한약재는 품질이 우수하고 종류가 다양하기로 유명하다. 흑룡강성은 산업화는 요녕성에 미치지 못하지만 대경유전으로 인해 하얼빈을 중심으로 한 석유화학, 기계 등 공업이 주력산업으로 발달해 있다. 대만투자심의회(投審會)의 통계에 따르면, 대만기업들의 동북지역 투자는 요녕성에 집중되어 있다. 실제 투자액은 2.3억 달러로 동북지역 총투자액의 87%를 점유하며, 다음은 길림성으로 투자액과 점유율은 각각 1,900만 달러, 7.1%, 흑룡강성은 1,500만달러, 5.8%이다. 대부분 투자는 주요 도시인 심양, 대련, 하얼빈, 장춘 등에 집중되어 있다. 투자산업별로는 2001년말 현재 식품, 음료, 기본금속 및 금속제품, 전자전기제품, 고무제품, 화학품 제조 순이며, 방직, 창고, 금융보험업 등에 진출한 기업은 아직 없다. □ 화북지역 주강삼각주, 장강삼각주에 대한 투자가 점차 포화상태에 이르고 중서부 지역의 투자환경이 아직 미흡한 상황에서 화북지역(환발해구)은 대만기업들의 신흥투자지역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다. "선부론(先富論 : 연해지역을 먼저 발전시키는 정책)" 정책으로 화남, 화동 지역이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9차 5개년 계획 이후 중국은 화북을 중점발전지역으로 삼아 향후 15년동안 1조위안의 투입해 방대한 인프라 건설을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화북지역의 대만기업은 약 7000개사로 중국 전역의 8%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산동성이 2800여개사, 화북성 2500여개사, 북경시 1700여개사, 천진시 1500여개사 순이다. 전반적으로 화북지역의 대만기업들은 중소규모로 이루어져 있다. 하북성과 북경, 천진의 관계는 강소와 상해의 관계와 비슷하다. 물론 화북지역의 투자환경이 화동지역만 못하기 때문에 하북지역 투자기업수나 투자금액이 강소성에 미치지는 못한다. 현재 하북성의 대만업체 분포를 보면 북경에 근접한 廊坊이 가장 많고, 石家庄, 保定 순이다. 대부분 소자본 위주의 중소기업이며, 唐山 일대에는 도자기 제조업체들이 다수 진출해 있다. 북경의 가장 큰 특색은 중국 하이테크 연구개발 중심인 중관촌이 있다는 것이다. 중관촌은 가장 강력한 과학교육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과학기술 분야의 대만기업들이 투자해 있다. 현재 북경시에서 비준한 1700여개 대만기업 중 중관촌 내에 있는 기업은 140여개사이다. 북경은 정치, 정책결정의 중심으로 대만기업들의 경제활동도 다소 신중한 편이다. □ 화동/화남지역 1992년 등소평이 "남순강화(南巡講話 : 중국 남부지방을 시찰하며 빠른 개혁・개방을 역설한 일)"를 할 때 당초 상해를 경제특구로 지정하지 않아 상해 발전이 10년이 늦었음을 후회했다. 그러나 시작이 늦었기 때문에 90년대 상해가 경제적으로 급성장할 수 있었고, 상해를 중심으로 한 화동은 이미 화남의 주강삼각주를 대체, 대만기업들이 가장 많이 찾는 투자지역이 되었다. 90년대초 蘇州에 투자한 전자업체 明基benq는 화동지역 투자의 선행자라 할 수 있다. 明基蘇州 공장은 蘇州에 투자해 성공을 거두었으며 蘇州도 明基 때문에 대만투자자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고 더 많은 대만투자를 유치할 수 있었다. 明基의 성공은 國巨, 力捷, 華碩 등 유명 대만전자업체들의 蘇州 투자를 유발해 현재 3,000여개의 대만기업이 蘇州(昆山 포함)에 투자했다. 과거 농업도시였던 昆山은 1990년 첫 대만기업인 順昌방직이 입주한 후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했다. 투자분야도 초기의 방직과 의류가공업 위주에서 노트북, 핸드폰, 정밀화공, 정밀계측기 등으로 전환되었다. 절강성은 상해 배후의 제조지역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항주만 일대의 대만업체들은 상해, 소주 지역 대만업체들에 부품을 제공하는 부품업체들이며, 일부 대만업체들은 공장은 항주나 영파에 세우고 상해에는 판매거점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출했다. 앞으로 소주, 절강 양 지역을 넘나드는 항주만대교 건설로 상해, 항주, 영파간의 이런 연계 현상은 더욱 뚜렷해질 것이다. 10년 전 만해도 화동은 복건, 광동으로부터 투자유치 방법을 배워야 했으나 지금은 광동, 복건이 昆山, 蘇州 등지에 사람을 파견해 배우고 있다. 현재 화남지역의 대만업체는 2만개를 초과하였으나 장강삼각주의 투자매력이 증가하면서 화남지역의 투자유치가 어려워지고 있다. 화남지역은 중국 개혁개방의 선구자로 개혁개방 초기 하문, 심천, 산두, 주해, 해남을 경제특구로 지정, 대만투자열기를 불러일으켰다. 당시 대만의 많은 중소기업들은 토지, 노동원가 상승으로 곤경에 빠지자 해외에서 새로운 탈출구를 찾기 시작했고 화남지역의 저렴한 노동력과 토지 원가는 대만 중소기업이 원하던 것이었다. 때문에 많은 업체들이 화남지역으로 공장을 이전하기 시작한 것이다. WTO 가입 후, 중국 내수시장이 관심의 초점이 되면서 수출을 위주로 한 화남지역 대만업체들도 내수시장 진출을 위해 속속 장강삼각주에도 공장을 설립하였다. 그러나 화남지역은 여전히 대외무역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화북지역의 투자환경 정비, 고급인재 밀집 등의 상황에서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있는 화남지역이 더 많은 투자유치를 하기 위해서는 더 낳은 투자환경을 조성하고 산업을 업그레이드 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 내륙지역 광대한 중서부 내륙 지역에 진출한 대만기업은 1만개사 정도로 중국투자 대만기업의 1/6을 차지하고 있다. 동부연해지역의 시장경쟁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많은 대만기업들이 중서부의 대도시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1999년 인프라 건설, 생태환경보호, 산업구조조정, 과학교육발전, 인재육성을 통한 개혁개방 가속화라는 서부대개발 전략을 공표하면서 해외기업들이 가장 발전 잠재력이 있는 중서부 지역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현재 중서부 지역은 교통운송 시스템 미비, 인력자원 부족, 시장경제관념 희박 등 문제가 상존하며, 농민 위주의 중서부 지역에서 기업할 분위기를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중서부 지역에 진출한 대만기업들 중 대형기업들은 내수시장 개척을 위한 물류창고나 판매거점을 마련하고 있으며, 중소기업들은 물류인프라가 아직 발달하지 않은 틈을 이용, 소자본유통을 하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서부대개발
가. 추진배경 - 중국정부는 3단계 발전전략을 추진, 1,2단계인 溫飽(배불리 먹을 수 있는 단계)와 小康단계(여유있는 생활 단계)가 각각 80년대와 90년대에 달성되었다고 평가하고 3단계인 현대화 단계를 2000년대에 실현하기 위해서 서부 개발이 불가피하다고 판단 - 동부 연해지역이 그간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여 국가재정수입의 대부분을 담당해왔으나, 현재 산업구조 조정단계에 진입, 동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중서부지역의 막대한 시장, 숙련된 노동력 및 광산자원 등 자원개발이 필요 - 특히 서부대개발 정책을 중점 제기하고 2001년부터 시작되는 제 10차 5개년 계획의 중심으로 삼고자 하는 것은 서부개발을 통하여 경제적으로 심각한 내수부진 문제를 해결하고, 소수민족이 주로 거주하는 낙후한 서부지역의 생활수준 향상을 통한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시급했기 때문 . 동, 서부 지역간 경제력 차이(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 ================================================================ 구분 동부 서부 ---------------------------------------------------------------- 면적 13% 56% ---------------------------------------------------------------- 인구 41% 24% ---------------------------------------------------------------- GDP 65% 15% ---------------------------------------------------------------- 연평균성장률(79~98) 12.8% 8.7% ----------------------------------------------------------------- 인프라 투자비율 60% 20% (79~98) ---------------------------------------------------------------- 사회복지 시설 45% 20% ---------------------------------------------------------------- 국유기업 기술인원 51% 17% ----------------------------------------------------------------- 대외무역 99년 총수출액의 91%를 동부지역에서 달성 (광동 및 상해 지역이 전체의 약 50%차지) ----------------------------------------------------------------- 외자도입 서부는 전체도입액의 5.42%에 불과 ================================================================= - 또한 서부지역의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식량이 부족해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분별한 산림개간을 진행, 생태환경이 파괴되어 홍수(98년의 양자강 홍수) 등 자연재해가 빈발하게 되어 서부개발을 통한 생태환경 보호 필요성이 급증 - 한편, 중국정부가 중서부개발을 거론하면서도 특히 서부개발을 강조하는 것은 중부 지역은 전통적 농업 생산지역이면서 공업수준도 일정수준에 달하여 자체발전이 가능 하다고 보나, 서부는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개발을 추진하지 않으면 발전이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 나. 주관부처(서부개발 영도소조 및 판공실) - 서부개발 영도소조는 조장이 주룽지(朱鎔基) 총리이며 국가발전계획위 주임, 재정부장, 인민은행장, 교통부장, 농업부장 철도 부장 등 20개 부문의 지도자들로 구성 - 판공실은 국가발전계획위 주임 쩡페이옌(曾培炎)이 주임을 겸직하고 있으며 산하 조직으로는 3개팀, 즉 정책기획(서부개발 정책수립 등),환경(생태환경정책 시행 등), 경제사회발전(인프라 건설, 산업구조조정 등)팀이 있음 2000년 3월 16일 국무원산하에 서부개발영도소조판공실을 정식설립하고 업무 개시 다. 추진방향 - 서부개발은 3단계 국가발전전략과 결합하여 장기적인 전략으로 추진 개발초기(2000~2005년) : 개발계획 및 정책수립, 주요 기구수립, 홍보, 기초건설 가속화 대규모 개발 (2006~2015년) : 서부지역 개발능력 제고, 투자규모 확대 전면발전 (2015~2050년) : 서부지역의 도시화, 시장화, 국제화 수준 제고 - 중국정부는 최근 2년간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시행하면서 재원의 상당부분을 중서부 지역의 기초시설 건설 및 산업자원조사 등 방면에 투입하고 꾸준한 준비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서부대개발정책을 수십년의 시간을 들여 추진해나갈 장기발전전략의 하나로 간주하고 있음 - 98~99년 내수확대를 위해 발행한 1200억위엔 상당의 국채중 상당부분이 서부 지역에 투입되었으며 98년의 경우 서부지역에 대한 투자액이 동부보다 14% 높았음 - 재원면에서 정부투자외에도 신규 외자 및 연해지역 외자기업의 재투자 등 각종 투자주체의 참여를 적극 추진. 또한 금년에 발행할 국채중 상당부분을 서부지역 인프라 건설에 투입하고 서부건설에 참여하려는 일반기업에 대한 대출을 늘려 서부 건설에 참여토록 유도할 계획 - 개발전략면에서 맹목적인 자원개발을 배제하고 생산능력 확대 및 경쟁우위가 있는 첨단산업 육성에 주력 . 서부지역은 항공 우주산업 등 하이테크 산업에 비교우위가 있으며 특히 서안은 첨단 기술 산업단지로 전망이 밝음 - 개발형식면에서 종래의 조방형 개발로부터 지속발전 가능형으로 전환, 생태환경 건설과 연계 추진 . 특히 서부지역은 중국의 식수원인 황하 및 장강상류에 위치한 점을 감안하여 환경 친화적인 개발을 중시하고 경작지를 산림, 초원 등으로 환원하는 사업 추진 - 단계별 개발계획을 수립, 우선 기초시설 건설과 생태환경 건설에 주력하고 경쟁력 있는 산업 및 제품을 육성 발전 . 장기적으로 서부의 자생적 발전능력제고 - 지역적 특성에 알맞는 발전전략 추진 . 운남성은 열대, 아열대의 풍부한 생물자원을 활용, 사천성은 가공공업, 섬서성은 첨단기술산업, 신강은 면화와 토마토, 천연가스 등을 개발 라. 세부 사업계획 - 2000년말까지 서부대개발 종합계획 수립 - 개발정책을 촉진시키기 위한 과학기술 교육 및 인재유치 정책 중점연구 - 인프라 확충(2000년착공 10개 신규건설사업) ================================================================================ 프로젝트명 주요내용 -------------------------------------------------------------------------------- 1.西安-南京철도의 西安-合肥 西安에서 南陽을 거쳐 南京으로 이어지는 철도 착공, 구간 건설 올해 우선 RMB 232억 (U$280억)을 투입, 西安-合肥 구간 995km 길이의 철도건설 -------------------------------------------------------------------------------- 2.重慶-懷化철도 重慶-懷化의 철도 640km 구간 건설을 위해 RMB 182.3억 (U$22억) 투자 -------------------------------------------------------------------------------- 3.서부 간선도로 건설 국도 주요 간선도로 및 빈곤지역과 통하는 도로 1,700km 건설 -------------------------------------------------------------------------------- 4.공항건설 西安 咸陽국제공항,成都 雙流, 蘭州 中川 공항 등 -------------------------------------------------------------------------------- 5.重慶 고가 철도 건설 重慶의 교통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重慶에 RMB 32.58억 一期공정 을 (U$3억9천만) 투자, 13.5km 길이에 총 14개 역을 경유하는 고가 철도 건설 -------------------------------------------------------------------------------- 6.紫達木분지 천연가스관 紫達木에서 靑海의 西寧을 거쳐 蘭州에 이르는 연간 수송 공사 (총연장 953km) 규모 20억입방미터의 가스 수송관 건설 --------------------------------------------------------------------------------- 7.發電 및 홍수방지용 四川의 紫坪鋪 프로젝트 수리시설공사 - 都江堰과 成都의 물공급량을 550입방미터 늘이고 매년 (투자액 총 RMB 75억) 34억 kw시의 전력을 발전하기 위하여 건설 寧夏 회족자치구의 沙坡斗 수리시설 건설 - RMB 13억(U$1억6천만)을 투자, 76,600헥타의 토지를 관개하여 지역의 홍수방지능력을 높이고 연간 7억kw시 의 전력을 생산하도록 함 ---------------------------------------------------------------------------------- 8.생태계 건설 및 황무지 13개성에 걸쳐 경작지로 이용되던 343,300헥타의 토지를 조림사업 녹화하고, 432,000헥타의 황무지에 인공조림 또는 초원 조성 ---------------------------------------------------------------------------------- 9.칼륨비료공사 靑海성 鹽湖지역의 칼륨비료 생산에 투자, 농업생산성과 성 경제발전을 도모 ---------------------------------------------------------------------------------- 10.서부지역 고등교육 국채발행 자금으로 서부지역 고등교육기관 지원 기초시설 ================================================================================== - 중앙부처별 주관사업 . 철도부: 10.5계획기간중 RMB 1000억을 투자하여 6개 철로(3,000km)건설 . 교통부: 향후 10년간 RMB 7000억(850억불)을 투자, 35만km 도로건설 계획 . 민항국: 공항건설 및 서부 간선공항 네트워크 구축 . 농업부: 생태환경 보호에 이로운 농업, 절수 농업 및 목축업을 중점적으로 발전 . 정보산업부: 통신건설 . 임업국: 장강 및 황하 중상류 조림녹화사업 추진, 자연보호구 설립 등 10년 임업 건설 계획 . 국가전력공사: 대중형 수력발전소, 수력기지 건설 . 과학기술원: 서부 국토자원과 생태환경 현황조사 실시 및 시범기지 건설 (RMB 2.5억 투자) . 인사부: 인재자원 개발계획 연구 마. 재원조달 - 인프라 건설사업에 소요되는 자금은 주로 국무원의 국채발행의 70%, 중앙정부 재정 예산의 70% 외국정부차관의 70%로 충당할 계획임 - 상기 재원외에도 지방 성시정부가 자체 발주하는 사업에 해당 성시 재원이 투입되며 외국기업들의 직간접투자 자금도 이용될 것임 바.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우대정책 - 중서부 지역 각성 자치구, 직할시가 국가의 비준을 거쳐 제정한 외자도입산업과 프로젝트 사업목록에 대해서 국내에서 생산하지 못하거나 질적으로 수요를 만족 시킬 수 없는 관련설비 도입 및 기술, 원자재, 부품을 외국으로부터 수입할 경우 수입설비 세수정책조정에 관한 국무원의 통지에 따라 수입관세를 면제 - 중서부지역에 있어서의 외국인 투자분야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고 외상투자기업 설립조건 및 주식보유비율의 제한 등을 대폭 완화 - 중서부 지역에 설립된 국가가 장려하는 외상투자기업에 대해서는 현행 세수우대 정책이 만기된 후 3년동안 15%로 기업소득세 감면징세 - 외상투자기업이 중서부지역에 재투자하는 프로젝트의 외자비율이 25%이상일 경우, 동지역에서도 외상투자기업의 대우를 향유함 - 연해지역의 외상투자기업이 중서부지역에 진출하여 다른 외상투자기업과 내자기업을 도급 경영하는 것을 허용함 - 중서부지역 각성, 자치구, 직할시는 그 수도지역에서 이미 건설한 개발구중 한개를 국가급 경제기술개발구로 신청할 수 있음 바. 기대효과 - 서부지역 경제개발을 통한 동,서 빈부격차 해소 . 78~98년사이 동부지역의 GDP는 52%에서 65%로 상승했으나 서부지역은 17%에서 15%로 하락 - 개혁개방 초기 청해성의 1인당 GDP는 광동성보다 높았으나 98년에는 광동,복건성의 1인당 GDP가 RMB 10,000을 초과한 반면, 서부지역 5개성은 신강(RMB 6,229)을 제외 하고 4,500에도 못미침 - 서부지역 자원을 이용한 사회, 경제분업으로 공통발전 가능 - 서부지역에는 각종 석유, 가스, 광물자원뿐만 아니라 수자원은 전국의 82.3%가 집중 되어 있으며 관광자원도 풍부 . 석유매장량 : 5.1억톤(전국의 23%) . 석탄; 3,000톤(전국의 30%) . 천연가스; 4,354억㎥(전국의 58%) . 니켈,백금(감숙성) : 전국의 62%, 57% . 칼륨(청해성); 전국의 97% - 국내 내수시장 확대에 기여 . 도로, 철로, 통신망 건설 등에 필요한 투자자금과 관련 기자재의 도입, 도시화진전 으로 인한 거주민의 구매력 증대 - 서부지역 주민의 생활 수준 향상 . 98년 전국 전화 보급율은 10.68%인반면 섬서성 5.1%, 감숙성 3.8% 청해성 4.5%, 영하 7.07%, 신강 6.96%를 기록하는 등 서부지역이 매우 낙후 사. 우리의 진출방안 - 서부지역은 아직 인프라 구축이 부족하고 물류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등 동부 연안지역보다는 투자환경이 열악하나, 연해지방 투자가 거의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고, 각종 외자우대정책이 제시되고 있으며 중국의 WTO 가입으로 내수시장 개방도 불가피한 점 등을 감안할 때 초기단계에 동 지역에 대한 진출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최근 몇 년간 서부지역의 SOC 건설, 생태환경 개선, 자원개발 등이 상당한 진전을 보였으나, 서부지역 개발은 장기간을 요하는 사업으로 (십수년 이 지나야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 우리의 진출도 장기계획에 따라 이루어져야 할 것임 - 특히 지리적으로 중앙아시아와 인접하고 있어 중앙아시아 진출의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서남부에 위치한 운남성의 경우에는 동남아 진출 관문이 될 수 있음 - 투자 유망분야 . 자원개발분야: 유전, 천연가스, 석탄 등 에너지원 및 여타 광물자원 개발 . 첨단기술분야: 전체적으로는 고급인력이 부족하나 서안이 중국의 주요 첨단산업 기지의 하나인데서 알 수 있듯이 도시에는 고급 기술인력이 다수 존재 . 농업분야: 토마토, 고가의 요리재료인 백합뿌리, 과일, 장미의 주산지 . 관광분야: 관광자원이 풍부하므로 호텔업 등 . 환경분야: 생태환경보호 관련 산업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지역별 외자기업 설립상황
중국의 지역별 외자기업 설립상황이 수록되어 있으니 활용바랍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2.6월기준 대중투자통계
2002년 6월 기준 대중 투자통계자료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