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IFEZ-웨이하이 한중FTA 시범구 개요
2015년 2월 25일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가서명 완료 - 협정문은 2015년 상반기 정식 서명을 추진하기로 했으며, 정식 서명 이후 국회의 비준 동의를 거쳐 발효될 예정임 품목수 기준 91%(7,428개), 수입액 기준 85%(1,417억 달러)에 해당하는 품목에 대해 최장 20년 내 중국 시장의 수입 관세를 철폐 - 제조업 분야는 미래 유망품목 위주로 중국시장 개방에 집중했으며, 기존 주력 품목은 효과적인 경쟁력 관리에 역점 - 농수산식품 분야는 우리 시장을 보호하면서도, 중국 내수시장 수출 기회를 확보 지방경제협력과 관련하여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과 산둥성 웨이하이가 시범구로 선정됨 IFEZ와 웨이하이 간 무역, 투자, 서비스, 산업 분야의 협력 추진을 통해 한중 지방경제교류 협력모델 창출 기대 웨이하이는 한중FTA 시범구 관련 상당한 정책적 준비를 진행 - 한중 FTA 가서명이 완료된 후, 웨이하이시는 《한중자유무역구 지방경제합작 가속추진에 관한 제1차 실시방안》발표 한중FTA는 중국의 국가 간 맺은 가장 규모 있는 전범위적인 협정으로 웨이하이는 이러한 국가전략 기회를 놓치지 않겠다는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고 있음 - 웨이하이를 대 한국 개방도를 높여 중국 내 웨이하이를 대한국 전진기지와 창구로 삼고자 함 한편 2014년 12월 28일 칭룽철도의 개통으로 지난, 옌타이, 웨이하이, 룽청과 도시 간 교통·물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웨이하이의 공간기능 강화 웨이하이시의 주요국유기업은 15곳으로, 웨이하이 지방철도국, 웨이하이민항국, 웨이하이수질업무그룹, 웨이하이항 그룹, 웨이하이 국유자산그룹, 웨이하이 전력그룹, 웨이하이 제2전력그룹, 웨이하이가스회사, 웨이하이 공공교통그룹, 웨이하이도시개발회사, 웨이하이 베이양(北洋)그룹(전자), 웨이하이시개발투자회사, 웨이하이 둥산( 山)호텔, 다웨이(大威) 석유, 란톈( 天) 호텔이 있음 <출처:한중 FTA 가서명 보도자료, 산업통상자원부, 2015-02-25 한중 FTA 가서명 참고자료, 산업통상자원부, 2015-02-25 威海,中 自 地方 合作示范 , 威海 ·威海日 , 2015-02-27, 山 中 自 先机 石化等七大 或先受益, 大 , 2015-03-0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해외전자상거래총액 30억 위안 돌파
2014년말 해외전자상거래를 이용한 시범적 수출업무가 다음 16개 도시에서 개시됨 - 상하이(上海), 충칭(重 ), 항저우(杭州), 닝보( 波), 정저우( 州), 광저우( 州), 선전(深 ), 베이징(北京), 쑤저우( 州), 칭다오( ), 진화(金 ), 둥관( 莞), 시안(西安), 난징(南京), 후루다오(葫芦 ), 인촨( 川) - 누적통관 명세서는 총 3,823.5만 개로 181개 국가로 수출되었으며, 총액은 20.4억 위안에 달함 상하이, 충칭, 항저우, 닝보, 정저우, 광저우, 선전에서 수입통관업무를 개시 - 통관건수는 411만 건으로 약 10.1억 위안에 달함 중국 해관은 지역중복 통계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 전국 통합 해외전자상거래통관관리시스템을 개발, 2014년 7월 1일 둥관을 시작으로 시스템을 운영함 <출처:跨境 子商 点突破30 元 商企 通 系 接, 海 署, 2015-01-2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농업 분야별 소비 잠재력
■ 농기계소비 증가세 둔화, 성장가능성 충분 내수시장 확대와 농기계 보조정책으로, 중국농업의 기계화 수준은 최근 10년간 매년 2%p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함 - 2014년의 전년대비 성장률은 2.5%p 증가한 62%가 될 것이라 전망 2014년 농업기계업의 업무수입은 증가했으나, 이윤은 하락함 - 2014년 8월말 기준, 2,283개 농기계 규모 기업의 이윤은 전년대비 0.97% 하락함 - 중국의 농기계 수준은 아직 높지 않아 발전 가능성이 충분하지만, 현재 불합리한 구조적 문제가 존재함 ■ IT정보 소비의 급성장 중국 연구기관 CCID컨설팅( 迪 ) 통계에 따르면, 2012년 말, 중국의 농업 농촌 정보화 투자 규모는 311.5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22.4%증가함 - 2015년 관련 투자가 589.1억 위안에 달할 것이라 전망 소비자가격 1,000위안 미만의 휴대전화 판매량은 전체 휴대전화 판매 57%의 비중을 차지함 - 이는 저가 휴대전화의 주요 소비 대상인 농촌주민의 휴대전화 사용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냄 ● 알리바바 그룹 산하 아리연구센터의 통계에 의하면 2013년 11월 30일 기준, 타오바오상에 등록된 정상경영 점포 중 등록주소가 농촌인 상점은 203.9만 곳으로, 2012년 말에 비해 24.9% 증가 - 그 중 105만 곳은 촌진(村 )으로 주소지가 등록됨 - 2012년 말 대비 76.3% 증가한 46만 개의 농촌사이트가 신설됨 <출처: 村投 消 新 力: 村淘 店激增, 21世 道, 2015-03-0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농촌의 투자 현황 및 잠재력
중국경제지 21세기경제보도(21世 道)는 2015년 3월 5일 중국 농촌의 투자와 소비 잠재력에 관한 종합기사를 발표 중국 국가통계국, 농업부, 교통부, 농업기계유통협회, CCID컨설팅, 아리연구센터 등의 자료에 기초하여 작성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농촌투자증가세 둔화, But 수입과 소비 증가 농촌고정자산투자 성장률, 1998년 이후 최저수준 - 중국 전체 투자가 점차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농촌지역의 고정자산투자 하락은 더욱 심각한 수준임 - 2014년 농촌투자는 1.0756조 위안으로 전년대비 2% 증가, 1998년 이후 최저 성장률을 기록함 농촌 수입, 소비성장률 도시 뛰어넘어 - 도시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2014년 농촌의 소비총액은 전국의 13.7%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 농촌의 소비 실질성장률은 도시보다 4%p 높게 나타난 반면 농민의 1인당 수입은 도시의 1/3 수준에 그침 - 하지만 농촌주민 1인당 수입과 소비 성장률은 도시보다 높음 ■ 토지거래 활성화: 농업의 집약화 최근 중국의 토지 도급경영권 거래가 증가함. 2014년 6월 말 기준, 토지이전 면적은 3.8억 묘 중국식 토지 면적의 단위로 1묘=약 666.7㎡. 한국의 약200평 정도에 달함 에 달해 2007년에 비해 5배 증가 - 토지이전으로 점차 전문 합작사 등 새로운 형태의 농업경영 주체중심의 토지 경영 부각 ■ 2015년 보수·개통 농촌도로 20만 km 농촌을 연결하는 “촌촌통(村村通)” 프로젝트로 2014년 현재 중국 농촌의 도로 총 길이는 386.85만km임 - 2015년 20만km의 도로를 더 포장 할 계획 <출처: 村投 消 新 力: 村淘 店激增, 21世 道, 2015-03-0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명품 소비의 76% 해외에서
중국 차이푸핀즈( 富品 FORTUNE CHARACTER)연구원은 2015년 1월 31일 《중국명품보고2014》를 발표 - 보고에 따르면, 2014년 세계 명품시장은 2,320억 달러로 전년대비 7% 증가함 - 이 중 중국인의 명품 소비는 1,060억 달러로 전년대비 4% 증가함 - 중국인이 전세계 명품의 46%를 소비한 것으로 나타남 해외에서의 명품소비 증가세 - 중국인의 2014년 명품 해외소비는 810억 달러로 9% 증가함 - 2014년 중국인의 명품소비 중 76%가 해외에서 이뤄짐 반면 중국 내 명품소비는 25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2%p 하락 - 중국 내 명품소비시장은 2013년 13%에서 2014년 11%로 감소함 - 최근 아울렛과 인터넷 소비가 증가하고 있지만, 중국 내 명품 소비의 증가를 이끌지 못함 ■ 최근 명품시장에 변화와 특징이 나타남 대형 명품브랜드 그룹의 판매액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지만, 성장세는 둔화되고 있음 - 재고에 대한 압박이 커지면서 잦은 할인행사 진행 - 점포 개점은 점차 줄고 운영비는 증가해, 대형 체험관이나 플래그쉽 스토어가 늘어나고 있음 최근 주문맞춤형 디자이너 브랜드가 인기를 얻으며, 빠르게 명품시장 내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음 - 과거 브랜드중심의 소비에서 점차 제품중심의 소비로 패턴이 전환되고 있음 2014년 주문맞춤 브랜드 수는 대형명품브랜드의 20배 이상이지만 규모는 작은 편이며, 약40%가 10년 이상 된 브랜드로 전체 명품시장의 20%를 차지하고 있음 - 의류, 보석이 주를 이룸 소비의 다원화와 개성화로 인해, 명품브랜드들의 포지셔닝에도 변화가 생겨남 - 소비자의 ‘브랜드’ 소비의 대한 욕구는 감소하고, 명품브랜드의 대중화가 됨 - 명품브랜드는 최근 상품의 다양성을 확대, 저가 제품과 제품 라인을 개발해 소비자들에게 더욱 다가가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 온라인과 해외구매대행 등 새로운 소비문화로 더 다양한 기회를 활용한 명품 구입 늘고 있어 대중화가 더욱 가속화 되고 있음 ■ 중국 내 명품소비의 둔화요인, 해외관광소비·짝퉁상품 범람 최근 5년간 중국인의 해외관광은 20% 증가함 - 중국인의 1인당 평균 해외소비는 632달러로 주로 명품소비로 이어짐 - 해외여행객 급증으로 인한 중국 내 명품소비 하락 외에도 중국시장의 문제점이 존재 보고에 따르면 중국의 짝퉁시장 규모는 정품시장의 6배 이상으로 시중 상품의 대부분이 짝퉁이라는 점에 있음 중국 내 명품소비의 감소로 인해 많은 명품 브랜드그룹은 중국사업의 2015년 예산을 축소 - 중국시장의 예산결정권을 본사로 변경하고, 모든 경비지출을 본사에 결재를 올리도록 하는 등 중국사업에 대한 검토를 하고 있음 <출처:《2014中 奢侈品 告》出 :奢侈品消 76%在 外,中 市 成 肋, 察 , 2015-02-02>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통관일체화
2015년 3월 20일 베이징시 상무공작회의 베이징항구통계에 따르면 징진지 지역의 통관일체화 이후 무역의 편리성 제고로 인해 2014년 베이징세관검사 화물총량이 2,101.7톤으로 363.1%증가했다고 밝힘 2014년 7월 1일 베이징과 톈진이 시범적으로 통관일체화 개혁을 실행했으며, 9월 22일은 스자좡세관으로 범위를 확대함 - 징진지지역의 통관일체화으로 세 지역의 무역량이 급격하게 증가함 베이징의 경우, 베이징시 기업이 징진지세관을 통해 세관 신고한 수출입화물은 총 1,287.75억 달러로 전년대비 8.5%증가했으며, 베이징 전체의 31%에 달함 - 통관일체화 개혁 이후, 외국계기업은 세 지역 중 편리한 세관으로 선택할 수 있어 통관효율이 매우 높아짐 베이징시 상무위원회의 조사 결과, 기업들의 통관시간은 평균 20~30% 가량 절약되며, 비용 절감에도 큰 효과가 나타남 - 베이징기업은 톈진항을 통해 수출입을 하고, 도착 당일 운송을 할 수 있어 전보다 통관비용이 1/3가량 절감됨 징진지지역의 해외무역 합작을 더욱 강화해, 징진지 세 지역의 발전협력시스템을 건설할 계획 - 베이징 톈란(天竺)종합보세구, 베이징 이좡(亦庄)보세물류센터와 허베이성 차오페이덴(曹妃甸) 종합보세구의 협력모델을 창출해 두지역의 보세구 연계 - 베이징-톈진, 베이징-허베이 및 인접지역과의 협력으로 통관효율 제고 - 톈진 자유무역구정책, 둥장( 疆)보세항구의 정책을 베이징에 적용 <출처:京津冀外 一 化 北京口岸 出口增三倍, 新 社, 2015-03-20>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징진지 일체화 가속화 현황
■ 중국 초광역수도권(징진지) 일체화 가속화 2014년 출판된『징진지(京津冀·베이징, 톈진, 허베이의 약칭) 보고서』에서는 베이징-톈진-허베이 일체화를 위한 구체적 정책을 제안하고 있음 - 수도권을묶는 940km의 외곽순환도로가 2015년 완공 예정 - 특히, 허베이성 바오딩(保定)시로 수도 행정기능 일부를 이관하는 방안 등이 논의 중임 “징진지도시군발전개혁위원회”를 구성해 지역 간 교통체계, 생태환경, 시장체계, 사회보장제도 통일을 주요 업무로 하며, 부처 간 정책협조, 갈등중재를 하게 될 것임 징진지 구역 내 생산투자, 산업이전, 과학기술단지, 외부기업과 외자유치 등에서 오는 이익과 접경지역 산업의 세수를 공유하는 제도와 정책을 마련할 예정임 국가개발은행과 같은 방식의 수도경제권발전은행 설립 보고서에서는 수도공공서비스자원의 강점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교육발전, 원거리 의료 등에 투자하여, 주변지역의 공공서비스수준을 향상을 도모할 것이라 함 그 외에도 도시군 내 인구서비스 연결을 위해 새로운 호적제도, 도시와 농촌의 일체화, 지역합작 방식을 마련하고, “너 안의 나, 내 안의 너( 中有我,我中有 )”라는 슬로건을 걸고 공동체의식을 강화함 ■ 징진지 도시군 현황과 과제 『징진지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징과 톈진의 종합경쟁력은 매우 높은 반면 허베이의 1인당 GDP는 두 지역 비해 낮을 뿐만 아니라, 전국 평균 수준보다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도시화 중간단계에 머뭄 지역 내 경제발전 불균형으로 중소형도시에서 베이징과 톈진으로 인구가 유입되는 현상을 보임 통계에 따르면 2005년에서 2010년 사이 허베이에서 베이징으로 유입된 노동인구는 매년 약 100만 명 정도이며, 톈진은 약 60만 명에 달하고, 점차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임 - 2010년 제6차 인구조사에 따르면 허베이에서 베이징으로 유입된 인구는 155.9만 명으로 베이징에 상주하는 외지인구의 22.1%를 차지함 - 톈진의 경우 허베이에서 유입된 인구는 75.45만 명으로 텐진 상주 외지인구의 25.2%를 차지함 이러한 노동인구 유출은 허베이성의 도시화 발전 속도, 규모,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베이징과 톈진과 같은 대도시들에게는 운영과 관리에 큰 부담이 됨 베이징시 중심에는 기업과 여가, 유통이 모두 밀집해 있으며, 베이징중심지의 인구밀집은 최근 10년 동안 점차 심각해짐 - 인구 분산을 위해 왕징(望京)신도시, 후이롱관(回 ) 신도시 등을 건설해 주거 인구를 외곽으로 이동시켰지만, 기업, 여가, 쇼핑센터가 중심지역에 몰려있음 - 출퇴근시간마다 벌어지는 교통 혼잡은 산업이전과 주민들의 생활편의는 전혀 고려하지 않아 여전히 문제점이 존재 보고서에서는 베이징, 톈진, 허베이 공동참여의 신도시 및 개발단지 모델 제안 - 베이징 신공항 건설을 징진지의 국가급 경제구역합작시범구로 공동 신청 - 톈진의 투자와 무역 편의를 위한 종합개혁신구를 베이징, 허베이가 공동 참여할 것을 제의함 징진지의 과학기술산업 발전을 위해 과학단지노선을 “중관촌(中 村:베이징)-이장(亦庄:베이징)-랑팡(廊坊:허베이)-우칭(武 :톈진)-베이천(北辰:톈진)-둥리( :톈진)-빈하이신구( 海新 :톈진)”로 연결하여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함 <출처:京津冀 皮 :省 移可 收分享, 新京 , 2014-03-26>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창장경제벨트 지역 연계 발전 현황
■ 창장경제벨트 지역 간 불균형 현황 창장경제벨트는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창장삼각주에서 서쪽으로 창장유역을 따라 지역들 간 경제발전 수준의 명확한 차이를 보임 창장상류는 윈난, 구이저우, 쓰촨, 충칭으로 전국에서 산업발전이 더딘 곳으로 동부지역으로부터 산업 이전과 관련하여 지역 간 유치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 한편 창장상류는 생태보호에 대한 엄격한 요구가 이뤄지고 있어, 발전과 보호를 함께 진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창장중류 지역은 후베이, 후난, 안후이, 장시와 같은 내륙형 경제로 유사한 발전 수준을 보임 - 하지만 각 도시군의 지방정부간 육성산업 정책과 외자유치 정책이 중복되어 산업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음 창장하류 지역은 장쑤, 저장, 상하이로 첨단산업이 밀집되어 있으며, 서비스업과 금융이 집중되어 있음 - 그러나 창장경제벨트의 타 지역과의 협력 부족으로 시장규모가 작아 경제벨트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 ■ 도시군 연계 방안 제기 창장경제벨트는 창장삼각주도시군, 창장중역도시군, 청위도시군, 첸중도시군, 뎬중도시군을 포함하고 있으며, 도시군간 교통망 강화 등 연계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 중임 중국 국무원이 2014년 9월 발표한 《국무원의 황금수로를 활용한 창장경제벨트 발전추진을 위한 지도 의견》에서도 5개 도시군 발전문제를 중요하게 언급하고 있음 - 창장삼각주도시군의 국제경쟁력 제고 · 상하이의 금융, 해운, 무역센터 건설과 난징, 항저우, 허페이의 국제화 수준 향상 - 창장중역도시군의 발전 도모 · 우한, 창사, 난창의 도시기능을 강화하고, 도시간 산업 내 분업과 협력으로 중부굴기의 핵심지역으로 자리매김 - 청위도시군의 일체화 추진 · 충칭과 청두를 중심으로 국제화 수준을 제고하고, 창장상류의 개방지이자 내륙의 개발시험구로 발전 - 첸중, 뎬중도시군의 발전 제고 · 쭌이(遵 )-구이양( )-안순(安 )을 중심으로 에너지자원 가공, 특색있는 경공업, 민족문화의 문화관광지로 개발 · 쿤밍은 동남아와 남아시아개방의 중심도시 기능 강화 <출처: 于 江 要知道的十件事, 人民 , 2015-03-25>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쓰촨 일대일로 3년 행동계획 발표
쓰촨성은 2015년 3월 22일 일대일로(一 一路)관련 성 정부차원의 정책을 발표 - 쓰촨성은 “일대일로”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대외경제무역협력의 중심지임 쓰촨성은 일대일로 ‘251’ 3년 행동계획(一 一路‘251’三年行 )을 통해 구체적 지원정책을 발표함 쓰촨 성정부는 지역의 기계가공, 전자정보, 의류방직, 건설원자재, 농기계, 현대농업 등의 산업 발전 장점에 기초하여 관련기업의 대외투자 협력을 적극 장려할 계획임 - 현재 쓰촨성은 시멘트, 방직, 전력, 철강, 건설원자재 등 산업의 생산과잉 문제점을 안고 있음 - 쓰촨성은 20개 국가에 비교우위를 갖고 있어 이를 중점적으로 육성할 계획 현재 쓰촨성에는 1만 개에 달하는 외국계 무역기업이 상주하고 있으며, 이중 100개 기업을 선정해 일대일로 무역투자기업으로 육성할 예정임 3년 내 쓰촨성과 일대일로 유관 국가들과의 무역규모를 현재 200억 달러에서 250억 달러로 확대하고, 투자는 현재 13억 달러에서 18억 달러 유치를 목표로 함 정기적인 간담회 개최를 제도화하고, 외상투자민원처리시스템을 마련할 계획하는 등 외상투자관리체제를 강화 - ‘외상투자 100대기업’을 선정, 《외상투자기업발전보고》를 통해 발표하고 외국자본의 경제적 영향력을 더욱 확대해나갈 방침임 국가급 중국-프랑스 청두(成都)생태원, 중국-독일 산업원, 중국-한국 산업원 등 친환경 경제개발구의 대외협력단지 건설 추진을 통해 경제개발구 발전 도모 해외자본 유치 방식의 전환 - 쓰촨성 정부는 외국기업 유치에 있어서 전문화·시장화로의 전환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예정임 - 외자 위안화 직접투자, 외자주식출자, 기업해외 상장 및 역투자, 외자참여의 국유기업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해외시장 개척으로 생산과잉 문제 해소 기대, 해외기업과 첨단기술 협력이나 R&D 센터 건설, 브랜드 인수를 통해 산업수준을 고도화할 수 있는 기회마련 기대 <출처:四川出台 政策推 施一 一路三年行 , 四川省人民政府 站, 2015-03-2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주민소득 증가 안정세
2015년 2월 26일 중국국가통계국이 발표한《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공보(2014)》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주민 소득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냄 2014년 중국인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20,167위안으로 전년대비 10.1%증가함 - 주민수입은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 상승해 실질성장률은 8%를 기록해 서민들의 지갑이 두둑해지고 있음 2014년 중국의 1인당 가처분소득에서 월급성 수입의 비중이 56.6%를 차지함 - 근무형태가 점차 안정화되면서 월급성 수입 비중이 계속적으로 늘고 있음 2014년 중국은 경제성장률이 7.4%에 그쳤지만, 고용창출과 창업에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하며 노동인구를 늘리려는 노력을 지속함 - 인사부 통계에 따르면, 2014년 도시 신규 취업자 수가 1,322만 명으로 연초 1,000만 명의 목표를 초과 달성함 최저임금기준, 임금가이드라인 상향조정으로 최저임금 노동자들의 소득수준이 향상됨 - 2014년 중국 19개 성의 최저임금을 평균 14.1% 상향조정함 - 23개 성은 임금가이드라인을 조정함 2014년 농촌주민들의 1차 산업 경영 순수입은 2,999위안으로 전년대비 5.6% 증가함 - 최근 중국은 농업 생산량이 증가, 중국 정부의 농업현대화 지원정책, 농업보조금 등으로 농산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인상됨 각 지방정부에서도 농민창업을 장려하고 있어 개인 사업자와 소형기업의 경영환경이 개선됨 - 농산품가공, 상품판매, 교통운송 및 농촌여행을 중심으로 농촌에도 2, 3차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2014년 농촌주민의 3차 산업 경영순수입은 16.3%증가했으며 비농업경영수입이 농촌주민의 소득증가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출처: 2014公 解 :居民收入保持 快增 , 中 信息 , 2015-03-11>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