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중국 경제성장의 신동력, 서비스업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5년 2월 26일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공보(2014)》 발표 - “신창타이 신성취(新常 新成就)”를 주제로 2014 공보분석 시리즈 발표 ■ 중국 경제성장의 새로운 견인차, 서비스업 통계보고에 따르면 2014년 중국의 지역내총생산은 636,463억 위안으로 3차 산업의 총생산은 306,739억 위안으로 GDP의 48.2%를 차지함 - 3차 산업의 비중이 2차 산업보다 5.6%p 높게 나타나 중국경제의 “서비스화”시대가 열렸음을 나타냄 - 이는 중국경제가 공업주도에서 서비스업 주도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으며 뉴노멀 시대 중국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거듭남 3차 산업의 성장률은 8.1%로 2차 산업의 7.3%, 1차 산업의 4.1%보다 높음 지난 10년간 중국의 산업별 발전을 살펴보면, 2차 산업은 1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3차 산업은 2006, 2007년에만 10%가 넘는 성장세를 보였음 - 그러나 2차 산업과 3차 산업의 성장률 격차는 점점 줄어들어 2013년 3차 산업의 성장률이 8.3%, 2차 산업이 7.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3차 산업의 총생산이 2차 산업을 초과함 최근 중국은 현대물류업, 첨단기술, 에너지절약, 가사관리서비스, 문화산업, 제육산업 등에 3차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지원을 하고 있음 3차 산업에 대한 투자도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음 - 2014년 3차 산업의 투자액은 281,915억 위안으로 16.8%증가함 현재 중국 소득 증가로 주민들의 소비패턴이 변화하고 있음 - 브랜드상품을 구입하고, 자연으로 여행을 떠나는 녹색소비, 브랜드소비, 휴식소비, 보건소비, 교육소비, 문화소비, 여행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인터넷 발전으로 전자상거래 관련 신흥서비스업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출처: 2014公 解 :服 ——中 增 新 力, 中 信息 , 2015-03-0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투자유망산업 제조업, TMT, 문화산업 주목
중국건설투자연구원은 2015년 4월 8일 《중국투자발전보고(2015)》를 발표 - 2015년 중국의 투자 특징과 유망산업 제시 보고서에 따르면 뉴노멀시대의 투자는 기술발전, 심화개혁, 지역화 및 일체화를 테마로 투자가 이루질 전망 - 유망산업으로 제조업, TMT(Technology,Media,Telecom)산업, 건강산업, 문화산업 부각됨 향후 중국은 서비스업과 첨단 제조업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첨단장비제조업, 도소매업, 의료건강, 금융보험, 정보서비스업이 투자유망산업으로 꼽힘 심화개혁(深化改革)은 2014년 중국의 핵심키워드로 2015년에도 지속될 것임 금융개혁은 2014년 상하이자유무역구와 후강퉁( 港通) 시행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2015년에는 선강퉁(深港通:선전-홍콩 증시 교차거래) 시행이 예정되어 있으며, 톈진과 광둥에도 자유무역구를 확대할 계획 - 이러한 금융개혁으로 중국의 금융시장의 자유화 촉진, 더 많은 해외자본을 유입해 중국 증권시장, 보험, 항구운영에 도움이 될 것 사회문제에 있어서, 중앙정부는 신형도시화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위생의료개혁 정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예정 - 스마트 그리드, 풍력 등 신에너지, 농업, 의료보건가 투자 핫이슈로 대두 지역경제발전은 “일대일로”와 교통을 통한 지역일체화, 투자편리화 등으로 “아시아태평양의 꿈”을 실현하고자 함 - 고속철도, 건설프로젝트, 항구·도로, 에너지파이프라인의 투자기회가 많을 것으로 전망 <출처: 中 投 展 告:重点 注先 制造 、TMT , 中 , 2015-04-0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장쑤, 광둥, 베이징 도시경쟁력 TOP 3
2015년 3월 2일 푸젠사범대학, 국무원발전연구센터 등이 공동으로 《중국성역(省域)경제종합경쟁력발전보고(2013-2014)》를 발표 - 2012~2013년 중국의 31개 성, 시, 구의 자료를 수집해 지역별 지식경제경쟁력을 분석 - 지역별 과학기술경쟁력, 교육경쟁력, 문화경쟁력 평가 2013년 지식경제경쟁력 상위권 도시(1~10위 순)는 장쑤, 광둥, 베이징, 상하이, 저장, 산둥, 톈진, 산시( 西), 허난, 쓰촨임 - 중위권도시(11~20위) 후베이, 푸젠, 산시(山西), 랴오닝, 후난, 장시, 안후이, 허베이, 구이저우, 광시 - 하위권도시(21~31위) 지린, 충칭, 윈난, 간쑤, 하이난, 신장, 시짱, 헤이룽장, 네이멍구, 닝샤, 칭하이 2012년 대비 순위가 오른 지역은 12곳으로 구이저우가 8단계 상승으로 가장 큰 폭으로 올랐음 - 순위가 하락한 지역은 13곳인데, 그 가운데 헤이룽장의 순위가 2012년 24위에서 2013년 28위로 하락 폭이 가장 큼 분야별 경쟁력 상위 10위권 도시는 다음과 같음 - 과학기술경쟁력이 높은 상위10위 도시 · 장쑤, 광둥, 베이징, 상하이, 저장, 톈진, 산둥, 쓰촨, 후베이, 푸젠 - 교육경쟁력이 높은 상위10위 도시 · 베이징, 장쑤, 광둥, 허난, 산시( 西), 산둥, 톈진, 상하이, 산시(山西), 구이저우 - 문화경쟁력이 높은 상위10위 도시 · 장쑤, 광둥, 저장, 베이징, 상하이, 산둥, 산시(山西), 후난, 허난, 산시( 西) <출처: 中 省域知 力: 、 、京居前三位, 人民 , 2015-03-09>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중국 FIT 상품 특징
2014년 중국의 국내 FIT 상품은 2,500~5,000위안이 가장 많음 - 2,500위안 이하는 21.3%, 2,500~5,000위안 64.8%, 5,001~7,500위안 13.5%, 7,501~10,000위안 2,4%, 10,000위안 이상 1.98%임 중국인 해외 FIT 상품의 가격은 5,001~10,000위안 35%로 가장 많으며, 10,001~15,000위안은 15.8%, 15,001~20,000 9.1%, 20,001~25,000위안 2.6%, 25,001~30,000위안 0.94%, 30,000위안 1.1%임 2014년 FIT 상품의 가격은 점차 하락하는 반면 서비스 질은 향상되어 여행객의 상품 만족도가 높아짐 중국인은 단기간의 패키지관광에 비해 많은 시간을 보내려하는 FIT 관광객 증가에 따라, 2014년 평균여행기간이 전년대비 2.5일 증가함 <출처: 蜂 (2015), 自由行用 行 分析 告(2014-2015)>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중국 FIT 관광객 선호 상품 및 지역
중국의 60% FIT 관광객은 항공권과 숙박과 함께 부가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남 - 부가서비스는 공항픽업서비스, 택시, 입장권, 일일투어 등이며, 이에 대한 교객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남 현지여행서비스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문적인 테마로 향후 주요 여행상품이 될 것으로 전망 2015년 중국인의 FIT 관광으로 가장 선호되는 지역은 샤먼(厦 ), 윈난(云南)임 - 거리적으로 가깝고 합리적인 가격의 동남아국가 도시들도 FIT 관광객의 선호 여행지임 18세 이하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각종 체험 프로그램과 문화를 즐길 수 있는 타이완과 싼야(三 ) 등을 선호함 <출처: 蜂 (2015), 自由行用 行 分析 告(2014-2015)>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중국 FIT 관광객 정보수집 및 상품구입 경로
여행 출발 전 여행지에 대한 결정은 친구 등 지인의 추천이 3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이외에도 인터넷 검색 및 블로그 26%, 인터넷 광고 22%, 오프라인 광고 14%임 FIT 관광객은 인터넷 검색으로 타인들의 여행일정을 참고한 후, 각자의 취향에 맞는 코스를 직접 설계하는 것으로 알려짐 FIT 상품을 선택 시 여행사의 브랜드 지명도(46%)를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남 - 브랜드 지명도는 상품의 질과 서비스와 연관되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 이외에도 상품 품질 27%, 신용도 10%, 가격 9%, 서비스 4%, 기타 4%의 비중을 차지함 중국인 FIT 관광객의 82%는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주문 - 주문 및 결제는 인터넷으로 이뤄지지만, 기타 세부사항에 대한 조정과 확인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짐 <출처: 蜂 (2015), 自由行用 行 分析 告(2014-2015)>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중국 FIT 관광객 유형과 추세
2015년 4월 14일 중국 여행사이트 마펑워( 蜂 )와 중국청년여행사(中 旅)가 공동으로《개별자유여행행태분석레포트(自由行用 行 分析 告(2014-2015))》를 발표 - 마펑워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고서에서는 2014-2015년 중국의 FIT시장과 특징 및 발전추세를 분석 2014년 중국의 FIT 관광객은 남녀비중은 남성이 43.3%, 여성이 56.7%임 - 한국, 일본, 홍콩, 마카오로의 해외쇼핑여행은 여성이 주를 이루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임 - 섬 여행의 남녀 비중은 비슷한 수준임 FIT 관광객들의 연령을 살펴보면 20~35세가 압도적으로 많음 - 2014년 20세 이하 비중은 13%, 20~35세 57%, 35~50세 25%, 50세 이상은 5%로 나타남 연령별 여행상품 선호 특징에 따른 맞춤형 여행상품 개발이 필요함 최근 중국인의 여행목적은 단순 관광이 아닌 다양한 목적으로 발전, 개인 기호에 맞춰 일정을 계획하는 등 개성화가 뚜렷함 - 단순 관광 24%, 쇼핑 15%, 촬영 11%, 맛집 10%, 수집 8%, 애니메이션 7%, 영화 7%, 운동 6%, 캠핑 6%, 그림 6%임 <출처: 蜂 (2015), 自由行用 行 分析 告(2014-2015)>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2015년 1분기 중국인 해외여행 만족도 분석
중국여유연구원은 2015년 4월 9일《2015년 1분기 중국인 해외여행 만족도조사보고》를 발표 - 2015년 1분기 중국인의 해외여행 만족도는 76.77점으로 “기본만족” 수준임 국가별 해외여행객 만족도 순위는 뉴질랜드 80.35, 이탈리아 79.4, 미국 78.42, 싱가포르 78.39, 프랑스 78.3, 일본 78.3, 스페인 78.28, 태국 78.08, 러시아 77.84, 인도네시아 77.61, 호주 77.52, 영국 77.52, 말레이시아 77.05, 독일 76.92, 캐나다 76.62, 한국 76.48, 남아공 75.95, 브라질 75.24, 필리핀 74.95 등으로 나타남 중국인이 해외여행 시 가장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한 것은 중국어안내서비스 부족이며, 가이드 및 여행사의 서비스질 , 교통서비스(고속버스, 기차역, 렌트카)에 대한 불만도 많았음 - 스페인, 몽골, 이탈리아 등 국가의 중국인 관광객 불만처리 만족도가 가장 낮음 -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의 여행 불만접수 비율이 비교적 높음 - 베트남, 한국, 캄보디아는 비자발급 불편함으로 인한 불만이 많음 <출처: 1. 是出 之外,游客的抱怨也需要 回 ——2015年第一季度中 公民出 旅游 意度 告 究成果, 中 旅游 究院, 2015-04-09, 2. 解中 公民出 旅游 意度: 于“基本 意”水平, 人民 , 2015-04-09>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2015년 1분기 중국 국내여행 만족도 분석
중국여유연구원은 2015년 4월 9일《2015년 1분기 전국여행객만족도조사보고》 발표 2015년 1분기 전국의 국내여행 만족도는 75.02로 “기본만족”수준으로 전년대비 2.4 상승함 양력 1월 1일과 설 등 연휴기간이 맞물려 여행객 만족도가 비교적 낮게 평가되지만, 중국당국의 관리감독 강화로 입국, 단체관광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나아짐 - 입국여행객 만족도는 79점으로 전년보다 7.51점 상승, 단체여행객은 73.63점으로 4.66점 상승, 개별여행객은 72.83점으로 3.91점 상승함 2015년 1분기 음식, 숙박, 교통, 관광지, 쇼핑, 오락, 여행사 등 여행기본지표의 만족도는 45개 지표 가운데 높은 수준임 - 특히 관광지 77.06, 여행사 75.7, 쇼핑 74.68로 나타남 여행 공공서비스에 있어서 중서부지역과 관광도시 간, 단체관광과 FIT(개별관광) 등 주요 부문에 있어 불균형이 존재 - 중국 지역별 여행공공서비스 만족도에서 베이징 84.11, 옌타이 83.83, 칭다오 82.77, 톈진 82.73, 상하이 82.48을 기록함 <출처: 1.工作“ 的”,游客“点 了”——2015年第一季度全 游客 意度 告 究成果, 中 旅游 究院, 2015-04-09 2. 解一季度全 游客 意度:工作" "游客"点 ", 人民 , 2015-04-09>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2015년 1분기 중국 관광업계 동향과 전망
중국여유연구원은 2015년 4월 9일《2015년 1분기 여행경제운행분석과 상반기 추세예측보고(2015年第一季度旅游 行分析 上半年 告)》를 발표 - 2015년 상반기 중국의 여행수입이 1.7조 위안으로 전년대비 6.3% 증가하고, 전국의 방문여행객 수는 20.6억 명이 될 것으로 전망 1분기 여행시장 수요 증가와 국내시장 지속 성장이 예상, 입국여행이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중국인의 아웃바운드시장 및 인바우드 관광시장의 성장세 예상 여행업의 새로운 체계 확립을 위한 노력이 지속될 것 - 관련 정책으로는 《여유법(旅游法)》, 《국민여유휴식강요( 民旅游休 要)》, 《국무원 여유법 발전에 관한 약간의견( 院 于加快旅游 展的若干意 )》(국무원2009[41]호), 《국무원 여행업 개혁발전촉진에 관한 약간의견( 院 于促 旅游 改革 展的若干意 )》(국무원2014[31]호), “515여유전략(515旅游 略”) 등이 있음 - 관광시장과 관련 산업은 규범화와 시스템체계화를 위한 중국 당국의 정책이 지속적으로 선을 보여 왔으며, 보고서에서는 관련 정책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평가함 장기적으로 중국인의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여행소비에 대한 수요는 나날이 높아짐 - 최근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로 고급호텔과 음식점 경기는 나빠졌지만, 경제적이고 비즈니스형 호텔은 성장하고 있음 - 대형 온라인 여행기업이 크게 성장하며 전통여행사의 경영에도 큰 변화가 일어남 보고서에서는 2015년 중국정부의 서비스업 중요성 강조, 철도 투자와 중서부 지역의 “일대일로”, 징진지 일체화, 창장경제벨트 등도 여행업에 많은 정책적 도움과 기회로 작용 될 것이라 전망 <출처: 2015年上半年中 旅游 收入或 1.7万 元, 中 日 , 2015-04-10>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