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광] 중국 관광 매력도시 순위
2015년 5월 5일 중국표준랭킹연구원( 准排名 究院)은 《2015년 중국 여행도시 매력순위》를 발표 - 보고서에서는 주요 관광지를 대상으로 각 지역의 여행자 수, 관광 총수입, 여행자 만족도 분석 매력도시 상위 10위는 충칭, 상하이, 베이징, 청두, 항저우, 쑤저우, 우시, 난징, 우한, 광저우 순임 - 충칭은 2014년 가장 많은 여행자가 방문 한 도시로 3.49억 명이 찾았고, 여행총수입은 2,003.17억 위안으로 5위를 기록함 충칭시 여유국 통계에 따르면 2015년 노동절연휴기간 충칭에 방문한 국내외 여행자 수는 1,050.69만 명으로 전년 대비 12.17%증가, 실질여행수입은 60.31억 위안으로 12.56% 증가함 충칭시는 점차 증가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충칭만의 특색 있는 여행상품과 프로그램을 준비 - 충칭시 윈양(云 )현의 롱강관광지에 구름다리 정식개방 - 완셩헤이(万盛黑)관광지에서는 미스 충칭 선발대회와 충칭시 청년대학생 트래킹 대회 개최 - 유양(酉 )현 무릉도원에서는 《몽환도원》 공연과 제2회 무릉도원 대형전통 단체 혼례 진행 <출처: 2015中 旅游城市吸引力排行 重 超北上成位居第一, 新 , 2015-05-06>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중국 도시 공기질 순위 발표
중국 환경보호부는 2015년 4월 중국 도시의 공기질 순위를 발표 - 도시 공기질이 높은 도시로 하이커우, 라싸 등 해안가나 변방의 도시들이 랭크됨 - 반면 징진지(京津冀)지역 도시의 공기가 현저히 나쁜 것으로 나타남 <출처: 表: 保部公布4月 空 量“倒 十名”城市名 , 中央政府 站, 2015-05-25>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광저우 청년 창업 현황
공산주의청년단(共 ) 광둥성위원회는 2015년 5월 《광둥청년창업취업보고서(2015)》를 발표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 광둥선의 창업자 중 대졸자 비중은 약 20% 정도였으나, 최근 조사 결과 창업자의 75%가 대졸자로 젊은 세대가 창업을 이끌고 있음 청년창업은 대부분 시장문턱이 낮은 저부가가치 산업에 집중되어 있음 - 도소매 및 판매업 25%, 단순제조업 20%, 숙박 및 요식업 9%, 농수산업 9%, 체육 및 오락업 8.7% 등이 총 71.7%이며, 첨단산업은 30% 이내임 광둥성 대학생들의 창업 의지는 매우 강하지만 실천에 옮겨 창업을 시작하는 비율은 매우 낮음 - 학부생과 초대졸생은 각각 50.1%, 72% 창업의지가 있다고 답했지만, 실제 창업자의 비중은 1%도 미치지 못함 광둥성 대학생 78%가 ‘창업환경이 좋지 않다’고 답함 - 정책, 자금, 기술, 인재 등의 문제에서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함 - 특히 미미한 정책지원, 높은 신청 문턱, 복잡한 신청절차 등을 문제점으로 꼽음 - 창업지원 정책 대상의 대부분이 광둥성 호적 대학생으로 한정되어 있어, 외지 대학생은 정책지원의 혜택을 누리기 힘듦 - 소액대출에 있어서도 높은 문턱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절차가 매우 복잡함 창업자 및 창업준비 청년들은 정부의 창업정책 중 비용 보조정책이 가장 불만족스럽다고 답함 - 25%의 광둥 청년창업자가 부모로부터 지원을 받는다고 답했으며, 19%가 은행대출, 18%는 공동융자 또는 개인 자금, 12% 정부기금 지원, 민간대출과 리스크 투자는 4%로 나타남 <출처: 《 年 就 皮 2015》出 :超五成大 生欲 , 南 院, 2015-05-19>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미디어산업
중국 칭화대학교( 大 ) 신문방송학원은 2015년 5월 9일 《미디어보고서: 중국 미디어산업발전보고(2015)》를 발표 - 2014년 전국 미디어산업 총생산은 11,361.8억 위안으로 1조 위안을 초과, 전년대비 15.8% 증가함 인터넷 등 새로운 매체의 발전으로 미디어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 현재 중국의 미디어산업 규모는 여전히 작은 편으로 GDP 공헌율이 1.5%에 불과하지만, 최근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지속해오고 있음 방송광고, 영화 광고, 도서판매, 인터넷광고 등과 관련된 수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TV광고 시장은 2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고 있음 - 반면 신문발행 수입은 2014년 15% 하락, 4년 연속 큰 하락세롤 보임 인터넷광고 수입과 인터넷 게임 수입이 크게 증가함 - 2014년 인터넷광고 수입은 1,500억 위안으로 처음으로 TV광고 수입을 앞지름 <출처: 媒 皮 :2014年中 媒 首次破万 元大 ( ), 人民 , 2015-05-1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4년 중국 대외무역 발전현황
중국상무부는 2015년 5월 5일 「중국대외무역발전현황」을 발표 2014년 중국의 화물수출입 총액은 43,030.4억 달러로 전년대비 3.4% 증가 - 수출은 23,427.5억 달러로 6.1% 증가, 수입은 19,602.9억 달러로 0.4% 증가함 2014년 중국의 수출입 증가율은 세계무역 증가율보다 2.7%p 높음 - 미국, EU, 일본, 인도, 브라질 등 주요 경제국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무역규모가 가장 큰 국가로 자리를 굳힘 - 중국의 세계 수출 비중은 12.7%로 전년보다 0.6%p 증가함 2014년 EU 및 미국과의 수출입은 각각 9.9%, 6.6% 증가, 선진국과의 안정적인 수출입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 ASEAN, 인도, 러시아, 아프리카 및 동유럽 국가 등 신흥국과의 수출입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FTA 체결국과의 수출입은 10.6% 증가해 FTA의 뚜렷한 성과를 보임 중국 중서부 지역의 무역잠재력이 보다 명확해지고 있음 - 동부 연안지역으로부터의 산업이전이 진행되고 있는 중서부지역의 대외무역 역량이 점차 강화되고 있음 2014년 중부지역의 수출입은 3,127억 위안, 서부지역은 3,344억 위안으로 각각 10%, 20.2% 증가함 - 중서부 지역의 중국 내 수출입 비중은 15%로 2013년보다 1.5%p 증가함 동부지역의 수출입은 3.66조 달러로 1.6% 증가했으며, 전국 비중은 85%로 지난해보다 1.5%p 감소함 <출처: 2014年中 外 易 展情 , 商 部 合司, 2015-05-0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4년 광둥 부호 12.8만 명
2015년 5월 26일 중국 초상은행(招商 行)과 글로벌 컨설팅회사 베인앤드컴퍼니(Bain&Company)는 《중국 개인재산부호 보고(2015)》를 발표 - 2014년 말 중국의 개인 투자가능자산은 112조 위안으로 2012년 대비 16% 증가함 2014년 말 중국의 부호(1,000만 위안 이상 투자 가능한 자산가)는 100만 명 이상으로 2012년보다 33만 명 증가 부호가 5만 명 이상인 지역은 광둥, 상하이, 베이징, 장쑤, 저장, 산둥, 쓰촨임 - 이 가운데 광둥의 부호는 12.8만 명으로 전체의 10%를 차지하며 가장 많음 - 내륙지역에서는 쓰촨성이 처음으로 부호 5만 명이 넘음 부호 집중 지역이 점차 분산되어 지역 격차가 이전에 비해 줄어들고 있음 - 광둥, 상하이, 베이징, 장쑤, 저장인 동부 연해지역의 부호 전국비중은 46%로 점차 감소함 - 중서부지역의 부호 증가율이 25%로 빠르게 늘고 있음 - 그 중 신장, 후베이, 산시( 西) 3개 성의 부호는 연평균 30%이상 증가하고 있음 중국부호들의 최근 1~2년 사이 투자성향이 변화하고 있음 - 전통제조업에 대한 투자 증가를 고려하는 투자자는 10% 미만이며, 투자가 신흥산업과 소비서비스업에 집중되고 있음 부동산 투자에 대한 열기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음 - 15%의 응답자가 1~2년 새 부동산투자를 줄일 것이라고 답했으며, 부동산투자 증가를 고려하는 부호들은 1선 도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답함 신흥산업인 인터넷 등 IT산업, 생물의약, 에너지, 첨단제조 분야의 부호가 많아짐 - 창업 부자들이 주를 이루며, 이밖에도 전문경영인, 고위관리직 등이 있음 - 신흥부자의 연령은 30세에서 50세가 80%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함 신흥산업의 빠른 발전과 기업관리시스템의 안정화, 가족기업 증가 - 인터넷 기술 및 플랫폼 관련 창업자와 에이전트, 재벌 2세 등의 부호집단이 출현 - 1,000만 위안~5,000만 위안 규모의 부자가 22% 급증함 <출처: 私人 富 告:7省市高 人群超5万 占一成, 人民 , 2015-05-28>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베이징 상주인구 2,151만 명
베이징시 통계국과 국가통계국 베이징조사단은 2015년 5월 21일 베이징 인구조사의 결과를 발표함 - 2014년 말 기준 베이징 상주인구는 2,151.6만 명으로 전년대비 36.8만 명 증가함 분포추세를 보면 인구가 시내중심에 집중되었다가 점차 외곽으로 확대되고 있음 - 방사형 순환도로를 중심으로 인구분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2, 3환 내에 집중되었던 베이징 인구가 4환 밖으로 분산되고 있음 - 그중 3환에서 6환 사이에 거주하는 인구가 1,228.4만 명으로 전체 베이징시 인구의 57.1%에 달함 - 5환 밖 거주인구는 1,098만 명으로 전체의 51.1%를 차지함 베이징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2014년 베이징 상주인구밀도는 1㎢당 1,311명으로 2011년 1230명에 비해 81명 증가함 - 시청구(西城 )의 인구밀도는 25,767명/1㎢으로 가장 높으며, 옌칭현(延 )은 1㎢당 158명으로 가장 낮음 2014년 말 외지로부터 유입된 베이징 인구는 818.7만 명으로 전년대비 16만 명 증가했지만, 증가율은 1.7%p 하락함 <출처: 北京常住人口突破2150万 超半 聚集在五 外, 新 , 2015-05-2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14년 중국 평균임금
2015년 5월 27일 국가통계국은 인포그래픽을 통해 2014년 중국의 업종별 평균임금 관련 정보 발표 2014년 중국 도시의 비사영기업의 종사자 연평균 임금은 56,339위안이고, 사영기업의 종사자 연평균 임금은 36,390위안으로 각각 9.4%, 11.3% 증가함 비사영기업의 지역별 평균임금은 동부지역이 64,239위안으로 가장 많으며, 서부지역 51,204위안, 중부지역 46,828위안, 동북지역 46,512위안임 업종별 평균임금은 비사영기업과 사영기업 모두 금융업, IT, 과학연구업종이 상위를 차지함 - 업종 간 임금은 최대 3.82배 차이가 남 비사영기업의 임금 하위 업종은 수리환경업, 숙박요식업, 농수산업이며, 사영기업 가운데 주민서비스업, 숙박요식업, 농수산업의 임금이 낮은 것으로 조사됨 <출처: 解:2014年平均工 , 家 局, 2015-05-2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4년 중국 소비의 GDP 성장공헌율 50.2%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5년 6월 3일 중국 국내 소비 수치 발표 - 2014년 최종소비지출, 자본형성총액, 재화 및 서비스 순수출 등 3대 수요의 국내총생산 성장공헌율은 각각 50.2%, 48.5%, 1.3%로 전년대비 3.7%p, 3.6%p, 0.1%p 증가함 2014년 중국의 지출법GDP는 640,796.4억 위안으로, 이 가운데 최종소비지출은 328,311.2억 위안, 자본형성총액은 395.055.3억 위안, 재화 및 서비스 순수출은 17,462.9억 위안으로 집계됨 지출법 GDP는 기업의 일정 생산활동 기간 내 최종상품사용을 반영해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방법임 - 상품(재화 및 서비스 포함)의 최종사용처에 따라 최종소비지출, 자본형성총액, 화물 및 서비스순수출로 구분 <출처: 2014年消 我 GDP增 率 50.2%, 新 , 2015-06-03>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의 2015년 상반기 해외직접투자 동향
2015년 6월 18일 중국상무부는 2015년 1~5월 중국 국내투자자의 해외 146개 국가, 3,426개 국외기업에 대한 직접투자현황을 발표 2015년 1~5월 중국의 비금융 대외투자 누적액은 454.1억 달러임 - 주식과 채무증서 투자가 384.1억 달러로 84.6%를 차지하고, 수익 재투자는 70억 달러로 15.4%를 차지함 2015년 1월~5월 홍콩, ASEAN, EU, 호주, 미국, 러시아, 일본 등 7개 지역에 대한 중국의 투자는 358.6억 달러로 중국 전체 해외직접투자의 79%의 비중을 차지함 - EU, ASEAN, 홍콩, 미국에 대한 투자 증가율은 각각 367.8%, 78.4%, 66.7%, 37.4%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일본, 러시아에 대한 투자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호주로의 투자는 42% 감소함 중국의 1억 달러이상 대외직접투자 대상 국가는 29곳이며, 그중 10억 달러 이상 투자가 이루어진 국가는 6곳으로 홍콩, 케이맨제도, 네덜란드, 미국, 버진아일랜드, 싱가포르임 일대일로와 관련한 48개 국가에 대한 중국기업의 직접투자는 48.6억 달러로 주요 투자 대상국가는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라오스, 러시아 등임 <출처: 商 部:1-5月我 外直接投 同比增 47.4%, 中 , 2015-06-08>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