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2015년 상반기 중국 수출 0.9% 증가
중국상무부는 2015년 7월 21일 세계경제의 회복으로 수출입이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하반기 수출상황은 상반기보다 좋아질 것이라 전망함 해관총서는 2015년 상반기 중국의 수출입이 11.5조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6.9% 하락했다고 밝힘 - 수출은 6.57조 위안으로 0.9% 증가, 수입은 4.96조 위안으로 15.5% 하락함 WTO 최신 통계발표에 따르면, 2015년 1~5월 미국(5.4%), EU(1~4월)(13.8%), 일본(7.8%), 한국(5.7%), 남아공(6.9%), 브라질(17.1%) 모두 마이너스성장을 기록했으며, 인도의 수출 증가폭은 동기대비 15.9% 하락함 상무부 대변인은 상반기 수출 증가 부진의 가장 큰 요인을 글로벌 경제침체와 외수시장 부진으로 꼽음 - 또한 위안화 강세로 중국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되었다고 분석함 반면 상반기 전자기기의 수출은 3% 증가했으며, 일대일로(一帶一路) 관련 국가로의 수출이 빠르게 늘고 있음 - 인도, 태국, 베트남 등 국가로의 수출이 10%이상 증가함 하반기 수출현황은 상반기보다 나을 것으로 전망 - 글로벌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미국경제 호전예상 - 국무원은 최근《안정적인 수출입 성장 지지를 위한 약간의견》통과. 수출입환경 개선, 정책 강화, 개혁추진가속화, 새로운 동력 발굴 등 다방면으로의 조치가 취해짐에 따라 중국의 해외무역의 안정적 성장을 기대함 <출처: 商 部 言人:中 下半年出口形 好于上半年, 新 , 2015-07-2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5년 상반기 중국 외환시장 거래 현황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은 2015년 7월 31일 중국의 상반기 외환시장거래액을 발표 - 중국의 상반기 외환시장 누적거래액은 45.08조 위안임 2015년 6월 중국의 외환거래액은 7.93조 위안으로 지난 두 달간의 거래액과 비슷한 수준임 - 은행과 개인 간 거래액은 2.19조 위안, 은행 간 거래는 5.74조 위안, 현물시장(spot markets)의 누적 거래액은 3.35조 위안, 파생상품시장 누적거래액은 4.58조 위안으로 나타남 <출처: 上半年中 外 市 累 成交45.08万 元, 新 , 2015-07-3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5년 상반기 중국 고정자산투자 현황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5년 8월 12일 전국고정자산투자현황을 발표 - 2015년 1-7월 중국의 전국고정자산투자(농촌 불포함) 규모는 288,469억 위안으로 11.2% 증가함 산업별 고정자산투자는 1차 산업 7,741억 위안, 2차 산업 118,891억 위안, 3차 산업 161,837억 위안으로 각각 28.2%, 9%, 12.1% 증가함 2차 산업은 공업투자 규모가 116,639억 위안으로 9% 증가함 채광업 투자는 6,665억 위안, 제조업 투자 96,755억 위안, 전력·가스 및 용수 생산 및 공급업 투자는 13,219억 위안이 이뤄짐 3차 산업은 기초설비서비스 분야 투자 규모가 49,835억 위안으로 18.2% 증가함 - 수리(水利)관리업 투자가 16.6% 증가했으며, 공공설비관리업 투자 18.3%, 도로운송업 투자 19.9%, 철로운송업 투자 10.9%증가로 높은 증가세를 보임 지역별로 살펴보면, 동부지역 투자는 133,940억 위안으로 9.7% 증가하였고, 중부지역 투자는 82,075억 위안으로 14.7% 증가, 서부지역 투자는 70,399억 위안으로 9.5% 증가함 기업 유형별 투자현황은 중국현지기업투자 274,763억 위안, 홍콩·마카오·타이완 기업 투자가 6,666억 위안 비중화권 해외기업 투자는 6,032억 위안으로 나타남 <출처: 2015年1-7月 全 固定 投 (不含 )增 11.2%, 家 局, 2015-08-12>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5년 상반기 중국 부동산 개발・판매 현황
2015년 8월 12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중국 전역의 부동산개발 및 판매현황 데이터를 발표 - 2015년 1-7월 중국의 부동산개발투자 규모는 52,562억 위안으로 4.3% 증가함 - 그중 주택투자는 35,680억 위안으로 3% 증가, 부동산개발 전체의 67.3%를 차지함 동부지역의 부동산개발투자는 30,186억 위안으로 4.7% 증가함 - 중부는 10,781억 위안으로 3.9% 증가 - 서부지역은 11,596억 위안으로 3.8% 증가했지만, 증가세는 0.9%p하락함 <출처: 2015年1-7月 全 房地 和 情 , 家 局, 2015-08-12>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5년 상반기 일대일로 관련 해외 교역・투자
중국상무부는 2015년 8월 19일 상반기 중국기업의 직접투자현황을 발표 - 2015년 1-7월 중국기업의 “일대일로(一 一路)” 관련 48개 국가에 전년대비 29.5% 증가한 85.9억 달러의 직접투자가 이루어짐 - 주요 투자대상 국가는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라오스, 러시아, 카자흐스탄, 태국 등임 대외하청공사계약은 총 60개 국가와 1,786건을 새로 체결함 - 계약규모는 494.4억 달러로 39.6% 증가함 - 영업성과액은 344.6억 달러로 4.2% 증가함 “일대일로” 관련 해외무역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인도, 태국, 베트남으로의 수출이 각각 9.8%, 16.3%, 12.5% 증가함 <출처: 前7 月我 企 “一 一路”沿 家投 同比增近30%, 新 , 2015-08-19>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15년 상반기 주요오염물질 배출량 대폭감소
중국 환경부는 2015년 9월 6일 2015년 상반기 중국의 주요 오염물질 배출량을 발표함 환경부는 2015년 상반기 중국 각성의 주요 오염물질배출 현황을 조사한 결과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1,138.3만 톤으로 전년동기대비 2.9% 감소 - 암모니아 질소 배출량은 118.6만 톤으로 3.18% 감소 - 이산화유학 배출량은 989.1만 톤으로 4.63% 감소 -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1,002.8만 톤으로 8.8% 감소 통계결과 상반기 중국의 새로 추가된 도시(현, 공업단지)의 오수처리능력은 350만 톤으로 누적 처리용량은 1.75억 톤임 - 270곳의 제지 및 날염 관련 기업에 배수처리 및 재생시스템을 설치 중국에 신규 설립된 화력발전소 탈질설비총량은 5,980만 ㎾로 누적 용량은 7.5억 ㎾로 전체 화력발전소 용량의 87%에 달함 <출처: 保部:今年上半年全 主要 染物排放量均大幅下降, 新 , 2015-09-07>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5년 8월 중국의 제조업구매지수 49.8%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5년 9월 1일 중국의 8월 제조업구매지수(PMI)지수를 발표 - 대기업의 PMI지수는 49.9%로 전월대비 0.7%p하락함 - 이는 2015년 들어 처음으로 50% 밑으로 떨어짐 중소기업은 PMI지수는 48.1%로 전월대비 1.2%p 증가함 PMI지수는 신규주문, 생산, 출하, 제고, 고용상태로 5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음 - 8월 생산지수는 51.7%로 전월대비 0.7%p 반락 - 신규주문은 51.7%로 전월대비 0.2 하락하며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제조업시장의 수요 감소를 나타냄 - 고용상태지수는 47.9%, 제고지수는 48.3%, 출하지수는 50.6%를 나타냄 <출처: 8月中 制造 采 理指 49.7%, 家 局, 2015-09-0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500대 기업의 특징
2015년 8월 중국기업연합회, 중국기업가협회 공동 “중국 500대 기업” 순위 발표 - 중국 대기업은 “발전 중 전환, 전환 중 발전(在 展中 型, 在 型中 展)”의 특징을 보이고 있음 ■ 산업구조의 최적화 필요 중국의 기업순위를 보면 산업구조 변화가 뚜렷이 반영되고 있음 - 전통에너지, 제련 등의 산업은 점차 감소하고, 서비스업와 신흥산업이 발전하고 있는 경향이 눈에 띔 - 현재 제조업 내부의 구조적 문제와 서비스업이 여전히 발전단계에 있어 중국 산업구조 전환은 충분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짐 ■ 제조업의 변화 2015년 중국 500대 기업의 실질영업수입은 59.5조 위안으로 전년대비 4.9% 증가했지만, 증가율은 8.4%p 감소함 - 중국기업연합회와 중국기업가협회는 제조업 규모는 커졌지만, 증가세는 하락했다고 밝히며, 중국 제조기업의 국제금융 위기와 유럽발 재무 위기의 영향으로 점차 증가세 하락이 완만해지고 있다고 판단함 500대 기업 가운데 266개 기업이 제조업으로 2014년에 비해 6개 회사가 증가함 - 제조업 내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남 - 중화학공업이 점차 약화되고 첨단 제조업이 강화되고 있음 - 그 중, 금속제련 및 압연가공 기업은 5곳 줄어들었고, 첨단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장비제조 기업 2곳, 의약제조 기업 3곳이 새롭게 500대 기업에 합류함 2015년 500대 제조업 기업 중 상위 10개 기업의 영업수입총액과 자산총액은 각각 6.5조 위안과 5.9조 위안이고, 하위 10개 기업의 수입총액과 자산총액은 각각 690.3억 위안과 593.6억 위안으로 500대 기업 내 규모 차이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남 - 이는 장기간에 걸쳐 벌어진 격차로 격차해소에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짐 영업이익에 있어서도 이익은 몇 개 소수기업에 매우 집중되어 있고, 적자기업의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500대 제조기업 가운데, 영업이윤이 가장 많은 업종은 자동차 및 부품제조업, 담배제조업, 통신기기 및 설비, 소자(元器件:component) 제조업, 석유화학품, 코크스 및 기타연료생산가공업, 가전 및 부품제조업이 전체 500대 제조업 이윤총액의 44.09%를 차지함 ■ 서비스업 최강자 은행 2015년 중국 500대 기업 중 서비스업은 총 151개 기업으로 전년대비 6개 감소함 - 그러나 서비스업의 영업수입과 이윤이 증가했으며, 몇몇 서비스기업이 새롭게 순위에 오름 인터넷 및 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기업이 3곳, 은행업 2곳, 기타 금융서비스, 의약판매, 항공운송기업들이 각각 1곳씩 새로 순위 대열에 합류함 - 500대 서비스 기업을 살펴보면, 37개의 업종으로 영업수입총액은 25.2억 위안에 달해 전년대비 7.2% 증가했고, 영업수입의 증가율이 3년 연속 제조업보다 높게 기록됨 경제적 성과로 봤을 때, 중국의 서비스업은 과도하게 은행업이 집중되고 있는 문제점을 보임 - 500대 서비스 기업 중 은행업은 41곳으로 8.2%에 달함 은행업의 영업이윤은 13,236억 위안으로 전체 서비스업 이윤의 67.62%를 차지하고 있음 - 이러한 문제는 10년 전부터 존재해왔으나 최근 들어 더욱 심화되고 있음 - 2009년 서비스업 내 은행업의 이윤 비중은 58%로 최근 6년간 10%p 가까이 증가함 ■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 2015년 500개 기업 중 5개 인터넷기업이 순위에 오름 - 5개 기업은 징동(京 商城), 텐센트( ), 바이두(百度), 알리바바(阿里巴巴), 랑차오(浪潮)그룹임 징동,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두의 영업수입 증가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순이익은 큰 차이를 보임 - 텐센트와 바이두는 높은 순이익 증가율을 보이지만, 징동은 적자가 늘었으며, 알리바바그룹의 순이익은 대폭 하락했으며, 랑차오그룹은 안정적인 성장을 보임 - 현재 5곳의 인터넷기업만이 500대 기업에 포함되어 있어 아직까지 중국산업구조 전환에는 여전히 많은 노력과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세계500대 기업은 서비스업, 첨단장비제조업, IT 및 과학기술업 관련 기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중국은 여전히 조선업, 부동산, 방직, 프로젝트 및 건축업, 공입기계, 건설자제 및 유리, 무역, 에너지업 등에 집중되어 있음 중국기업은 끊임없는 국제경쟁력 향상과 정부의 정책 및 시스템 개혁, 외부환경 마련이 필요하며, 국유기업 개혁과 중국제조 2025의 성공을 통해 중국기업의 활력을 불어넣어야 함 <출처: 中 500强企 型任重道 服 中 行一家 大, 新浪 , 2015-08-25>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웨이하이 주요 국가급 경제개발구 현황
웨이하이시는 5,698㎢ 면적에 인구 280.56만 명의 도시로 최근 인천과는 IFEZ-웨이하이시 한중FTA지방경제시범지역으로 선정되어 다각적인 경제협력을 맺고 있음 웨이하이시는 화타이( 泰), 광타이( 泰) 등 완성차 생산업체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가 소재한 중국 최대 타이어, 스틸코드 및 기타 자동차 부품 생산 기지임 - 또한 주요 선박 수리 및 제조 기지로 삼성중공업, 삼진선업, 신선중공업, 황해조선 등 10대 조선업체를 보유하고 있음 ■ 웨이하이경제기술개발구 웨이하이경제기술개발구는 1992년 10월 설립된 국가급 개발구로 웨이하이 동남쪽에 위치하고 총면적은 277㎢임 선박 및 부품제조, 자동차와 부품제조, 전자정보, 방직 의류, 첨단장비제조, 바이오 의약, 신소재, 신에너지 등 8개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있음 - 서비스업 관련 리조트 관광센터, 현대물류집산센터, 상업지구 등이 조성되어 있음 2013년 웨이하이경제기술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4,688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392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1억 3,989만 달러에 달함 ■ 웨이하이임항경제기술개발구 2005년 성급 개발구로 설립된 웨이하이임항경제기술개발구는 2013년 11월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로 승격됨 주요 산업은 신소재, 기계전자장비제조, IT, 바이오 의약, 생태농업관광, 도시개발프로젝트이며, 미국 스포츠용품회사 JARDEN, 일본 광학기기 제조사 HOYA, 한국 롯데음료, LOCK&LOCK, 중국 글로벌 의료기기제조 WEGO그룹, 삼각타이어, 중국유리 등의 기업이 위치하고 있음 2013년 웨이하이임항경제기술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1,458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194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1억 369만 달러에 달함 ■ 웨이하이하이테크개발구 웨이하이하이테크개발구는 1991년 140㎢의 면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의료기기, 스캐너 및 의료첨단장비, 산업디자인, 합성소재, 스마트 장비산업 클러스트가 조성되어 있음 2013년 웨이하이하이테크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5,088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1,102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1억 3,671만 달러에 달함 ■ 웨이하이 성급 경제개발구 웨이하이는 <표 8>과 같이 6개의 성급 경제개발구가 조성되어 있음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옌타이 주요 국가급 경제개발구 현황
옌타이시는 13,700㎢ 면적에 인구 698.93만 명의 도시로 산둥성에서 두 번째로 경제규모가 큰 도시임. 식품가공, 기계제조, 황금, 전자, 석유화학, 야금 및 생물의약 등을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음 산둥성 옌타이는 옌타이보세항구, 옌타이경제기술개발구, 자오위안경제기술개발구, 옌타이하이테크개발구 4개의 국가급 경제개발구와 9개의 성급 경제개발구가 설치되어 있음 ■ 옌타이기술경제개발구 옌타이기술개발구는 1984년 228.4㎢의 면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주요산업은 자동차, 기계, IT, 정밀화공, 바이오 의약, 섬유의류, 경공업, 신소재 등임 한국의 LG이노텍, 두산인프라코어와 중국의 유명 방직기업 화룬섬유유한회사( ) 등이 입주해 굴삭기, 휴대전화, 합성섬유, 피아노 등의 생산품이 유명함 2013년 옌타이기술경제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8,185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3,156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4억 6,800만 달러에 달함 ■ 옌타이하이테크개발구 옌타이하이테크개발구는 1990년 설립되었으며, 중국 최초의 APEC과학기술공업단지와 중국-러시아 하이테크 합작시범기지로 지정됨 - 개발구는 펑라이, 푸산, 라이산 총 3지역에 단지가 조성되어 있음 주요산업은 해양 바이오·의약, 항공 우주 과학기술, IT, 소프트웨어, 금융, 문화 등으로 신흥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개발구에는 중국 CIMC 해양공사 연구소, 산둥 우주 전자기술 연구소와 창업단지, 옌타이 블루오션 소프트웨어단지 등이 조성되어 있음 2013년 옌타이하이테크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7,433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511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1억 3,694만 달러에 달함 ■ 옌타이 성급 경제개발구 옌타이에는 <표 6>과 같이 9개의 성급 경제개발구가 조성되어 있음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