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지난 주요 국가급 경제개발구 현황
산둥성 성도 지난시는 8,177㎢ 면적에 인구 699.88만 명의 도시로 IT, 소프트웨어 등의 3차 산업이 발달되어 있고 소비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이 주목됨 지난시에는 지난종합보세구, 밍수이(明水)경제기술개발구, 지난하이테크개발구의 3개 국가급경제개발구와 7개의 성급경제개발구가 있음 ■ 밍수이경제개발구 밍수이경제개발구는 2012년 10월 비준을 통해 국가급 경제기술개발구로 승격되었으며, 지난 동부 장추(章丘)시에 위치하고 있음 현재 300여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고, 국가급 신형공업화산업시범기지, 국가급 선진기계제조업특수산업기지, 국가급 중형자동차특수산업기지, 산둥성 과학발전시범단지, 산둥성 순환경제시범단지 등으로 지정됨 주요 산업은 교통장비, 기계제조, 정밀화공, 식품음료이고, 투자유치업종은 교통장비 및 부품산업, 기계제조, IT, 신소재, 첨단장비세소, 현대서비스, 식품음료 및 관련 산업 등이 있음 ■ 지난하이테크개발구 지난하이테크개발구는 1991년 계획면적 141㎢로 설립되었으며, 주요산업은 IT, 식품약품, 교통장비, 첨단서비스업임 - 지난하이테크개발구는 전국 하이테크개발구 가운데 규모 등에 있어 13위에 랭크됨 대표적인 입주기업으로는 일본의 통신전자기업 NEC, 중국 통신장비 제조업체 ZTE(中 通 ), LG, 미국의 대표 음료제조업체 펩시코(PepsiCo), 지난 SUZUKI 오토바이유한회사 등이 있음 2013년 지난하이테크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9,616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2,002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2억 6,006만 달러에 달함 ■ 지난종합보세구 지난종합보세구는 2012년 5월 비준을 통해 지난 동부에 위치하고 15㎢의 계획면적으로 보세가공, 보세물류, 국제무역, 항구직통운송 등의 기능을 일체화해 산둥성 중서부지역의 유일한 국가급 종합보세구임 - 주요산업은 IT, 신소재, 바이오의약, 국제무역, 창고물류, 보세가공임 ■ 칭다오 성급 경제개발구 지난시는 3개의 국가급 경제개발구 외에도 <표 4>와 같이 7개의 성급 경제개발구가 조성되어 있음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칭다오 주요 국가급 경제개발구 현황
면적 10,654㎢, 인구 896.41만 명인 칭다오시는 산둥성 경제 수위도시임 - GRDP 규모와 고정자산투자에 있어서 산둥에서 가장 큰 규모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칭다오는 전자정보, 석유화학, 교통운수 및 신소재 등 4대 공업기지, 전자, 가전, 석유화공, 자동차, 조선, 섬유의류 등 6대 산업 클러스터 육성하고 있음(중소기업청 외,2015:125) - 바다와 근접해 수산품 관련 산업이 발달했고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제어업박람회가 개최되었으며, 라오산( 山)의 물을 이용한 광천수, 맥주가 유명함 칭다오의 주요 국가급 개발구는 칭다오경제기술개발구, 칭다오하이테크개발구, 칭다오보세항구, 칭다오수출가공구, 칭다오서해안수출가공구 등이 있음 ■ 칭다오경제기술개발구 칭다오경제기술개발구는 1984년 10월 국무원 비준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총면적은 274.1㎢에 달함 - 중국의 14번째 국가급개발구로 지난 30년간 칭다오 경제산업의 원동력으로 산둥성 경제발전과 대외개방에 큰 기여를 함. 종합발전수준 평가에서도 9년 연속 중국 국가급개발구 상위 5위를 기록함 칭다오경제기술개발구는 공업과 IT의 융합으로 항구, 가전, 자동차, 석유화학, 조선, 해양프로젝트 등의 산업에 강점을 보이고 있음. 이와 관련된 기업이 200여 곳에 달하며, 공업총생산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대표기업으로는 상하이자동차, 포스코, Hisense, Haier 등이 있음 2013년 칭다오경제기술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19,998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4,876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9억 5,300만 달러에 달함 ■ 칭다오하이테크개발구 칭다오하이테크개발구는 1992년 11월 설립된 중국국가급첨단구 가운데 하나로 면적은 19.75㎢임 칭다오하이테크개발구의 주요산업은 IT업, 바이오 의약산업, 신소재산업, 신에너지 및 고효율에너지절약 산업, 첨단방비제조업, 해양 과학기술산업, 현대서비스업임 2013년 칭다오하이테크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2,019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1,487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1억 4,940만 달러에 달함 ■ 칭다오보세항구( 保 港 ) 칭다오보세항구는 2010년 8월 기존의 칭다오보세물류단지와 보세구, 전만항(前 港)을 통합하여 설립된 국가급 경제개발구임 - 2013년 칭다오시정부는 보세항구를 더욱 확대해 65.73㎢의 계획면적에 보세구, 보세항구, 수출가공구, 자동차 물류단지, 보세기능개발구 등을 포함한 대규모 보세항구를 설립함 - 산둥성의 대외개방 제고와 물류망 구축을 위해 더저우, 린이, 웨이팡, 지닝, 허쩌 등 내륙지역에 보세기능단지를 조성해 칭다오보세항구의 시스템과 정책을 공유함 현재 보세항구는 세계 500대 기업 중 41개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2014년 칭다오시는 해외전자상거래시범업무를 개시함 - 칭다오보세항구에서는 보세, 면세, 입주세금 환급 등의 정책적 우대를 실시하고 있음 - 보세항구만의 “개별운송 통합신고, 집합수출(分送集 , 集 出境)” 등 편리한 수출입 통관제도를 실시하고 있음 ■ 칭다오 성급 경제개발구 칭다오는 이상 국가급 개발구 외에도 6개의 성급 경제개발구가 있음. 그 기본현황은 <표 2>와 같음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지닝・린이 주요 국가급 경제개발구 현황
지닝, 린이는 산둥성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과 인구는 다음과 같음 - 지닝 면적 11,285㎢, 인구 821만 명 - 린이 면적 17,186㎢, 인구 1,016만 명 지닝시에는 한 개의 국가급하이테크개발구가 있고, 린이시는 린이하이테크개발구와 경제기술개발구가 설립되어 있음 ■ 지닝하이테크개발구 지닝하이테크개발구는 1992년 성립되어 2010년 국가급으로 승인되었으며, 현재 17개의 세계 500대 기업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공업기업은 760개에 달하며 광학정보, 장비제조, 바이오,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외주, 방직의류 등이 주요산업임 광학정보산업은 LED, IC, 광통신 등을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신소재산업은 합성소재, 나노, 반도체, 신에너지 등의 개발을 육성하고 있음 - 개발구는 국가급 엔지니어링산업기지로 기계생산, 연구개발 및 조립기술이 뛰어나 일본과 미국의 중장비업체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고, 굴삭기, 불도저, 지게차 등이 생산됨 - 또한 지닝하이테크개발구는 어린이교육 애니메이션 디자인 등 문화산업의 발전도 이루어지고 있음 2013년 지닝하이테크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4,373개이며, 이 가운데 첨단기술기업은 348개에 달하고,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2,332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2억 2,003만 달러에 달함 ■ 린이하이테크개발구 린이하이테크개발구는 1992년 성립되었으며 2011년 국가급하이테크개발구로 승격되었고, 면적은 192㎢에 달함 전기자동차, 태양에너지 등 신에너지산업의 연구개발, 제조, 자문서비스 진행, IT산업은 자성소재개발, 조립, 측량기기, 인테리어 조명 등을 주로 육성함 - 이밖에 바이오산업, 신소재산업, 장비제조산업 등이 있음 - 바이오산업은 20여개의 기업이 입주해있으며 현대 중약, 의약중간제, 의료기기 등을 생산하고 있음 린이하이테크개발구는 개발구 중심지에 과학기술 비즈니스 파크를 설립해 현대과학기술서비스업을 주도하고 문화산업, 비즈니스서비스업, 행정지원, 교육 등의 기능을 통합함 2013년 린이하이테크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1,805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880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3,690만 달러에 달함 ■ 린이경제기술개발구 린이경제기술개발구는 2003년 건설되었고, 2010년 국가급으로 승인되어 현재 면적이 223㎢에 달함 린이개발구는 첨단장비제조산업, 자동차 및 부품산업, IT산업, 의약식품산업, 신에너지소재산업이 매우 발달되어 있음 세계 500대 기업 볼보가 입주해 있고, 산둥린공( 工), 중타이( 泰)자동차, 산중건기(山重建机) 등이 대표 기업으로 꼽힘. 엔지니어링기업은 82개가 있으며 화물적재기, 굴삭기, 로드롤러 등 40여 종의 완성기기와 관련 부품을 생산함 - 자동차제조는 중타이자동차가 100억 위안을 투자해 연간 세단과 SUV차량 30만대를 생산해 300억 위안의 생산가치를 내고 있음 IT산업은 창업센터와 컴퓨터 및 인공지능개발소, 중관촌 합작 소프트웨어산업기지가 건설되어 있음 - ‘중국-인도 소프트웨어국제합작시범기지’를 투자·건설하여 60여명의 인도인재를 유치했으며, 현재 개발구는 미국IBM, 인도 SRM 등 140개의 IT회사가 입주해 있음 2013년 린이경제기술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2,437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716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7,836만 달러에 달함 ■ 지닝·린이 성급 경제개발구 지닝·린이시는 <표 4>와 같이 각각 14개, 11개의 성급 경제개발구 및 공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음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둥잉・웨이팡・르자오 주요 국가급 경제개발구 현황
둥잉, 웨이팡, 르자오는 산둥성의 해안도시로 면적과 인구는 다음과 같음 - 둥잉 면적 7,912㎢, 인구 208만 명 - 웨이팡 면적 15,829㎢, 인구 923만 명 - 르자오 면적 5,310㎢이고, 인구는 285만 명 둥잉시와 르자오는 각각 한 개의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가 있고, 웨이팡시는 국가급개발구인 빈하이경제기술개발구와 웨이팡하이테크개발구가 있음 ■ 둥잉경제기술개발구 둥잉경제개발구는 1992년 설립되어 2010년 국가급경제개발구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80㎢ 면적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음 주요산업은 8인치 대형직접회로, LED, 자동차 전자 중심의 IT산업이 있고, 지아오(吉奧)자동차, 둥팡만( 方曼), 준통(俊通) 세 개의 자동차 완성차 공장이 있어 자동차 및 부품산업이 발달했음 - 이 외에도 풍력에너지 중심의 신에너지산업, 석유 장비제조산업, 신소재산업, 구리압연 및 가공산업 등이 있음 개발구 소재의 팡위안(方 )그룹과 누팡( 方)기업은 중국 500대 기업에 포함되어있으며, 두 기업과 톈위안(天 ), 가오위안(高原)기업은 중국 500대 제조기업에 포함됨 둥잉경제기술개발구는 과학기술지원, 인재개발, 투자융자지원, 물류지원, 기초설비지원 플랫폼을 운영·계획하고 있음 2013년 둥잉경제기술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1,773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1,501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4,631만 달러에 달함 ■ 빈하이경제기술개발구 빈하이경제기술개발구는 웨이팡 북부 연해지역에 자리하고 있으며 3개의 구를 포함하고 있고, 면적은 2,657㎢이며, 510㎢의 해양면적을 포함함 개발구에 1억 위안 이상 투자한 항목이 200개 이상이며, 산둥하이화(山 海化), 루이츠(瑞 )자동차, 웨이차이( 柴)중기 등 대기업의 입주로 빠르게 발전해옴 빈하이개발구의 주요산업은 해양화학공업, 장비제조, 친환경자동차, 신 바이오산업 등 산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 해양항구물류원을 개발해 창고물류, 분산배송, 수출가공 및 현대물류서비스산업을 발전시켰고, 웨이팡어항( 港)을 조성해 양식업, 선박수리, 해산물가공, 냉동가공 등의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있음 2013년 빈하이경제기술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2,172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1,103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1억 2,817만 달러에 달함 ■ 웨이팡하이테크개발구 웨이팡하이테크개발구는 1992년 국가급개발구로 승인되어 면적 110㎢에 19.6만 명의 인구가 주거하고 있음 개발구의 주요산업은 자동차 및 장비 제조, 조명음향기기, 바이오, 소프트웨어정보 등이 있으며, 반도체, 건강·헬스, 스마트 장비산업 클러스트가 조성되어 있음 자동차 산업은 136개의 관련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친환경 자동차, 완성차, 구동시스템, 핵심부품 생산과 관련 서비스산업이 발전되어 있음. 조명음향기기산업은 200개 이상의 기업이 소재해 있으며 외관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칩, 소형음향기기 등 중국에서 가장 크고 유명한 음향기기의 집산지임 - 최근 블루투스 이어폰, 3D 안경, 마이크로실리콘 마이크 등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등 뛰어난 실적을 이루고 있음. 고성장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으며, 3D 프린팅, 지리정보측량, 해양생물 등 신흥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2013년 웨이팡하이테크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5,761개이며, 외상투자기업이 247개, 첨단기술기업은 139개이다.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1,430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4억 2,890만 달러에 달함 ■ 르자오경제기술개발구 르자오경제기술개발구는 1991년 르자오수출가공구로 설립되었으며, 2010년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로 정식 승인되었음 개발구는 자동차엔진부품, 펄프제지 및 인쇄포장, 식품가공, 현대물로를 주력산업으로 육성중이며, 해양장비제조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음 자동차엔진부품산업은 현대위아 엔진과 현대파워텍의 변속기를 중심으로 35개 관련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총 투자규모는 29.3억 달러로 매년 100만 개의 엔진과 300개의 자동차 몰드를 생산할 수 있음 펄프제지 및 인쇄포장업은 세계 펄프기업 ASIA SYMBOL이 150억 위안을 투자해 180만 톤의 풀과 17만 톤의 제지를 생산함 - 르자오시는 국가급 보세물류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루난( 南)항공무역서비스 등 물류기업 1,068개 업체가 입주해있음 2013년 르자오경제기술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2,845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624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2억 8,000만 달러에 달함 ■ 둥잉·웨이팡·르자오 성급 경제개발구 둥잉·웨이팡·르자오 지역에는 <표 2>와 같이 각각 6개, 12개, 3개의 성급 경제개발구 및 공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음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더저우・랴오청 주요 국가급 경제개발구 현황
더저우·랴오청은 산둥성 서북에 위치해 허베이성과 접해있는 도시로 면적과 인구는 다음과 같음 - 더저우 면적 10,356㎢, 인구 567만 명 - 랴오청 면적 8,715㎢, 인구 591만 명 더저우시와 랴오청는 각각 한 개의 국가급 경제기술개발구가 설립되어있음 ■ 더저우경제기술개발구 더저우시 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더저우경제기술개발구는 1998년 건설되었고, 2012년 국가급개발구로 승격 - 또한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 광산자원이 풍부하고 더저우시 전체를 흐르는 62㎞의 황하로 인해 지하수도 풍부해 토지가 비옥함 - 더저우는 중국의 중요한 농산품생산기지이자 면화재배지로 농산품의 품종도 다양하고 우수한 품질을 자랑함 더저우경제기술개발구의 주요 육성산업은 신에너지산업, 장비제조산업, IT산업, 생물기술산업, 식품가공산업, 현대서비스업임 - 더저우의 태양에너지 온수기는 전국 총생산의 10%에 달하며, 태양전지발전량은 산둥성의 13%로 성내 가장 높은 수준임 현대서비스산업은 물류, 금융보험, 비즈니스업무 등이 있으며 더저우는 중국 5대 물류 핵심도시 가운데 한 곳으로 북으로는 징진지를 접하고 있고, 화북, 화동의 중간지점으로 집산물류센터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2013년 더저우경제기술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1,341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825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1,838만 달러에 달함 ■ 랴오청경제기술개발구 랴오청경제기술개발구는 1995년 건설되어 2013년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로 승격되었으며, 관할면적은 191㎢이고 인구는 15만 명임 랴오청경제기술개발구는 “2+5+1”산업발전전략을 수립함 - ‘2’는 첨단제조업, 현대서비스산업 - ‘5’는 친환경자동차 및 부품, 첨단장비제조, 금속가공, 식품의약, 현대서비스업 - ‘1’은 현대정밀농업산업단지 라오청경제기술개발구는 한국, 일본, 미국, 영국, 싱가폴, 스페인, 홍콩, 타이완, 태국 등 20개 국가의 기업이 입주해있으며, 신에너지, 신소재, IT, 생물과학, 기계전기, 방직의류, 식품가공 등 다양한 업종에 영위하고 있음 - 한국 CJ제일제당, 홍콩 화룬( )그룹, 네덜란드 Royal DSM 등이 있음 2013년 랴오청경제기술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2,341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492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1,384만 달러에 달한함 ■ 더저우·랴오청 성급 경제개발구 더저우·랴오청은 <표 4>와 같이 각각 11개, 5개의 성급 경제개발구 및 공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음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쯔보・타이안・빈저우 주요 국가급 경제개발구
쯔보, 타이안, 빈저우는 산둥성의 성도 지난의 주변도시로 면적과 인구는 다음과 같음 - 쯔보 면적 5,938㎢, 인구 459만 명 - 타이안 면적 7,761㎢, 인구 557만 명 - 빈저우 면적 9,445㎢이고, 인구는 381만 명 쯔보시와 타이안시에는 국가급 하이테크개발구가 조성되어 있으며, 빈저우시는 빈저우경제기술개발구와 취핑경제기술개발구가 설립되어있음 ■ 쯔보하이테크개발구 쯔보하이테크개발구는 1992년 설립된 국가급하이테크개발구로 면적은 121.1㎢임. 개발구에는 12개의 국가급 연구센터, 72개의 성급 연구센터가 설치되어 있음 - 53종의 지하자원과 석유, 천연가스가 매장, 광산자원이 풍부한 쯔보는 석유화학이 고도로 발달되어 있음 - 지루( )석유화학공업회사는 중국의 대형석유화학연합기업으로 비닐과 고무의 원재료인 64만 톤의 에틸렌 관련 대형 추출장비를 갖추고 있음 쯔보하이테크개발구에는 석유화학, 바이오, 방직, 실크, 건설자재, 도자기, 야금, 전기기기, IT 등 35개 업종이 발달되어 있고, 중국의 중요한 공업기지로 중공업, 화학공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있음 - SIEMENS, 미국 GE, 네덜란드 정밀화학기업 DSM 등 20개의 세계 500대 기업이 입주 2013년 쯔보하이테크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5,761개이며, 외상투자기업이 182개, 첨단기술기업은 128개임. -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2,144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8,156만 달러에 달함 ■ 타이안하이테크개발구 1994년 성급 하이테크개발구로 설립된 타이안하이테크개발구는 2012년 국가급으로 승격됨. 타이안하이테크개발구는 타이산(泰山)자락의 118㎢의 면적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산둥성 과학발전시범구, 대외개방선진단지 등으로 지정되어 있음 현재 개발구에 투자 중인 세계 500대 기업과 중국 100대 기업은 30여 개에 달하고, 공업기업은 400개 이상임 - 자동차 및 부품, 변압설비, 광산장비, IT, 바이오, 신에너지 등 선진제조업과 신흥산업 경쟁력 구비 기계제조업은 타이안의 주력산업으로 특수형 자동차 제조, 자동차부품가공, 전력설비제조, 전기기계 통합상품이 주로 생산됨 타이안시는 전통농업도시로 농산품이 풍부하고, 수질과 교통이 편리해 식품가공업 발전에 유리한 환경을 구비 - 멍니우(蒙牛)유업 등 유명식품가공기업이 입주해있고, 낙농상품, 과일을 원료로 하는 간식, 음료, 건강식품을 생산하고 있음 2013년 타이안하이테크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1,320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476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9,220만 달러에 달함 ■ 빈저우경제기술개발구 2001년 설립된 빈저우경제기술개발구는 2013년 국가급으로 승격되었으며 면적은 189㎢임 주요산업은 알루미늄가공, 자동차 및 부품, 바이오, 방직, 현대서비스, 고효율생태농업으로 산업밀집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 - 특히 알루미늄산업이 특화되어, 항공 알루미늄 가공에 28억 위안이 투자되었고, 고급 자동차 타이어 휠을 생산하는 세계 500대 기업인 Dicastal이 입주해있음 빈저우경제기술개발구에는 성급환발해물류플랫폼이 설치되어 있고, 교통이 빈저우항과 연결되어 있음 2013년 빈저우경제기술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999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193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1,626만 달러에 달함 ■ 취핑경제기술개발구 빈저우시에 위치하고 있는 취핑경제기술개발구는 2003년 성급경제개발구로 승인되었고, 2010년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로 승격된 산둥성 최초의 현급시 국가급개발구임 취핑경제기술개발구는 실내용품 및 의류, 식품의약, 신소재, 설비제조를 주력산업으로 하고, 창고, 물류, 연구개발, 비즈니스를 통합한 종합형경제개발구임 - 개발구는 국가급 승격을 기회로 하이테크산업단지 신소재산업단지, 물류단지를 설치했음 하이테크산업단지는 풍력, 태양에너지, 생물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반도체조명, 친환경자동차, 에너지절약 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신소재산업단지는 알루미늄 정밀가공, 특수철강을 주로 하는 고밀도 알루미늄호일 및 항공기 부품, 교통경량화합금 등을 생산하고 있음 2013년 빈하이경제기술개발구의 등록기업 수는 총 636개이며, 규모이상 공업총생산액은 2,220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총액은 1억 9,193만 달러에 달함 ■ 쯔보·타이안·빈저우 성급 경제개발구 쯔보·타이안·빈저우는 <표 2>와 같이 각각 9개, 4개, 6개의 성급 경제개발구 및 공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음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전국・인천 중국계 결혼이민자 현황
■ 인천 중국인 결혼이민자 현황 2014년 기준, 전국의 결혼이민자는 23만 9,698명이며, 그 중 중국계 결혼이민자는 총 12만 1,448명으로 전체 결혼이민자의 50.7%임 - 전국 결혼이민자를 국적별로 분류하면 중국이 전체의 25.5%인 6만 1,046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중국 조선족이 24.5%인 5만 8,717명 그리고 베트남이 24.1%인 5만 7,645명임 인천시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는 1만 4,541명이며, 그 중 중국계 결혼이민자는 8,657명으로 전체의 59.5%를 차지 인천시 결혼이민자는 중국 출신이 32.6%인 4,742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중국 조선족이 26.0%인 3,782명이고 베트남 출신이 전체의 18.0%인 2,622명의 순임 - 인천의 중국계 결혼이민자 비중은 약60%로 전국의 51%보다 9%p 높은 반면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비중은 전국이 24%인 것에 비해 인천은 18%로 다소 적게 나타남 국내 중국계 결혼이민자가 가운데 36.8%인 4만 255명이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으며, 서울시에는 전체의 28.3%인 3만 939명이 거주하고 있음 3번째로 많은 중국계 결혼이민자가 거주하는 인천까지 합할 경우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국계 결혼이민자는 전체의 72.9%에 해당함 인천시 중국계 결혼이민자 가운데 여성은 7,576명으로 전체의 88%이며, 남성 결혼이민자는 1,081명임 부평구에는 인천시 중국계 결혼이민자 가운데 23.6%인 2,042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남동구에 1,506명(17.4%), 남구와 서구에는 각각 15.3%, 16.0%에 해당하는 1,383명, 1,321명이 거주하고 있음 ■ 중국계 다문화가정 자녀 구성 인천시의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자녀는 총6,689명으로 그 가운데 남아는 3,459명, 여아는 3,230명임 자녀연령은 만0세부터 만7세 사이의 미취학 자녀가 전체의 54.6%인 3,650명이며 만8세부터 점차 자녀수가 분포가 줄어듦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인천 중국인 유학생 현황
■ 인천 중국인 유학생 현황 인천 외국인 유학생 가운데 중국대륙 출신 유학생은 전체의 53%인 893명임 - 한국계 중국인 82명, 타이완 16명을 모두 포함할 경우 전체의 59%를 차지 - 2011년 1,085명에 달했던 중국인 유학생은 조금씩 감소하고 있음 대학별로 보면 인하대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이 570명으로 가장 많고, 인천대가 228명, 경인교대, 인하공업전문대, 인천가톨릭대 등에 95명이 재학 중임 인천지역 대학에 재한 중인 외국유학생은 총 77개국 출신 1,694명임 - 유학형태는 자비유학이 75%를 차지 - 유학생의 기숙사 수용 비중은 28%임 ■ 전공 및 과정 인천의 중국유학생 전공별 비중은 전국과 마찬가지로 인문사회계열이 395명, 7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공학전공인 중국인 유학생은 111명으로 전체의 22%에 달함(전국평균11%) - 반면, 의학계의 비중은 1%로 매우 미미한 것으로 보임 학위과정별 비중은 학사과정이 39%로 가장 많으며, 어학·기타연수가 각각 22%, 21%를 차지하고 석사, 박사과정이 13%, 5%를 차지함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전국 중국인 유학생 현황
■ 중국인 유학생 추이 및 비중 2014년 전국 중국인 유학생 수는 5만 336명임 - 중국인 유학생은 2003년 5,607명 정도였으나, 2011년 5만 9,317명을 기록 10배 이상 늘어남, 2011년 이후 점차 감소세에 있음 전체 재학생 대비 유학생의 비중은 전국 평균 5.6%임 전체 외국유학생수 8만 4,891명에서 중국유학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9%로 타이완까지 포함할 경우 60%를 넘음 외국유학생의 48%가 서울에 집중 - 서울의 경우, 73개의 대학에 총 4만 946명이 재학 중에 있으며, 경기도는 64개 대학에 6,904명의 외국유학생이 있음 ■ 전공 및 과정 비중 인문사회를 전공하는 중국유학생이 가장 많으며, 학사과정 비중이 46%로 가장 큼 - 전국 외국유학생들의 전공별 비중은 인문사회계가 69%를 차지하고 있고, 공학계가 14%, 자연과학계가 7%를 차지하고 있음 - 학사과정 중인 중국유학생은 46%로 가장 많았고, 어학연수는 21%, 석사는 17%, 박사는 4%를 차지함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15년 중국 대학 졸업생 창업비율 2.9%
2015년 11월 29일 중국교육부는 《중국대학생취업창업발전보고》를 발표함 - 보고는 2015년 약 20만 명의 대학졸업생과 5,000명의 창업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중국 2015년 대학 졸업생 가운데 창업에 나선 이의 비율은 2.86%임 - 그 중 초대졸자의 창업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남학생 창업비율 3.56%, 여학생 창업비율 2.15% - 창업비율이 비교적 높은 전공은 예술학, 공학, 경영학임 대학생 창업자의 높은 학력수준 - 창업자의 38.1%가 “211중점대학" 혹은 “985중점대학"출신으로 나타남 대학생 창업자 57.3%는 “정부의 대학생창업자 지원정책이 매우 다양하다”라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 - 또한 50.2%의 대학생창업자는 “현재 대학생이 창업하기 좋은 사회 환경이다”라는 답변을 함 <출처: 2015 全 高校 生 率2.86%, 株洲新 , 2015-11-30>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