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석유화학산업의 현황과 전망
□ 중국 에너지 구성과 가치사슬 ○ 2020년 중국 에너지 소비량은 49억 4,000만 톤(표준석탄, 중국 에너지 단위)이며, 그중 석탄이 56.7%, 청정에너지(비화석+천연가스)가 24.2%를 차지하며, 이 수치는 2025년에 각각 51.3%와 29.8%로 전망 ○ 2020년 중국 에너지 생산량은 40억 8,000만 톤(표준석탄)으로, 자급률이 82.6%이며, 대외 의존도는 17.4% ○ 에너지 소비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석유는 <그림 2>와 같은 가치사슬을 거쳐 최종적으로 소비자들의 생활용품으로 제공 □ 수급 관계 ○ 2020년 중국은 원유 총생산량 1억 9,500만 톤, 수입량 5억 4,000만 톤으로, 대외 의존도가 73.5% ○ 2020년 중국이 가공(Refinery)에 사용한 원유는 총 7.0억 톤(1400만B/D)으로, 이는 생산 능력 8억 9,000만 톤 대비 가동률이 약 78% 수준 ○ 2020년 중국이 생산한 에틸렌은 총 3,006만 톤으로, 생산 능력 3,518만 톤 대비 가동률은 약 85% 수준이며 약 198만 톤을 수입 ○ 2020년 중국의 PX(Paraxylene) 생산 능력은 2,619만 톤, 생산량은 2,000만 톤, 총수요량은 3,200만 톤으로 집계되며 수입량은 1,386만 톤으로 자급률은 62.5% □ 주요 플레이어들 ○ 중국 내 석유화학업의 주요 업체는 국유기업(NOC), 민간기업, 외자기업(Golbal Major) 등으로 구분 ○ 대표적인 민간 기업으로 Hengli, Zhejiang석화, Shenghong 등 ○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인 엑슨모빌과 SK가 중국에서 정유에서 화학까지 일체화 공장에 지분 투자 ○ 2020년까지 국유 기업의 정유, 에틸렌, PX의 시장점유율은 각각 65%, 65%, 44% □ 관련 법규와 정책 ○ 석유화학산업의 정책은 크게 기업 설립과 기업 운영 두 가지로 구분 ○ 외자 기업이 중국에서 석유화학 프로젝트를 추진하려면 투자 품목에 따라 정부의 비준 혹은 등록이 필요 ○ 2017년까지 발개위와 상무부에서는 외자 기업의 투자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외상투자산업지도 목록을 발표하였으나 2018년부터 네거티브 리스트로 변경 ○ 중국은 원유 수입이 자유롭지 않으며, UNIPEC(SINOPEC 자회사), China Oil(Petro China 자회사), SINO CHEM, Zhuhai Zhenrong 등 4개 회사(국영 기업)가 원유수입권을 보유 ○ 기업 운영 관련 내용은 타 산업과 큰 차이가 없으나 석유화학산업의 특수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몇 가지가 존재 ○ 첫째, 중국 내 석유화학산업은 (규모) 대형화, (지역) 단지화, (구성) 연화일체화 추세로 다양한 핵심 주체들 간의 시장경쟁은 가열화 양상 ○ 둘째, 중국은 이제 석유화학산업의 대부분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장치의 국산화도 대부분 가능 ○ 셋째, 중국 내 화학제품은 글로벌 시장가격으로 거래가 되나 석유제품(가솔린, 디젤)은 국가 발개위가 국제유가와 정제원가를 반영하여 시장기준가격을 발표 □ 탄소중립하의 전환(Transformation)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 보호, 탄소중립, 전기자동차(EV)의 추세화는 석유화학업계에도 많은 영향 ○ 중국 생태환경부의 자료에 따르면 석유화학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순위는 전력, 제철, 제련에 이어 4위 ○ 2021년 현재 약 80개의 수소 충전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2035년에는 약 7,200개로 전망 ○ 탄소세와 탄소 배출 지표가 상용화될 예정으로 기업의 단위당 에너지 소모량 절감은 향후 공장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 중국 정부의 안전, 환경, 에너지 소모에 대한 표준은 세계적으로 엄격한 수준으로 평가되며, 특히 순 제로(Net Zero)하 석유화학산업에 대한 표준은 지속 강화될 것으로 예상 ○ 중국 석유화학산업 시장에서 제15차 5개년 계획(2030)까지 에너지 소모가 높고 환경오염이 높은 공장들은 시장경쟁(수익성)에서 도태될 것으로 전망 <목 차> 1. 중국 에너지 구성과 가치사슬 2. 수급 관계 3. 주요 플레이어들 4. 관련 법규와 정책 5. 탄소중립하의 전환(Transformation)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공동부유 정책과 기업규제 리스크
□ 시진핑 중국 주석은 2021년 8월 개최된 중앙재경회의에서 ‘공동부유는 사회주의의 본질적 요구’임을 강조하고 공산당 창당 두 번째 100년의 국정 어젠다로 제시 □ G2로 부상하는 과정에서 중국의 지역 간·계층 간 불균형이 갈수록 심화되는 가운데,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중산층 확대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공동부유 정책을 추진 □ 최근 빅테크 기업, 사교육과 부동산 등에 대한 전방위적인 기업 규제는 공동부유 정책의 일환으로 당국의 규제가 잇따름에 따라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관련 기업들의 규제 리스크 부각 □ 내수 확대 및 집권체제 안정을 위한 기업규제에 따른 불확실성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업규제로 인한 성장 둔화라는 부정적 요인과 불평등 해소를 통한 긍정적 요인이 공존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최근 중국정부의 산업규제 배경과 평가
◈ 중국정부의 산업 규제 배경은 ① 플랫폼기업의 무질서한 확장 제한 ② 데이터 자원에 대한 관리 감독 필요성 증가 ③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와 공동부유 실현 등을 들 수 있음 ◈ 이러한 산업규제는 고용과 소비 부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경제성장률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데이터 통제 등 지나친 규제는 중국기업의 경쟁력 약화와 외자기업의 중국 내 경영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 <목 차> 1. 동향 2. 규제의 배경 3. 영향 및 평가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22년 중국 경제전망 및 시사점
ㅇ (’21년 中 경제 요약) 대내외 수요 호조 및 기저효과 등으로 성장률 약 8% 달성 전망 - (수출) 1~11월 반도체 및 자동차 등 수요 호조에 힘입어 31.1% 증가 - (소비) 경제심리 개선으로 13.7% 증가 - (생산) 내수 회복 및 기업이익개선으로 산업생산률 10.1% 증가 - (투자) 제조업 활성화에도 불구, 부동산 부문 위축으로 5.2% 증가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1~2030)
■ 이 자료는 '2021년 중국농업전망대회' 자료집인 『中 展望 告(2021-2030)』( 部市 警 家委 )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것임. ■ 중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 信息 究所)는 2014년부터 중국농업농촌부의 지원하에 매년 농업전망대회를 개최하고 있음. 농업전망대회에서는 주요 농업정책 이슈와 함께 중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가 개발·운영하고 있는 중국농업거시모형 '중국 농산물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시스템(China Agricultural Monitoring and Early Earning System: CAMES)을 사용한 품목별 10년 전망치를 발표 전망 품목(류): 쌀, 밀, 옥수수, 대두, 채유종자, 면화, 식용당, 채소, 과일, 돼지고기, 가금육, 쇠고기, 양고기, 조란(禽蛋), 유제품, 수산물, 사료 등 17개 (본문에는 대두, 채유종자, 면화, 식용당, 수산물, 사료를 제외한 11개 품목 수록) <목 차> 1. 쌀 2. 밀 3. 옥수수 4. 채소 5. 과일 6. 돼지고기 7. 가금육 8. 쇠고기·양고기 9. 조란 10. 유제품
홈 > 추천연구보고서 -
14・5 규획 기간 중국의 대외무역정책의 주요 내용 및 평가
▣ 2021년 11월 18일, 중국 상무부는 <14.5규획 대외무역 고품질 발전계획>(이하, ‘계획’)을 발표함. - ‘고품질 발전’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 지속가능한 성장으로의 방향전환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번 문건은 대외무역에서도 2035년까지 고품질 발전을 달성할 것이라는 계획을 포함 - 2021년 3월 발표된 <14.5개년 규획 및 2035년 중장기 목표>의 대외무역 부분을 구체적인 목표와 임무를 서술하여 명시함. ▣ 중국의 대외무역은 WTO가입 이후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성장하여 이미 고품질 발전 단계에 들어서 있음. - 중국 수출품 중 국내부가가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며, 기업들의 생산성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 - 중국 공급망은 제조업분류 전체를 포괄하는 생산능력을 갖추었고, 각 지역별 산업특화는 규모의 경제를 창출하는 데에 용이함. - 또한 제조업 강국임과 동시에 서비스업 비중은 점차 상승하는 산업구조 개편도 빠르게 나타나고 있음 ▣ 중국정부는 <계획>을 통해 ▲ 종합 무역실력 강화 ▲ 국제무역 혁신수준 제고 ▲ 대내외 무역 순환 제고 ▲ 개방협력 심화 ▲ 무역안보 강화 등을 목표로 2035년까지 고품질 발전의 일정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상품 및 서비스 무역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무역 활성화를 촉진하고 특히 지식산업 관련 서비스 무역 집중 육성 계획 - 향후 디지털화, 친환경을 접목한 무역으로 기술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 공급망 안정, 위험통제 강화를 중점 과제로 보고 국제협력을 강화 ▣ 중국 정부는 <계획>을 바탕으로 향후 쌍순환 전략, 탄소중립 정책과 연계한 대외무역 정책을 지속해나갈 전망 -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화, 녹색무역, 국제협력 등이 향후 중국 대외무역의 주요 과제로 나타날 전망 <목 차> 1. 개요 2. 중국 대외무역의 발전 성과 3. 14.5 규획기간 대외무역정책의 주요 내용 4. 평가 및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보험회사의 실버타운 사업 진출 현황과 특징
2010년 중국 정부는 양로서비스 공급 확대를 위해 보험회사의 실버타운 사업 진출을 허용함. 현재까지 중국 에서는 23개 보험회사가 직접 건설이나 사업협력 방식을 통해 실버타운 사업에 진출함. 동 보험회사들은 대 부분 고소득층 소비자를 대상으로 대도시 및 관광 도시에서 실버타운을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실버타운의 입 주 방법으로서 보험가입을 위주로 하고 직접신청을 보조로 하는 방식을 취함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22년 13대 주력산업 전망
2022년 13대 주력산업은 세계경제의 견조한 회복 흐름에 힘입어 대부분의 산업에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코로나19로 수주 실적이 크게 감소한 조선과 글로벌 수요 위축이 예상되는 가전은 다소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13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세계 수요 회복과 수출단가 상승으로 2021년 대비 3.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저효과 및 동남아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반도체 수급 불균형, 중국 경기 둔화 등의 제약 요인으로 수출 증가폭은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나, 수출액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13대 업종의 수출 비중 역시 확대될 전망이다. 기계산업군 수출은 자동차와 일반기계는 성장세가 지속되나 조선은 수주 부족으로 큰 폭의 감소세가 예상되며, 소재산업군의 경우 수출단가 조정이 예상되는 철강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성장세가 지속되고, IT산업군 수출은 가전이 부진하지만, 비대면 관련 정보통신기기와 반도체, 전기차 수요에 대응한 이차전지가 수출 증가세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13대 주력산업 생산은 코로나19로 건조 물량이 감소한 조선산업과 해외 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가전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수출 및 내수 확대로 증가세가 전망되나, 증가폭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목 차> 1. 2022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2. 2022년 13대 주력산업 부문별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22년 중국 경제의 와칭 포인트
올해 최고 지도부 교체를 앞두고 중국 정부는 경기와 금융시장 안정에 초점을 둔 정책을 적극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핵심 정책 목표인 ‘공동부유’ 실현과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관련 정책들을 강화할 전망이다. 경기하방 압력 증대로 규제 강도는 다소 완화될 수 있으나, 여전히 “주택 투기 금지” 기조 하에 부동산 부문의 위험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중장기 경제 패러다임 전환 과정에서 다양한 리스크가 부각될 수 있어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코로나19가 앞당긴 중국의 도심 스마트물류
- 중국 물류업계의 자동화·디지털화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스마트물류는 물류산업의 주류 트렌드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여 시장규모가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로 2021년 스마트물류 시장규모는 약 12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 - 도심 스마트물류 운송단계에서는 사물인터넷(IoT)기술이 결합된 트레일러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화물 추적이 용이해졌고, 최근 전자상거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기업들은 많은 배송 물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물류창고(Fullfillment) 투자도 확대하는 추세임 -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자의 비대면 택배 수령 요구가 증가하면서 전국 스마트 무인택배함 사용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부 중국 택배 기업은 코로나19를 계기로 병원 및 지방정부와 협력하여 드론 운송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시작 - 업계 전문가는 향후 5~10년 내에 빅데이터, 인공지능, 5G,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블록체인 등 물류신기술 발전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중국 스마트물류 산업은 급속한 발전의 기회를 맞이할 것이라고 전망 <목 차> 1. 최근 중국의 스마트물류 발전 추이 2. 도심 스마트물류 단계별 동향 3. 중국의 주요 스마트물류 기업 동향 4. 시사점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