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자기업의 중국 증시 상장과 인수ㆍ합병 가능성 전망
< 목 차 > 1. 머리말 2. 외자기업의 중국증시 상장현황 및 방식 1) 외자기업의 상장현황 2) 외자기업 증시상장 관련 정책변화 3) 외자기업의 중국증시 진출방식 4) 외자기업 증시 상장 관련 요건 3. 외국기업의 인수, 합병현황과 다국적 기업의 동향 1) 인수합병 현황 2) 관련 다국적 기업 동향 4. 향후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국기업의 對중국 권역별 진출과 전략
----요약---- 중국은 그 경제적 발전 수준에 따라 동북, 북부연해, 동부연해, 남부연해, 장강중류, 황하중류, 서남, 서북 등 8개의 권역(圈域)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2001년을 기준으로 각 권역의 투자환경을 검토한 결과 우선 그 동안 발전이 집중된 연해 3개 권역 중에서 상해, 절강, 강소 등을 포함하는 동부연해지역이 종합적 투자환경 면에서 가장 앞서 있었다. 그 동안 가장 많은 외국인 투자가 이루어진 남부연해지역은 개방환경 면에서 앞서 있었고 한국 기업의 투자가 가장 활발한 산동과 천진을 포함하고 있는 북부연해지역은 시장의 규모가 크고 도소매업 등 소비 인프라 면에서 우수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 밖의 지역 중에서는 호남, 호북, 안휘, 강서 등을 포함하는 장강중류지역이 시장잠재력, 생산환경, 인프라 등 면에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 앞으로 내륙 지역의 노동집약적 산업 육성이 본격화되면 유력한 투자 후보 지역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연해 3개 권역과 장강중류지역을 제외한 여타 지역은 투자 대상지로서의 매력은 뒤떨어진다. 1992년 이후 중국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의 특징과 변화를 살펴보면, 한국기업의 대중투자는 업종 면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높고, 투자주체 면에서 중소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투자규모가 작고, 지역적으로 천진, 산동, 요녕 등 일부 지역으로 과도하게 집중되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런데 경제위기 이전까지는 한국의 대중투자는 제조업 비중이 감소하고, 대기업의 비중이 높아지며, 투자규모가 커지고, 지역집중이 완화되는 상당히 뚜렷한 방향의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경제위기 이후 이러한 변화는 대부분 역전되거나 모호해졌다. 또 중국 내수 시장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한국기업의 대중투자 동기가 경제위기를 전후해서 변화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국 26개 성(省)급 지역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를 이용하여 그 투자입지 결정요인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제위기 이전인 1994년~1997년과 경제위기 이후인 2000년~2002년의 한국기업의 투자입지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경제위기 이후에는 저렴한 임금이 더 이상 유의한 투자결정요인이 아님을 발견하였다. 반면 내수시장의 중요성을 표현하는 각 성의 GDP는 경제위기 이후에도 유의한 투자결정요인이었다. 이는 중국에 대한 투자가 비용절감형 투자에서 시장지향형 투자로 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한국 기업의 대중투자에서는 중국 내수시장을 더욱 중시할 필요가 있으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차이를 고려한 진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또 업종 면에서 원자재 및 부품 산업으로의 진출을 확대하는 것이 기존의 보완적 협력구조를 심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 권역에 따른 투자환경의 차이를 십분 고려한 권역별 투자전략이 필요한 바, 동부연해지역 투자확대, 북부연해지역 지속 활용, 장강중류지역에 대한 노동집약적 산업 투자 탐색 등이 그 주요 내용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북한 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역할
1. 중국의 신지도체제의 대외정책기조와 북핵 문제 2. 북한 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 3. 북한 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정책방향과 전망 4. 결론 및 고려사항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上海市 경제 현황과 투자환경
< 목 차 > 가. 경제현황 나. 개발방향 다. 외국인 투자환경 (1) 사회기반시설 (2) 외국인 투자 유치분야 (3) 우대제도 (4) 외환정책 (5) 노동정책 (6) 토지정책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500대 기업의 발전현황 및 국제 비교
이 보고서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지난 4월 중국에서 발표된 <中國前500家企業集團發展報告>를 요약, 정리한 것임. < 목 차 > 1. 개요 2. 중국 500대 기업의 발전 추이 3. 중국 500대 기업과 세계 500대 기업간 비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주요지역별 최저임금표준(2002. 7월말 현재)
중국은 '93년도에 제정된《企業最低工資規定》에 의해 각 지방정부가 지역의 실정에 맞는 최저임금표준을 마련, 시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현재 西藏을 제외한 30개 省, 自治區 및 直轄市가 最低賃金保障制度를 도입, 실시하고 있는 바, 주요지역의 최저임금표준을 아래와 같이 제공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경제의 회고와 전망
< 목 차 > 1. 머리말 2. 2002년 중국경제 회고 1) 경제성장 2) 주요 성장기여 요인 3) 디플레이션 우려 상존 4) 16대 공산당 대표대회 회의 결과 3. 2003년 중국경제 전망 1) 성장, 수출, 투자 전망 2) 거시정책 운용방안 3) 소비증가 추세에 대한 전망 4. 맺음말
홈 > 추천연구보고서 -
2003년 중국 경제의 과제 : 高성장과 디플레이션
< 주요내용 > 1. 高성장의 지속 2. 高성장 속의 디플레이션 압력 3. 성장지속과 디플레이션의 관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경제의 문제점을 진단한다.
중국 농촌의 현실과 문제점 농촌 문제의 원인 농민 문제 해결을 위한 돌파구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비즈니스 유통에 달려있다
저자 서문 이 글에서는 중국 가전유통 시장이 어떻게 변화해 왔고 현재 어떤 문제가 있는지 조망한다. 또한 로컬 기업 및 다국적 기업의 유통전략을 분석하여, 한국 기업의 대 중국 유통 전략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목차 중국 가전 시장, 로컬 기업의 절대 강세 중국 가전유통의 변화 다국적 기업의 생존 전략 로컬 기업의 유통관리상의 문제점 유통개척 실패사례 중국 유통관리 포인트 * 무료 회원가입 후 자료 열람이 가능합니다 *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