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춘절 중국인 관심 검색어
중국의 대형포털사이트 SOGOU는 산하 빅데이터상업연구원을 통해 《2016년 SOGOU “데이터 춘절”》보고서를 발표함 - 사이트의 검색어 검색량으로 춘절 중국인들의 관심사를 분석함 2016년 춘절 이동수단관련 검색은 기차가 61%로 가장 많음 두 번째로 카풀이 13%를 차지, 춘절기간 중국의 새로운 이동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카풀현상을 반영하고 있음 - 빠링허우(80년대생)와 지우링허우(90년대생) 등 젊은 층을 중심으로 카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 - 2015년 대비 2016년 검색량이 82% 증가함 현재 중국은 많은 카풀사이트가 개설되어 있으며, 차종, 출발일자, 비용, 출발 및 도착지역 등을 공개하고 신청자를 받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음 - 이밖에도 비행기 9%, 자가 7%, 버스 4% 등 순으로 검색됨 세대별 춘절연휴를 보내는 방식도 다르게 나타남 70년대생은 주로 티비를 시청하고, 설맞이용품(年 )에 관심을 가짐 - 중국 춘절특집방송인 춘완(春 )을 가장 많이 검색함 80년대생은 2015년부터 크게 유행하기 시작한 모바일세뱃돈( 包)에 열중한 것으로 나타남 - 웨이신, 알리페이, QQ를 통해 세뱃돈을 주고받거나, 그룹채팅방에서 모바일세뱃돈 게임을 하며 춘절을 즐김 반면 90년대생들은 여행을 하며 연휴기간을 즐긴 것으로 보임 - 이밖에 데이트, 연예인 등에 관심을 보임 <출처:2016年搜狗 布《 春 》 据 告, 搜狗, 2016-02-23>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6년 춘절 중국인 소비 현황
중국의 자산관리기업 와차이( )는 2016년 2월 7일~13일 중국 설 춘절연휴기간 중국인의 소비를 분석함 - 2016년 춘절연휴기간 중국인의 1인당 평균소비금액은 6,341위안임 중국에서는 타인에게 주는 선물, 현금 등 인적교류를 위한 소비를 인정(人情)소비로 구분함 - 2016년 춘절 기간 1인당 인정소비 금액은 1,308위안으로 나타남 지역별 소비는 상하이가 3,157위안으로 가장 높았으며, 베이징, 광저우가 그 뒤를 따름 연령별로는 60년대 생의 인정소비 금액이 가장 높아 장년층일수록 인정소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지출항목은 집안어른 효도를 위한 지출이 4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용돈 및 세뱃돈 37%, 음식접대 11%, 설맞이용품 10%, 기부 2% 비중을 보임 <출처:春 大比 :人均人情消 1308元 60后最高, 新浪 , 2016-02-17>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2016년 사회복지・도시인프라 목표
중국 2016년 사회복지·도시인프라 목표 수치 목표 - 철로건설에 8,000억 위안 이상 투자 - 도로건설에 1.65조 위안 투자 - 2016년 1,000만 이상 농촌 빈곤인구의 빈곤탈출과 200만 이상 빈민촌 거주자 이주 - 2016년 대졸자 765만 명을 위한 청년일자리와 창업지원 - 도시농촌주민 기본의료보험 재정을 1인당 연간 380위안에서 420위안으로 인상 - 약 70% 도시로 등급별 의료서비스 시범범위 확대 <출처: 2016政府工作 告, 些 字 乎 我, 中 政府 , 2016-03-0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2016년 경제・산업・노동 목표
중국 2016년 경제·산업·노동 수치 목표 - 국내총생산 성장률 6.5%-7% - 주민소비자물가 상승폭 3% 이내 유지 - 도시 1,000만 개 이상 일자리 창출 - 도시 등록 실업률 4.5% 미만 달성 - 18개 유료 행정사업성 항목의 면제범위를 소형기업에서 모든 기업과 개인으로 확대 - 중앙재정의 1,000억 위안을 실업대책기금으로 조성 <출처: 2016政府工作 告, 些 字 乎 我, 中 政府 , 2016-03-05>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13・5규획 기간 사회복지・도시화 목표
중국 13·5규획 기간 사회복지·도시화 목표 수치 - 주택보장 시스템 완비, 도시 판자촌 주택 2,000만 채 개조 - 기대수명 1년 연장 - 고속철도 총 연장 3만㎞, 80% 이상의 대도시를 고속철로 연결, 3만㎞ 고속도로 연장 - 상주인구기준 도시화율 60%, 호적인구기주 도시화율 45% 달성 - 1억 명의 농촌인구에 도시호적 부여, 1억 명의 빈민촌 거주자 주택 개조, 중서부지역의 1억 명 인구 도시화 <출처: 2016政府工作 告, 些 字 乎 我, 中 政府 , 2016-03-0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13・5규획 기간 경제・산업・노동・환경 목표
중국전국인민대표대회 기간 중국 정부는 《2016정부사업보고》 및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에 관한 제13차 5개년 계획(이하 ‘13·5규획’) 발표를 통해 2016-2020년 13·5규획기간 및 2016년 주요 정부사업목표를 제시함 중국 2016년 경제·산업·노동 수치 목표 - 13.5시기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6.5%이상으로 유지 - 2020년 경제총량 90조 위안 돌파 - GDP 대비 R&D 투자 비율을 2.5%까지 제고 - 2020년까지 삼림비율을 24.04%로 제고 - 도시와 농촌 광대역 네트워크 보급률 100% 목표 - 지급시 및 지급시 이상 도시 공기 대기 질량이 우수한 수준 이상의 기간을 80% 이상으로 향상 - 노동연령인구 평균 교육이수기간 10.23년에서 10.8년으로 연장 - 도시에 5,000만 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 <출처: 2016政府工作 告, 些 字 乎 我, 中 政府 , 2016-03-05>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베이징 <13・5 규획> 목표 및 전망
베이징시 양회(兩會ㆍ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는 전면적 소강사회 진입을 위한 147개의 계획항목(초안)이 담긴 ‘베이징 13차 5개년규획'(2016∼2020년)의 심의가 진행됨 - 이로 인해 베이징시에는 8대변화가 이뤄질 예정임 더 파란 하늘 - 베이징시정부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2013년에 비해 40% 감소를 목표로 제시 - ▲6단계 연료 표준▲석탄소비총량 900만 톤으로 제한▲노후 차량 폐차▲건설현장 먼지날림 방지시스템 설치 필수 더 맑은 물 - 베이징시는 2020년까지 댐, 수로, 호수의 수질달성률을 77%까지 끌어올릴 계획으로 이는 2015년에 비해 27%p 높은 수준임 - 향후 5년간 1,000km길이의 오수처리관을 설치하고, 칭허( 河) 제2 하수처리장을 건설해 도심전체 오수 처리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임 더 푸르른 숲 - 베이징의 산림비율을 2020년까지 44%로 2015년보다 2.4%p 늘릴 계획임 - 20개의 교외공원을 건설하고 도심주변의 녹지를 늘려, 녹음이 가득한 베이징으로 만들 계획임 더 두꺼워지는 시민들의 지갑 - 2020년 베이징시민 소득을 2010년의 2배로 늘릴 예정 더 편리해지는 시민들의 생활 - 2020년 베이징시내 6개 구(區)의 인구를 2014년에 비해 약 15% 감소시킬 계획으로 인구가 적어짐에 따라 시민생활수준이 향상될 것이라 전망 더 장수하는 베이징 시민 - 2020년 베이징인구의 평균수명을 84.2세로 늘릴 계획으로 양로서비스를 대폭 확대해 지역사회 내 종합양로서비스시설, 기본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임 더 편리해지는 교통 - ‘대중교통의 도시, 베이징’을 슬로건으로 2020년까지 도시철도길이를 900km 이상으로 연장하고, 75%의 시민이 편리한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할 것임 더 안전해지는 우리 식탁 - 식품과 약품의 검사를 엄격한 기준·처벌·책임을 물어 98%의 합격률로 식품안전을 지킬 계획 <출처: 速 :2020年的北京 化 大, 北京市人民政府, 2016-02-0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15년 베이징시 주요 경제성과
2016년 1월 21일 베이징시 통계국은 2015년 베이징 경제수치를 발표 - 2015년 베이징시 지역총생산규모는 22,968.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6.9% 증가함 - 1차 산업은 140.2억 위안으로 9.6% 감소, 2차 산업 4,526.4억 위안으로 3.3% 증가, 3차 산업 18,302억 위안으로 8.1% 증가함 - 상주인구 기준 베이징시의 1인당 GRDP는 10.6만 위안(연평균 달러환산 기준 17,064달러)임 전통농업 축소, 도시형농업의 발전 - 베이징시 물가대비 1차 산업 부가가치, 동기대비 9.6% 감소 - 농업관광지 수입이 26.3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5.6% 증가 - 민속관광 수입 12.9억 위안, 동기대비 14.2% 증가 공업생산 유지, 기업이익·효율 향상 - 베이징시 물가대비 공업 부가가치 동기대비 1% 증가, 전년대비 증가율 5.2%p 하락 - 베이징시 규모이상 공업기업의 판매총액 17,408.2억 위안, 동기대비 3% 감소 3차 산업 발전, 빠른 기업 이익 증가 - 금융업의 부가가치 규모는 3,926.3억 위안으로 18.1% 성장 - IT·SW·정보전달 기술서비스업은 2,372.7억 위안으로 12% 성장 - 과학연구 및 과학기술서비스업은 1,820.6억 위안으로 14.1% 성장 - 도소매업, 임대 및 비즈니스서비스업은 각각 2,400.3억 위안, 1,766.8억 위안으로 1.2%, 1.7% 하락함 고정자산투자 반등, 투자구조 안정화 - 베이징시 전사회고정자산투자 규모는 7,990.9억 위안, 동기대비 5.7% 증가함 - 인프라시설투자는 2,174.5억 위안으로 7.7% 증가했으며, 베이징 전체 투자 가운데 27.2%의 비중을 차지함 - 부동산개발투자 규모는 4,226.3억 위안으로 8.1% 증가, 그 가운데 주택투자는 1,962.7억 위안으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임 커지는 소비시장, 인터넷 소비 강세 - 베이징시 시장소비총액 1.86조 위안, 동기대비 8.7% 증가 수출입 총액 대폭 감소 - 베이징시 실질수출입총액 3,195.9억 달러, 동기대비 23.1% 감소. 하락폭 전년대비 19.1%p 하락 주민 소비물가 소폭 상승 - 2015년 베이징시 주민소비물가는 1.8% 상승했으며 상승폭은 최근 5년 중 낮은 수준임 주민소득의 꾸준한 증가 - 2015년 베이징시민의 1인당가처분소득은 48,458위안으로 전년대비 8.9% 증가함 상주인구 증가세 둔화 - 2015년 기준 베이징의 상주인구는 2,170.5만 명으로 전년대비 0.9% 증가함. 상주외지유입인구는 822.6만 명으로 전년보다 3.9만 명 늘어남 <출처: 一 看 2015年北京市 据, 北京市人民政府, 2016-01-25>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베이징 도심 공공 서비스 제한 업종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베이징 도심 서비스업 제한 업종
홈 > 최신중국동향